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 : 1 : 2 : 3 : 4 : 5 : ... 12 : Next »

1. 단모음 A와 O

라틴 알파벳에서 A와 O는 통상적으로 ㅏ, ㅗ 음가에 대응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독일도 그렇고, 또 영어의 종주국인 영국도 그런 편이다.
하지만 영어를 사용하는 실질적인 최대강국인 미국에서는 이들 발음이 변해 버려서 비영어권 국가에서 외래어의 표기에 많은 혼란을 주고 있다.

걔네들은 ㅏ, ㅗ이던 것이 ㅐ, ㅏ로 변해 버렸다. 그러고 보니 U도 ㅜ냐 ㅓ냐 갖고 굉장히 오락가락하네.. 모음삼각도로 표현하자면, 다들 시계 방향으로 살짝 회전해 버린 것 같다. 안 변한 건 I(ㅣ)와 E(ㅔ)뿐이다.

그래서 톰이냐 탐이냐.. 도트냐 닷이냐도 헷갈리고, 할로윈이냐 핼러윈이냐도 헷갈린다. shop도 쇼핑, 워크샵/워크숍, 포토샵 등이 매우 혼란스럽다.
일본에서는 단모음 A는 일편단심으로 ㅏ로만 적고 있다. 그래서 패밀리는 그냥 파미리이고, 애니메이션도 아니메이다. 그러니 쟤들은 ㅏ와 ㅐ가 구분이 잘 안되겠지만 우리말에서는 A와 E, 즉 ㅐ와 ㅔ가 구분이 안 돼서 문제이다.
우리나라는 미국 스타일로 음차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일본은 서양 문물을 받아들인 시기가 굉장히 일러서 그런지 영국· 독일의 보수적인 스타일을 여전히 고수하는 것 같다.

그래서 '아이패드'(pad)는 일본어로 '아이팟또 アイパット'인데.. '아이팟'(pod)은 '아이포또 アイポ-ト'라고 한다.
A와 O의 발음 괴리의 직격타를 제대로 맞았다. ㄲㄲㄲㄲ

영어의 이런 발음 변화는 영어 자신의 관점에서도 별로 좋은 현상이 아니다. 스펠링과 발음이 심하게 따로 노는 언어가 돼 버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만 빼면 영어 정도면 다른 언어들에 비해 문법이 단순하고 배우기 쉬운 축에 드는 것 같다.
영어 정도의 과거형 불규칙이나 복수형 불규칙 난이도가.. 설마 한국어의 미친 높임법과 호칭, 용언 불규칙 활용 난이도에 비하겠는가? =_= 라틴어나 러시아어, 독일어의 미친 굴절에 비할 수준이겠는가? 그럴 리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말은 한때는 ㅏ와 ㅓ가 다른 것만큼이나 ㅐ와 ㅔ가 달랐던 적이 있긴 한 것 같은데 말이다.. 근데 어쩌다 '내'와 '네' 1인칭과 2인칭 대명사가 구분되지 않는 난장판이 돼 버렸을까?
이건 심각한 문제이다. 그러니 '네'가 현실에서는 '너'나 '니'로 불안하게 자꾸 바뀌는 것이다.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 학습자의 입장에서도 아주 보기 좋지 않다.
아울러, '날다'의 활용형이 '나는'이 돼 버려서 I am과 겹치는 것도 영 보기 좋지 않다. '날으는'을 무작정 비표준으로 치부하고 금지하기가 곤란한 노릇이다.

2. 한자어처럼 생긴 외래어

바지 선(barge), 바자 회(bazaar), 마지노 선(프랑스의 지명 Maginot), 지로 용지(giro), 모기지 론(mortgage loan), 비박(Biwak)...;;

이런 것들은 한자어가 전혀 아니다. 특히 모기지 론은 '론'조차도 論이 절대 아니고 loan일 뿐이다. 마지노 선이 마지+노선(路線)이 아니듯이 말이다.
'비박'의 경우는 무려 독일어 일반명사이고, 사실은 우리말로도 '비바크'라고 표기해야 맞다. 숙박 泊하고는 전혀 관계 없다.

이래서 옛날에는 사람들이 표기를 더 꼼꼼하게 하려 애썼던 것 같다. 국한문 혼용은 말할 것도 없고, 인명 지명 같은 고유명사나 심지어 외래어는 폰트(서체)를 달리해서 표기해 놨다.
한글에다가 한자의 획 모양을 접목해서 날카로운 느낌을 주는 '순명조'라는 서체 말이다. 이게 옛날 동화책이나 교과서에서는 외래어를 표기하는 서체였다.

난 한자 혼용까지는 너무 오바이다만, 그 대신 개인적으로는 성 이름을 띄어 쓰는 것, 그리고 외래어 고유명사 뒤에 붙는 명사는 띄어 쓰는 것에 지지 소신이다. 이것까지 안 하면 구분이 너무 안 되는 것 같다.
태산, 백두산, 일본어, 평화선
에베레스트 산, 나일 강, 후지 산, 산스크리트 어, 마지노 선

3. 표기 수단

일본어는 변별 가능한 음운이 부족해서 그런지, 장단(긴/짧은)이라도 한국어보다 훨씬 더 엄격하게 구분하려는 것 같다. 그래서 대놓고 길쭉한 가로줄이 장음 부호로 쓰인다. 같은 소리라도 이게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의미가 완전히 달라진다.

서양의 알파벳 기반 정서법에서는 짤막한 가로줄(하이픈)이 (1) 정도가 좀 약한 띄어쓰기, (2) 긴 단어를 앞뒤 줄에 걸쳐서 열거하는 용도로 쓰이니 이와 좋은 대조를 이루는 것 같다.
그러고 보니 서양 정서법에서는 일본어의 장음 부호 같은 긴 가로줄은.. 음운 계층에서의 장음이 아니라 우리 식으로 치면 ‘줄표’.. 문장 단위에서 뜸을 들이는 걸 나타낸다. 음운 계층에서의 장음은 그냥 글자를 aa ee ei 늘어놓는 식으로 해결하니 말이다.

문자에 대해 더 생각해 보자면.. 라틴 알파벳은 대소문자 구분이 있어서 문자 용도에서 수직적인 상하 계층을 만든다. 고유명사나 이니셜을 대문자로 쓴다.
일본어는 히라가나-가타카나 구분이 있어서 수평적인 역할 구분을 형성한다. 잘 알다시피 외래어나 의성어가 가타카나로 표기된다. 알파벳으로 치면 이탤릭에 얼추 대응할 듯?

한글은 글자 차원에서는 초중종성을 모아서 스스로 굉장히 잘 완성된 형태를 형성한다. 한국어 역시 일본어보다는 음운이 풍부하고 또 복잡한 훈독이 없으니, 자국 모아쓰기 표음문자만 닥치고 늘어놓는 ‘전용’을 하는 방향으로 정서법이 깔끔하게 정착했다.

그게 대체로 좋긴 하지만, 그래도 장단을 표기에 너무 반영을 안 하다 보니 길고 짧음의 구분이 한국어에서 통째로 소멸하는 것 같아 아쉽다. 그런데 한글은 그 상태로 완성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_- 추가적인 계층을 만들 여지도 별로 없는 것 같다. 그 이상 글자의 형태를 구분하는 건 폰트의 영역으로 가야 할 듯..

필요한 경우, (1) 장음/단음이나 (2) 사이소리 정도는 기호 차원에서 표현할 방법이 꼭 있어야 할 것 같다. 이건 음운 차원이고..
더 욕심을 내자면 평소에는 붙이지만 필요에 따라 체언-조사 내지 용언-어미를 구분하는 마크, 이 명칭이 외래어나 고유명사임을 나타내는 마크, 이 어절이 체언인지 용언인지를 나타내는 마크 같은 것도 좀 있었으면 좋겠다. 가운뎃점은 일본에서 유래된 건지 모르겠다만.. 콤마보다 더 크거나(세미콜론) 작은(가운뎃점) 보조 구분자도 반드시 필요해 보인다..

4. 나머지

(1) 영어권에서는 글자를 읽을 때 같은 글자가 연속해서 나올 때 double/triple로 더 즐겨 대체하는 성향이 있다.
C++ C double plus / 007 double O seven / www triple W
우리말 "씨뿔뿔, 공공칠, 더블류더블류더블류"와 비교해 보자. =_=;;

(2) 베트남 - 비엣남, 베토벤 - 베트호픈, 맥아더 - 매카서..
뭔가 대놓고 독일식 같지는 않은데 실제 발음과 미묘하게 동떨어진 외래어 표기가 좀 있는 것 같다.
한국어와 영어의 음절 구분 방식이 다른 것도 있고, 옛날에는 실제 발음보다는 스펠링 형태를 더 고려해서 한글 표기를 정했던 것도 있다.
하지만 이미 굳어지고 정착해 버린 건 어쩔 수 없다 치는데.. 하루아침에 터키 대신 튀르키예는 너무 뜬금없고 좀 문화 충격까지 느껴졌다. =_=;; 스페인 - 에스파냐도 아니고 이건 뭐..

(3) 메시지 - 마사지 - 소시지~~ 음운 형태가 비슷한 단어들이다.
'메세지'라고 쓰고 싶다면 소시지도 소세지가 돼야 맞으며, '맛사지'라고 쓰고 싶으면 메시지도 멧시지가 돼야 할 것이다. 이런 식으로 서로 표기 방식을 보완하면 된다.
디저트 - 데저트(사막)-_-도 영어 스펠링과 발음이 헷갈리기 좋은 듯.. ㄲㄲㄲ

Posted by 사무엘

2023/10/12 19:46 2023/10/12 19:46
, ,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2218

여러 단어들의 형태와 의미

1. 단어 의미의 차이

(1) '오타쿠'라고 그 이름도 유명한 일본어가 국내로 유입돼 들어왔는데.. 이게 표현과 의미가 분화됐다.
앞부분을 떼어낸 오덕은 말 그대로 일본 애니, 미소녀, 모에 하앍하앍, 피규어.. 이런 특정 분야와 관련된 원래 뜻이고,
뒷부분을 떼어낸 덕후는 매니아, 전문가, 기크, 너드..라는 뜻인 것 같다. 역덕 밀덕 철덕에서는 접사로도 쓰인다.

(2) 나룻배는 뭐고 거룻배는 뭐지..??
수하물 수화물도 그렇고. 마치 성경 용어 환난과 환란만큼이나 별 차이 없이 섞여 쓰이는 단어 같다.

(3) 외도: 한국어에서는 ‘배우자의 외도’라고 보통 불륜, 간통, 음행 쪽만 가리킨다. 그러나 일본어에서는 그냥 일반적인 부도덕 죄악 악행을 모두 가리킨다. 휴먼버그 대학교 고문 소믈리에의 대사를 통해서 알게 됐다. -_-
외모: 한국어에서는 일단은 성형수술과 관계 있을 정도인 겉모습에만 국한되어 쓰이는 편이다. 그러나 성경에서 “하나님은 외모를 취하지 않으시고”(person)는 가오뿐만 아니라 능력, 피지컬처럼 사람의 전반적인 스펙을 모두 일컫는 의미이다.
外자가 들어가는 흥미로운 단어 쌍이다.

(4) 저것 말고도 '비겁', '묵살' 같은 한자어도 한국어와 일본어가 뉘앙스가 미묘하게 다르다는 게 잘 알려져 있다.
우리말로는 둘 다 아주 부정적인 뉘앙스의 단어인 반면.. 일본어로는 전쟁에서 적을 기막히게 속이고 낚고 농락해서 싸그리 몰살시켜도 비겁(!!)하다고 그런다. 긍정적인 뉘앙스가 담긴 교활이나 악랄, 영악이라는 의미도 좀 포함한다는 뜻이다. 선전포고 없이 진짜 치졸 비열하게 진주만을 공격한 거 말고, 저런 것까지 말이다.
그리고 묵살은.. 한국어에 의미하는 ‘무시’의 강화 버전뿐만 아니라 신중한 보류..까지 의미한다. 과연 사무라이뿐만 아니라 에둘러 말하기의 달인인 일본 문화답다. 허나, 쟤들은 포츠담 선언까지 묵살한다고 모호하게 답변했다가 결국은 핵을 쳐맞았다. -_-

(5)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직렬화란.. 어떤 오브젝트의 내부 상태를 스트림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에다가 쭉 덤프해서 나중에 다시 원래대로 읽어들이고 복원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말한다. 배열, 리스트가 아니라 트리 구조 같은 비선형 컨테이너는 직렬화를 위해서 코딩 기법이 좀 필요하다.
그런데 병렬화는? 같은 목적을 위해 수행되는 많은 작업들을 CPU 코어 여러 개에다 분산시키고 동시에 수행하도록 해서 전체 소요 시간을 줄이고 성능을 끌어올리는 걸 말한다. 그러니 직렬화-병렬화는 분야가 서로 완전히 다른 의미를 지닌다~!

(6) 우리말 내지 이쪽 문화권에서는 돼지가 무척 공격적인 동물이라고 생각했는가 보다. 그래서 ‘저돌적’이라는 단어가 있으며, 여기서 ‘저’는 돼지 猪이다. 심지어 '저돌희용'이라는 한자성어가 있다. '멧돼지 희'라니.. 참 희한한 한자인데.. 울나라 상용 한자가 아닌 듣보잡 글자이다.
그런데 영어권에서는 숫양이 사납고 성깔 더럽다고 생각했는지, ram에 저돌적이라는 뜻이 들어있다. 우격다짐으로 밀어붙이다, ‘공성 망치로 공격하다, 배끼리 서로 들이받다’ 같은 옛날 전쟁 전술과 관련된 살벌한 뜻이 들어있다.
옛날 영화 벤허에서도 갤리선에서 최고속을 가리키는 용어가 3등 battle speed, 2등 attack speed를 넘어 ramming speed였다..;;

(7) 영어에는 prosecute(기소)와 persecute(박해)가 형태가 비슷해서 이를 이용한 언어드립이 있는 걸 개인적으로 어디선가 봤었다. 악질 검사한테 박해 받는다..;; 뭔가 심상이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translation(번역)과 treason(반역)도 비슷한 관계이다. 이건 굉장히 공교롭게도 영어와 한국어 모두 형태가 비슷한 단어쌍이다~!

(8) AV..
AV 단자라고 하면 오디오/비디오라는 뜻이다.
AV 1611이라고 하면 공인된 번역본이라는 뜻이다.
일본 AV라고 하면... 19금이라는 뜻이 된다. 의미와 용도가 완전히 제각각이다.. ㅋㅋㅋㅋㅋ

2. 욕처럼 들리는 단어

(1) 시발: 시발 자동차, 구로 역 시발..;;; 전설적인 예시이다.
채널A 카톡쇼에 출연했던 어떤 자동차 업계 원로의 회고에 따르면.. "시발 시발 우리의 시발~~~" 이러는 라디오 광고 CM쏭까지 있었다고 그런다.
그리고 필리핀에는 시발롬 Sibalom 이라는 지역이 있다.. ㅠㅠㅠㅠㅠㅠ.

(2) 옛날 일본의 히로히토 천황은 본명이라고 해야 하나 휘호가 迪宮였는데.. 발음이 '미치노미야'였다. 영어로도 Prince Michinomiya Hirohito 라고 썼다.
일제 식민지 조선인들한테 "미친놈이야"라고 당연히 놀림감 0순위였으며, 일본도 이 사실을 광속으로 인지하고 단속을 벌였다.

(3) rape: 어떻게 노란 유채 식물이 이런 끔찍한 범죄와 동음이의어인지 궁금하다. 그래서 영어로는 원래 명칭대로 안 부르고 카놀라 Canola라고 부른다.
하긴 유채는 순우리말 명칭도 굉장히 뜬금없다. '평지'라고 하네...;;;

(4) retard: 학창 시절에 접했을 음악 나타냄말에도 '리타르단도'(점점 느리게)가 있고, 또.. 항덕이라면 비행기 조종에서도 어떤 기종은 착륙 착지 때 GPWS에서 retard, retard~~ 라고 안내를 해 준다. '엔진 출력 낮춰, 속도 줄여~!' 이런 뜻..
근데 현실에서는 retard는 음악이나 비행기 출력이 아니라 지능 발달이 더딘 사람을 일컫기도 한다. '백치 아다다'에서 백치처럼 말이다.
비행기가 성공적으로 착륙하면 이탈리아 같은 일부 문화권에서는 승객들이 환호하고 박수도 치는데.. 정작 조종실 계기판에서는 병~~신 병~~신(약오르지ㄲㄲ) 이런 어감의 놀림(??)이 흘러나온다는 게 웃기게 느껴질 수 있다.

3. 언어유희

  • 헌신만 하다가 헌신짝 취급 당한다.
  • 다짐을 너무 많이 하면 다 짐이 된다
  • 교사 지침서 때문에 교사가 지침..
  • 지적이지만 지적질 하지는 않는 사람이 좋다~~ ㄲㄲㄲㄲㄲㄲ

그리고 파이널 Pinal air park(애리조나), 페인 Paine field(워싱턴 시애틀).. 둘 다 항공과 관련된 유서깊은 시설이 있는 지명이다.
전자는 노후 비행기 보관소이다. 그래서 최후 final과 비슷한가..?? -_-;; 그리고 후자는 위치에서 짐작이 가듯, 보잉 사 에버렛 공장에서 생산되고 출고된 비행기들이 첫 출발하는 곳이다. 비행기의 출산의 고통을 의도해서 pain 드립을 쳤는지 모를 일이다. -_-;;

Posted by 사무엘

2023/10/10 08:35 2023/10/10 08:35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2217

우두머리의 명칭

행정구역부터 살펴보면..
  • 반장? 통장?: 이런 게 있는 줄도 몰랐는데.. 주민등록 옮기고 전입신고를 하고 나니 실거주 중인지 인증 연락이 이 계층의 사람에게서 오더라. 이건 월 몇십만 원 남짓한 거의 용돈 받는 파트타임 알바 급의 존재감인 걸로 안다.
  • 마을 이장, 동장: 역시 현실에서의 존재감은 잘 모르겠다. 여기까지는 그냥 임명직이다. 동사무소, 주민센타, 행정복지센타.. 이런 이름은 좀 그만 바꿨으면 좋겠다.
  • 구청장: 구의 대표만 어째 '청'짜가 붙어 있다.

  • 시장, 군수: 여기부터는 선출직. 또한, 평범하게 '장' 접사만 붙는 건 시장이 마지막이다. 군은 어째 '수'가 붙어 있네?
    서울특별시장은 다른 시장/군수, 심지어 도지사보다도 서열이 더 높다고 한다.
  • 도지사: '지사'라는 유니크한 명칭이 등장한다. 미수복 영토인 황해도, 함경남북도, 평안남북도에 대해서도 명목상으로나마 도지사를 두고 있다는 건 공공연한 사실이다. 이북5도청이라는 이름의 관청도 있다.

그 다음 마지막 최종 보스가 대통령이다.

  • 우리나라는 연방제 급의 지방자치를 하기에는 덩치가 너무 작은 관계로.. 여전히 중앙 정부의 입김이 압도적이다.
  • 우리나라는 부통령이 없는 대신, 국무총리가 비중과 권한이 크다. 그러니 이 사람이 대통령 권한대행도 맡는다. 부통령은 리 승만 1공화국 시절에만 있었다.
  • 사실, 입헌군주제에서 얼굴마담 군주를 대신해서 실질적인 정치를 하는 그 무언가는 prime minister '수상'이라고 불리는데, 이 직함이 '총리'라고 번역되기도 했다. 아라비안 나이트에서 쟈파, 일본에서 아베나 고이즈미 같은 사람 말이다.

이렇게 명칭을 늘어놓아 보니, 우두머리를 가리키는 직함명이 단순 '-장' 이상으로 굉장히 다양함을 알 수 있다. 교장, 사장, 회장 같은 것과는 상황이 다르다.

  • 정부 기관들은 '-청'자로 끝나다 보니 '-청장'이라는 명칭이 자연스럽게 붙는다. 구청장뿐만 아니라 병무청장, 기상청장, 경찰청장 등..
  • 촌장, 추장은 전근대 시절을 다루는 외국물 번역 용도로만 쓰이는 용어인 것 같다. 특히 추장은 문명화되지 않은 부족의 우두머리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인디언..??
  • 그리고 '총'자. 대학교의 우두머리는 교장이 아니라 총장이라고 불린다. 그리고 한국 은행은 행장이 아니라 총재..;;
  • '총통'은 앞서 언급했던 대통령과 총리가 결합된 엄청난 타이틀이다. 장 제스나 히틀러 같은 외국의 독재자에게만 쓰이곤 했다.

조선 시대의 관아는 주민센타 겸 지방 법원 겸 경찰서 통합이었는가 보다. 하긴, 거기 가서 곤장도 맞고 오니까.. 사또 내지 원님도 행정과 사법이 통합된 그 무언가였던 듯하다.

"당신을 XXX 혐의로 체포한다. 당신은 묵비권을 행사할 수 있고, 모든 증언은 당신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며..."가 아니라..
"네 이놈, 죄인은 오라를 받으라~! 니 죄를 니가 알렷다~!! 죄를 이실직고할 때까지 죄인을 매우 쳐라!!!" 이러는 게 참 화끈하긴 했다. =_=;; 명칭부터가 경찰이나 공안이니가(두루 살핀다, 공공의 평안을 도모함) 아니라 포도청.. 도적 잡는 관청이라는 뜻이었다.

Posted by 사무엘

2023/02/28 08:35 2023/02/28 08:35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2131

한자어 어휘 관찰

1. 한자 義

義는 '의롭다, 옳다, 올바르다' 등의 아주 좋은 뜻을 나타내는 글자인데, 어쩐 일인지 글자 내부에 '양'이라는 부수가 포함되어 있다.
아 그래서 "한자에 담긴 창세기"를 지지하는 진영에서는 한자에 진작부터 "어린양"이라는 기독교 개념이 담겨 있다는 식으로 해석을 해 왔다.

개인적으로는 이게 정말 신빙성 있는 해석인지 잘 모르겠다. 하지만 최소한 船의 8이 노아의 가족을 의미한다는 떡밥보다는 어린양이 '좀 더' 개연성이 있어 보이긴 한다. 하긴, '아름답다' 美에도 '양'이 있으니 참 신기한 노릇이다.

그런데 이 義는.. 모조, 가짜, '실물이 아니지만 실물에 준하는' 이런 뜻이 있다. 그래서 의형제, 의수 의족 의안에서 '의'가 '가짜'라는 뜻의 義이다.
동일한 글자에 옳다 바르다.. 의롭다랑 '가짜'라는 뜻이 같이 있는 게 굉장한 의외이지 않은가? 게다가 이건 다의어이지, 동음이의어 관계가 아니다.
저 의가..

  • 依 손발 없는 장애인이 의지할 만한..
  • 儀 모양 외형만.. (예의)
  • 醫 의학의 힘으로 재현한..

어느 것도 아니라니 굉장히 의외로 느껴진다.;; 의형제까지는 이해가 되지만 의수 의족 의안은..?
비록 레알 실물이 아니지만 "부정적인 어감"이 덜한 모조 대체품이라는 단서가 붙어야 할 듯하다.

2. 2음절 한자어의 앞뒤

우리말의 한자어는 비슷한 뜻의 한자 2개가 적당히 결합해서 단어가 된 경우가 많다.
'은혜'라든가.. 그리고 '명령'도 둘 다 뜻이 비슷하기 때문에 태조 왕건 드라마의 대사도 "폐하의 명이시니라 / 폐하의 영이시니라. 눈을 감아라."가 오락가락했다는 얘기를 본인이 예전에 한 적이 있다.

기린이나 앵무 같은 동물 이름도 그냥 '기린 기, 기린 린(麒麟)', '앵무 앵, 앵무 무(鸚鵡)' 한자의 결합이다. ㄲㄲㄲ
다만, 사자는 '사'만 獅이고 '자'는 그냥 잉여 글자 子이다. 일본에서는 한자로는 동음이의어 변별이 안 돼서 저건 그냥 영어 '라이온'으로 부르고 말이다.

이 자리에서 또 제시하고 싶은 예는 '역참'이다. (驛站) 이건 중앙 정부에서 파견된 파발꾼이 말 타고 장거리를 달리다가 지친 말을 교체하거나 각종 중간 보급을 받는 기지의 명칭이다. 고속도로 휴게소의 전근대 버전뻘??
역참은 한 왕조 내지 중앙 정부의 통치력이 닿는 곳 이내엔 당연히 모두 설치되어야 했다. 동서양 어디에나 비슷한 기지가 있었고 조선의 경우 암행어사의 파견과도 접점이 있었다.

마패는 원래 암행어사 신분 자체를 입증하는 표식이 아니라, 그냥 역참 시설을 이용하고 말을 불출할 자격이 있음을 나타내는 표식이다.
그리고 "암행어사 출두요~!" 소리와 함께 우루루 뛰어오는 암행어사 편의 포졸들은 지방 관아가 아니라 바로 역참에 소속된 제3자 '역졸'이다. 무슨 특검도 아니고.. 암행어사는 조선만의 참 특이한 제도이긴 했다.

아무튼, 이런 말 대신 철도가 등장하면서 '역참'이라는 시설은 그냥 철도역으로 자연스럽게 대체되었는데.. 한국과 일본에서는 앞글자 '역/에키'를 떼어간 반면, 중국에서는 뒷글자 '참'을 떼어갔다는 차이가 있다. 중국어로는 철도역을 '차참'이라고 한다.

3. 순우리말과의 관계

(1) '거리'는 순우리말로는 길거리 street라는 뜻이지만, 한자어로는 distance라는 뜻이다.
'고장'은 순우리말로는 지역, 마을이라는 뜻이지만, 한자어로는 기계 고장, 트러블, 탈, 문제라는 뜻이다.
'저자'는 현재 한자어 author이라는 뜻으로 거의 굳어져 있지만, 순우리말 고어로.. 장터, 도떼기시장, 가게라는 뜻이 어렴풋이 있다. '저잣거리', 그리고 '저자 시'(市)에서 그 흔적이 남아 있다~!!
이들은 순우리말은 모두 뭔가 지리와 관련된 용어라는 공통점이 있다.

(2) 육지 land를 뜻하는 '뭍'은 앞으로 수십 년 뒤에는 거의 듣보잡 사어가 되지 않을까 싶다.
빚 증서를 나타내는 '어음'은 한자어가 전혀 아닌 순우리말이다.

(3) 잎을 달여 마시는 식물 '차'는 순우리말이다. 차의 한자어는 '다'(茶)이며, 바퀴 달린 탈것을 가리키는 차(車)가 한자어이다.

(4) 놈 자(者), 계집 녀(女)를 보면.. 어쩌다가 순우리말이 천박한 표현으로 전락했나 궁금해진다. "제 뜻을 실어 펴지 못할 놈이 하니라" 특히 계집은 여자에 대해서 거의 흑인-니그로 같은 급의 멸칭이 된 듯하다. 같은 여자끼리 서로 싸울 때나 사용하는 단어이다.
요즘은 한자의 훈 자체가 사람 자, 여자 녀로 바뀌기도 했지 싶다. 문둥병, 장님 같은 말까지 나병, 맹인 등으로 바뀌었고 말이다.

4. 은혜

'은혜'라는 단어는 여러 언어에서 여자 이름으로 쓰이는 것 같다. 우리말은 말할 것도 없고, 영어권에도 Grace나 Gracia가 있으며 일본어에도 '메구미'(惠)가 있다.
우리나라 통일/새 찬송가에서 일본인 작사로 알려져 있는 가장 유명한 곡은 나카다 우고 작사의 "은혜가 풍성한 하나님은"인데.. 얘는 원어 가사도 영어 번역이 아니라 일본어로 기재된(Megumi hukaki mikami yo ...) 거의 유일한 곡이다.

본인은 '메구미'를 배틀로얄에서 미츠코에게 낫으로 목이 따여 죽는 여학생 이름으로만 오랫동안 알고 있었다. ㅠㅠㅠ ^^;; 은혜라는 뜻이긴 하지만 딱히 기독교적인 심상을 담은 건 아니다.
이는 마치 서울 은평구와 비슷한 처지이다. 은평은.. 딱 정확하게 은혜와 평화에서 유래되었지만, 신약 바울 서신에 나오는 은혜와 평강(평안)하고는 아무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5. 나머지

(1) 요즘은 무슨 물자나 서비스의 가격이 올랐을 때 '인상/상승'이라는 평범한 단어를 찾기가 어렵다.
가격을 올리는 당사자는 '조정, 합리화, 현실화'라고 말을 돌려서 표현하고,
언론에서는 1%가 오르든 0.1%가 오르든 언제나 '폭등'이라고 보도하기 때문이다. -_-;;

(2) 암석의 생성 원리가.. 한자의 제자 원리(육서)와 대응하는 구석이 있는 것 같다.
화성암: 상형 지사
퇴적암: 회의 형성
변성암: 전주 가차 ㄲㄲㄲ

(3) 우리나라의 성씨하고 한자 부수가 좀 성격이 비슷해 보인다.
귀화해서 생긴 너무 예외적이고 마이너한 성씨를 빼면 성이 내가 알기로 250여 개 정도 있어서 부수의 개수 214와 비슷하다.
부수의 획수 범위 1~17획은 ㄱ부터 ㅎ까지 자음 순서 14와 비슷하다. ㅋㅋ
하긴, 우리나라는 자국민에게는 창씨가 금지되어 있고, 성씨가 너무 적은 게 그냥 특징인지.. 문제점인지 좀 그렇다.

(4) 태권도, 그리고 태풍.. 얘들은 의외로 '태'의 한자가 太나 泰가 아니다.
태권도의 '태'는 跆(밟다, 발로 차다)인데, 국어에서는 태권도 계열의 단어 말고는 사실상 쓰이는 곳이 없는 글자인 듯하다.
그리고 태풍도 아주 의외로 태풍이라는 뜻의 전용 글자인 颱가 존재한다. 태풍의 뜻이 태풍이라니 뭔가 재귀적이다만.. 얘 역시 태풍 말고 다른 용도가 존재하지 않는다.

(5) 갓난아기가 맨 처음으로 접하는 단어, 맨 처음으로 시도하는 발음이란 게 뻔할 뻔자이다 보니..
전세계 언어들이 다 '엄마'에는 M 소리가 들어가고, '아빠'에는 어떤 형태로든 B/P 소리가 들어간다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그런데 '엄마'의 포스에 비할 바는 못 되지만 해충 '모기'도 세계 언어들 상당수에는 M 소리가 들어있다고 한다. 흥미로운 점이다. 영어 mosquito, 그리고 마침 한자 蚊도 음이 '문'이다.

Posted by 사무엘

2023/02/11 08:35 2023/02/11 08:35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2124

1.
정관사 the는 뒤의 단어가 꼭 모음으로 시작하지 않더라도, ‘THE / 바로 그 ..’ 강조의 의미로 ‘더’ 대신 ‘디’라고 강하고 길게 발음될 수 있다.

2.
우리말 조사 중에는 앞의 체언에 종성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음운이 더 첨가되는 게 있다. '-(으)로' 내지 '-(이)면'처럼 말이다. 뭔가 언어 차원에서 '자음-모음, 자음-모음' 이렇게 이어지는 걸 더 자연스럽게 생각했기 때문인 것 같다.

킹 제임스 성경 영어에도 이와 비슷한 유형으로 운율이나 음절수를 맞추기 위한 동일 단어 바리에이션이 있었다. do의 3인칭 단수 굴절은 doth(1음절)와 doeth(2음절)이 굳이 나뉘어 있었고, 의미가 거의 같지만 to(1음절)와 unto(2음절)이 나뉘어 있었다. 읽히는 상황에서 자연스러운 것을 그냥 취사선택하면 됐다.
문맹이 많고 종이와 필기구가 귀했던 시절에는 일상생활에서 암기· 암송의 비중이 훨씬 더 컸으며, 텍스트를 외우기 쉽게 배치하고 노래로 만드는 행위의 비중이 컸지 싶다.

3.
behind는 ‘비하인드’가 아닌 ‘바하인드’라고 발음되는 경우가 유난히 많은 것 같다.
내가 태어나서 최초로 접한 곳은 라이온 킹에서 티몬과 품바의 대사 put your past behind you였는데.. 저기서만 저러는 게 아니더라. (☞ 보기 2분 30초 이후)

영어 단어는 강세가 없는 모음이 ㅓ와 ㅡ 비스무리한 어정쩡한 약한 소리 schwa로 바뀌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before 정도면 '비'가 '브'처럼 밍숭맹숭하게 발음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본인도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
하지만 behind의 경우는 schwa가 아니라 아예 대놓고 '아' 소리가 너무 분명하게 느껴지는데.. 이건 별개의 변종 발음으로 봐야 하지 않나 싶다.

4.
wicked, rugged는 wick나 rug에다가 -ed 어미가 붙은 단어가 아니며, 어원상 -ed가 없는 단어들과는 전혀 무관하다.
그렇기 때문에 ‘위크트, 러그드’가 아니라 i 소리가 분명히 첨가되어 ‘윅키드, 러기드’가 맞는 발음이다. 나 같으면 스펠링을 그냥 -ed가 아니라 -id로 정했을 것 같다.
한국어로 치면 ‘반짇고리’, ‘옜다’처럼 사잇소리가 아닌 단순 축약형이기 때문에 받침 스펠링이 ㅅ로 아닌 단어하고.. 상황은 다르지만 좀 비슷한 느낌이다.

5.
요즘 당장 네이버도 그렇고, 영한사전에서 i 발음을 작은 I (U+26A)로 표기해 놓은 게 있어서 이건 도대체 뭔가 궁금했다.. 저게 IPA 정의상 더 정확한 표기이구나. i가 옛날식 비표준 표기였다고 한다.

6.
노벨 화학상을 받은 유명한 핵 물리학자의 이름은 어니스트 '러더퍼드'(Rutherford)이다. 한글 표기로나 실제 발음으로나 문제가 없다.
그런데 과학 말고 신학에서 거론되는.. 17세기 스코틀랜드의 장로교 목사의 이름은 새뮤얼 '루터포드'(Rutherford)라고 더 널리 알려져 있는 것 같다.;; 내 개인적으로는 전자는 20여 년 전 학창 시절부터 들었지만 후자는 완전 처음이었다.

원어상의 발음이 다를 것 같지는 않은데 왜 이런 차이가 발생했나 모르겠다. John Rutter도 '루터'인지 '러터'인지 잘 모르겠다.

7.
위와 비슷하게,

  • 만델브로트(수학) → 망델브로
  • 호이겐스(천문) → 하위헌스
  • 나트륨(화학) → 소듐
  • 엔젤 → 앙헬(베네수엘라 폭포 이름)
  • 터키(나라 이름) → 튀르키예!!!!

분야를 막론하고 각종 명칭을 현지 발음을 존중해서 표기하는 것으로 추세가 바뀌는 것 같다.
한 20세기 말 정도엔 독일식· 일본식 발음을 영어로 바꾸는 것 위주였는데 말이다. (왁찐· 비루스 → 백신· 바이러스, 밧데리 → 배터리, 반도 → 밴드..)

8.
영어에서 음절말에서 L+자음은 한국어의 음운 구조와는 상극이어서 발음이나 표기가 굉장히 난감한 음운 조합이다.
world 내지 film의 발음을 생각해 보자. 이런 건 영국식과 미국식의 차이가 어떤지 궁금하다.

9.
온도를 나타내는 섭씨 화씨는 동양에서 외국 인명 Celsius, Fahrenheit를 음차한 표기인 반면,
Confucius, Mencius는 반대로 서양에서 중국 인명인 공자· 맹자를 음차한 표기이다. 흥미로운 차이점이다~!
게다가 인명이랍시고 동양에서는 Mr. 씨를 붙여 줬고, 서양에서는 무슨 로마 제국 인물처럼 '-우스' 접미사를 붙여 줬다. ㄲㄲㄲㄲ

10.
알파벳 X는 거시기, 삐리리~ 말고도..

  • 대문자 단독으로는 글자 그대로 eks라고 읽는다. X-ray X-file, XP 미지수일 때는 소문자 단독도 있다.
  • 종성에서 ks라고 발음되며 이게 가장 보편적이다. box, taxi, fax, tax 등.
    초성에서는 그냥 z로 발음되는 편이다. 이런 발음을 의도한 고유명사도 많다. xylophone, Xaero, xenon, Xerox
  • 단, 아시아권 언어의 로마자 표기에서는 s나 sh로 발음되기도 한다. xi-, xu- 이렇게 시작하는 편.
  • cross, Christ라고 읽기도 한다. X-mas, Jesus is X, No X-ing 하긴, X의 획이 서로 교차하는 형태이고, 그게 45도 기울인 십자가를 연상시키기도 해서 이런 독음도 생긴 것이다. 수학에서 ×는 cross product라고 불린다.
  • 로마 숫자를 의미할 때는 'ten'으로 발음된다. Mac OS X
  • 그리스 문자를 표방할 때는 그냥 k라고 발음되기도 한다. LaTeX (뭐, 우리식 발음이라고 이것도 '라텍쓰'를 꿋꿋이 고집하는 분도 있다. 하긴, 옛날에 단재 신 채호 선생도 워낙 민족주의 의식이 강해서 세수할 때 허리를 안 숙이고, 이웃 네이버를 네이그후보어라고 발음하곤 했다.;; )

Y가 반자음도 되고 장모음, 단모음이 다 되는 것 이상으로 X는 발음이 굉장히 유동적인 글자임을 알 수 있다. 사실, 여러 언어들에서 x의 발음은 제각각으로 차이가 많이 나는 편이다.

지금 도스/윈도 명령 프롬프트에 있는 xcopy라는 외부 명령에서도 x는 cross를 의미한다. 아마 서브디렉터리들을 드라이브간(between, inter-, cross-)에 그대로 통째로 복사하는 기능을 부각시키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 아니었나 싶다. 기존 내부 명령인 copy에는 없던 기능이기 때문이다.

영어는 혀는 좀 대충 굴리더라도 억양과 강세가 정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언어이다.
can이랑 can't만 해도, T소리의 유무가 전혀 아니라 오로지 길이와 억양으로 구분하는 물건임이 주지의 사실이다.
영어 인스트럭션을 느린 가상머신 소프트웨어 에뮬레이션이 아니라 하드웨어 차원에서 네이티브로 돌리는 바이오닉 CPU의 소유자들이 부럽다.;;;

Posted by 사무엘

2023/02/04 19:35 2023/02/04 19:35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2121

1. 몸 풀기 개드립

  • 헬쓰카레  health care
  • 순대 / 아이스크림(sundae)
  • danger / 단거
  • Giftgas 선물까스

2. please, give

영어에는 한국어 같은 문법 차원에서의 높임법이 없는 대신..
please가 한국어의 부사 '좀' 내지 보조사 '-요' 역할을 하면서 부드러운 부탁· 간청의 뉘앙스를 전달한다.
저 동네에서는 과장 좀 보태면, 식당에서 주문을 할 때도 please를 붙이느냐 빼먹느냐에 따라 서비스의 수준이 달라질 정도라고 한다. 그 정도면 돈 안 드는 팁이나 마찬가지인 것 같다.

please와 관련된 불멸의 영화 명대사는 터미네이터 2 초반부의 You forgot to say 'please'..;; 일 것이다.
어느 건장한 근육질 청년(T-800 ㄲㄲㄲ)이 알몸 차림으로 빠에서 어느 오토바이 폭주족 양아치한테 다짜고짜 "당신 옷이랑 신발이랑 오토바이 내놔" 이러니 양아치가 어이가 없어서 빵터지면서.. "근데 말이 좀 짧네?"와 함께 담배빵을 놓는 장면 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약간 점잖게 의역하면 "줘" / " '주세요'가 아니고?" 인데,
더 많이 거칠게 의역하면 "내놔" / "근데 말이 짧다? / 좀 싸가지가 없네" 정도로 하면 될 것 같다.

이러니 한국어는 너무 복잡 미묘해서 외국인이 어설픈 기계번역 돌리는 정도로는 한국인 행세하는 게 어림도 없고 불가능하다.
같은 튜링 테스트라도 영어가 아닌 한국어라면 난이도가 넘사벽으로 급상승할 듯..
모 페친님의 말마따나 구글 할아버지 AI래도 아직 한참 더 걸리지 싶다. -_-;;

저 터미네이터 대사와 대구를 이루는 대사로 개인적으로 떠오르는 건.. 역시 비슷한 시기(1991년 ????)에 개봉한 미녀와 야수에서 벨이 아버지의 안부를 걱정하는 대사이다.
"이 거울은 당신이 보고 싶은 걸 무엇이든 바로 보여줄 거예요." (영어 대사는 기억 안 나고 검색하기 귀찮으니 패스~)
I'd like to see my father, please. ("우리 아버지를 좀 보여 주세요~ / 보고 싶어요.")
이때는 벨이.. 정중하게, 다소곳하게, 공손하게 댄디하게.. 말 끝에다 please를 붙여서 부탁을 한다. =_=;;;

다만, 영어 성경(KJV)에서는 please라는 단어가 이런 뜻으로는 전~~혀 쓰이지 않았고 오로지 '목적어 누구누구를 기쁘게 하다'라는 뜻의 타동사로만 쓰였다. 반의어 displease, 수동태 pleased 같은 파생이 있을 뿐.
부탁하는 뜻의 추임새 please는 오히려 I pray thee (바라건대/부디) 로만 쓰였다.

한국어는 '주다' give에 대해서도.. 특별히 '나한테 주다'를 나타내는 불완전동사 '달다' '다오, -도'가 있고,
그리고 특별히 강제로 빼앗는 문맥에서는 '내놔'라고 표현하는 편이다.
난 똑같은 정보를 전달한다 해도 한국어 문장을 생성하고 알아듣고 행간 파악하는 게 영어보다 인간 두뇌의 계산량과 CPU 소모가 더 많다고 생각한다.
Give me the(ze) phone. 전화기 내놔~ (쿵 퓨리에서 히틀러 대사 중..).

3. great

영단어 great는 물리적인 크기가 거대한 것뿐만 아니라 ‘짱~ 좋다, 멋지다~ 훌륭하다, 위대하다’처럼.. 크기가 큼으로써 수반되는 여러 긍정적인 심상, 아니 더 나아가 인품이 존경스러운 것까지 다 포함하는 단어이다.
가령, 조선 세종이나 고구려 광개토왕을 그냥 왕이 아니라 ‘대왕’이라고 부르고 영어로도 the Great이라고 추존해 주는 건 그 사람이 덩치가 컸기 때문이 아니다.

성경의 왕하 4:8에 나오는 수넴 여인은 다름아닌 great woman이라고 묘사되어 있다. 이건 무슨 뜻일까? 집이 부자? 신분이 귀족? 성품이 대인배 혜자? 아니면 진짜 피지컬이 여자답지 않은 거구? 이거 의미가 약간 중의적이어서 성경 역본마다 워딩이 달라지는 편이다.

이렇게 물리량이 가치 판단으로 이어지는 건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옛날옛적에는 무게의 단위가 화폐의 단위로 곧장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파운드, 탤런트 따위.
그리고 크기, 무게 다음으로 온도 버전은 cool이 있다. 이것도 감탄사로도 쓰일 정도로 정말 좋은 뜻이다.

4. present

명사 present는 현재라는 뜻도 있고 선물이라는 뜻도 있는 동음이의어이다.
그래서 "과거는 이미 history이고 미래는 mystery일 뿐이다(운율..!). 하지만 지금 현재는 우리에게 주어진 gift이기 때문에 present라고 불린다" 라고.. 굉장히 재치 있는 격언이 만들어져서 쿵푸 팬더 만화영화에서 인용되기도 했다. "인생은 Birth와 Death 사이의 Choice이다" 처럼 말이다.

그런데 <오징어 게임>에서는 상우가 선물 투자를 잘못해서 쫄딱 망했다고 나오는데 이 선물은 경제· 금융 용어이다. 기훈은 말을 잘 못 알아들어서 "얘 여친이라도 생겼나? 무슨 비싼 선물을 사 줬길래 저 지경이 됐나??" 이런 식으로 오해하는데..
정작 이 선물(先物)은 영어로 futures이다. 그래서 이 대사가 영어로 번역될 때는 미래 인생이 저당 잡혔냐는 쪽으로 오해하는 걸로 의역됐다.
한국어와 영어의 동음이의어 덕분에 선물이 현재와 미래를 왔다갔다 하는 게 흥미롭다.

5. 큰 바위 얼굴

소설 <큰 바위 얼굴>에서 ‘큰’은 원어가 겨우 big이나 large 따위가 아니라 great일 거라고 합리적인 추측이 가능할 것이다. 물리적으로 거대한 것과 사람 인품이 대인배로 성숙한 것을 절묘하게 조화시켰으니까..!! 실제로 그렇더라.
단, 바위는 의외로 rock이나 그에 준하는 단어가 아니라 그냥 stone이더라. 큰 철판 얼굴이나 큰 포커페이스가 아니라 큰 바위 얼굴인 것이 인상적이다.

좀 뜬금없는 얘기이지만, 개인적으로는 본문 중에 정력-_-이라는 단어가 있어서 중학교 시절부터 저 소설을 꽤 강렬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그의 얼굴에는 정력이 넘쳐흐르고…”

영어 원문을 보니 스태미나 같은 단어 따윈 없다. 그냥 full of energy를 피 천득 선생이 저렇게 번역한 것이더라. 피와 천둥의 군인이 원기왕성하고 성경의 신 34:7 “늙어서도 타고난 힘이 줄지 아니하였더라 nor his natural force abated”이랬다는 것을 저 어휘로 표현했을 뿐이다.
단지, 후대에 와서야 정력이 거의 성력에 가까운 뜻으로 와전되고 있고 말이다.

외래어에서는 사람들이 ㅈ으로 대표되는 구개음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알고리듬(-thm)을 알고리즘으로, 베이식(basic)을 자꾸 베이직으로.. 트리 대신 츄리..;;
이게 한국인만 그러는 게 아니어서 일본어는 더 심하고.. 쿵 퓨리에서는 히틀러가 the(더)를 ‘저/자’로.. 발음한다. 그럼 정력은 성력의 구개음화 버전으로 봐야 할지 이런 엉뚱한 생각도 든다. ㅡ,.ㅡ;;

6. energy

아 그리고.. 수 년 전엔 유튜버 ‘올리버쌤’이 궁예의 “누가 기침 소리를 내었는가?” 씬을 영작 더빙한 적이 있었는데..
“저 자의 머릿속에는 마구니가 가득하다”를 that man is full of NEGATIVE energy라고 번역했었다. -_-
그냥 에너지가 충만한 것과, 부정적인 에너지가 충만한 것의 차이가 저렇다는 것을 염두에 두면 되겠다. ㄲㄲㄲㄲ.

7. 새로운 문명의 이기를 가리키는 용어

다음 물건들은 20세기 초에 발명되고 용어가 정립됐는데.. 의미가 확장된 과정이 굉장히 뜬금없어서 유의어인지 동음이의어인지 논하기가 난감할 정도인 것 같다.

  • 탱크: 원래 물탱크 같은 저장고라는 뜻이다가 전차라는 의미까지 추가됐다. 단순 장갑차가 아니라 '무장'이 추가된 장갑차..
  • 타이어: "땅바닥을 하염없이 굴러다니면 쟤도 피곤하겠다"..;; 라는 어린아이의 발상을 거쳐서 고무 테가 둘러진 바퀴라는 뜻이 추가됐다. "귀가 불 붙으면?" 만큼이나 뜬금없다.ㅠㅠㅠㅠ
  • 배터리: 전기 셀이 군대 제식 하듯이 일렬로 쭉 늘어서 있는 모양에서 유래되었다. =_= 그래서 이 단어는 전지라는 뜻뿐만 아니라 포병 부대, 더 나아가 폭행, 구타라는 법적 의미까지 갖게 됐다. 쉽게 말해 빠따 bat와 battery는 어원상 서로 관련이 있다!

8. 비속어

(1) scram
"(썩) 꺼져~!!!"라는 뜻이다. 영화 정무문에서 이 소룡이 "난 니들하고는 싸우고 싶지 않으니 너흰 어서 비켜 / 짜졋 / 꺼졋!!" 이렇게 소리를 지를 때 영어 자막이 저렇게 나갔다.

(2) screwed
스크루라는 물건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생각해 보자. 우리말에도 "인생 꼬였다, 군생활 꼬였다" 같은 말이 있는데 이와 딱 정확히 대응한다.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서 달고나 게임 편을 보면, 주인공 성 기훈이 우산 모양을 고르는 장면이 있다. 그런데 그 복잡한 윤곽대로 달고나를 뜯어내야 된다는 걸 뒤늦게 알게 되자 "X됐다!!"라고 개그대사를 날리는데, 그게 영어 자막으로는 I'm screwed 라고 나갔다. =_=;;

영어 쪼랩의 입장에서는 F-word 위주로만(~ off, ~ up -_-;;) 표현이 떠오를 것 같다만.. 이 상황에서 의외로 scr-로 시작하는 대체제가 존재한다.

(3) bastard
점잖게 사생아· 서자라는 뜻만 있는 게 아니다. 우리말 구어의 '짜식, 새X'에 거의 정확하게 대응하는 비속어의 뜻도 있다고 한다. 하긴, 둘 다 원래 뜻에 무슨 자식, 후세라는 뜻이 있기도 하다. ㄲㄲㄲㄲ

(4) bullshit
문자적인 뜻은 소똥인데.. 우리말로 치면 '개뿔 쥐뿔' 같은 뉘앙스가 담겨 있다.. '헛소리, 허튼소리'.. 더 나아가 '개소리'라는 뜻이며, 'X랄', '염병하네~' 같은 감탄사의 용도로 쓰인다. 개소리를 들어서 어이없음을 표현하는 감탄사 말이다.

B로 시작하는 위의 두 단어는 영화 킬 빌에서 제일 먼저 봤다.
그렇잖아도 킬 빌이 '빌'에 '베아트릭스 키도' 이러면서 B를 갖고 어쩌구 하는 것 같던데 말이다.

그 밖에 crap도 bullshit과 비슷한 뜻이 있는 것 같고..
asshole은 "쟤 완전 밥맛이다, 재수없다" 같은 용도로 정말 많이 쓰이는 뒷담화 용어이다..
scumbag은 그냥 새끼가 아니라 '*** 새끼' 정도로 사람을 모독하는 욕설이다. 얘는 풀 메탈 자켓 영화를 통해 알게 됐다. -_-;;

Posted by 사무엘

2023/01/06 08:36 2023/01/06 08:36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2110

우리말 어휘 메모

1. 곁의 두 숫자를 한데 싸잡아 지칭하기

예전에 몇 번 언급했던 바와 같이, 한국어는 영어 대비 참 기괴한 면모가 많은 언어이다.

  • 청자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화자를 낮추는 1인칭 복수 대명사 ‘저희’
  • 청자를 의식하지 않는 독백투 “어 그게 뭐더라?” 따위
  • 부정 의미의 한 단어 타동사 “모르다”.. 내가 아는 외국어 중엔 이게 존재하는 언어는 없다. 전~부 “do not know”.. ‘알다’에다가 not 연산자를 씌울 뿐이지. 한국어에서 “싸다 / 비싸다”와 비슷하게 말이다.

그리고 한두, 두셋, 서너, 너댓, 대여섯, 예닐곱처럼 주변의 숫자 둘 정도를 싸잡아서 일컫는 므흣한 단어가 존재하는 것도 독특하다.
영어에서 아주 적절한 사례를 개인적으로 꼽자면.. 디즈니 포카혼타스에서 초반부 뮤지컬 ‘Virginia Company’ 노래의 reprise 부분에 나오는 요 대사가 아닐까 한다.

We'll kill ourselves an Injun--or maybe two or three
우린 인뎐도 해치울 거야~ 하나? 아니면 두세 놈 정도?


이건 “신대륙을 개척하다가 미개한 야만인과 맞닥뜨리면? 야만인쯤이야 걍 없애 버리면 그만이지~ 숫자가 많지도 않을 거야” 정도의 뉘앙스이다.
자막이나 더빙은 저런 뉘앙스를 짧은 음표와 화면에 도저히 담을 수 없기 때문에 아주 아주 뭉뚱그려진 의역만 나갔다.

  • 저 영어 문장은 kill Indians라고만 하지 않고 간접목적어 ourselves를 집어넣은 4형식 문장이다. God will provide himself a lamb처럼..;; (저 성경 구절은 뭐 5형식 중의적 해석까지 가능..)
  • Indian을 Injun이라고 줄여 놓은 걸 보면.. 구개음화는 꼭 한국어에만 존재하는 음운 변화가 아님을 알 수 있다. 하긴, don’t you / could you 따위의 발음이 ‘츄 / 쥬’로 바뀌는 것도 같은 예이다.
  • 뒷부분에 mine, mine, mine 노래에서는 제임스 폐하를 Jimmy라고 가리키는 것도 나오는데.. 우리나라는 아시다시피 애칭이라는 개념이 없는 문화권이다. (Bill이랑 William이 어떻게 같은 이름인가!) ‘지미’가 아니라 ‘젬쑤 왕’ 정도로 줄이는 게 더 직관적일 것 같다.

2. 동물 관련 순우리말

(1) 흘레
동물의 교미(mating)를 나타내는 명사이며 '흘레하다'라는 형태로 동사도 될 수 있다.
이 단어는 국어사전에도 엄연히 올라 있긴 하지만.. 현실의 인지도는 가히 듣보잡 사어 수준이다. 텔레비전 순우리말 퀴즈 같은 데서나 나올 것 같다. 저 말소리가 어딜 봐서 그런 동작을 연상시킬 수 있을까..??

매기: 수퇘지와 암소가 흘레하여 낳는다는 짐승. (표준 국어 대사전)


그래서 '짝짓기'라는 말이 대신 쓰이게 됐는데.. 이걸 처음으로 퍼뜨린 곳은 다름아닌 '퀴즈 탐험 신비의 세계' TV 프로였다고 한다.

(2) 무녀리
한자어 무녀(巫女/舞女) 따위와는 전혀 관계 없고, 그냥 '문열이'를 대충 풀어서 적은 것이다. 한 배에서 태어난 여러 포유류 새끼들 중에서 엄마 태라는 문을 제일 먼저 열고 나온 놈을 '무녀리'라고 한댄다.
그런데 이런 무녀리는 확률적으로 다른 새끼들에 비해 덩치 작고 약하고 젖 쟁탈 경쟁에서도 밀리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얘는 사람으로 치면 열 달을 덜 채우고 좀 모자란 채 태어난 '팔불출'과 비슷한 뉘앙스의 단어가 됐다.

이 단어를 '문열이'라고 형태를 밝혀 표기하지 않는 이유는.. '문닫이'라는 단어가 있는 게 아니니 생산성이 없고, 의미도 gate/door opener라는 원래 뜻과는 상관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지키미'를 '지킴이'로 적는 것보다도 명분이 더 없기 때문이다.

참고로 '열쭝이'라는 말도 있다.
이 역시 "1.겨우 날기 시작한 새 새끼 2.겁이 많고 나약한 사람"이라는 뜻.

3. 돼지에게서 유래된 한자어

돼지를 가리키는 가장 일반적인 한자어는 돈(豚)이긴 한데.. 다른 한자도 있다. 마치 개를 가리키는 견(犬)과 구(狗)의 관계와 비슷해 보인다.

  • 저돌적: 앞뒤를 헤아리지 않고 돌진하는. '저'가 저팔계, 제육 할 때의 猪(돼지 저)이다. 멧돼지가 원래 저렇게 저돌적으로 돌진을 잘 하나 보다. '전투적으로, 의욕적으로' 대신 '저돌적'을 즐겨 사용해야겠다. ^^;;
  • 해안면: 강원도 양구에 원래 뱀이 그렇게 많이 들끓었나 보다. 그런데 돼지를 잔뜩 데려와서 키우니 돼지가 뱀들을 내쫓거나 잡아먹어서 없애 줬다고 한다. 그래서 지명의 '해'가 亥(돼지 해)이다.

4. 도전

현재까지는 '도전'이라는 말이 챌린지의 뜻으로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지만, 앞으로 미래엔 전기 절도(盜電)라는 쓰임도 늘어나지 않을까 싶다. 도청, 도촬처럼 말이다. 챌린지와 어감상 구분하기 위해서 '도'는 좀 장음이 될 것이다.

세계 각국이 앞으로 2, 30년 안으로 내연기관 자동차를 주류에서 퇴출시키려 하고 있다. 그 자리를 전기차가 차지할 것이고 충전 시설이 곳곳에 들어설 것이다.
충전 시설을 이용하려는 운전자 사이에 자잘한 마찰이나 분쟁이 발생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계기로 꼭 자동차가 아니라 폰 충전기를 공공장소 콘센트에다 몰래 쓰윽 꽂는 것도 지금보다 더 강하고 적극적으로 금지되는 분위기가 형성되리라 여겨진다.

아직까지는 우리나라가 이런 것에 관대한 편이다. 하지만 일본은 그렇지 않다. 자리값에 이미 그런 가격이 포함돼 있는 카페 같은 곳이 아닌 이상, 범죄를 저지르지 않으려면 콘센트를 사용하는 것도 반드시 꼬박꼬박 돈을 내야 한다.
이런 시국이 예상되는데 앞으로 즐겨 쓰이게 될 단어는 아무래도 '도전'의 새로운 동음이의어 한자어일 수밖에 없다. 지금도 사전에 올라 있기는 하지만 잘 쓰이지 않을 뿐.. 하지만 언론에서 매번 번거롭게 '전기 절도'라고 풀어서 쓰지 않는 한, '도전'의 쓰임이 재조명을 받게 될 것이다.

5. 군대, 경찰, 소방..??

공무원 중에서 사회의 치안과 안녕을 직접적으로 담당하는 직업, 대놓고 순직할 가능성이 높은 직업, 오늘날까지도 계급장 달린 제복이 남아 있는 직업을 꼽자면 군인, 경찰, 소방관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각각 외적과 싸우고 자국 범죄자와 싸우고, 화마와 싸운다는 차이점이 있을 뿐.. 거기에다 자연재해나 유해조수와 싸우는 건 일단 소방관에서 시작하는데, 감당이 안 되면 경찰, 군인의 순으로 공조도 하게 된다.

군인, 경찰관, 소방관이 들어가 있는 조직을 건물 관점에서 가리키는 명칭은 각각 군부대, 경찰서, 소방서 정도에 대응한다.
그런데 집단 전체의 총체적인 명칭은 무엇일까? 군인이 있는 곳이야 군대 내지 그냥 군이라고 간단하게 부를 수 있을 것이고, 경찰도 단독으로 직업이나 집단, 심지어 사람까지도 두루 간편하게 가리킬 수 있다. 꼭 경찰'관'이나 순경이라고 안 해도 된다.

하지만 '소방'은 그렇지 않다! 이 단어는 그냥 '화재를 진압하거나 예방함', firefighting이라는 동작만 나타낼 뿐, 그 일을 수행하는 관청 조직이라는 뜻이 없다. 그래서 신문 기사를 쓸 때 난감하다.
"신고를 받은 경찰과 소방(???)에서는 멧돼지의 포획에 나섰다" 이런 식으로 간편하게 워딩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나마 '소방 당국' 정도는 돼야 관청 조직이라는 뜻이 들어가니 번거롭다.

"경찰을 부르겠다!", "경찰에 신고하겠다", "군대를 동원해서 진압하겠다"
이런 상황에서 경찰, 군대 대신에 소방 당국을 집어넣으려면 어떡해야 할까?
그러니 신고 전화번호인 119 '일일구'가 소방 당국을 가리키는 편의상의 총칭으로 통용되고 있는 거다. 신기하지 않은가? 경찰에 신고하려고 할 때 "112 불러라, 112에 신고해라" 이렇게는 잘 말하지 않는다는 걸 생각해 보자~!

게다가 119는 화재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의료 응급 상황까지 다 처리하지 않는가? 애초에 '소방'이라는 말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수백 년 뒤, 먼 미래에 우리의 후손은 필요에 따라서 '이릴구' 이런 말을 표준어로 받아들여서 "화재와 응급 환자, 자연재해에 대처하는 정부 조직" 이렇게 될지도 모른다. 언론에서 "경찰과 이릴구가 출동.." 운운하면서 말이다. 그건 중립적인 2인칭 대명사 '너님/유님'만큼이나 하나도 이상할 것 없는 자연스러운 현상일 것이다.

6. 방송

라디오나 텔레비전 따위가 없던 시절, 우리말에서 '방송'이라는 단어는 원래 '내놓아 보냄', 석방과 거의 같은 뜻이었다고 한다.
영어로 치면 release와 비슷한데.. 영어에서는 죄수만 release하는 게 아니라, 제품을 출시하는 것도 release라고 한다. 한국어에서는 생각할 수 없는 의미 확장이다.

한편으로 현재 영어에서 방송을 뜻하는 broadcast는 원래 씨앗을 널리 흩뿌린다는 뜻인 농사 용어였다.;;
이런 걸 생각하면 언어의 의미 변화라는 게 참 신통방통하게 느껴진다. 우리말에서 '생도'도 꼭 사관학교 재학생에 국한되지 않은 제자, 학생이라는 더 넓은 뜻이 있었던 것처럼 말이다.

7. 나머지

(1) '백엽상'은 백이 white 白이 아니었구나..!! 충격이다. =_=;; 당연히 화이트일 거라고 믿어 의심치 않았는데.. 다른 어원에서 유래됐기 때문에 100 百이라고 한다.
옛날에는 학교마다 운동장 한켠에 있었던 물건이지만 요즘은 거의 찾을 수 없어지고 있다..

(2) 우리말에 "if and only if"(역도 성립하는 필요충분조건)라든가 "and/or"(둘 다인지 하나만인지는 중요하지 않)을 분명히 나타내는 조사, 부사, 어미 따위가 좀 있었으면 좋겠다.

(3) '괴멸/궤멸'은 분간이 거의 안 되는 발음에 뜻은 거의 같은 단어쌍인 것 같다. '저지/제지', '환난/환란'처럼 말이다.
우리말에 이런 예가 더 있지 싶은데 당장은 기억이 안 난다.

(4) 우리말은 '낳다'와 그 반의어 '태어나다'가 모두 능동인 반면, 영어는 be born이 수동 형태이다. '출산되었다/출산 당했다' 이렇게 워딩을 하지 않는다는 게 인상적이다.
영어는 '결혼하고 결혼 당하다'(marry and be married to)라고 말하지만, 한국어는 이 역시 '장가 가다, 시집 가다'라고 모두 능동이라는 차이가 있다.

(5) 금융과 관련된 '외상, 어음'이 한자어가 전혀 아니고 순우리말이라니 굉장히 의외이다.
기왕이면 더치페이, 1/n을 뜻하는 '각추렴'도 대중적으로 더 널리 쓰였으면 좋겠다.

Posted by 사무엘

2022/07/02 08:35 2022/07/02 08:35
Response
No Trackback , 8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2038

1. 파생어와 합성어

파생어와 합성어: 단독으로 쓰이지는 않는 접사(접두/접미)가 붙어서 새로 만들어진 단어는 파생어라고 하고, 단독으로 쓰일 수 있는 독립된 단어가 결합해서 새로운 단어가 되면 합성어라고 한다.

재료공학에다가도 비슷한 원리를 적용하면.. 구리+주석(청동)처럼 대등한 금속끼리의 합금은 합성어 같고, 철+탄소(강철)처럼 비금속과의 합금은 파생어 같은 느낌이 든다.
하긴, 의류에 봉제선이라는 게 존재한다면, 기계류에는 금속 가공을 어찌 했느냐에 따라 리벳 이음매나 나사 자국 같은 게 있겠다.

2. ㅐ와 ㅔ 구분

  • 헤치다 해치다: 뭐 이 정도면 쓰임이 서로 많이 다른 단어이기 때문에 크게 헷갈리지 않을 것이다. 암살범이 군중을 헤치고 들어가서 타겟을 흉기로 해치는 데 성공했다.
  • 메다 매다: 짊어지는 게 '메다'이고, 묶는 건 '매다'이다. '메다'가 원래는 '막히다'라는 뜻인데.. 목을 매다는 게 목의 숨구멍을 메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건 좀 헷갈리기 쉽다.
  • 헤어지다 해어지다: 그래서 찬송가 "나의 사랑하는 책 비록 ????"이것도 많이들 틀린다. 책이 오래되어 낡고 해졌다는 뜻이기 때문에 '해어졌으나'라고 써야 한다.
  • 결제 결재: 상관으로부터 확인 받는 건 '재'이고, 돈을 지불하는 건 '제'이다. ㄲㄲ
  • 베다 배다: '베개' 스펠링은 은근히 틀리기 쉽다. 자르는 것 말고 머리를 괴는 것도 '베다'라고 한다.;;

3. 거북과 달팽이

옛날에 피자를 좋아하고 멸치를 싫어하는 '닌자 거북이'라는 만화 캐릭터가 있었고, Come on, 비행기 같은 히트곡을 불렀던 '거북이'라는 댄스 그룹도 있었다.
하지만 등껍질이 달린 파충류 이름은 원래 '-이'를 뺀 '거북'만으로 충분하다. '거북이'는 '거북'이라는 동물 종보다는 특정 거북 개체에 더 가까운 느낌이 든다.

그 반면, 달팽이는 '-이'도 명백하게 단어의 일부이다. '달팽'은 틀린 말이라는 점에서 '거북'하고는 상황이 다르다. 등에 집 같은 걸 지고 다닌다는 공통점은 있지만 뭐..;; 달팽이는 곤충이 아닌 다른 그 무언가인 듯하다.
거북은 고래와 마찬가지로 폐호흡을 하지만 물 속에서 수 시간 단위로 숨을 참을 수 있다고 한다.;; 어차피 호흡은 공기 중에서만 가능하다면 얘들은 민물에 있으나 바닷물에 있으나 성분 차이는 별로 개의치 않을 것 같은데 말이다.

이렇듯, 한국어에는 영어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이런 아리까리한 형태소가 좀 있다. '돌이', '순이' 같은 이름도 '-이'는 이름에 정식으로 포함된 건지 아닌지가 헷갈리지 않는가?
호격조사인 '-아', '-야'도 영어에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 개념이다. 이걸로도 모자라서 격식 문어체에서는 '-여'도 쓰인다! (하늘이여 땅이여, 신이시여~)

다음으로.. '-이' 말고 '-님'도 말이다.
예수님은 원래 이름이 '예수'이고 '님'은 그냥 존칭 접사이다. 그런데 이게 또 '용묵 님, 영수 님' 같은 일상적인 의존명사 '님'하고도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띄어쓰기 여부가 달라진다. '김 씨'(김씨 성을 가진 어떤 사람)와 '김씨'(말 그대로 특정 성씨)의 차이처럼 말이다.
'예수님'의 '님'은 '누님, 형님' 할 때의 '님'과 같은 부류라고 봐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 스님, 손님 할 때의 '님'은 접사보다도 단어에 더 굳게 융합된 단어 그 자체라고 봐야 할 것이다. 그 대상을 높여 주기 싫다고 해서 '님'을 떼어낼 수 없다. 떼어 버리면 말이 되지 않는다.
하나님이야 말할 것도 없고, '스'는 '승'(僧)이던 시절이라면 모를까 정말 단독 자립 능력이 없으니 말이다. '손'도 '길손' 이런 데서나 마이너하게 쓰이지 현대에서는 자립 능력 상실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한국어는 영어보다 문법 계층이랄까 체계가 더 복잡하며, 원활한 처리를 위해서 더 많은 두뇌 능력을 요구하는 것 같다.

4. 영어의 다의어, 한국어의 동음이의어

영어는 동물 이름에서 시작했다가 비슷하게 생긴 무생물 도구로 의미가 '확장'된 경우가 좀 있다.

  • kite: 솔개 / 연
  • crane: 학· 두루미 / 기중기
  • mouse: 생쥐 / 컴퓨터 입력장치

그 반면, 한국어는 무생물을 생물에다가 저렇게 빙의시키는 것에는 인색한 편이고.. 그 대신 동물과 생판 무관한 '동음이의어'가 좀 있다. 그것도 다들 징그러운 것들로..;

  • 사마귀: 피부병
  • 바퀴: wheel(육상 교통수단), round/revolution(도는 단위 의존명사)
  • : 근육 경련
  • : 치아/이빨...;;

참고로.. 컴퓨터 마우스의 복수형도 생쥐와 동일하게 mice로 할 것인가 그냥 mouses로 할 것인가 하는 건.. 영미권에서도 논란거리라고 한다. 책에서는 그냥 mouse devices라고 풀어서 쓴 경우도 있음.

5. 한자어

소설 소포: '소'가 小이지만, '작다'라는 뜻이 그다지 중요하게 작용하지 않는 단어라는 공통점이 있다. 반의어인 대설(문학 작품??), 대포(물류??) 같은 말은 없다. 반대로 무기로서 대포도 반의어가 딱히 존재하지 않는다.

구제 구축: '구'가 驅(몰아낼 구)일 때의 뜻과(해충 구제, 해군 구축함), 그렇지 않을 때의 뜻이 굉장히 차이가 난다는 공통점이 있다(빈민 구제, 진지 구축).

건조: 선박은 물에서 꺼내서 말릴 필요가 없는 물건이니, 동음이의어와 헷갈릴 일은 절대 없을 것 같다. ㄲㄲㄲ

주문: 한국어에서는 "음식 주문하시겠습니까?" / "주문을 외워라"가.. 한자는 다르지만 일단 한글 표기가 동일하다. 거기에다 판결문에서도 "주문: 피고인을 징역 3년에 처한다"도 있다.
한자는 각각 注文(order), 呪文(spell, magic word)으로 다르고 판결문의 주문은 主文으로 사실상 본론, 요지, 본문에 가까운 뜻이다. 그런데 세 동음이의어가 다.. 뭔가 말하는 사람의 요청대로 뭔가가 이뤄지게 한다는 정말 미묘한 공통분모가 있어서 동질감이 느껴진다!.

6. 희떱다

북괴는 예나 지금이나 대외적으로 입이 거칠고 막돼먹은 걸로 악명 높다. 모 미국 대통령에게는 동물원 원숭이라고 부르고, 우리나라 전· 현직 대통령한테는 늙다리 생쥐새끼, 삶은 소대가리 등 온갖 비속어를 퍼부었던 적이 있다.
그런데 저런 것들은 다~ 아무렇게나 지껄이는 게 아니다. 내부에서 선전 문구를 담당하는 먹물 문돌이들이 아주 심사숙고해서 말을 만들며, 그게 당의 심의를 통과했기 때문에 매스컴을 타는 것이다.

지금 우리나라는 이명밝근혜 시절도 아니고 굉장한 친종북 성향의 정권인데도 북괴는 남한을 더 길들여서 영원한 바보 멍청이 호구로 만들려는가 보다. "우리가 무슨 거지 동냥하는 것도 아니고.. 니들의 대북 지원 따위 필요 없다" 이러면서 남북 교류를 끊고 작년엔 남북 공동 연락 사무소를 폭파하기까지 했다.

뭐 이 글에서 북한이나 정치 얘기를 더 늘어놓으려는 건 아니다만..
걔네들은 2016년에 인천 상륙 작전 영화가 개봉했을 때를 포함해, 그 뒤에도 자기 마음에 안 드는 일이 있을 때마다 줄곧 '희떱다, 희떠운'이라는 형용사를 사용해 온 게 인상적이다.

중학교 국어 시간에 배웠던 채 만식의 우화 소설 "왕치와 소새와 개미와" 중의 "희떱고 비위가 좋았다" 말고는 도통 쓰거나 들을 일이 없는 단어였는데 말이다.
저건 주변에 민폐 다 끼치면서 안면만 철판이어서 부끄러운 줄 모르고 뻔치가 좋다는 뜻이다.

가만히 생각해 보니 내가 접했던 소설 중에서 더위를 제일 많이 탔던 캐릭터도 저 왕치였던 것 같다.
잉어한테 잡아먹힌 걸 동료들이 구해 줬더니만 기껏 한다는 말이 "아이고 덥다 더워라~! 내가 이놈의 잉어 잡느라 얼마나 진땀 빼고 있었는데 마침 잘 나타나 줬네? 자 이제 맛있게 드셔~!" 이러니.. ㅋㅋㅋㅋㅋ 오늘날까지 통하는 인간의 보편적인 상찌질 정신승리 허세를 잘 묘사한 명작 우화가 아닐 수 없다.

중1 때는 소나기, 왕치와 소새와 개미와, 그리고 희곡 원술랑이 기억에 남아 있다. 문학이 아닌 어학 쪽으로는 자음동화· 구개음화 같은 각종 음운 변화를 이때 배웠다.
중2 때는 노 명완의 SQ3R 독서법과 용언의 불규칙 활용을 배웠던 게 기억에 남아 있다.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는 중학교 때 배운 것 같긴 한데 정확하게 몇 학년이었는지는 기억이 안 난다.

라떼는 말이야, 중등에 영어· 수학· 과학 같은 교과서는 지학사, 금성 등 싸제 교과서들로 5종이니 8종이니 하며 파편화가 됐지만, 국어· 국사· 윤리는 나름 민족 정체성과 관련이 있는 과목이어서 그런지 문교부니 교육부니, 한국 교육 개발원이니 하면서 국정으로 여전히 단일화 상태였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이런 교과서들도 다 시장 경제의 영역으로 넘어갔나 보다.

7. 나머지

부엉이 올빼미 / 늑대 이리: 서로 미묘하게 비슷한 동물인 것 같은데 구체적인 차이는 잘 모르겠다.

바늘과 handle: 우리말에서는 자동차 핸들이 조향 운전대이지만, 영어에서 자동차 handle은 그냥 문 손잡이를 가리킨다. 운전대는 본토에서 steering wheel이라고 한다는 건 이제 많이 알려져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아날로그 시계에서 시분초를 가리키는 작대기를 우리말로는 시침· 분침 또는 바늘이라고 하는데.. 영어로는 그걸 handle이라고 한다. 그리고 저울의 눈금을 가리키는 바늘은 pointer라고 한다. 어떤 경우든 needle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lifeboat: 인명을 구하기 위해 운용되는 구조선이라는 뜻도 있고, 대형 선박이 자체적으로 내장하고 있는 비상 탈출용 구명정이라는 뜻도 있다. 신기하지 않은가? 또한 해적의 침입에 대비해서 비상 탈출은 하지만 배를 버리지는 않고 안에서 짱박히는 '패닉 룸'이라는 것도 있다.

Pilate: 고유명사로는 성경에 나오는 로마 총독의 이름 빌라도.. 예수님을 대면했던 그 유명한 사람의 이름이다. 그런데 이 단어의 영어 발음은 조종사 파일럿(pilot)과 동일하다..;;
그리고 뒤에 s만 붙여서 독일식으로 읽으면 얘는 운동 이름인 '필라테스'가 된다. 매우 흥미로운 단어가 아닐 수 없다.

전갈 사자 사신: 통신· 연락과 관계가 있는 보통명사이면서 한편으로 사람을 해칠 수 있는 존재와 미묘하게 동음이의어인 한자어이다.
표창도.. 상 받는 줄 알았다가 칼빵 맞을 수 있겠다.;;

내가 영어 성경에서 본 단어들 중에 한국어와 형태가 가장 비슷한 단어는 abba(말 그대로 아빠), dung(똥..)이다.

Posted by 사무엘

2022/01/03 08:35 2022/01/03 08:35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971

일본어 언어 유희

1.
일본식 소주인지 청주인지.. 그런 술을 일본어로 '사케'라고 부른다. 그런데 술안주 중의 하나인 연어도 외래어 음차인 '사먼'뿐만 아니라 '사케'라고 한댄다. (단, 억양의 차이는 있음)
우리말에서 고장(region / out-of-order)이나 거리(distance / street)처럼 일본어에도 이런 유형의 동음이의어가 적지 않은 것 같다.

그리고 저 섬나라 사람들도 술을 무척 좋아하는지.. 자국에서 개발한 공개 키 암호화 알고리즘의 이름도 SAKKE라고 붙였다. 고안자의 이름 같은 여러 단어들의 이니셜이긴 한데, 이어서 발음하면 저렇다.;;
하긴, 옛날에 일본 SEGA에서 개발된 황금도끼 게임도 몹들의 이름이 다들 술 이름이긴 했다.

2.
우리나라엔 '대성 나찌 유압 공업'이라고.. 대성 그룹의 계열사이면서 일본에 있는 '나찌-후지코시'라는 이름의 기업과 제휴해서 설립된 기업이 있다. (☞ 홈페이지)
독일 나치 NAZI도 아니고 일본 나치 NACHI라니..!! 대박이다.

하긴, 그 시절에 일본군보다야 독일군이 '때깔'이 더 멋있긴 했다.
검은 군복은 과거에 우리나라 박통의 참모이던 차 지철조차 흉내 냈을 정도이고, 로마 제국 스타일을 흉내 낸 팔 뻗는 경례도 그 자체는 간지 나잖아..

독일은 유보트, V1, V2, 티거 전차 같은 무기도 그렇고, 베를린 올림픽 때 이미 텔레비전 생중계까지.. 과학 기술도 세계 최강이었다.
열등한 인종 민족을 모조리 죽여버려야 한다고 선 넘는 악행만 안 벌였으면 1차 대전 때처럼 그냥 평범한 패전국으로만 남았을 텐데.. 그건 교만으로 인한 패망이고 걔네들의 자업자득이 됐다.

3.
우리나라 현대로템은 '한국 철도 차량'이라고 처음에 상호를 정했는데.. 이게 영어 이니셜이 "KOROS 고로스"(일본어로 殺 죽인다)라고 읽히고 일본 거래처에서 기겁을 하는 바람에 다른 단어를 갖다붙여서 뭔가 스덕스러운 '로템'으로 이름이 바뀌었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난 일본어를 모르지만 개그만화 보기 좋은 날 서유기 편에서 "1등 하는 놈을 증오로 죽인다~!"라는 삼장법사의 저주 대사를 통해서 '이치 ... 고로스'를 들었던 기억이 있다.
그런데 일본은 같은 추축국 전범국이어서 그런지, '고로스'에는 민감하면서 어째 나찌라는 상호는 멀쩡히 남아 있나 보다.

4.
일본어 언어유희라는 분야의 끝판왕은 일본의 20세기 격변기를 풍미했던 히로히토 천황의 궁호(미야고)이지 싶다. 한자로는 迪宮인데, 일본어로 읽으면 '미치노미야'...=_=;; 였다.
이건 일제 시대 때 조선인들로부터 당연히 0순위로 '미친놈이야 히로히토'라는 언어유희와 놀림의 대상이 됐다. 순사 짭새들에 대한 멸칭인 '개/나리'만 있던 게 아니었다.

창씨개명이 행해졌을 때도 이 이름을 응용한 창작물이 많이 시도됐다. 그건 좋게 끝나면 등록이 거부되고 퇴짜 맞았으며, 나쁘게 끝나면 당사자가 경찰서로 끌려가서 코렁탕을 먹었다.
일본에서도 식민지 언어인 조선어에 대해 연구를 안 한 게 아니고 한때는 한글/조선어 독본까지 만들었을 정도인데.. 이런 언어유희를 모를 리 없었다.

요즘은 반일 감정에 편승해서 국내 언론에서 어지간해서는 그냥 일왕이라고 부르는 것 같다. 하지만 1990년대 말의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래로 우리나라가 외교 때 정식으로 사용하는 칭호는 여전히 원형 그대로 '천황'이다. 북괴의 수장도 꼬박꼬박 위원장이라고 불러 준다면 굳이 천황만 꺼릴 필요는 없을 것 같다..

5.
옛날에 홍 사익이라고.. 조선 황실 출신이 아닌 평민으로서 일본 육사와 육대를 졸업하고, 일본군 육군 중장(한국군으로 치면 투스타 소장에 대응) 계급에까지 오른 유일한 개룡남 조선인이 있었다. 1889년 3월생으로 히틀러나 찰리 채플린과 거의 동갑내기이다.

하지만 그는 일본의 패전 이후에 전범 재판에 회부되어서 사형을 당했다. 이 사람이 직접 전쟁을 벌이고 나쁜짓을 하지는 않았지만.. 필리핀에서 저질러진 대규모 연합군 포로 학대에 대해 누군가가 책임을 져야 했기 때문이었다. 그는 군인 예우도 못 받았는지 총살이 아닌 교수형이 선고되었다.

그는 사형 판결을 받고 돌아와서는 지인들에게 "나 갑종 합격이야~!"라고.. 무슨 징병 신체검사 1급을 받은 것처럼 아무렇지도 않은 듯이 얘기해서 주변을 놀라게 했다.
"뭐 갑종...?? 아.. 교수라고..? 교수형??!!!" 일본어는 甲種과 絞首가 발음이 こうしゅ(코우슈)로 같아서 나름 개드립을 친 것이었다.

우리 한국어로 치면 "내 동생이 방금 대학 교수 임용에 합격해서 난 이제 교수형이지롱~" 이런 드립을 친 것과 정확하게 같았다.

진짜 악질 전범이었던 도조 히데키는 옥중에서 불교를 받아들였다. 그래서 "욕망의 이승을 오늘 하직하고 미타(부처님.. 나무아 '미타' 불...)에게 가는 기쁨이여~~" 이런 유언을 남긴 뒤 교수형에 처해졌다.
그 반면, 홍 사익은 옥중에서 기독교에 귀의했다. 참회와 회개의 고백인 시편 51편을 마지막 순간까지 계속해서 되뇌이고 들으며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고 한다.

이 사람은 뭐 독립운동 유공자로 예우할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무작정 친일 반민족행위자라고 낙인 찍고 지탄할 대상도 아니었다. 동족에게 막 적극적이고 악질적인 반민족 행위를 저지르지는 않았으며, 창씨개명도 안 하고 늘 자신이 조선인임을 밝혔기 때문이다. 그러고도 일본군 내에서 인정받고 저 정도로 출세한 건 오히려 대단한 일이다.
그랬는데 결국 일본은 패망했고 일본인도 아닌 조선인이 전범이 되어 처벌 받았다니 저 사람 개인으로서는 무척 불운한 경우였다고 하겠다.

Posted by 사무엘

2021/10/23 19:35 2021/10/23 19:35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946

영어 단어 관찰

1. lose와 miss

의미와 심상이 같지는 않지만 그래도 비슷한 구석이 있다. 가령, 목적어가 the chance라면.. 기회를 잃건 놓치건 그 말이 그 말인 것처럼 들린다. 버스나 열차를 놓쳐서 탑승하지 못했다고 말할 때도 두 동사를 모두 쓸 수 있다.

그런데 lose는 ‘잃다/잃어버리다’를 넘어 승부에서 패배한다는 뜻을 포함한다. 즉, win의 반의어뻘 되는데..
miss는 뭔가를 향해 쐈지만 과녁을 빗맞히는 것, 빗나가는 것, 실수한다는 뜻 쪽으로 간다. lose하고는 다르다.

이렇게 의미가 분화된 두 단어는 나중에는 좀 생뚱맞은 뜻까지 갖게 된다. 먼저 miss는.. '뭔가가 없어서/뭔가를 할 수 없어서 유감이다, 서운하게 생각한다, 그리워한다'라고.. 원래 뜻으로 인해 유래된 감정까지 나타낸다. I missed you so much.. 이건 의미가 분화된 과정은 이해가 되지만 심상이 부정에서 긍정으로 뒤바뀐 게 이례적인 것 같다.

한편, lose는.. 도망을 잘 쳐서 자기를 쫓아오는 적을 멀리 따돌리고 떨쳐냈다는 뜻으로 쓸 수 있다. “Did we lose them?" 이건 우리말로 직역하기가 좀 그렇지만, "이제 저놈들 완전히 따돌렸지? / 우릴 안 쫓아오지?" 정도의 뜻이다. 그 특성상 영화 같은 데서 종종 쓰인다. lose가 일반적으로 손실, 패배 같은 굉장히 애석하고(sorry) 부정적인 뜻임을 감안하면 꽤 의외이지 않는가?

적을 싸워서 제압했다면 beat them일 것이다. win은 목적어 없이 단독으로 '이기다', 아니면 상(prize)을 타거나 경기(contest)에서 우승했다는 뜻으로는 쓰지만 경쟁자나 적을 목적어로 받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우리말과 차이가 있다.
lose 역시 단독 아니면 경기나 싸움이 목적어였다면 '지다'인데, 적을 목적어로 받으면 저렇게 따돌렸다는 뜻이 될 수 있다는 걸 염두에 두면 되겠다.

2. 조동사

영어의 조동사들은 중학교 수준에서 배우고 넘어가는 기본 단어이다. 한국어에는 문법 형태만 따지자면 보조 용언이란 게 조동사와 비슷하지만, 영어 조동사의 의미를 딱 한 단어로 대체하는 물건은 없다. '-할 수 있다, -해야만 한다, -해도 된다' 등등 덕지덕지 풀어서 써야 하다 보니, 이럴 때는 영어가 꽤 간편하고 부러워 보인다.

하지만 영어 역시 동일 단어가 뜻이 굉장히 다양하고 "그때 그때 상황에 따라 달라요" 같은 지저분한 구석이 있어서 형태가 완벽하지만은 않다. 내가 영어 모국어 화자였더라도 이렇게 생각했을 것 같다.
일단, may와 must를 생각해 보자. 얘들은 추측이라는 의미와 권한/의무라는 의미에 형태적인 구분이 없다.

  • MAY: 해도 좋다(허락) / 그럴 수도 있다(확률, 추측) + (문어체로 도치되어) .. 이렇게 하기를 (축복, 기원)
  • MUST: 반드시 해야 한다(강요) / 반드시 이럴 것이다(확률, 추측)

must의 경우, have to라는 대체제가 있다. 얘는 강요라는 뜻만 담당한다.
그리고 부정문은 must not과 do not have to가 모두 가능한데, 전자는 전체 부정(반드시 하지 말아야 한다)이고 후자는 부분 부정(꼭 할 필요는 없다)으로 의미가 나뉜다. 참 신기한 노릇이다. must는 다른 조동사들과 달리 과거형이 딱히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도 생각할 점이고..

다음으로 can과 will을 생각해 보자.

  • CAN: 할 수 있다(가능. be able to)
  • WILL: 할 것이다(미래. be going to, be about to)

여기까지만 보면 별로 어려울 게 없어 보이는데.. 이것들이 과거형으로 바뀌고 의문문에 쓰이면 뉘앙스가 미묘하게 차이 나는 청유/부탁이 될 수 있다.
한국어는 보조 용언 '주다' 내지 '달다'(불완전)가 있어서 자기를 위한 부탁의 뜻을 꽤 분명하게 표시할 수 있는데, 영어에는 저런 조동사, 그리고 부사/감탄사 please가 붙어서 부탁의 뜻이 가미되는 셈이다.

조동사들 중에 제일 제멋대로 독고다이로 노는 놈은 단연 shall일 것이다.
요놈의 제일 기본적인 용도는 will보다 더 고전 문어적인 느낌으로 미래의 일, 다짐, 예언, 지침을 표현하는 것이다.

“Thou shalt not kill”은 “너는 살인하지 않을 것이다”가 아니고, 그렇다고 대놓고 명령조의 “살인하지 말라”도 아니며, “살인하지 말지니라” 정도가 적당한 번역일 것 같다. 영어 성경에 나오는 shall은 will과 비슷해 보이지만 한편으로 must의 자리도 넘보니 will 그 이상의 뉘앙스가 담겨 있다.

의문문에서는 거의 관례적으로 we에만 붙어서 “우리 ~할까?”라는 용도로 쓰이고, 대답은 let's ~로 끝난다.
그리고 과거형은 거의 must와 비슷한 강한 확신이나 명령이 되는데, have 완료형과 즐겨 붙어서 “~했어야만 했다” 이런 꼴로도 잘 쓰인다. 묽은 황산이 진한 황산으로 바뀌면 성질 자체가 좀 달라지듯이 shall은 이런 식으로 굉장히 므흣한 면모가 있다.

그나저나 let us go (우릴 가게 해 줘)와 let's go (우리 가자)가 차이가 나는 건 우리말로 치면 '도트, 네트'와 '닷, 넷'이 차이가 나는 것과 비슷한 맥락의 차이라고 볼 수 있겠다.

3. 운율

성경에서 마 7:13은 그 유명한 "너희는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 멸망으로 인도하는 그 문은 넓고 그 길이 넓어 거기로 들어가는 자가 많고..."이다. 영어로는 우아하게 도치법이 적용되어 "... wide is the gate, and broad is the way, that leadeth to destruction ..."인데..

난 이 문장을 읽으면서 뭔가 옛날에 유선 전화 송수화기를 들고 너무 오랫동안 지체할 때(대략 20~30초 이상..?) 흘러나오는 오류 메시지와 운율 면에서 굉장히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dialing is too late, please call again. ...???... 다시 걸어 주십시오." 이거 말이다. 요즘도 유선 전화기에서는 들을 수 있으려나?

요즘은 개인적으로 유선 전화 자체를 접할 일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 컴퓨터에서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만큼이나 보기가 매우 어려워져 있다.
그나저나 wide is the gate랑 dialing is too late를 생각해 보시길.. 좀 비슷한 운율이 느껴지지 않는가..? 영어에 rhyme이란 개념이 괜히 존재한 게 아닌 것 같다.

전화를 끊고 다시 걸라는 에러 메시지는 영어 문장 세 개, 그리고 우리말 문장 하나로 구성돼 있었다. 마지막 영어 문장은 1990년대의 내 영어 청취 실력으로는 알아들을 수 없어서 내 기억에 남아 있지 않다. 무엇이었는지 알고 싶다만.. 이런 건 딱히 구글 검색으로도 나오지 않더라.

4. wake와 wait, a-변종

영어의 wake와 wait는 서로 발음이 비슷하면서 매우 간단하고 기본적인 동사 단어라는 공통점이 있다.
글쎄.. wake는 대부분 wake up이라는 명령 형태로만 쓰는 것 같다.
wait는 "기다리고 있을게, 기다리게 해서 미안해" 정도의 자동사가 기본이고.. 누구를 기다린다고 할 때는 반드시 wait for의 형태가 된다.

그런데 이 두 단어는 모두 앞에 a가 붙은 awake, await라는 변종이 존재한다.
await는 그냥 wait가 아니라 귀한 손님, 혹은 게임에서 최종 보스 같은 거물이 "너를 맞이할 것이다" / "귀하신 분이 납신다" 이런 뉘앙스가 들어간다. 게다가 완전한 타동사이기 때문에 for 없이 목적어가 바로 붙을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미녀와 야수 만화영화에서 tale as old as time을 앞두고 나온 대사 "Your lady awaits", 그리고 게임 퀘이크에서의 메시지 "Shub-Niggurath awaits you"가 기억에 남아 있다.

다음으로 wake는.. awake뿐만 아니라 waken도 있다. 그리고 awake와 waken은 모두 동작이 아닌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도 된다. 그러고 보니 live(동사/형용사)와 alive(형용사)하고도 비슷한 관계인 것 같네..

어떤 동사는 한국어로 치면 '주다'와 '달다(다오)'처럼.. 주체나 객체가 특정 인칭(나 또는 타인)에 특화된 경우가 있다. wake의 변종들도 이런 경우인 게 아닐까?
여호와의 증인 간행물인 '깨어라'는 wake up이 아니라 awake라는 것도 생각할 점이다..;;

Posted by 사무엘

2021/07/10 08:36 2021/07/10 08:36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908

« Previous : 1 : 2 : 3 : 4 : 5 : ... 12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0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2619587
Today:
2586
Yesterday:
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