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 : 1 : 2 : 3 : 4 : Next »

Windows용 코딩용 글꼴의 변천사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Courier, Courier New

고정폭 타자기 스타일 서체의 원조이다. 16비트 시절부터 정말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며, 지금은 그만큼 너무 낡은 구닥다리가 되기도 했다. 그 시절에 나온 프로그램 개발툴의 에디터들은 기본 폰트가 전부 Courier 계열이었다.

Courier는 비트맵 글꼴이고, New 버전은 트루타입 글꼴로 Windows 3.1부터 도입됐다. 동일한 크기에서 두 폰트는 모양이 서로 미묘하게 다르다. 작은 크기에서도 New 버전은 또 전용 비트맵이 있기라도 한 것처럼 모양이 아주 균형잡힌 편인데, 그건 비트맵이 아니라 힌팅의 결과이다.

2. Fixedsys

Courier는 알파벳/숫자가 정사각형에 가까운 납작한 모양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글꼴의 metric 기준으로 한글이나 한자를 찍으면 그런 글자는 가로로 너무 납작해진다.
그 반면 Fixedsys는 한글· 한자 같은 전각문자가 정사각형이고 영문은 반각 비율로 찍힌다. 다시 말해 얘는 전각문자와 같이 잘 어울리는 코딩용 비트맵 글꼴이다.

Visual C++ 4~6의 경우, 영문 Windows에서 설치하면 텍스트 에디터의 기본 글꼴이 Courier로 잡혔으며(New가 아님), 그리고 대화상자의 글꼴이 MS Sans Serif로 지정됐다.
그러나 한중일 Windows에서 설치하면 텍스트 에디터의 기본 글꼴이 Fixedsys가 됐고, 대화상자의 글꼴은 큼직한 System으로 지정됐다.

이것은 Windows 3.x 시절에 영문판은 프로그램 그룹의 텍스트가 System보다 더 작은 MS Sans Serif였지만 한중일에서는 동일하게 큼직한 System으로 지정됐던 관행을 그대로 따른 것으로 보인다.

재래식 Windows GDI 말고 WPF나 DirectWrite 같은 최신 UI/그래픽 엔진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에서는 트루타입 글꼴 말고 Courier이나 Fixedsys 같은 비트맵 전용 글꼴은 이제 사용하지도 못한다. (가령, Visual Studio 2010 이상)

3. 돋움체

2000년대 이후에 나온 Visual Studio들은 한국어판을 설치하면 텍스트 에디터의 기본 글꼴이 이걸로 설정된다. 이 전통이 지금까지 쭉 이어지고 있다.
뭐, 얘는 무난하긴 하지만 너무 개성이 없고 밋밋하다는 게 흠인 듯..

4. Lucida Console

한 Windows 2000쯤부터 추가된 것 같다. 납작한 Courier New의 대체제로 훌륭한 역할을 하고 있다.

5. Lucida Sans Typewriter

Lucida Console보다 세로로 더 길쭉해서 한글· 한자와 잘 어울린다. 전반적인 모양도 미려하면서 너무 튀지도 않고, 비트맵이건 ClearType이건 어느 힌팅에도 잘 맞고.. 개인적으로 이 폰트를 굉장히 좋아한다. 거의 15년이 넘게 Visual Studio의 텍스트 글꼴로 사용하고 있다.
단, 얘는 Windows에 기본 내장돼 있지 않다. MS Office를 설치해야 한다.

6. Consolas

Windows Vista에서 처음 도입된 깔끔한 글꼴이다. 얘는 힌팅이 오로지 ClearType에만 맞춰져 있기 때문에 저게 없는 환경에서는 글자가 작은 크기에서 흐릿하게 뭉개지고 별로 보기 좋지 않다.
Lucida Sans Typewriter보다 납작하지만 그래도 Lucida Console보다는 길쭉하다.

7. Cascadia Mono/Code

언제부턴가 Windows 10에 요런 폰트가 추가돼 있더라. MS Office 번들은 아닌 듯..
모양을 튀게 만들려고 노력한 티는 나지만 개인적으로는 Lucida나 Consolas의 아성을 넘을 퀄리티는 아닌 것 같다. 9포인트는 너무 작고, 10포인트는 너무 큰 것도 아쉬운 점임.
다만, 꽤 다양한 굵기 바리에이션이 제공된다는 점은 인상적이다.

여담

  • 요즘 코딩용 글꼴은 Courier 시절 같은 타자기 스타일을 탈피하여 불변폭이면서도 필기체 같은 느낌을 넣고, 한편으로 1 l I 같은 글자는 더 확실하게 구분 가능하도록 OCR용 폰트 같은 변화도 주는 것 같다.
  • '궁서체'도 한글은 좀 뜬금없지만 영문· 숫자는 의외로 타자기 자형과 비슷해서 코딩용 폰트로 쓸 만하다..;;
  • 그리고 맥OS에 있는 Monaco도 나쁘지 않아 보이는데.. Windows 동네에서는 쉽게 구경할 수 없는 듯..

Posted by 사무엘

2020/12/19 08:33 2020/12/19 08:33
, ,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832

신명조(바탕체) 이야기

바탕체, 명조라고 불리는 한글 서체는 우리가 책의 본문에서 수십 년 동안 무수히 접해 온 친숙한 글꼴이다. 요즘이야 맑은 고딕, 함초롬바탕, 나눔명조 같은 여러 본문용 글꼴 때문에 존재감이 작아지긴 했지만, 그래도 화면보다 더 보수적인 출판물에서는 어떤 형태로든(신명, 윤디자인, 산돌 등) 오리지널 명조가 여전히 본좌이다.

명조도 다 같은 명조가 아니다. 모니터나 프린터의 해상도가 낮고 컴퓨터의 메모리가 부족하던 시절에는 획 모서리의 세리프만 어설프게 흉내 내고 전반적인 자형은 굉장히 투박하고 엉성한 야메 명조밖에 볼 수 없었다. 그런 한계가 없어지면서 디자이너의 아날로그 원도와 별 차이 없는 미려한 명조체를 볼 수 있게 됐다.

1. 한글

PC에서는 아래아한글 2.x(전문용)와 Windows 95를 통해 한양 시스템 신명조가 가장 널리 퍼졌었다.
1993년에는 아래아한글 2.1이 출시되었는데, 이때는 한양 시스템뿐만 아니라 휴먼 컴퓨터에서 개발한 서체들이 대거 도입되었다. 그 중 '휴먼옛체'는 워낙 개성 넘치고 큰 인기를 끌었던 서체이며..

사용자 삽입 이미지

휴먼샘체, 팸체, 안상수체처럼 한글에 가변폭 글꼴이 등장한 것도 굉장히 파격적이었다. 1990년대에는 안상수체 같은 글꼴이 꽤 참신한 미래지향(?) 서체라고 각광받아서 간판이나 책 제목에 종종 쓰이곤 했다.
이런 것들을 PC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최초로 선보였던 아래아한글은 실로 대단한 일을 해냈었다. 비록 그 시절 물가로 거의 30만 원에 육박했던 전문용 에디션 한정이었지만 말이다.

이런 서체들에 비해, '휴먼명조, 휴먼고딕'은 아무래도 기존의 신명조, 중고딕(한양 서체)과 외관상 거의 분간이 안 되니 존재감이 미미했다. 그래도 한양 서체와 휴먼 서체는 완전히 똑같지는 않았으며, 미세하게 차이점이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굳이 따지자면 휴먼명조가 한양 신명조보다 '약간 덜' 미려하고 완성도가 낮았다. 하지만 어차피 깨알같은 본문용 글자의 크기와 해상도에서 그 차이는 일반인에게 거의 분간되지 않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그러면서 휴먼명조는 그 대신 크기가 더 작고 래스터라이즈 부담이 더 적으며 저해상도 출력에도 더 최적화돼 있었다. 그래서 위의 그림에서도 작은 크기에서 휴먼명조의 '명, 조, 맥' 같은 글자가 한양보다 미세하게나마 더 깔끔하고 획이 균일하다.

애초에 한양 신명조는 한 글자씩 일일이 그린 완성형으로 2350자밖에 표현할 수 없는 반면, 휴먼명조는 조합형 구조여서 한글 11172자 전체를 표현할 수 있었다. 똠 햏 뷁 같은 글자를 표현하려면 싫어도 휴먼명조를 써야 했다.
이 정도면 그 당시에 휴먼명조의 존재가 충분히 가치가 있었을 것이다. 휴먼명조만 해도 Windows 3.1 시절의 투박한 바탕체(큐닉스..)에 비하면 훨씬 더 미려하고 외형과 성능을 모두 잡았었다.

그런데 1994년의 딱 아래아한글 2.5 (+ 어쩌면 그 다음 3.0까지도)에서는 어찌된 영문인지 한양 신명조가 아예 빠져 버리고, '신명조'를 고르건 '휴먼명조'를 고르건 무조건 '휴먼명조'가 선택되곤 했다. 즉, 목록상으로는 두 글꼴이 모두 있지만 둘의 차이는 나지 않는 것이다.

둘은 외형도 비슷하고 모든 글자들의 폭도 어차피 동일하니 일반인들이야 이런 일이 있었다는 걸 모를 것이다. 그 시절에 왜 그랬는지는 지금도 의문이다.
그러다가 나중에 한양 신명조와 휴먼명조는 다시 구분이 생겨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단지, 한양 신명조가 잠시 누락된 적이 있었던 것은 본인의 기억에 확실하게 남아 있는 역사 팩트이다....라고 썼는데,

오, 인터넷을 뒤져 보니 물증이 있다.
아래아한글 2.5의 예제 문서를 열어 놓은 스크린샷이 굴러다니는데, 저 때는 아예 대놓고 '휴먼명조 = 신명조'라고 쓰여 있다! 내 기억이 맞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영문

신명조에는 한글뿐만 아니라 그와 어울리는 영문 서체도 있다. 아래아한글에서 신명조, 그리고 Windows가 깔린 컴퓨터에서 '바탕'만 고르면 볼 수 있는 그 익숙한 서체 말이다.

그런데 얘는 미국 같은 영어권 국가에서 즐겨 쓰이는 서체는 아닌 것 같다. 걔네들은 책 본문은 Times Roman이 압도적인 본좌이며, 거기에다 Bookman, Century, Palantino (Book antiqua와 아주 비슷)가 가끔 꼽사리로 끼는 정도다. 그럼 '영문 신명조'는 원조가 무엇일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본인이 실물을 직접 보지는 못했지만 과거에 미국에서 여권을 발급받으면 이렇게.. “미합중국 여권만 있으면 (지구상에 못 가는 곳이 없고) 세계가 몽땅 님하의 것입니다!”라는 캐간지 안내문이 딸려 나왔다.
그런데 저렇게 천조국의 위상을 자랑하는 문구의 서체가 통상적인 유럽풍이 전혀 아니고 완전 빼박 한국 신명조 바탕인 적이 있다는 게 난 너무 신기했다. 바로 저거 말이다. 기울여 쓴 게 이탤릭도 아니고 오블리크다.. 설마 진짜 '바탕'을 써서 인쇄한 걸까? (지금은 딴 서체로 바뀐 듯함.)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한 1990년대 초반까지 옛날 미국 컴퓨터 잡지 같은 출판물을 보면 이런 신명조 풍의 서체를 생각보다 자주 볼 수 있었다.
본문 기사보다는 저렇게 광고 문구에 더 많았던 것 같다. 위의 그림은 잡지 제목은 기억 안 나고 워드퍼펙트가 Windows용으로 처음 출시됐다는 광고이니 시기가 대충 짐작이 될 것이다.

영미권에도 저런 서체가 분명 있긴 했다는 것이다. 그러니 저게 한글 신명조와 pair가 되기도 했고 말이다.
저건 누가 만든 무슨 이름의 서체일까? 본인은 아직 정보가 없고 궁금하다.
그 흔해빠진 명조 하나 갖고도 얘기할 게 생각보다 많이 있었던 셈이다.

Posted by 사무엘

2020/05/23 08:33 2020/05/23 08:33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754

오랜만에 문자, 글꼴 쪽의 생각을 하나 올리게 됐다.
머신러닝 라이브러리로 유명한 Google의 TensorFlow는.. 자신이 하는 일의 본질(수많은 숫자들 묶음의 흐름!)을 함축적으로 잘 표현함과 동시에 아이콘/로고도 기하학적으로 꽤 기발하게 만든 것 같다.

T와 F를 3차원 공간에서 합성한 입체도형을 형상화했는데, 이걸 한 면에서 정사영 projection을 하면 T자만 보이고, 다른 면에서 그렇게 하면 F자만 보이기 때문이다. true/false 같은 느낌이 난다만.. 뭐 그 심상도 논리학이 연상되니 나쁘지 않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같지는 않지만 비슷한 예로 Excel의 아이콘이 떠오른다.

얘는 마치 ICQ, NME(enemy)처럼.. 알파벳 XL만 늘어놓고 그대로 읽어도 같은 발음이 나오는 단어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콘도 대놓고 그 글자를 겹쳐 놓은 모양으로 만들어졌다.
단, L은 X의 획에 맞춰서 세로획을 기울였다는 것이 포인트이다. 그래서 X와 달리 바닥에 눕힌 듯한 입체 효과가 미묘하게 난다.

이렇게 평면에다가 단순히 두께나 그림자만 입혀서 3D 효과를 낸 것 말고, 글자나 획의 배치 자체를 입체적으로 해서 기발한 시각 효과를 내는 예를 개인적으로 더 찾아보고 싶다. 아, 그러고 보니 옛날에 Quake 3 Arena도 있다. Q자를 반쯤 테 모양으로 잘 형상화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편 한글은.. 당장 자음 모음을 각각 서로 다른 축의 평면에다가 대응시킨 것을 표현한 실험적인 탈네모 글꼴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사무엘

2020/02/08 19:37 2020/02/08 19:37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713

GUI 표시 용도로 쓰이는 폰트

컴퓨터에서 폰트, 글꼴이라는 건 말 그대로 사람이 읽는 문자를 찍는 용도로 널리 쓰인다.
그런데 그것만이 전부가 아니다. 문자는 그 자체로 생각보다 굉장히 정교한 그래픽 데이터이며, 그걸 빠르게 보기 좋게 찍어 주는 소프트웨어는 매우 강력한 벡터 그래픽 엔진에 속한다. 이걸 다른 그래픽 요소를 출력하는 용도로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다.

1. Marlett

단적인 예로 Windows의 경우.. 95부터 7까지 15년 가까이 존속했던 '고전 테마'의 GUI 요소들은 상당수가 글꼴 출력이었다.
체크 박스의 체크 표시, 라디오 버튼의 동그라미, 창의 최소화/최대화/닫기 버튼, 콤보 상자 오른쪽에 붙은 ▼ 모양 말이다.

이것들의 정체는 Marlett이라는 트루타입 글꼴에 들어있는 글립이다. 다음 그림은  이 글꼴에 들어있는 글립들을 표시한 것이다. 모양들이 다들 기억에 남아 있고 익숙할 것이다.
하드코딩된 비트맵이 아니라 이렇게 윤곽선 글꼴로 처리하면 다양한 크기에 대응 가능하다는 이점이 생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겨우 27,724바이트밖에 하지 않는 아담한 크기이며, 제공되는 글립은 저게 전부이다. Windows 95내지 NT4 이래로 내용이 한 번도 바뀐 적이 없는 듯하다.
라디오 버튼은 잘 알다시피 흑백 음영이 져 있는데, 왼쪽 절반은 흰색으로, 오른쪽 절반은 검정으로 그려서 구현했다는 것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더구나 응용 프로그램이 크기 조절이 가능한 상태라고 우측 하단에 표시되는 빗금무늬도 알고 보니 이 글꼴의 글자였다.

그런데 어지간한 프로그램의 글꼴 목록에서 Marlett이라는 이름의 글꼴을 본 적이 있는 분은 별로 없을 것이다. 얘는 일반적인 한글 내지 영문용 글꼴이 아니라 Wingding 같은 심벌 전용 특수 글꼴이기 때문에 그렇다.

지금이야 저런 dingbat 심벌들을 모두 독립된 코드값을 부여해서 새로운 문자로 만들어 주는 시대이지만, 옛날에는 유니코드는커녕 2바이트 문자 코드조차도 생소했다. 그러니 기성 문자 코드에 없는 custom 그림문자들은 아스키 코드 번호에다가 글꼴만 달리해서 찍는 게 불가피한 관행이었다. 또한, 그런 용도로 만들어진 심벌 전용 글꼴은 언어별로 필터링을 해서 글꼴 목록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에서는 이름이 조회되지 않았던 것이다.

Marlett은 MS Sans Serif, System (-_-;; ), Wingding처럼 16비트 Windows 시절부터 존재했던 글꼴도 아니니.. 이름이 더욱 생소할 수밖에 없다. 이 글꼴의 존재를 확인하려면 '문자표'처럼 진짜로 원초적인 글꼴들을 몽땅 나열해 주는 프로그램을 써야 한다.

아직도 잊혀지지 않는데.. 과거에 Windows 95는 알 수 없는 이유로 인해 주기적으로(몇 달 간격?) 글꼴 시스템이 맛이 가곤 했다. 그래서 창의 최소/최대화 버튼처럼 Marlett 글꼴을 써서 출력되던 GUI 요소들이 깨져서 Small Fonts 기준의 숫자나 알파벳으로 바뀌어 찍혔다. 원인은 잘 모르겠지만 운영체제를 강제로 '안전 모드'로 몇 번 재부팅을 해 주면 문제가 해결되었다.

그리고 요즘은 반대로.. 일반적인 숫자와 문자로 찍혀야 할 문자열들이 Marlett 기준으로 엉뚱하게 깨져서 찍히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는가 보다. 난 직접 본 적은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늘날의 Windows에서는 고전 테마가 공식적으로는 사라졌지만, 고전 테마 형태의 GUI 요소를 그려 주는 DrawFrameControl 같은 함수는 여전히 존재한다. 그게 없어질 수는 없다. 그러니 Marlett 폰트도 legacy 명목으로 언제까지나 남아 있을 것으로 보인다.

2. 설치 프로그램/부팅 화면에서 쓰이는 폰트

운영체제는 GUI를 제공하는 셸이란 걸 갖추고 있는데, 사실은 그 전에 운영체제의 설치 프로그램도 동일한 셸을 기반으로 GUI를 제공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Windows 원본 디스크의 내부를 뒤져 보면 *.ttf 파일이 존재하는 걸 볼 수 있다. Windows를 다 설치했을 때와 동일한 규모는 아니고, 그냥 설치 프로그램 GUI를 표시하는 데 필요한 정도만 존재한다.

Windows XP쯤부터는 쌩 텍스트 모드라는 게 없어졌다. 그래서 시꺼먼 배경의 명령 프롬프트 전체 화면에서도 한글이 언제나 16*16 비트맵 글꼴로 찍힌다.
그리고 Vista부터는 16*16 비트맵 글꼴이 찍히는 명령 프롬프트 전체 화면이라는 게 없어졌다. 그 대신, 부팅이나 설치 중간에 시꺼먼 배경의 전체 화면이 필요할 때 표시되는 글자들이 16픽셀이 아니라 24픽셀 이상으로 커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들은 다 kor_boot라는 트루타입 글꼴에 포함돼 있는 비트맵 글립이다. 다만, 영문은 설치 때는 똑같은 굴림 계열이고, 설치 후의 부팅 관리자에서는 Lucida Console로 차이가 나는 것 같다.
그리고 하나 더..
Windows 8부터는 운영체제의 부팅이나 설치/업데이트 작업이 진행 중일 때 동그라미 5개가 뱅글뱅글 돌아가는 애니메이션이 나오기 시작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애니메이션의 기술 기반은 gif나 avi 따위가 아니라.. 역시 글꼴이다!
malgun_boot라는 글꼴 파일을 보면 U+E000대 사용자 정의 영역에 110프레임이 넣는 각 모양들이 일일이 그려져 있다. 이 글자들을 짧은 시간 동안 연달아 찍게 하면 동그라미 5개가 뱅글 돌면서 들어갔다가 나오는 애니메이션이 그려진다.

위의 움짤은 저 폰트의 글립을 연달아 찍고 화면을 캡처해서 저장하는 프로그램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고 돌려서 20분 만에 만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듯, 부팅 때 잠깐 쓰이는 (1) 한글 비트맵 글꼴과 (2) 동그라미 애니메이션용 글꼴이 거론되었는데.. 얘들은 설치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설치가 완료된 Windows 자체도 사용하는 폰트이다. 하지만 Windows에서 _boot이라는 이름을 가진 폰트 파일이 딱히 조회되지는 않는다.

고전 테마 GUI 글꼴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Marlett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FixedSys, System, MS Sans Serif 같은 옛날 티 팍팍 나는 초 구닥다리 글꼴들도 다 C:\Windows\Fonts에 *.fon이라는 파일 형태로 존재한다. 그럼 저것들은 어디에 콕 짱박혀 있는지, 실체가 어디에 존재하는지가 매우 궁금해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Windows Vista/7부터 마소에서는 Segoe UI라는 이름의 폰트 시리즈를 밀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본편만 있다가 8부터는 Segoe UI Symbol이라는 게 추가됐으며, 얘의 PUA 영역에는 위에서 보다시피 체크박스, 컴퓨터 전원 버튼, 웹브라우저 뒤로-앞으로 버튼, 그리고 좌우상하 방향, 배터리 충전 상태 등...

어지간한 도구모음줄 버튼 아이콘까지 다 폰트 형태로 제공되기 시작했다.
단색으로 단순화됐으면서 크기 조절은 마음대로 되니까.. 폰트가 괜찮은 선택인 셈이다.
원래는 이모지까지 담고 있다가 이모지가 단독으로 워낙 방대해지니 이건 Segoe UI Emoji라는 전용 폰트로 분리되어 나갔다. 한 8.1이나 10쯤부터?

3. 나머지

운영체제뿐만 아니라 응용 프로그램도 자신만의 UI 요소를 간편하고 깔끔하게 출력하기 위해 폰트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Visual Studio IDE의 경우, 각종 창들을 사용할 때만 툭 튀어나오게 하거나, 아니면 붙박이로 고정(pin)시킬 수 있는데, 그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바로 자체 폰트이다.

초창기 버전인 Visual Studio .NET은 이를 위해 VisualUI라는 폰트를 임시 등록하곤 했다.
아래의 글립들을 보시라. 0x5부터 0x7의 자리에 있는 주사기 비스무리한 아이콘이 바로 저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NET의 초기 버전은 자기가 실행돼 있는 동안 VisualUI 폰트가 시스템 전체에 등록되어서 이름을 조회할 수 있었다. 이는 불필요한 side effect이므로 후대 버전에서는 그렇게 되지 않게 바뀌었다.

또한 Outlook도 자체 UI를 표시하기 위한 폰트를 구비하고 있었다. MS Outlook이라는 폰트가 있는데, 아래와 같은 글립만 들어있는 작고 단촐한 폰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도 후대 버전에서부터는 티가 나지 않기 시작했다. 참고로 폰트를 시스템 전체가 아니라 자기 프로세스 내부에만, 더구나 디스크 상의 파일이 아니라 메모리 데이터만으로 간편하게 임시 등록하는 함수는 Windows 2000에서부터 처음으로 추가됐다(AddFontMemResourceEx). 자기들도 프로그램 만들 때 필요하니까 추가한 것이 분명해 보인다.

그럼, 개인적으로 하나 궁금한 것을 예를 들면서 글을 맺도록 하겠다.
저런 기하학적인 UI 이미지 중에는 뭔가 공간이 부족한 환경에서 "나머지도 마저/모두 표시"(Show all / More)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 이중 갈매기(angled bracket) 마크가 있다. >> 요거 말이다. 오른쪽을 가리키고 있는 게 제일 많으며 드물게 아래로 향할 때도 있다.
부등호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명칭이 부등호는 절대 아니다. 이건 마이너스(빼기)와 dash/hyphen이 다른 것만큼이나 다르며, 번호 #과 조표 #이 다른 것만큼이나 다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듯, 요 마크는 사용자가 심심찮게 접한 적이 있을 것이다.
어째 공교롭게도 Windows XP 시절의 옛날 UI에서 더 눈에 많이 띄는 것 같다만.. 그래도 저 표시가 옛날 UI의 전유물인 것은 아니다.

더구나 Windows 9x 초창기부터 존재했던 물건도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의외로 Marlett 폰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딱 거기 있을 법해 보이는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아래로 향하는 모양은 Windows 2000/ME 시절, 딱 저 personalized menu 때문에 즐겨 쓰였고, 오른쪽으로 향하는 모양도 저렇게 90년대 말이나 2000년대 초부터 등장한 것같다.

본인은 이것도 뭔가 모처의 폰트를 사용해서 출력하는 것이지, 비트맵은 아닐 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정확한 출처를 발견하지 못했다. comctl32나 shell32 내부에 비트맵으로라도 존재하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그런 건 없었다. 그 출처가 궁금하다. 빨리 감기/되감기 버튼처럼 채워진 삼각형이 두 개 붙은 모양은 각종 심벌 글꼴에 아주 흔하게 존재하는 반면에 저 모양은 유난히 눈에 띄지 않더라.

참고로 MFC에서는 하드코딩된 비트맵 형태인 게 맞다. MS Office의 외형을 흉내 내는 기능이 있으니 저런 마크를 출력하는 기능도 응당 있을 텐데.. 소스를 들여다보니 그냥 비트맵이었다. 약간 허무함이 느껴졌다. 명칭은 afxmenuimages.h에 선언돼 있는 IdArrowShowAll (아래), IdMoreButtons (오른쪽)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사무엘

2020/01/11 08:33 2020/01/11 08:33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704

1. 과거의 1바이트 기반 문자 코드

유니코드란 게 없던 옛날에 한중일이야 한자처럼 글자수 많고 획수 많은 정방형의 문자를 사용하다 보니, 코드 길이와 글자수가 잘 맞아 떨어지는 2바이트 기반 문자 코드를 사용했다.
그러나 유럽 각국에서는 1바이트 8비트에서 상위 비트가 1인 수십~100여 자의 문자만 자기 사정에 맞게 customize한 꽤 간단한 문자 코드 바리에이션이 여럿 쓰였다. CJK 2바이트에 쩔었던 채로 어린 시절을 보낸 본인으로서는 이해나 상상이 쉽지 않다.

IBM PC에서 쓰인 미국 원판은 일명 cp437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 말고도 1바이트 기반 코드 페이지는 700~800대 번호로 여럿 존재한다. 가령, cp850은 오리지널 cp437과 대부분 일치하지만, 겹줄과 홑줄이 섞인 괘선 문자, 그리고 그리스 문자가 있던 곳에 모음 알파벳의 바리에이션이 더 배당되어 있다. 신기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128번 이후 영역에 온갖 알파벳+악센트 문자와 괘선· 기호가 들어가 있는 것, 1부터 31 사이에도 기호가 들어있는 것은 아스키 코드 오리지널 작품이 아니라 일종의 확장 규격인 셈이다. cp437과 파생형의 확장 규격은 최초에 어디에서 유래되었나 궁금해진다.

사실, 2바이트 한글 코드도 단순히 2바이트 문자만 정의한 건 아니다. 도대체 왜 그런 짓을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한국과 일본에서는 역슬래시를 잘 알다시피 원화/엔화 기호로 바꾸기도 했으며, 1~31 사이에 원래 있던 기호 대신에 반각 괘선 문자를 넣기도 했다. 전각 괘선만 있으니 공간 낭비가 심하고 불편했던가 보다. 이런 반각 괘선은 국제적으로 인정된 표준이었던 걸까? 뭐 그렇긴 했을 것이다.

흥미롭게도 과거에 쓰였던 1바이트 문자 코드 페이지들만 나열해 놓은 웹사이트가 있다. 마치 256색 시절에 쓰였던 다양한 팔레트들을 보는 느낌이다. 그것도 256개의 엔트리에다 고안자의 철학과 원칙을 담아서 색을 배당한 것이니까 말이다. 그러다가 색깔은 팔레트 따위 필요하지 않은 트루컬러로 바뀌고, 문자 인코딩은 유니코드 기반으로 다 바뀌게 됐다. 배고프고 암울하던 시절은 다 끝났다.

2. 이모지(emoji)

이모지란 글자처럼 취급되지만 글자를 가장한 각종 아이콘 그림이다. 원래는 기술적으로 갈라파고스화된 일본 내부에서만 문자 메시지나 채팅용으로 통용되었으며, 유니코드에서도 사용자 정의 영역에서나 머물 듣보잡에 불과했다. 그랬는데.. 갑자기 무슨 돈과 빽을 등에 업기라도 했는지 2010년대부터는 이게 유니코드에 정식 잔뜩 등재되고 전세계의 문자 입출력 기술의 변화를 주도하는 거물로 등극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긴, 이모지의 국제화 표준화에는 그 이름도 유명한 소프트뱅크 손 정의 회장이 크게 관여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오오~ 그래도 이것 덕분에 SNS나 채팅에서 일일이 번거로운 그림을 새로 올리지 않고도 간단한 표정 정도는 아주 간편하게 주고받을 수 있게 됐으며(특히 복사/붙이기까지!), 이로써 채팅의 편의성이랄까 감성지수도 더 올라갈 수 있게 됐다. 이모지는 온갖 듣보잡 한자들보다는 국제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쓸 일이 훨씬 더 많을 것이다.

오늘날 PC와 스마트폰에서 이모지 입출력은 필수 기능이 됐다. 이모지 때문에 (1) 만년 마이너 듣보잡 문자들로나 파묻혀 있었을 유니코드 확장 평면에 대한 인지도가 확 올라갔다. 그리고 한편으로 (2) '컬러 폰트'라는 것이 대중화됐다. 이전에도 이런 기술 자체는 있었지만 "그럴 바에야 그냥 전용 그림을 쓰고 말지, 저런 게 있어서 뭐해?" 수준이었다.

그러던 와중에 이모지는 글자와 그림의 경계를 한층 모호하게 만들었다. 마치 가수는 원래 오디오의 영역인 음악 잘 만들고 노래만 잘 부르면 되던 것이 언제부턴가 뮤직비디오 찍는 것에도 신경 쓰고 춤과 안무까지 해야 하는 것과 비슷해진 격이다.

OpenType 글꼴 파일 내부에 새로운 테이블이 추가되어 png 비트맵 이미지나 svg 벡터 이미지가 들어가게 됐다. 아이콘이 색상과 해상도가 올라가면서 png를 내장하게 되긴 했는데, 그 다음으로 글꼴도 뒤를 따르기 시작한 셈이다.
Windows(벡터 위주)와 mac(비트맵 위주), 안드로이드(??) 같은 진영 간에 컬러 폰트를 표현하는 기술이 좀 제각각 따로 노는 것처럼 보이는데, 몇 년 안으로 교통정리가 되지 않을까 싶다. 뭐, 그래 봤자 전부 그대로 표준이 될 듯하지만 말이다.

글꼴에 비트맵이라는 건 과거에 컴퓨터의 메모리가 부족하고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낮던 시절, 안티앨리어싱도 없던 시절에 동아시아 한글· 한자 같은 문자를 처리하기 위해서 존재하던 기술이었다. 허나 그게 쌩 컬러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다시 쓰이게 됐다. 이제 다음으로는 간단한 애니메이션까지 취급하게 될지 궁금해진다.

맥OS는 별다른 조치 없이 일반적인 라벨 UI 컨트롤이나 텍스트 출력 함수만 쓰면 컬러 이모지가 잘 찍힌다. API가 바뀐 것 없이 기능만 자연스럽게 확장됐다.
그러나 레거시 호환성이 깡패급인 Windows는 그렇지 못하다. GDI, GDI+, Uniscribe 같은 레거시 기술로는 컬러 폰트를 출력할 길이 전~혀 없다. 컬러 폰트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Direct2D 내지 그 휘하의 DirectWrite을 동원해야 하니 몹시 번거롭다. 거기서도 컬러 폰트를 사용하라는 옵션을 따로 준 뒤 출력해야 된다..!

이런 이유로 인해, 카톡도 PC Windows용 버전에서 대화창, 특히 입력란에서 컬러 이모지를 보기란 쉽지 않을 것 같다. 운영체제에서 대대적인 업데이트를 하지 않는 한 말이다. 브라우저도 Edge와 달리, IE에서는 컬러 이모지가 지원되지 않는다.

이모지는 인물(얼굴, 손가락), 동물, 음식, 사물, 운동, 여행, 심벌, 깃발 등의 카테고리로 나뉘는데, 이모지의 입력 기능은 그렇게 카테고리별 (1) 문자표 형태로 제공되는 편이다. 이건 워드 프로세서나 IME들이 신경 쓸 필요 없이 운영체제가 보편적으로 기본 제공해 주는 추세이다. 마치 필기 인식 기능과 비슷한 급이다.

이에 덧붙여 단어· 문장 단위의 composition이 발달한 중국어와 일본어 IME에서는 이모지가 (2) DB와 함께 통합되어 있기도 하다. 자기 나라 언어로 '사과'를 입력하면 사과 이모지, '자동차'를 입력하면 자동차 모양 이모지가 같이 뜬다. ^^;; :O 이런 건 당연히 그 표정에 해당하는 이모지로 치환해 주고 말이다.
한국어 IME는 composition이 글자 단위이고 자체 UI가 뜰 일이 없다 보니 이런 관행이 생소하겠지만.. PC가 아닌 모바일 환경에서는 저런 기능도 고려할 만하다.

그런데 이모지 문자표가 단순 유니코드 문자표와 다른 점은.. 그렇게 고유한 카테고리가 존재한다는 것 외에도, 2개 이상의 복합 코드 포인트가 결합된 놈이 무진장 많다는 것이다. 2글자에서 심지어 7글자까지 붙어서 한 개의 이모지가 되기도 한다.
뭐가 붙느냐 하면 주로 variation selector이다. 손가락 이모지 뒤에 이 손가락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selector, 사람 얼굴 뒤에 사람의 성별을 결정하는 selector.. 이런 게 그냥 뒤따르는 것도 아니고 U+200D zero width joiner와 붙어 있다.

그러니 이모지는 글자의 컬러화뿐만 아니라 결합에도 옛한글에 준하거나 그 이상의 complex script 기술을 요구하는 셈이다. 채팅 앱에서나 존재할 법한 컬러 그림문자 처리 기능이 웹브라우저와 텍스트 에디터에서까지 볼 수 있게 된 것에는 이런 기술적인 변화가 있었던 것이다. 날개셋 한글 입력기에도 이번 최신 버전에서 이모지 문자표가 간단하게나마 추가됐지만.. 편집기가 애초에 컬러 폰트를 지원하지 않는 환경이기 때문에 거기서는 제대로 된 지원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

3. Windows 기본 한글 글꼴의 변화

이모지 얘기가 좀 길어졌는데, 다음 주제로 넘어가면..
Windows 8인지 아니면 10의 특정 업데이트인지 정확하게 언제부터 이렇게 됐는지는 잘 모르겠다.
시스템 차원에서 기본 한글 fallback 글꼴이 구닥다리 '굴림/바탕' 대신 '맑은 고딕'으로 바뀌었다.
한글 글립이 존재하지 않는 Times, Arial, Verdana 같은 영문 전용 글꼴을 쓰는 상태에서 한글을 찍었을 때 맑은 고딕이 쓰인다는 뜻이다.

그리고 property sheet나 위저드 같은 UI들은 자기 내부에 나타나는 대화상자들에 대해 리소스 템플릿에 지정돼 있는 글꼴을 무시하고 무조건 굴림 9포인트로 지정하곤 했는데(이것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따로 금지하지 않는 한..) 그 기본 글꼴도 맑은 고딕으로 바뀌었다.

일본어 글꼴을 베꼈네 하는 논란과 함께 15년을 넘게 존속해 온 오래된 글꼴을 좀 신선한 걸로 대체하려는 그 의도 자체는 인정한다. 그런데 맑은 고딕은 같은 크기일 때 통상적인 정사각형 기반의 글꼴보다 더 홀쭉하며, 내부 metric이 많이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포인트에서는 다른 문자나 글꼴보다 작게 보인다.

그걸 무시하고 fallback 폰트를 바꿔 버리면 한글의 가독성은 안드로메다로 가 버린다. 안 그래도 알파벳보다 획이 더 많은데 상대적인 크기까지 더 작아져 버려서 알아보기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그나마 Times 같은 폰트는 알파벳도 워낙 조밀하고 작기 때문에 한글과 같이 크기를 나란히 키우기 용이하지만, 알파벳이 글자 단위로 납작하고 큼직큼직한 코딩용 불변폭 글꼴은 한글과 도저히 같이 쓸 수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그림은 Windows 7에서 Lucida Sans Typewriter라는 불변폭 글꼴과 맑은 고딕으로.. 한글과 영문을 찍은 모습이다. 크기, 아니 정확히 높이는 위의 한 쌍은 20을, 아래의 한 쌍은 -20을 주었다. Windows의 LOGFONT 구조체는 높이를 음수로 지정하면 글자 자체의 높이만 그런 것으로 지정되고, 양수를 지정하면 상하의 자체 여백까지 감안한 높이가 그런 것으로 지정된다. 그렇기 때문에 아래의 쌍이 글자 크기가 더 크다.
어느 경우건 Lucida Sans Typewriter가 훨씬 더 납작하고 큼직해 보이며, 한글도 그에 상응하게 바탕체로 그것도 약간 납작하게 찍혔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런데 Windows 10에서는..
Lucida Sans에서 fallback으로 쓰였을 때나, 순수 맑은 고딕을 지정했을 때나 한글의 폭이 하나도 다름없이 동일할 뿐만 아니라, 20을 줬든 -20을 줬든 그거 보정마저 없이 글자 크기가 동일하다! 그래서 같은 높이에서도 영문에 비해 한글은 터무니없이, 민망할 정도로 너무 작게 찍힌다. 이 문제를 좀 개선할 수 없으려나 모르겠다.

내 기억이 맞다면 기본 fallback 글꼴은 레지스트리를 통해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정확한 방법은 잘 모르겠다.
그나저나, 옛날 구식 글꼴인 굴림체 계열은 20을 주나 -20을 주나 크기에 아무 차이가 없다.

Posted by 사무엘

2019/11/25 08:36 2019/11/25 08:36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687

스텐실 폰트

* 굉장히 오랜만에 폰트 분야에 글을 하나 추가하게 됐다.

지금은 실생활에서 좀 보기가 힘들다만.. 30대 이상의 나이가 좀 있으신 분들 중에는 요런 투박한 모양의 글자 내지 숫자를 각종 표지판이나 벽면, 차량의 외부에서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양각· 음각 형태로 새겨지거나 오려 붙여진 게 아니라, 물감· 페인트로 칠해진 형태로 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글꼴의 컨셉은 글자가 가독성을 해치지 않는 한도 내에서 획의 일부가 규칙적으로 끊어지고 단절돼 있다는 것이다. 특히 O 대신 ()이고, ㅁ 대신 [] 모양이다.

미술· 디자인 쪽으로 조예가 있는 분이라면 이미 다 눈치 채고 아시겠지만, 이건 '스텐실'이라고 불리는 인쇄 내지 칠하기 기법에 맞춰진 글꼴이다.
투명한 필름지 같은 것에다가 도안을 그려서 선이나 면을 잘라내고, 그걸 종이 위에다 올린다. 그 뒤 필름에다가 칠을 하면 필름이 없어서 종이가 노출된 영역에만 색이 칠해진다. 이 필름지를 이용하면 동일한 그림도 여러 번 쉽게 찍어낼 수 있다.

판화와는 접근 방식이 다르다. 판화는 개념적으로 도장과 비슷하며, 찍는 과정에서 좌우가 바뀐다. 하지만 스텐실은 칠하는 방식이 다르니 그런 mirroring이 발생하지 않는다. 판화와 달리 칠을 더 다채롭고 다이나믹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스텐실은 판화에는 해당사항이 없는 한계도 존재하는데, 내부의 구멍을 구조적으로 표현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내부의 구멍이 존재하는 글자는 부득이하게 획의 일부를 끊어서 구멍 내부도 외부와 연결되게 해야 한다.

기왕 획의 일부를 끊었으니 이걸 일관된 개성과 컨셉으로 삼아서 스텐실용 글꼴을 만들어 보자는 발상은 서체 디자이너들이 누구나 할 수 있었던 생각이다.
저 영문 Stencil 글꼴에서 보듯, 획 굵기의 기복이 있는 세리프 계열 글꼴이 단절감이 덜하고 좀 더 어울린다. 어차피 획이 최대한 가늘어지는 곳에다가 단절을 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산세리프 계열에도 스텐실 글꼴이 얼마든지 존재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디지털 글꼴이 없던 옛날에 이런 글자들은 스텐실 기법으로 만들어지고 복제된 도안들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버스의 경우, 동일한 노선을 달리는 버스가 수십 대 이상 있었을 테니 이렇게 행선지를 인쇄하는 게 합리적이었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옛날에 군부대 근처에 있던 "접근금지", "위험" 표지판도 다 이런 식이었던 것 같다.
지금이야 옛날 같은 투박함과 엉성함은 사라지고 스텐실 컨셉을 일부러 흉내 낸 깔끔한 글꼴을 골라 쓰는 시대가 됐지만 말이다.

일반적인 책과 문서에서는 Times 같은 평범한 본문용 서체를 쓰는 반면,

  • 타자기나 코딩용으로는 딱딱한 불변폭 서체를 쓰고,
  • 기계가 인식하기 편하라고 타자기와 비슷하면서 획을 간소화시킨 그 특유의 OCR용 서체도 만들고,
  • 멋을 내기 위해서는 기울이고 날리고 최대한 한붓그리기를 추구한 필기용 서체를 쓰고,
  • 열악한 디지털 기계에서는 8픽셀도 채 안 되는 높이 내지 7-segment 같은 극도로 단순한 형태로 문자 외형을 간소화도 하고,
  • 스텐실용으로는 이렇게 구멍이 없는 서체를 쓰는 등..
문자를 용도에 따라 다채롭게 활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 타이포그래피의 묘미임이 틀림없다.

그나저나 오늘날 같은 디지털 인쇄와 복사 기술이 발달하기 전에 등사처럼 아날로그 판화· 인쇄술이 어떠했는지에 대한 의문과 관심이 문득 생긴다.

Posted by 사무엘

2019/03/26 08:36 2019/03/26 08:36
, ,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601

본인은 우리나라 근현대사와 한글 기계화에 모두 관심이 지대한 사람으로서,
6· 25 휴전(정전?) 협정 문서라는 엄청난 역사적인 문서가 '공 병우 세벌식 타자기'로 작성되었다는 사실에 입이 떡 벌어지며 그야말로 엄청난 전율과 감격을 느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은 한글이 역사상 거의 최초로 기계화가 된 결과물이다. 이 사진을 내 블로그에다가도 소개해 놓을 생각을 왜 지금까지 안 하고 있었나 모르겠다.
후대에 등장한 병신 같은 받침 키 두벌식 타자기가 아니라, 지금의 컴퓨터와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 가능한 타자기가 그것도 6· 25 전쟁도 터지기 전의 그 혼란스러운 시기에 핵심 아이디어가 완성되고 제품이 나왔다는 건 참으로 경이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게 다 넘사벽급의 천재 선각자 공 병우 박사 덕분이다.

저 타자기 자형은 훈민정음 해례본의 인쇄 글씨체만큼이나, 또 8*4*4 도깨비 조합형 비트맵 글꼴만큼이나 한글의 역사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획을 그은 자형이다. 다시 말하지만 저건 197, 80년대도 아니고 1953년에 작성된 문서이다.

비슷한 시기이던 전쟁 중에 살포된 삐라들을 살펴보면 본인은 진작부터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삐라 중에는 단순히 적군 디스 흑색선전이나 프로파간다를 담고 있는 찌라시 말고, 뭔가 유엔군 사령관의 싸인이 있고 언어도 한중영 3개로 기재된 '안전 보장 증명서' 같은 것도 있었다. "이 증서를 들고 귀순하면 귀관들은 영예로운 전쟁 포로로서 안전을 절대적으로 보장받을 것이다" 이런 내용이 담겨 있었다. 아래 삐라는 그 중 한 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런데... 이 증서를 보면, 한국어와 중국어는 날림 손글씨 붓글씨이지만 영어만은 꼬부랑 필기체가 아니라 또박또박 타자기 글씨였다. 삐라 하나를 봐도 그 시절에 문자의 기계화 수준은 동서양이 격차가 벌어져 있었다는 게 느껴졌다.
전에도 얘기한 적이 있지만, 서양에서 나치를 반대하던 백장미단은 그래도 삐라를 타자기를 쳐서 만들었지만, 반도에서 항일 전단지를 만들던 독립 운동가들은 여전히 붓글씨를 쓰지 않았던가?

그랬는데 동북아의 어느 좁아 터진 듣보잡 전쟁 폐허 국가에서.. 영어나 알파벳을 공식적으로 쓰지도 않는 주제에 자국 문자를 빠르게 찍어 내는 기계식 타자기가 짠 나타났으니 이건 깜짝 놀라 까무러칠 노릇이 아닐 수 없었다.
군대는 타자기의 편리함을 인지하고서 이미 1950년대부터 "유능한 장교라면 영어, 운전, 타자에 능숙해야 한다" 같은 지침이 나돌았다고 한다. 그러나 사회 전반에는 문자의 기계화와 속도 향상, 시간 절약의 필요성 자체를 인지하지 못하던 미개한 분위기가 오랫동안 유지되었다.

모바일은 아무래도 두벌이니 세벌이니 하는 이념과는 거리가 멀며, 애초에 크기도 너무 작다 보니 타자기의 직계 후손이라 할 수 있는 컴퓨터 글자판만치 빠르게 글자를 입력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언제 어디서나 다룰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모바일에서는 대개 채팅이나 자기 자아 표현 같은 가벼운 글만 주로 입력한다는 점 때문에 컴퓨터 글자판과는 용도가 양분되어 있다. 헬리콥터가 수직 이착륙과 공중 체류가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고정익기와는 별도의 영역이 있는 것과 비슷한 양상이다.

팥알 님의 블로그에는 이미 진작부터 한글 타자기를 세대별로 전문적으로 연구해 놓은 자료가 한가득이므로 관심 있는 분은 참조하시기 바란다. 저 자료에 비하면 내 블로그의 이 글은 한참 늦은 뒷북에 지나지 않는다.
그럼 휴전 협정 자체에 대한 사항만 몇 가지 언급하며 글을 맺겠다.

  • 1953년 7월 27일이 6· 25 전쟁이 끝나고 한반도의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총성이 완전히 멎은 날인데, 정확하게는 저 문서에 나와 있듯이 아침 10시경에 공식 문서가 작성되어 그로부터 12시간 뒤, 일과가 다 끝난 밤 10시부터 효력이 발휘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 휴전 협정이 벌어지고 저 문서가 작성된 장소는 오늘날의 그 판문점이 아니다. 옛날 오리지널 판문점은 지금 판문점보다 서쪽으로 1km쯤 더 떨어진 곳에 있었고 지금은 완전히 북한 땅이다. 그 건물 자체는 현재까지도 남아 있다.
  • 저 문서에 서명을 한 사람은 북한, 중국, 미국 대표밖에 없다. 그 당시 남한 측 대표는 알다시피 강경한 북진멸공덕후였던 관계로 휴전 따위에 결코 동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휴전 협정은 전쟁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더 큰 전쟁의 준비 행위이고 더 많은 고난과 파괴를 의미하며, 전쟁과 내란에 의한 공산당의 더 많은 침략 행위의 서막이 된다는 나의 확신 때문에 나는 휴전 협정 서명에 반대하였습니다. 이제 휴전이 서명된 이 마당에 나는 그 결과에 대한 나의 판단이 틀렸던 것으로 나타나기만 기원할 뿐입니다.
그러나 북녘의 동포 여러분, 희망을 버리지 마십시오. 우리는 여러분을 결코 잊거나 외면하지 않을 것이고 반드시 여러분을 구출할 것입니다." (1953년 7월 29일자 민주신보, 그 당시 이 승만 대통령의 담화문 윤문 각색)


이 와중에 이 승만 대통령이 무슨 전쟁광 싸이코패스여서 휴전을 반대한 거라고 생각하는 바보 멍청이는 없을 것이다. 그는 “아.. 지금 이렇게 어정쩡하게 휴전을 해 버려서는 안 되는데.. 지금 악을 완전히 뿌리뽑지 않고 미뤘다가는 우린 북괴 빨갱이들의 도발 때문에 앞으로 계속 고생하게 될 것이고 더 큰 희생을 대가로 치르게 될 텐데.. 그래도 우리나라가 힘이 없어서 휴전이 되돌릴 수 없는 대세가 되어 버렸다면 차라리 내 예상이 틀리기를 바랄 뿐입니다.” 이런 차원에서 담화를 발표한 것이었다. (그리고 그 예상은 불행히도 정확하게 적중함)

그는 북괴는 악의 무리이며, 북괴 치하에 있는 동포들은 오늘로 치면 ISIL 같은 곳에 납치· 억류 당해 있는 불쌍한 구출 대상이고 자유와 해방을 선사해야 할 대상이라고 지극히 건전하고 바른 인식을 하고 있었다. 테이큰의 브라이언, 아저씨의 차 태식처럼 말이다. 지금 같이 악의 무리들과 무슨 교류와 협력, 불의한 평화 따위 구걸하는 태도는 전혀 찾을 수 없었다.

Posted by 사무엘

2017/08/20 08:30 2017/08/20 08:30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395

HONDA와 SONY의 로고타입

'혼다'랑 '쏘니'.
1946년에 설립된 일본의 기업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나, 전문 분야는 다르다. 혼다는 자동차· 오토바이 등 엔진 달린 탈것 전문이고 쏘니는 전자 쪽 전문이다. 우리나라로 치면 마치 현대 자동차와 삼성 전자처럼. 종전 후에 설립되었기 때문에 미쓰비시 같은 기업과는 달리 전범 논란이 없다.

혼다와 쏘니는 둘 다 납작한 로만체 계열의 서체로 로고타입을 표현한다.
그래서 혹시 "완전히 동일한 서체인가?"란 의문을 품고 로고타입을 자세히 살펴봤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런데 동일하지는 않다. N자 모양을 보면 차이가 명백하다. 단순한 폭이나 진하기 같은 산술적인 차이가 아니다.
혼다가 글자 모양에 변화를 더 줬다고 볼 수 있다. 보통은 N에서 대각선 획이 오른쪽 수직선에 완전히 붙지 혼다의 것처럼 아래에 독자적으로 닿지는 않기 때문이다.

이들의 서체는 운영체제에서 흔히 보는 서체들 중에서는 Bookman Old Style과 비슷하다. Bookman도 Times 같은 다른 서체들에 비해서는 꽤 납작한 편이지만, 로고타입은 그것보다 더욱 납작하다.
이것 말고 또 서체가 유사한 기업 로고타입의 쌍이 무엇이 있는가 궁금해진다. 아주 오랜만에 글꼴 관련 짤막한 기록을 하나 남겼다.

Posted by 사무엘

2016/10/06 08:30 2016/10/06 08:30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280

이탤릭체 이야기

라틴 알파벳에는 다른 문자와는 달리 이탤릭이라고 약간 기울이고 흘려서 쓴 변형 서체 유형이 있다. 획을 진하게 하는 '볼드'와 더불어, 산술적인 변형뿐만 아니라 아예 별도의 폰트를 만들어서 제공 가능한 글자 속성 중 하나이다.

옛날에 비트맵 글꼴 시절에는 윗첨자· 아래첨자와 더불어 이탤릭은 아예 별도의 글꼴(폰트 패밀리)로 제공되는 게 보통이었다. 그러나 출력 장치의 해상도가 올라가고 결정적으로 윤곽선 글꼴 기술 덕분에 글자의 크기 제약이 없어지면서 이탤릭과 윗첨자· 아래첨자는 모두 아무 글꼴에나 추가로 적용 가능한 '변형 속성'으로 바뀐 지 오래다.

우리는 지금까지 이탤릭을 아마 수학식에서 가장 자연스럽게 보고 써 왔을 것이다. 수학에서 일종의 '예약어'라 할 수 있는 sin, lim, log 같은 단어은 반드시 regular 정자체로 쓰고, 나머지 임의의 변수명은 이탤릭으로 썼으니 말이다. 단, 소문자 이탤릭을 너무 흘려서 쓰면 그리스 문자와 구분이 어려워지기도 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a와 알파, n과 η, x와 χ 같은 것.

개인적으로 20여 년 전, 아래아한글 2.1이던가 2.5에서 처음 도입된 수식체를 아주 좋아했다. regular 모양은 신명조와 별 다를 바 없지만 이탤릭이 굉장히 미려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각종 수학 교재나 상업용 출판물에서 쓰인 서체이기도 했다.
지금 아래아한글은 수식의 서체가 뭔가 LaTex스러운 서체로 바뀌었고 마소 제품의 경우 한때는 그냥 타임즈이다가 지금은 다른 걸로 바뀌었는데... 난 아래아한글의 원조 수식체가 지금도 그립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편, 킹 제임스 성경 신자라면 원문에 없는 단어를 뜻하는 이탤릭체 표기가 아주 친숙할 것이다. (사실은 옛날 한글 개역 성경에도 본문보다 "약간 작게 쓴 글자"가 있어서 개념적으로 동일한 역할을 하긴 했다.)

이탤릭 서체는 세로 중심선이 사선 모양으로 기울어질 뿐만 아니라, 세리프 계열의 경우 세로획의 위· 아래 끝 부분이 살짝 둥글게 삐친 형태로 바뀐다.
이탤릭 전용 서체가 없는 글꼴은 응용 프로그램이 글자 모양을 그냥 수학적인 일차 변환으로 기울여서 찍어 준다. 이것은 엄밀히 말하면 (1) Oblique라고 불리는 다른 모양일 뿐 이탤릭이 아니다.

산세리프 계열에 속하는 서체들은 딱히 이탤릭이나 오블리크나 모양 차이가 별로 없어서 굳이 이탤릭 전용 서체가 필요한가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뭐, 두 글자의 모양을 한데 포개서 차이를 비교해 봐도 되겠지만. 또한 알파벳 말고 숫자 역시 Times 같은 세리프 계열 서체를 봐도 그냥 그대로 기울인 오블리크와 별 차이가 없어 보인다. 숫자는 딱히 italic-ready 문자는 아닌 듯하다.

이탤릭은 정자체보다야 날려 쓴 듯한 느낌을 주지만, 모든 글자들이 한 획으로 완전히 이어진 (2) 필기체를 표방하는 것도 아니다. 가령, 소문자 i나 l의 이탤릭은 세로선이 기울어지고 위와 아래에 동그란 삐침까지만 있지, 필기체처럼 두 선이 한 점에서 만나는 획이 생긴다거나 하지는 않는다.
Brush Script 같은 필기체 계열의 서체들은 정자체 모양이 태생적으로 이미 좀 기울어진 형태이기 때문에 또 이탤릭을 적용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끝으로, 세로 중심선은 90도 수직선인데 이탤릭체에 적용되는 삐침만 적용한 (3) upright italic이라는 것도 타이포그래피 용어로는 있는 모양이다. 실용적인 의미나 가치가 무엇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고 그냥 이런 게 있다는 것 정도이다.

이탤릭체는 글자의 수직 높이는 변함없는데 중심선이 약간 기울어짐으로써 실질적으로 글자의 크기가 약간 더 커지는 효과를 낸다.
그런데 여기서 궁금한 게 있다. 이탤릭체는 중심선을 정확하게 몇 도 기울이는 것이 정석일까? 여기에 통일된 규격이 있긴 할까?

MS Word의 경우, 이탤릭체가 적용된 글자로 마우스 포인터를 가져가면 신기하게도 포인터의 I자 모양도 이탤릭체 모양으로 기울어진 모양으로 바뀐다. 그리고 cursor(캐럿) 역시 단순 수직선이 아니라 기울어진 사각형 모양으로 바뀐다. 사선 모양이 굉장히 엉성하고 못생기긴 했지만 말이다.

화면 캡처를 해서 들여다보면, Arial, Verdana처럼 이탤릭 전용 서체가 있는 글꼴들은 세로선의 기울기가 5인 듯하다. 즉, 오른쪽으로 1픽셀 움직이는 동안 세로로는 대략 5픽셀이 움직인다. 이것은 각도로 환산하면 약 78.7도(수직선이 90도)이며, 따라서 11~12도 정도 기울이는 셈이 된다. 기울어진 cursor의 기울기도 이것과 얼추 일치한다.

한편, 이탤릭체 모양의 마우스 포인터는 화면을 확대해서 자세히 들여다보면 기울기가 4이다(약 76도).
흥미로운 것은 전용 서체가 없이 프로그램이 기본으로 구현하는 이탤릭이다. 얘는 기울기가 거의 3(약 71.5도)에 가까워서 누운 정도가 위의 글자들보다 더 과격하다. 따로 새로 만들어진 획이 없이 전적으로 산술적인 변형만으로 기울어짐을 구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 기울여 준 건지는 모르겠다. 아무튼 내부적으로 이런 차이가 있다는 것도 알면 흥미로울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모든 개념들의 예를 그림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Arial은 bold에 대해서도 전용 이탤릭 서체가 있는 반면, Arial Black은 전용 서체 없이 산술 연산으로 오블리크가 이탤릭의 역할까지 하고 있으며 기울기가 더 과격하다는 걸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사무엘

2015/07/16 08:44 2015/07/16 08:44
,
Response
No Trackback , 3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116

여러가지 글꼴 생각

1.
요즘 대세가 복고풍 타이포그래피인지? 옛날목욕탕체, 배달한나체가 정말 인기 많다. 영화 국제시장도 그 성격상 복고풍 서체로 포스터가 만들어졌다.
옛날에는 복고풍 서체라 하면 정말로 궁서체와 휴먼옛체 정도밖에 선택의 여지가 없었는데 이런 분야에도 다양한 서체가 존재한다는 건 그만큼 우리나라가 문화적으로 풍족해졌음을 의미한다. 게다가 라틴 알파벳과는 달리, 한글 서체는 주 사용 인구가 1억도 채 안 되는 내수 시장에서밖에 수요가 없는데도 말이다.

한글에 대해서 옛날 스타일 서체를 꾸준히 고집하고 있는 곳이 최소한 두 곳 떠오르는데
하나는 철없는 전직 부사장이 저지른 땅콩 회항 사건 때문에 이미지를 제대로 구겼던 대한항공이고, 그리고 다른 하나는 육사 부대 마크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비행기 동체의 윗부분에 큼직하게 KOREAN AIR라고 써 놓은 거 말고, 앞부분 아래에 자그맣게 '대한항공'이라고 쓴 부분이 내게는 오래 전부터 인상깊게 와 닿았다. 저 한글 로고그래피는 대한항공이 지금과 같은 치약 하늘색 도색과 영문 CI를 도입하기 전부터 계속 써 오던 물건이다.

육사 부대 마크는 무려 1947년부터 써 오던 것이니 보수적인 군대에서 앞으로도 당연히 계속 쓸 테고.
대한항공이든 육사든, 한번 정한 서체는 자기 정체성을 걸고 안 바꾸고 계속 썼으면 좋겠다.
개인적으로는 서울 지하철 초롱테크 지하철체.. 시각적으로 아무 문제 없는데 무단으로 뜯어고치고 바꾸는 거 마음에 안 든다.
그나저나 옛날 철도 간이역 역명판 서체들도 디지털로 복원하고 싶다. 자료를 많이 모아야 할 텐데.

2.
요건 출근길 지하철 안에서 본 광고판이다.
이 정도면 복고풍 서체가 아니라 혹시 북한 서체이지 않나 싶어서 원전을 찾아보니..
ㅇ의 모양, 그리고 '교'의 모양이 북한 서체를 아슬아슬하게 비껴 가긴 한다.
하지만 첫인상이 여전히 서로 굉장히 닮아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베트남은 언어는 중국어와 비슷하게 성조도 있고 1음절 1형태소 1글자 고립어 형태인 것 같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자는 프랑스 선교사의 주도로 개혁을 해서 한자를 완전히 없애 버리고 라틴 알파벳을 쓴다. 그래서 분위기가 이색적이었다.
단, 성조를 표기하려고 알파벳의 위· 아래에 이상한 부호들이 많이 달려 있다.

그리고 베트남이 자체적으로 서체를 만들 만한 나라는 아니니, 간판들을 보면 다들 MS Word 95나 아래아한글 96처럼 10년, 20여 년 전부터 기본으로 내장돼 있던 듯한 1990년대 기성 서체들 위주이다.
Cooper Black을 정말 많이 봤고, 그 외에 Copperplate Gothic, Impact, Matura MT Script도 있었다.
그 글꼴이 처음 만들어지던 시절에는 굉장히 참신한 디자인이긴 했지만, 이것도 익숙해지니까 식상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건 그렇고, 이건 뭘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문자 A의 외곽 획이 활처럼 둥글게 휜 윗줄의 서체도 많이 쓰이는 편이었는데 개인적으로는 좀 낯설다. 그 반면 아랫줄 서체는 우리에게도 비교적 친숙할 것이다.
바로 한미디어에서 개발하고 MBC가 2000년대 초까지 자사 CI에다 썼던 문화방송체이기 때문이다.
저 사람들이 설마 한국산 서체를 썼을 리는 없으니 저것도 영문 원도가 따로 있는가 보다. 알고 보니 원조는 Banco라는 별도의 서체라고 한다.

4.
본인은 직접 써 본 경험은 전무하지만, 클래식 맥 OS에 대해 어느 정도 동경을 하고 있다. 특히 쟤네들의 기본 서체가 참 개성 있다고 생각해 왔다. 아래 그림에서 File, Edit 같은 메뉴, 그리고 System Tools/Folder를 표현하는 서체 말이다. 맥 OS의 Windows System 같은 서체나 마찬가지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맥 OS의 서체 이름은 Chicago이다. Windows 95의 코드명인 그 시카고. 나중에는 비트맵뿐만이 아니라 윤곽선 글꼴로도 만들어졌다. 특히 V와 w 같은 글자의 모양을 보노라면 비트맵과 윤곽선 글꼴이 싱크가 잘 맞는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고 보니 타이포그래피와 디자인을 좋아하고 컴퓨터를 하드/소프트 독점 일체형으로 만들었던 애플에서는 OS가 이름이 없이 그냥 System이고 애플 전속 서체는 이름이 있었던 반면, 처음부터 소프트웨어에 초점을 뒀던 마소의 Windows는 프로그램이 이름이 있고 서체는 딱히 이름이 없이 그냥 System이다. 아주 재미있는 차이가 아닐 수 없다.

Windows쪽 얘기를 좀 하자면, 1과 2 시절에는 시스템 기본 글꼴이 고정폭이었다. 그러다가 3.0때부터 오늘날과 같은 가변폭 System이 도입되고 예전의 글꼴은 그 유명한 Fixedsys라는 이름으로 개명당했다. 모노크롬 시절에는 byte align이 힘들어서 성능 오버헤드가 더 크기도 했을 텐데 맥은 처음부터 과감하게 1.0때부터 가변폭 글꼴을 채용했다.

Fixedsys는 Windows 1.0 시절에 비트스트림이라는 유명한 서체 회사에 외주를 줘서 개발한 것인 반면, 오늘날의 가변폭 시스템은 마소에서 자기네 정체성을 담아 자체 개발한 글꼴이다. 그러니 System을 그 모양 그대로 윤곽선화해서 이름을 붙일 법도 했을 텐데 마치 현대 자동차에서 포니, 엑셀, 스텔라 같은 이름에 애착이 없는 것만큼이나 마소에서는 그 옛날 글꼴에는 더 애착을 갖고 있지 않은 듯하다.

이미 구닥다리의 상징에, 시스템 리소스가 다 떨어졌을 때에나 나오는 fallback 이미지가 너무 굳어져서인 듯. 게다가 NT 계열 부터는 리소스 제약도 없어져서 더 볼 일이 없어졌다. -_-;; 동아시아 Windows에서 이상하게 MS Sans Serif 대신 System을 쓰던 구닥다리 Visual C++ 6.0 IDE가 마지막이다.

System, Fixedsys 같은 건 트루타입 글꼴이 개발되기 전부터 도입됐기 때문에 당연히 TTF 형태가 아니다. 그래도 운영체제에 완전히 하드코딩으로 박힌 물건은 아니고, 오늘날도 Windows\Fonts 디렉터리에서 vgasys.fon, vgafix.fon이라고 실물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1980년대까지는 '장치 독립적인 글꼴'이라는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신기하게도 글꼴 이름이 저런 형태이다. 맥은 그 시절에 어떠했나 모르겠다.

뭐 그런 것과는 별개로, 본인은 한글 전산화의 역사와 추억이 깃든 과거의 16*16 비트맵 조합형 글꼴들도 윤곽선 글꼴로 리메이크가 많이 됐으면 좋겠다. 이야기체나 둥근모 같은 것들. 가장자리를 동그랗게 혹은 적절한 곡선으로 복원해 주면 이런 것이야말로 진정한 복고풍 서체의 위업을 달성할 수 있지 않겠나 싶다.

Posted by 사무엘

2015/05/10 08:27 2015/05/10 08:27
Response
No Trackback , 4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091

« Previous : 1 : 2 : 3 : 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0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2619938
Today:
2937
Yesterday:
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