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게는 “3연타”(그 이상의 횟수도 포함)를 싫어하거나 최소한 심리적으로 기피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숫자나 일반 문자를 입력하느라 같은 key를 세 번 이상씩 누르는 것 말이다. 글자를 쓰는 것도 포함.
물론 연타는 그 자체가 타자 행동에서 좋은 현상이 아니다. 반복은 두 번으로 족하지, 세 번 이상은 같은 손가락이 아프기도 하고, 또 내가 몇 번까지 반복했는지 횟수를 머릿속으로 세어야 하기 때문에 싫어하게 되는 게 아닌가 싶다.
영문 정서법도 좋은 예라고 볼 수 있다. 같은 글자를 두 번까지는 연달아 적는 경우가 있어도(ee, ss 등) 세 번 이상은 절대 없다. 가령, s나 ss로 끝나는 단어의 뒤에는 심지어 's(소유격)도 또 붙이지 않는다. 쓸 때는 princess' 라고만 쓰고, 읽을 때는 [iz] 발음을 알아서 추가하지 않던가.
아마 알파벳을 쓰는 다른 유럽 언어의 정서법에도 그런 불문율이 있지 않겠나 싶다.
본인이 이런 생각을 별안간 하게 된 것은 최근부터 손전화로 천지인 입력 방식을 쓰면서이다.
한글도 어떤 방식으로 한글 입력 방식을 만들더라도 구조적으로 3연타 이상이 필요한 일은 거의 없게 되어 있다. 기껏해야 쌍자음이고 3중 자음은 옛한글에서 ㅅㅅㅅ 정도가 유일하다. 모음도 ㅑㅕㅛㅠ만 있지, 삐친 획이 三이나 川처럼 세 개씩이나 있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
글쇠 수가 매우 적은 손전화를 쓸 때에도, 본인이 과거에 나랏글 방식을 쓰던 시절에는 3연타를 할 일이 없었다. 나랏글은 10글쇠가 아닌 12글쇠를 사용한다는 것과, 자음과 모음을 불문하고 가획 키를 자꾸 눌러야 하는 게 불편한 점으로 지적된다. 그러나 비교적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ㅌ, ㅍ 같은 글자도 ㄴ이나 ㅁ을 입력한 후 가획 키를 두 번만 누르면 만들어진다.
그러나 천지인에는 3연타가 존재한다. 쌍자음을 입력할 때 같은 자음을 세 번 눌러야 한다. 물론 이는 나랏글처럼 가획 글쇠가 따로 있는 게 아니라 자음 글쇠 자체를 반복 입력하면서 낱자 결합을 하다 보니, 어떤 면에서는 불가피한 현상일 것이다. 하지만 본인은 3연타를 접하고는 의외로 굉장히 이질감을 느꼈다. 음절 모호성이야 천지인의 주 특징이라고 예전부터 워낙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대비가 되어 있었지만, 저런 것은 직접 써 보기 전에는 실감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었다.
아무쪼록, PC 키보드용이든 손전화용이든 좋은 한글 입력 방식을 만들려면 국어학뿐만 아니라 심리학이나 인지 공학적인 여러 면모가 잘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천지인과 나랏글은 서로 제각기 장단점이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좀더 시스템이 단순하고 안정적이라는 느낌을 주는 건 본인이 보기에 천지인보다는 나랏글이다.
한편으로는 어떤 방식으로 만들든지간에 전화기에서도 모호성도, 도깨비불 현상도 없는(=세벌식) 한글 입력 방식이 있긴 있어야 한다고 본인은 생각한다. 비록 글쇠 수가 너무 부족하다 보니 가획이 복잡해지고 다른 불편한 점이 있을지라도 뭔가 중간 과정이 한글답게 찍히는 입력 방식도 하나쯤은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Posted by 사무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