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Java 언어가 쓰이는 곳

Java는 C++과 달리 로컬 환경용으로는 그다지 재미를 못 본 언어 및 런타임 환경이다.
콘솔(게임기 말고, 명령 프롬프트..)용 프로그램이 Java로 만들어진 건 거의 못 봤다. 오히려 Java는 한때는 표준 입력으로부터 숫자 한 줄 입력받는 것조차도 온갖 패키지를 import하고 예외 처리 try catch까지 갖춘 뒤에야 가능한 불편한 언어였다.

GUI(프레임워크 이름이 Swing이던가?)로 넘어오면 VirtualBox나 OpenOffice처럼 일부 크로스 플랫폼 프로그램이 GUI 껍데기를 Java로 만든 경우가 좀 있다. (Windows 한정으로는 C#의 Windows Form와 경쟁?) 아, 직장에서 일정 관리 용도로 사용하는 ProjectLibre도 흔치 않은 Java 기반 로컬 GUI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Java가 제공하는 GUI는 외형이 네이티브 GUI에 비해 이질적이고 느리고 런타임 오버헤드가 커서 범용성 말고는 가성비가 좋지 않았다.

한편, Java는 애플릿(Applet)이라는 이름으로 웹(클라이언트)에서 돌아간 적도 있다. 웹에서 꽤 고차원적인 수학 그래픽, 화면 왜곡과 전환 애니메이션, 시뮬레이션(특히 교육용) 등을 출력할 목적으로 플래시와 경쟁하는 구도로 한때 쓰였으나.. 그것도 다 지나간 일이다. 현재는 망했으며, 개발사로부터 지원도 끊긴 지 오래다.

오늘날 Java는 로컬 PC가 아닌 안드로이드 앱, 그리고 jsp 기반 서버사이드 언어(웹 서버)로 회생해 있다.
뭐, Java 런타임을 컴퓨터에 설치해 보면 설치 중에 '전세계 수십억 개의 기기가 Java를 기반으로 돌아가고 있습니다'라고 자랑하는 문구가 뜨기도 하는데, 그것도 임베디드보다는 모바일을 말하는 게 아닌가 싶다.

Java는 오늘날 그렇게 됐고 로컬 PC 환경에서는 지금도 수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난립해 있지만, 웹에서는 그야말로 Java에서 이름만 빌려온 JavaScript로 대동단결 천하통일이 이뤄진 게 신기하기 그지없다.

2. 새로운 언어

애플에서 Objective-C에 한계를 느끼고 Swift라는 언어를 만들었더니,
그에 질세라 안드로이드 진영에서도 Java 대신 '코틀린'이라는 완전히 다른 언어를 만들었다. 왕년에 C++ 컴파일러를 열심히 만들었던 사람이 D 언어를 개발했듯, Java 기반 안드로이드 개발 환경을 열나게 만들었던 JetBrains라는 회사에서 전용 언어도 만들고 이를 Google에서도 채택한 것이다.

오늘날 베이직은 마소에서밖에 만들지 않는 언어가 됐고, 파스칼은 그냥 델파이의 전유물이 됐고 이제는 델파이라는 이름 자체가 RAD 툴 겸 프로그래밍 언어의 이름으로 등극했다. 언어가 워낙 많이 마개조됐기 때문이다. 또한 옵씨의 경우는 애초부터 애플이 언어에 대한 일체의 권리를 언어 고안자로부터 사 버려서 사유화했다.
저런 언어들에 비해, C/C++은 너무 심하게 파편화가 됐을지언정--언어 문법 자체보다는 라이브러리나 ABI 계층에서--, 특정 기업에 의해 좌지우지된다는 느낌은 상대적으로 덜 든다.

Visual Studio 등 요즘 IDE들은 프로젝트 전체에 존재하는 클래스들을 쭉 보여주는 기능이야 당연히 기본으로 갖추고 있다. 그런데 클래스들을 namespace 계층 + 이름의 알파벳 순으로만 보여주는 게 아니라, 기반 클래스별로 분류해서 보여주는 기능이 있으면 프로젝트들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 더 도움이 될 것 같다. 그러면 그 클래스들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으니 말이다.

3. 간단한 자료형과 복잡한 자료형 or 클래스 객체

오늘날 객체지향을 표방한다는 많은 고급 언어들이 int 같은 (1) primitive type과 (2) 클래스 객체, 혹은 (1) 스칼라와 (2) 복합 자료형(리스트 같은)을 서로 구분해서 다루고 서로 다르게 취급한다. 함수 인자와 리턴값을 주고받을 때 (1)은 값을 그대로 전달하고 (2)는 메모리에 한 인스턴스만 둔 뒤 주소값만 주고받고 레퍼런스 카운팅을 하는 것이 대표적인 차이점 되겠다. Java, 파이썬 등 여러 언어들이 이런 정책을 사용한다.

순수 극한 객체지향 언어 중에는 1과 2의 구분조차 없애고 모든 것을 객체로 취급하여 타입 식별자라든가 기반 클래스 소속을 부여하는 물건도 있다. 하지만 그렇게까지 하기에는 속도와 메모리 오버헤드가 너무 크고 실용성도 떨어지니 많은 언어들이 최소한의 primitive type 정도는 허용하는 타협을 한다.

C++이야 어느 타입이건 어느 방식으로 전달할지(값, 주소/참조)를 몽땅 명시적으로 수동 지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포인터를 노출하지 않는 언어에서는 그런 구분이 프로그래머의 지정 없이 자동으로 행해진다. 포인터가 없는 언어라고 해서 포인터가 원래 하던 일 자체를 안 하는 것은 전혀 아니니까 말이다.

그런데 1과 2의 얼추 중간쯤에 속하는 물건은 문자열, 그리고 단순 구조체 정도다.
문자열이야 언어 차원에서 상수 리터럴도 존재하고 정말 기본 자료형과 복합 자료형의 중간에 속하는 독특한 물건인지라, 각 언어와 라이브러리마다 구현 형태가 제각각이다.

그리고 생성자, 소멸자, 상속, 가상 함수 따위 전혀 없고 레알 int 같은 primitive type의 묶음으로만 이뤄진 레알 C 스타일 구조체를 프로그래밍 용어로는 POD(plain old data)라고 한다. C++의 경우 POD 구조체만이 중괄호 { }를 이용한 멤버 별 값 초기화가 가능하다.
물론 POD도 개당 수십~수백 바이트를 차지하는 덩치 큰 놈이 될 수도 있지만 이는 논외로 하고..

단순 구조체를 클래스와 구분시킨 것은 C#의 신의 한수로 보인다. 사실, POINT, SIZE, COMPLEX(복소수)처럼 숫자 둘로만 달랑 이뤄진 간단한 구조체는 상속이 뭐고 없고 함수 인자도 그냥 값 형태로 전달하고 싶은 그런 물건들이니 말이다.

4. sizeof 연산자가 없음

개인적으로 Java를 쓰면서 C++에 비해 굉장히 특이하다고 오래 전부터 생각했던 점은..
가장 먼저, (1) int를 함수에다 주소/참조로 전달을 할 수 없어서 swap 함수를 구현할 수 없다는 것이다. int는 무조건 값으로만 전달되니 말이다.

(2) 클래스에 소멸자라는 게 없다 보니, 메모리는 GC 덕분에 뒷일 생각할 필요 없이 new만 늘어놔도 되는데 파일은 닫는 코드를 수동으로 매번 써 줘야 하는 게 처음엔 아주 웃기게 느껴졌었다.

(3) 그리고 끝으로.. sizeof 연산자가 없는 것에서 한번 더 경악했다. 수동 메모리 할당이 없고 포인터도 없고, sizeof마저 없다는 건 어떤 개체의 메모리 내부 덤프 같은 건 꿈에도 생각하지 말라는 얘기다.
primitive type이야 개별 크기가 어떤 기기의 JVM에서도 불변 동일하니(가령, int 4바이트, long 8바이트..) 굳이 sizeof에다 요청하지 않아도 되고..

하긴, 특정 개체의 메모리 주소 같은 걸 어디에다 낼름 누설해 줄수록 프로그램의 엔트로피가 커지고 Garbage collector가 추적해야 하는 영역이 넓어지고, 메모리 누수와 잘못된 포인터 에러가 날 확률이 높아지니.. 그런 건 최대한 애초에 할 필요가 없게 만들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바이너리 덤프를 바로 못 하면 파일을 읽고 쓰는 작업도 좀 불편할 것 같다. 하다못해 과거에 베이직조차도 포인터는 없어도 숫자의 binary dump를 문자열 형태로 얻거나 그걸 디코딩하는 함수는 있었거늘 말이다.

C#은 Java처럼 가상 머신 기반에 자동 메모리 관리가 제공되는 언어이지만 이런 것들이 Java보다는 융통성이 있다. ref라는 키워드가 있어서 primitive type도 call by reference가 가능하다.
그리고 sizeof 연산자가 제한적으로 지원된다. primitive type과 단순 구조체 한정으로만 사용 가능하며, 자동 관리를 받는 자기 객체(managed class)에 대해서는 sizeof를 여전히 할 수 없다.

C#의 초창기 구버전에서는 아예 unsafe 코드 안에서만 sizeof를 사용할 수 있었지만 나중에 제약이 완화되었다.
그래도 C#과 Java 어느 경우든, sizeof라는 건 저수준 메모리 접근과 관계가 있는 기능이지, 가상 머신 고수준 코드와는 어울리지 않는 건 공통인 듯하다.

5. 객체의 배열

그러고 보니 Java는 클래스 객체들이 다 기본적으로 포인터 단위로 취급된다는 특성상, 객체의 동적 배열을 만드는 것도 좀 불편하다.

MyObject[] arr = new MyObject[n];

이건 MyObject들을 담을 배열 객체부터 하나 만드는 것이다. 그 뒤에 arr[0]부터 arr[n-1]에다가 MyObject의 인스턴스를 new로 할당하는 건 사용자가 또 직접 해야 한다.
C++이야 Java처럼 행동하고 싶으면 MyObject **arr을 하면 되고, 아니면 MyObject가 default 생성자만 있다면 곧장 MyObject *arr = MyObject[n]으로 객체의 배열을 만들 수 있으니 융통성이 있다.

그리고 한 객체가 여러 클래스들을 돌아다니면서 쓰이다 보면, 이 오브젝트가 값만 일치하는 게 아니라 본질적으로 그 오브젝트가 맞는지.. C++로 치면 주소값이 같은지, Java조차도 문자열은 equals 대신 ==를 써서 행하는 그 비교 대상값이 일치하는지.. 주소를 직접 확인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C/C++은 & 연산자가 있으니 일도 아닌 반면, Java는 디버거 창이 아닌 로그 확인을 위해서는 toString을 일일이 해 줘야 하는 것이 불편한 점으로 남는다.
포인터라는 게 위험하다고 직접 노출을 금기시하다 보니, 포인터로 직통으로 할 수 있는 일까지 좀 불편하게 바뀌는 건 어쩔 수 없나 보다.

6. 클로저

C++은 수동 메모리 관리뿐만 아니라 pointer-to-member(더 나아가 함수 포인터라는 것 자체까지)라는 것도 오늘날의 타 언어들이 제공하는 깔끔한 클로저와는 전혀 관계 없는 원시적이고 지저분한 물건이다. C/C++은(정확히는 C가) machine word를 정말 좋아하는 언어이며, '포인터' 하나만으로 간편하게 구현 가능하지 않은 요소는 쿨하게 제공 안 하는 게 전통적인 설계 철학이었다.

그러니 함수 안에 함수를 만드는 걸 지원하지 않으며(당대의 경쟁 언어이던 파스칼과 달리), C++도 클래스 안에 클래스, 함수 안에 지역 클래스 같은 건 전적으로 접근성 scope 구분만 할 뿐, 자기 밖에 있는 클래스 멤버나 함수 지역변수에 자동으로 접근하는 메커니즘 같은 건 제공하지 않는다. 즉, Java 용어로 말하자면 static class만 지원한다는 것이다.

C++만 쓰다가 Java나 Objective-C 같은 타 언어에서 this 내지 상부 클래스 멤버에 접근 가능한 함수를 스레드 콜백 등으로 자유자재로 넘겨줄 수 있는 걸 보니 아주 신기했다. 요즘은 함수형 언어 영향을 받아서 함수 몸체를 이름조차 안 붙이고 바로 넘겨줘도 되니 더 편하다.

이것도 타 언어들이 더 객체지향 철학에 따른 것이고, C++이 기괴하고 경직된 구조의 언어인 셈이다. 물론, C++의 사고방식은 저런 유연한(?) 함수 포인터(C++ 용어), 셀렉터(옵C 용어), 클로저(???)를 구현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부과되는 시공간 성능 오버헤드가 무엇인지 생각하는 데는 도움이 될 듯하다.

C++은 저게 없는 대신에 P2M을 갖고 있는 셈인데.. C++의 또 다른 괴물 기능인 다중 상속과 연계하려다 보니 P2M도 도저히 '날포인터' 하나만으로 간편하게 구현할 수가 없어졌으니 참 아이러니이다. 이건 언어 설계 차원에서의 결함이나 마찬가지라고 봐도 할 말 없을 정도이며, 이와 관련하여 본인이 몇 년 전에 글을 쓴 적이 있다.

그나저나 Java의 상속 "extends A"는 C++로 치면 ": public A", 다시 말해 언제나 public 상속과 같은 것이겠지?
난 부모 멤버들에 대한 접근에 더 많은 제약을 가하는 private, protected 상속은 사용해 본 적이 없다.

7. 자동 메모리 관리, 동적 배열 등, 나머지 생각들

뭐, 직장에서 Java 개발도 좀 해 보니 깔끔한 1파일 1클래스 구조에다 헤더와 소스 구분이 없고 코드 파싱과 빌드가 정말 광속인 것(C++ 외의 타 언어들이 대부분 그렇지만), throw IllegalArgumentException("value must be >=0") 예외 처리가 사실상 assertion failure이나 마찬가지이니 assert(0 && "error") 이런 테크닉이 없어도 되는 것들은.. 마음에 든다.

ABI 계층이 파편화 없이 딱 잘 통합돼 있고, 무식한 헤더 파일 대신 패키지로부터 추출· 복원된 프레임워크 소스와 코딩 컨벤션.. 매번 다시 컴파일 되면서 특정 타입과 완전히 결합해 버리는 C++의 템플릿 대신에, 진짜로 유연한 void*를 캡슐화했다고 볼 수 있는 제네릭.. 이런 건 부럽기도 하고 현대의 프로그래밍 언어와 프로그래밍 환경이 얼마나 발전했는지를 뒷북으로나마 느낀다.

프로그래밍에서 "네이티브 코드 + 메모리 100% 수동 관리"(C/C++) 아니면 "가상 머신 + garbage collector 기반의 메모리 자동 관리"(C#/Java)의 차이는, 자동차 운전으로 치면 수동 vs 자동 변속기와도 비슷할 정도로 큰 차이인 것 같다. 자동차에서는 면허 조건이 달라질 정도로 큰 차이를 만들며, 프로그래밍에서도 뒷일 생각 안 하고 마음대로 new를 남발해도 되냐 그렇지 않느냐의 차이는 매우 크다.

(그럼 메모리가 자동 관리되는 언어에서는... 무슨 서버나 GUI 프로그램이 아니고 일체의 아이들 타임이 없이, 자기 할 일만 일괄 처리하고 끝나는 콘솔(명령 프롬프트)+단일 스레드 프로그램이라면 GC가 언제 어떻게 개입하여 동작하는지 의문이 든다. 뭐 그냥 메모리 할당 부분에서.. 자원 반납 없이 지금까지 메모리를 사용한 양이 도를 넘어선다 싶으면 그때 동작할 수도 있긴 하겠다.)

C++을 까는 사람들의 심정은 이해한다. 하지만 C++이 그렇게 지저분하고 자비심이 없는 대신에 어떤 넘사벽급의 강력한 네이티브 코드를 생산할 수 있는지, 그리고 Java가 편한 대신에 내부적으로 성능을 얼마나 많이 희생했고 런타임 오버헤드가 더해졌는지를 전부 논하지 않고 단편적인 비교만으로 언어 호불호를 논하는 것은 바람직한 태도가 아니라고 여겨진다. 둘 다 장단점이 있고 고유한 주 용도가 있는 법이다.

옛날에 잠깐 써 봤던 파스칼은 포인터도 있고 자유로운 call by reference도 지원했지만 그 포인터가 C처럼 막강하고 배열과 연계되는 건 절대 아니며, 동적 배열을 못 만들었다. 아무리 파스칼이 교육용 언어를 표방하고 만들어졌다 해도 베이직으로도 가능한 기능이 없는 건 말이 안 되니 저건 후대의 파생 언어에서 개선되었지 싶다.

Posted by 사무엘

2018/03/13 08:34 2018/03/13 08:34
, ,
Response
No Trackback , 4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467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467

Comments List

  1. 비밀방문자 2018/03/15 00:46 # M/D Reply Permalink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1. 사무엘 2018/03/15 06:46 # M/D Permalink

      그렇다? 이클립스(자바)를 능가한 이후로
      과연 근성으로 Visual Studio IDE와 Source Insight (C++)의 영역까지 넘보고 있구나?
      C++은 (1) 골치 아픈 전처리기, (2) 헤더와 몸체의 분리, (3) 그러면서 번역 단위와 클래스 사이에는 호응 관계가 전혀 없는 점으로 인해 C#, Java 수준의 구문 분석과 리팩터링 기능은 제공하기 꽤 난감한 언어였는데 그런 한계마저 넘어서고 있는 듯하다?

  2. 허국현 2018/03/16 15:51 # M/D Reply Permalink

    Atwood's Law라는 것이 있습니다. Stack Overflow 창립자인 Jeff Atwood가 한 말인데요.

    JavaScript로 작성될 수 있는 것은 JavaScript로 작성될 것이다.

    라는 법칙입니다.

    Node.js로 JavaScript를 웹 브라우저 밖으로 빼 내더니 이제는 JavaScript로 별걸 다 만드네요. Visual Studio Code도 JavaScript로 만들었습니다. Electron + TypeScript + React로 알고 있습니다.

    1. 사무엘 2018/03/16 17:37 # M/D Permalink

      스크립트란 게 웹페이지에서 간단한 계산 결과 같은 거 찍고, 폼의 입력값 범위 검증해서 메시지박스나 찍는 용도로
      그것도 HTML 주석 안에다가 몰래 집어넣는 물건이던 시절이 엊그제 같은데...
      지금은 정말 못 하는 게 없는 괴물로 성장했지요. 경악스럽습니다. ㄷㄷ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881 : 882 : 883 : 884 : 885 : 886 : 887 : 888 : 889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3050024
Today:
1044
Yesterday:
2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