2021년이 된 와중에 문득 생각을 해 보니.. Windows 8과 8.1은 정말 존재감 없이 소리소문 없이 싹 묻히고 사라진 것 같다.
XP, 7 다음에 바로 10이다. 8 계열은 20년 전의 ME만치 망한 건 아니지만 Vista보다는 더 흑역사이다.

사실 난 개인적으로는 옛날에 XP 다음의 Vista는 그 정도로 욕 먹을 퀄리티는 아니었으며, 일부는 오해와 누명을 쓴 것도 있다고 생각한다. 5년 만에 출시됐다 보니 갑자기 시스템 요구 사항이 너무 높아지고 일부 하드웨어와 호환이 깨지고, 사용자 계정 컨트롤이 도입된 게 반발을 일으켰을 뿐.. 그건 시간이 해결해 줄 수 있고 사후 재평가의 여지가 있는 이질감이었다. 7이라도 XP 다음에 바로 갑툭튀였다면 맞았을 질타를 미리 맞아 준 것의 비중이 크다.

그럼 8 계열은 사정이 어땠을까? 잠시 10여 년 전 당시 상황으로 되돌아가 보자.
이때는 나름 격변기였다. 아이폰이니 안드로이드니 하면서 본격적으로 스마트폰이라는 새로운 컴퓨팅 생태계가 조성되고 있었으며, 마소에서도 초대 원로 경영진(빌 게이츠, 스티브 발머)이 대거 은퇴하고 세대가 교체되고 있었다. 사내 분위기가 크게 요동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 와중에 얼리어답터들은 “Windows가 7 이후로 2010년대엔 도대체 어디까지 변모할까? 마소는 이 시점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 것이며 PC와 모바일과의 접목은 어떻게 이룰까?”라고 기대와 주목을 잔뜩 하고 있었다. 그때는 다음 버전이 심지어 재래식 NT 커널을 버리고 처음부터 다시 개발된다는 루머까지 나돌았다. (실제로는 그럴 리가.. NT 커널은 지금 Windows 10에서도 건재함! 없어질 수가 없다)

그랬는데.. Windows 7의 차기 버전인 8은 결과적으로 뭔가 구심점 없고 나사 빠진 듯한 망작이 되었다.
비주얼이 다시 심플해진 것은 그렇다 친다만, 갑자기 시작 메뉴가 없어지고 전체 화면으로 바뀐 것은.. PC와 스마트폰의 크기와 용도의 차이에 대한 고찰이 결여된 자충수였다. 게다가 8은 시작 메뉴 버튼 자체가 없었다~! 이런 제품이 어째 QA나 사용성 테스트를 통과하고 출시됐는지 모르겠다.

더 옛날인 2000년대엔 새 밀레니엄 컴퓨팅을 표방하면서 인텔 Itanium이라는 64비트 프로세서가 출시되었고 Windows는 2000뿐만 아니라 ME도 나왔었는데.. 아시다시피 Itanium과 ME는 대차게 망했다. 그런 것처럼 2010년대를 개막했던 Windows 8은 사용성 면에서 큰 혹평을 받으면서 XP와 7의 아성을 넘지 못했다.

그리고 사실은 스마트폰 OS의 쟁탈전도 매우 싱겁게 끝났다. 지금 다들 경험하시는 바와 같이 안드로이드 아니면 iOS로 양분되었고, 마소는 이 바닥에서의 주도권을 완전히 빼앗겼다. 심지어 웹 브라우저마저 IE 독점은 진작에 물 건너갔고 Edge 브라우저도 자체 개발을 포기하고 크로뮴 엔진에 흡수되지 않았는가?
국내로 치면 모바일에서 주도권을 완전히 주도권을 빼앗기고 삼성 전자와는 정반대의 처지가 된 LG 전자와 비슷하다고 하겠다..;

그러니 8 시절부터 Windows에 도입된 Metro 앱이니 하는 것 역시 폰에서는 볼 일이 없어졌다. Universal이라는 수식어가 무색해졌고 지금은 그냥 스마트폰 같은 큼직한 글자의 UI 엔진이 제공되는 특이한 프로그래밍 플랫폼? 가상 머신?처럼 됐을 뿐이다. NT 커널 없이 새로 개발된다는 엔진이 이런 곳에 적용된 거라고 보면 되겠다.

그렇게 결판이 난 뒤 마소에서는 스마트폰용 OS가 아니라 그냥 기존의 데스크톱용 Windows 10을 스마트폰용 CPU인 ARM64에다가 포팅하는 식으로.. 즉, 자기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모바일 환경에다 손을 내민 상태이다. 요즘 PC와 스마트폰의 경계가 많이 모호해지긴 했지만 그래도 PC는 안 쓸 때도 24시간 내내 켜 놓는 물건은 아니며, 떨어뜨려도 될 정도로 튼튼한 물건도 아니라고 여겨진다. 그리고 스마트폰은 프린터나 재래식 하드디스크 같은 장치와는 여전히 친숙하지 않다.

그렇게 Windows 8 내지 8.1은 2010년대 초반 마소의 시행착오가 깃들어 있는 비운의 작품이 됐다.
개인적으로는 Windows 제어판이 Metro 기반인 ‘설정’으로 야금야금 대체된 건 글쎄.. 그냥 reinvent the wheel 삽질 같고 멀쩡한 인도 보도블록을 교체하는 듯한 느낌이다. 기존 제어판에 익숙한 사용자를 괜히 헷갈리게만 하고 말이다.
지금도 키보드의 반복 속도를 최대로 조절하는 것만 해도 설정에서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재래식 제어판으로 가야 한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제목 표시줄에 제목이 가운데 정렬로 표시되었던 Windows는 과거의 16비트 시절 1~3.x 아니면 후대의 8/8.1밖에 없다~!! 거기 말고는 MS Office가 뜬금없이 2007부터 현재까지 가운데 정렬을 하며 따로 노는 중이다.

나머지 Windows 95, NT4부터 7, 그리고 지금의 Windows 10은 다 왼쪽 정렬이다.
Windows의 역사상 32/64비트 시대에 프로그램 제목을 가운데에다 표시했던 버전, 그리고 시작 버튼이 없던 버전이 있었다는 걸 기억하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문득 궁금해진다.

한글 IME의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Windows 8 계열은 메트로 앱에 대해서는 키보드 포커스를 얻었을 때 가/A 한영 상태를 IME가 근처에다 팝업 창으로 수동으로 잠깐 띄워주고, 상태가 바뀌었을 때도 그걸 띄우는 수고를 해 줘야 하는.. 약간 원시적인 조치가 필요하던 유일한 운영체제였다.
메트로 앱은 전체 화면에서 실행되는 관계로, 운영체제의 기존 도구모음줄(language bar)의 보조를 전혀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것도 아무리 생각해 봐도 뻘짓이었다. 도구모음줄을 IME가 제각각으로 구현해야 했던 1990년대도 아니고.. Windows 10부터는 메트로 앱도 창 모드로 실행 가능하고, 입력기의 상태를 작업 표시줄(task bar)에서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저렇게 할 필요가 없어졌다. 즉, 저 관행 역시 일회적인 이벤트로 끝났다는 것이다.

이상. 이 글에서는 Windows 8 계열에 대해 주로 다뤘지만, 걔네 말고 Windows라는 운영체제 제품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의아하거나 궁금한 점을 더 꼽자면 다음과 같다.

1. 비현실적인 권장 사양

마소에서는 Windows 7 64비트 정도의 시점을 마지막으로.. 자기 운영체제의 동작을 위한 최소 PC 사양과 권장 사양을 더 올려서 기재하지 않고 있다.
7이 램 최소 1GB 이상, 권장 2GB 이상인데.. 이게 Windows 8과 10까지 동일하다. 하지만 이건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완벽한 허위· 과장 광고라고 여겨진다.

도대체 어느 정도 돌아가는 게 최소 사양이고 어느 정도로 여유가 남는 게 권장인지 정확한 정의는 잘 모르겠다만.. 요즘 Windows 10은 램 8GB에서 돌려도 부팅 직후에 크롬 브라우저 창 몇 개나 MS Office 프로그램, Visual Studio 같은 걸 열면 메모리가 거덜난다. 정말 못 해도 16GB는 돼야 넉넉하다는 느낌이 든다.

Windows 7에서야 최소 1GB, 권장 2GB는 수긍할 만하며 램 8GB는 펄펄 날아다니는 용량이다. 하지만 10은 절대 그렇지 않다. 아무리 못 해도 최소 2, 권장 4 이상으로는 수정돼야 하리라 여겨진다. 그리고 요즘도 32비트 에디션이 나오고 있나 모르겠는데.. 걔는 이제 단종시켜도 될 것이다.

2. 서버 제품군의 존재감

Windows의 개인 사용자용 제품군은 아시다시피 2015년부터 10이라는 단일 브랜드 하에서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프로그램을 진화(?)시키는 형태로 바뀌었다. 하지만 서버 제품군은 여전히 2008, 2012, 2016 등의 연도 브랜드를 쓰고 있어서 다소 이질적이다. 이런 이원화된 버전 넘버링이 언제까지 계속될지.. 마치 Office 365와 기존 Office 20xx 패키지의 관계만큼이나 궁금해진다.

그리고 더 결정적으로는 기업 같은 데서 서버 제품군을 쓰는 곳이 있긴 한지..?? 이건 마치 Itanium 컴퓨터만큼이나 본인이 태어나서 지금까지 한 번도 구경해 보지 못했다.
왜냐하면 서버 제품군을 쓸 정도의 컴퓨터라면 차라리 유닉스 터미널이 내장돼 있는 리눅스나 맥OS를 쓰고 말지 Windows를 쓰지는 않기 때문이다.

서버 에디션은 원래 Windows NT나 2000까지는 동일 버전의 바리에이션 형태로만 존재해 왔다. 그랬는데 XP 때는 웬일인지 Server 2003이라고 제품명은 물론 내부 버전 번호까지 다르게 붙일 정도로(5.1 vs 5.2) 차별화를 했었다. 그 대신 XP는 개인용 에디션이 홈 vs 프로로 더 세분화됐다.
그 뒤로 서버 제품군은 버전 번호는 클라이언트와 동일하지만 제품명은 저렇게 Server 20xx 식으로 나가고 있다.

3. 자잘한 UI 버그

  • 가끔씩 재래식 TSF 입력 도구모음줄과, 작업 표시줄 쪽의 Windows 10 스타일 입력 상태 아이콘이 동시에 나타나는 버그는 꽤 유명했는데 19xx나 20xx 사이에서 드디어 고쳐진 것 같다. 요즘은 눈에 띄지 않는다.
    하지만 caret (cursor)이 여섯 번 정도 깜빡이다가 깜빡임이 중단되는 버그는 여전히 건재한 듯하다. Windows 3.1 이래로 이런 특이한 현상은 처음이다.

  • 가~~~끔. 컴을 절전 모드에서 꺼냈을 때나 프로그램 창을 전환했을 때.. 이미 띄워져 있는 프로그램 창들이 부르르 다시 그려지면서 깜빡이고 떨리는 현상.
    내 개인용 컴과 회사 컴이 모두 그러는데 좀 보기 거슬린다.
    윈10 초창기에는 이런 현상이 없었고, 특정 컴에서만 그러는 것 같지는 않은데 왜 그러나 모르겠다. (2004대 버전 기준)

  • 컴퓨터에 따라서 케바케이긴 하지만.. 메뉴가 '파일, 편집' 같은 라벨의 우측 하단 ┗ 모양이 아니라 ┛ 왼쪽으로 펼쳐지는 기괴한 현상이 왜 발생하는지 모르겠다. 아랍권도 아닌 멀쩡한 한국어/영어에서 말이다.
    로컬라이즈나 사용 접근성을 위해 필요한 옵션이라면 제어판에라도 옵션을 정식으로 갖다 놓든지..? 저런 동작이 왜 존재하는지도 모르겠고, 또 사용자의 동의 없이 불쑥 바꿔 놓고는 원상복구를 왜 레지스트리 수정을 통해서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Posted by 사무엘

2021/06/02 08:36 2021/06/02 08:36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894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894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458 : 459 : 460 : 461 : 462 : 463 : 464 : 465 : 466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989309
Today:
869
Yesterday:
1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