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업계에서 인텔의 경쟁사라고 하면 가장 먼저 (1) 동급의 x64 CPU를 만들어서 경쟁하는 AMD,
(2) 아키텍처 차원에서 x64에 도전하는 ARM 내지 애플, 혹은 심지어 (3) 울나라 삼성 전자까지 떠올릴 수 있다. 인텔이 메모리 반도체에도 손을 뻗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텔은 저것들보다는 대외 인지도가 낮은 분야에서 AT&T와도 경합한 게 좀 있었다.

1. 바이너리: 오브젝트 파일 포맷

C/C++ 언어로 코딩을 한 뒤에 컴파일을 돌리면 생기는 자잘한 obj 파일들 말이다. 기계어 코드를 담는 이 컨테이너 껍데기의 포맷은 누가 언제 제정했을까?
x86 진영에서는 CPU 본가인 인텔에서 제정한 OMF 방식이 16비트 시절부터 널리 쓰였다. 볼랜드니 마소니 컴파일러가 다르더라도 obj 파일은 호환됐기 때문에 툴을 달리하여 링크가 가능했다.

그러나 마소에서는 32비트 Windows NT를 개발하면서 실행 파일 포맷을 바꾸고(NE에서 PE), 빌드 툴체인도 싹 갈아치웠다. 단순히 OMF의 32비트 확장을 쓰는 게 아니라 obj/lib의 포맷도 AT&T에서 제정한 COFF 방식으로 바꿨다. 그 반면, 볼랜드 컴파일러들은 32비트에서도 여전히 OMF 방식을 쓰면서 서로 파편화가 발생하게 됐다.

그 시절에 마소에서는 빌드를 더 편하게 하기 위해서, 로딩을 더 빠르게 하기 위해서(메모리 매핑), 거기에다 이식성까지 고려해서 같은 여러 명분으로 COFF를 도입했었다. 다만, 지금은 그런 명분이 기술적으로 많이 옅어지고 사라지기도 했다.

그러고 보니 GNU 툴킷의 도스용 버전에 속하는 djgpp 컴파일러도 라이브러리· 오브젝트 파일 포맷은 COFF 방식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바이너리 에디터로 들여다보면 arch! 앞에 이런 문자열이 있고.. "이건 마소 진영과 오픈소스 진영이 공통이네?" 이런 생각을 예전에 했었다.

2. 텍스트: 어셈블리어 문법

자기네 x86 기계어를 간단한 숫자와 영단어 나열만으로 풀어서 표기하는 어셈블리어 말이다. 이것도 인텔 식 문법과 AT&T 식 문법이 공존한다. 이건 단순히 '어셈블러' 제조사 간의 문법 차이가 아니라 '어셈블리어' 차원에서의 더 저수준 차이점이다.

인텔 문법 AT&T 문법
mov eax, 5
add esp, 24h
movsxd rax, ecx
paddd xmm2, xmm1
movl $5, %eax
addl $0x24, %esp
movslq %ecx, %rax
paddd %xmm1, %xmm2

간단하게는 숫자 앞에 $, 레지스터 이름 앞에 %가 막 붙어 있는 게 AT&T 문법인데, 본인 역시 Visual C++이 표시해 주는 인텔 문법에만 익숙하다. 하지만 역시 리눅스 진영 gdb 같은 데에서는 AT&T 문법이 주류이다.
현업에서 어셈블리어를 직접 짤 일은 없지만, 그래도 프로그램을 디버깅 하다 보면 디버거가 디스어셈블리해 준 어셈블리어 코드를 보게는 된다.

마소는 이거 문법은 딱히 AT&T 식으로 갈아타지 않았고 인텔 문법을 고수하는 듯하다. Macro Assembler 같은 기존 제품과의 호환 문제가 있기 때문인 듯하다.
뭐, 어차피 같은 CPU 아키텍처이고, 짜는 게 아니라 읽기만 한다면야 자잘한 표기 차이는 그렇게 심각한 차이점은 아닐 것이다.

프로그래밍 언어라는 건 적당히 고급 언어를 표방하면서 실용성을 갖춘 게 인기를 얻고 대중화되는 편이다.
그럼 실용성 대신에 한쪽으로 특화된 언어는 (1) 함수형처럼 수학 내지 순수주의 쪽으로 특화되거나, 아니면 (2) 어셈블리어처럼 기계 지향적인 쪽으로 특화되는 것 같다.

한 소프트웨어의 모든 코드를 저런 특화 언어만으로 작성하는 건 아무래도 무리이다.
그래서 기존의 실용적인(?) 다중 패러다임 언어들은 저 (1), (2)의 특성을 제한적으로 부분적으로 제공하곤 한다. 그게 (1) 람다 아니면 (2) 인라인 어셈블리인 셈이다.;;

요즘 세상에 대학교 컴공과에서 어셈블리어 코딩 실습을 하는 건 군대에서 총검술, 사관학교에서 승마 실습을 잠깐 하는 것과 아주 비슷한 모양새인 것 같다.
비록 현대의 전장이나 현대의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과는 완전히 동떨어져 버렸지만, 코딩이라는 전투에서 백병전이 어셈블리어 실습이 아니겠나..;; =_=;; 실무에서는 쓸 일이 없지만 컴공 엔지니어를 양성한다는 학교에서는 컴퓨터의 밑바닥 모습을 이런 식으로라도 경험시켜 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Posted by 사무엘

2024/06/30 08:35 2024/06/30 08:35
, ,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2314

윈도우 환경에서야, 실행 가능한 기계어 코드가 들어있는 다른 모듈을 동적으로 로드하는 것이 일도 아니다. LoadLibrary, GetProcAddress라는 마법 같은 API가 있기 때문이다. 플러그 인 같은 것도 프로토콜만 하나 잘 짜 놓으면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도스 시절에 그런 일종의 DLL이라는 것을 직접 구현을 어떻게 했을까?
본인은 도스 환경에서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한다거나 시스템 프로그래밍 경험이 전혀 없다. PC 통신 시절에 올라오던 랄프 브라운의 "인터럽트 릴리즈" 이런 것들도 내게는 완전 외계인 문서였다.
32비트 윈도우에서 곧바로 C/C++을 공부한 경우이다 보니, 지금 다시 생각해 보면 그게 무척 신기하다. 그래서 점점 다시 저수준 시스템 쪽으로 회귀 중이다.

도스용 아래아한글은 2.5에서 덧실행이라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그래서 과거 1.2 시절에 잠깐 있었던 테트리스 게임도 덧실행으로 부활하고, 아래아한글 안에서 숫제 한네트라는 통신 에뮬레이터까지 구동할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그래픽 에디터를 그렇게 덧실행으로 내장했으면 무척 좋았을 것 같다.)

3.0에서는 덧실행의 활용의 폭이 더욱 커져서 계산기, 지뢰 찾기, CD 플레이어도 제공했으며 심지어 화면 보호기까지 덧실행 프로그램으로 독립했다. 2.5 확장팩에서부터 제공되던 영한 사전도 GUI는 덧실행 애플릿 형태였다. 이런 덧실행 프로그램들은 내부적으로 32비트 네이티브 코드였으며, 응당 32비트 에디션(HWP386)에서만 지원되었다.

도스용 이야기 역시 이름은 덧실행이 아니지만, 이런 덧실행에 해당하는 여러 기능이 있었다. 그림 파일 뷰어도 있고, AI가 상당히 똑똑했던 걸로 기억하는 오목 게임도 있었다. 16컬러에서밖에 실행되지 않았던 아래아한글과는 달리 이야기는 256색/트루컬러 그래픽까지 지원했지만, 내부 코드는 여전히 볼랜드 C++로 빌드된 16비트 프로그램이었으며, 덧실행 역시 16비트 코드라는 게 아래아한글과는 달랐다.

물론 덧실행에 앞서 이들 프로그램은 그래픽/프린터 드라이버가 이미 일종의 DLL이며 아래아한글의 경우 폰트 드라이버라는 계층이 있었지만, 이들보다 화면에 보이는 GUI가 있는 덧실행 프로그램이 사용자에게 더욱 존재감 있게 다가온 것 역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런 덧실행들은 어떻게 만들었을까? 아래아한글 덧실행의 경우, SDK가 있었다.
아래아한글 32비트 에디션과 덧실행 프로그램들은 왓콤 C/C++로 빌드되었는데, SDK가 지정한 각종 함수/구조체 프로토콜에 맞게 덧실행 프로그램을 작성한 후, 역시 SDK가 제공하는 특수한 라이브러리를 써서 링크하고 바이너리에다 고유한 post processing을 마치면 간단히 덧실행 프로그램이 만들어졌다. 얘네들은 헤더만 다를 뿐, 내부적으로는 인텔 32비트 어셈블리 기계어 코드가 들어있는 exe 그대로였다.

아래아한글은 자기 밑에 실행되는 덧실행 프로그램에다가 지금 돌아가는 비디오 환경 같은 걸 알려 주고, 하드웨어 독립적인 각종 그래픽 루틴, 그리고 요즘 GUI 운영체제들이 다 그렇듯이 막강한 한글 입출력 엔진을 이용하여 글자를 찍고 GUI를 출력하는 API를 덧실행에다가 제공해 주었다.

그때 화면 보호기 중에는 아주 고전적인 "우주 여행"도 있었고 점 찍기, 선 그리기, 생명 게임, 퍼즐, 벌떼 같은 것들이 기본 제공되었다. 우주 여행은 단순히 전진만 하는 게 아니라 방향을 꺾는 것도 있고 무척 박진감 넘치고 원근감이 무척 멋지게 잘 표현돼 있었다.

그리고 벌떼도 나름대로 2차원 공간에서의 boid 시뮬레이션인데 움직임이 굉장히 사실적이어서 저런 걸 어떻게 짰을지가 무척 궁금했다.

이것 말고 선이나 점을 그리는 것은 while 루프 안에서 랜덤하게 화면에 낙서를 하는 녀석이었다. 특히 점 찍기는 그냥 화면 가득히 검은 1픽셀 점을 채워넣는 것으로, 프로그램 파일의 크기가 400바이트도 채 되지 않았다.

그래서 문득 궁금해졌다. 크기도 꽤 작고 프로그램을 어떻게 짰을지 감도 오고 하니,
코드 부분을 긁어 와서 디스어셈블을 해 봤다.

본인은 어셈블러 쪽 지식이 거의 없다. 뭐 복잡한 레지스터 이름만 나와도 머리가 지끈거린다.
본인보다 더 고수이신 분이 있으면 아래의 해설에 오류 교정이나 보충할 만한 설명 있으면 얼마든지 환영한다.

; 레지스터에 주어져 있는 어떤 값들을 스택에다 push함.
; 화면 보호기들은 다들 이런 명령으로 시작하더라.
0012FDF8 53               push        ebx
0012FDF9 51               push        ecx
0012FDFA 52               push        edx

; EAX 레지스터의 값을 0으로 초기화. x xor x는 언제나 0이므로, mov 0을 하는 것보다 코드 길이가 짧아서 좋다.
0012FDFB 31 C0            xor         eax,eax

; 뭔가 초기화 함수를 호출한다.
; 아래아한글 덧실행 SDK가 제공해 주는 라이브러리 함수에다 static link를 한 것이다.
0012FDFD FF 15 88 02 00 00 call        dword ptr ds:[288h]
0012FE03 FF 15 50 02 00 00 call        dword ptr ds:[250h]

; 고급 언어로 치면 while문의 시작인 듯. while(CanContinue()); 로 딱 번역 가능한 문장이다.
; 함수 리턴값을 테스트하여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뺑뺑이 바깥으로 빠져나간다. (12FE54)
; 화면 보호기의 종료 조건을 테스트하는 것이므로, 아마 키보드나 마우스 입력을 감지하는 함수일 것이다.
0012FE09 FF 15 14 02 00 00 call        dword ptr ds:[214h]
0012FE0F 85 C0            test        eax,eax
0012FE11 75 41            jne         0012FE54

; 뭔가 포인터 참조를 하는 듯하다. x = ptr->member 정도? 먼저 ptr의 위치를 임시로 EDX에다 저장 후,
0012FE13 8B 15 24 03 00 00 mov         edx,dword ptr ds:[324h]

; 함수 호출을 염두에 두고, 아마 EAX의 값인 0을 얹어 놓는 것 같다. 이렇게 EAX를 자주 써먹는 이유는 아까 xor EAX,EAX와 마찬가지로 명령어 길이가 짧기 때문.
0012FE19 50               push        eax

; EBX에다가 화면 세로 해상도를 저장하는 것 같다.
0012FE1A 8B 5A 14         mov         ebx,dword ptr [edx+14h]
; 아마도 이 0x24C 오프셋이 난수를 되돌리는 함수인 듯하다.
0012FE1D FF 15 4C 02 00 00 call        dword ptr ds:[24Ch]

; 정확한 의미 잘 모름.;;
0012FE23 89 C2            mov         edx,eax
0012FE25 43               inc         ebx

; 32비트 숫자를 31만치 오른쪽으로 비트 shift 한다는 것은 결국 그 숫자의 부호만 남기고 싹 없앤다는 뜻인데.. 특별한 의미는 모르겠다. 나눗셈 연산 전에 부호와 관련된 무슨 플래그 설정인 듯.
0012FE26 C1 FA 1F         sar         edx,1Fh

; 이제 난수가 화면 세로 해상도의 범위 안에 있도록, 난수 값을 화면 해상도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 idiv 명령은 한번에 몫과 나머지를 모두 구하는데, 나머지의 값을 EDX에다 저장해 준다. 그렇기 때문에 EDX를 push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아까 inc ebx 명령은, 화면 해상도에 0이 들어오더라도 나눗셈 에러가 나지 않게 안전 조치를 취한 것 같다.
0012FE29 F7 FB            idiv        eax,ebx
0012FE2B 52               push        edx

; 세로에 이어 가로 위치 argument를 얹을 준비를 한다. 다시 EDX에다가 324h 포인터 위치를 저장하고,
0012FE2C 8B 15 24 03 00 00 mov         edx,dword ptr ds:[324h]

; 아까 0x14가 화면의 세로 해상도이고 이거는 10h이니 가로 해상도? ㅋㅋ
0012FE32 8B 5A 10         mov         ebx,dword ptr [edx+10h]
0012FE35 FF 15 4C 02 00 00 call        dword ptr ds:[24Ch]

; 아까와 거의 동일하다. 이번엔 inc 명령은 들어가 있지 않다.
0012FE3B 89 C2            mov         edx,eax
0012FE3D C1 FA 1F         sar         edx,1Fh
0012FE40 F7 FB            idiv        eax,ebx
0012FE42 52               push        edx

; 이제는 324h 오프셋 자체를 push한다. 이 값은 역시 덧실행 프로그램이 호스트(아래아한글) 프로그램으로부터 받은 핸들 같다.
; 이게 제일 나중에 push된다는 말은, C++ 코드 상으로 제일 첫째 argumet라는 뜻이다. 즉,
; SetPixel(hDC, x, y, 0); 에서 hDC뻘 된다는 뜻이다. 0은 아까 EAX의 값으로 대체했던 점의 색깔 정도? (이 화면 보호기는 화면을 온통 검은 점으로 채운다)
0012FE43 FF 35 24 03 00 00 push        dword ptr ds:[324h]

; 점 찍는 함수 드디어 호출!
0012FE49 FF 15 E0 01 00 00 call        dword ptr ds:[1E0h]

; 함수 호출 후 argument를 얹었던 스택 위치를 재정리하는 작업. 16바이트를 더하는 것을 보면, 위의 함수가 총 4개의 인자를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0012FE4F 83 C4 10         add         esp,10h

; 다시 while의 시작으로 빠꾸
0012FE52 EB B5            jmp         0012FE09

; 루프 끗.
0012FE54 5A               pop         edx
0012FE55 59               pop         ecx
0012FE56 5B               pop         ebx
0012FE57 C3               ret

따라서 위의 코드에서 loop 부분을 슈도코드로 재구성하면 대략 이런 형태가 되겠다.

HANDLE hHWPHost;
while( CanContinue() )
        PutPixel( hHWPHost, rand() % hHWPHost->nScreenX, rand() % (hHWPHost->nScreenY+1), 0 );

저 간단하기 그지없는 코드를 C언어로 짜도, 컴파일을 하면 저 정도 수준의 기계어 코드로 번역된다는 것이 놀랍다.
역시 전산학의 총아는 컴파일러이다. 컴파일러 제작자가 존경스럽다.

프로그램 논리를 다 알고 있는 초간단 코드도 겨우 인텔 CPU 인스트럭션 세트 매뉴얼을 뒤지고,
간단히 내가 생각하는 코드를 VC++로 최적화 없이 컴파일하여 살펴보면서 낑낑대면서 디스어셈블을 해 봤는데,
이보다 훨씬 더 복잡한 기계어 프로그램은, 암호 같은 숫자와 명령 코드 속에서 본디 의미와 논리를 찾는다는 게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커다란 wav 파일 하나 던져 주고서, 이걸 재생하지 않고서 무슨 소리인지 알아 맞히는 거나 다름없다.
wav는 그래도 손실 압축이라도 되지, 기계어 exe는 같은 크기이더라도 정보량이 훨씬 더 많으며 손실 압축을 할 수가 없다.

점 찍기와는 달리, 선 그리기만 해도 코드 길이가 저것보다 더 길고, 특히 난수를 다섯 개나 요청한다.
x1, y1, x2, y2, 그리고 색깔 이렇게 다섯 개인 것을 어셈블리 코드 상으로 확인을 할 수 있었다.

비록 도스에서 돌아가는 일개 덧실행 프로그램이지만
돌아가는 기계 환경이 동일하고 똑같은 32비트 기계어이기 때문에 비주얼 C++의 디버깅 기능으로 이렇게 간단히 디스어셈블리 결과를 들여다볼 수 있다는 게 신기했다 (실행은 당연히 못 하지만).

단지 운영체제에 따라 EXE 파일의 포맷이 다르며, 입출력이라든가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기능을 요청할 때, 도스 프로그램은 인터럽트에 의존하는 반면, 윈도우는 커널 영역에 자리잡은 함수 호출 기법을 사용하는 식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이다.

Posted by 사무엘

2010/01/12 11:40 2010/01/12 11:40
,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18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983538
Today:
1275
Yesterday:
1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