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재부팅 이벤트

본인은 지금까지 Windows가 시스템 종료/재시작/로그아웃 될 때.. 메시지에 즉각 응답하면서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프로그램이라면 종료 처리도 당연히 정상적으로 되는 줄로 알고 있었다.
사용자가 [X] 버튼이나 Alt+F4를 눌러서 종료할 때와 완전히 동일하게 말이다. WM_CLOSE에 이어 WM_DESTROY, WM_NCDESTROY가 날아오고, WM_QUIT이 도달하고, message loop이 종료되고, MFC 프로그램으로 치면 ExitInstance와 CWinApp 소멸자가 호출되고 말이다.

왜냐하면 시스템이 종료될 때 발생하는 현상이 언뜻 보기에 정상적인 종료 과정과 동일했기 때문이다. 저장되지 않은 문서가 있는 프로그램에서는 문서를 저장할지 확인 질문이 뜨고, 운영체제는 그 프로그램 때문에 시스템 종료를 못 하고 있다고 통보를 한다. 좋게 WM_CLOSE 메시지를 보내는 걸로 반응을 안 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운영체제가 TerminateProcess 같은 강제 종료 메커니즘을 동원할 것이다.

그런데 알고 보니 그게 아니었다.
정상적인 종료라면 ExitInstance 부분이 실행되어야 할 것이고 프로그램 설정들을 레지스트리에다 저장하는 부분도(본인이 구현한..) 실행돼야 할 텐데, 내 프로그램이 실행돼 있는 채로 시스템 종료를 하고 나니까 이전 설정이 저장되어 있지 않았다.

꼭 필요하다면 WM_ENDSESSION 메시지에서 사실상 WM_DESTROY 내지 ExitInstance와 다를 바 없는 cleanup 작업을 해야 할 듯했다. 뭐, 날개셋 한글 입력기에서 이 부분이 반영되어 수정돼야 할 건 딱히 없었지만 아무튼 이건 내 직관과는 다른 부분이었다.

시스템이 종료될 때 발생하는 일은 딱히 디버거를 붙여서 테스트 가능하지 않다. =_=;; 로그 파일만 기록하게 해야 하고, 매번 운영체제를 재시작해야 하니 가상 머신을 동원한다 해도 몹시 불편하다. 꽤 오래 전 일이 됐다만, 날개셋 외부 모듈이 특정 운영체제와 특정 상황에서 시스템 종료 중에 운영체제 시스템 프로세스 안에서 죽는 문제가 발생해서 디버깅을 한 적이 있었다. 몹시 골치 아팠었던 걸로 기억한다.

2. 파일의 동등성 비교

파일 이름을 나타내는 어떤 문자열이 주어졌을 때,

  • 상대 경로(현재의 current directory를 기준) vs 절대 경로
  • 과거 Windows 9x 시절이라면 ~1 같은 게 붙은 8.3 짧은 이름 vs 원래의 긴 이름
  • 대소문자 (Windows는 대소문자 구분이 없으므로. 그런데 이것도 A~Z 26자만 기계적으로 되나? 언어별로 다른 문자의 대소문자는?)
  • 그리고 옵션으로는 정규 DLL search path와 환경 변수

이런 것들을 몽땅 다~ 감안해서 다음과 비스무리한 일을 하는 가벼운 API가 좀 있으면 좋겠다. 보다시피 동일한 파일을 표현하는 방법이 굉장히 다양하기 때문이다.

  • 두 개의 파일 명칭이 서로 동일한 파일인지 여부를 판단. 당연히 파일을 직접 open/load하지 않고 말이다.
  • 그 파일의 대소문자 원형을 유지한 절대 경로. 일명 '정규화된' 이름을 되돌린다. 이게 동일한 파일은 물리적으로, 절대적으로 동일한 파일임이 물론 보장된다.
    참고로 Windows API 중에서 얼추 비슷한 일을 한다고 여겨지는 GetFullPathName이나 GetModuleFileName 함수는 절대 경로 말고 파일의 대소문자 원형 복원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 혹은 그 파일의 시작 지점이 디스크에서 물리적으로 어디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64비트 정수 식별자를 구한다. 포인터가 아니지만 파일의 동등성 여부 판단은 가능한 값이다. 정수를 넘어 UUID급이어도 무방함.

본인은 비슷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그냥 두 파일을 CreateFileMapping으로 열어 보고 리턴된 주소가 동일하면 동일한 파일로 간주하게 한 적이 있었다. 핸들 말고 MapViewOfFile 말이다. 본질적으로 동일한 파일이라면 운영체제가 알아서 같은 주소에다 매핑을 하고 레퍼런스 카운트만 증가시킬 테니까..
Windows 9x에서는 주소가 시스템 전체 차원에서 동일하겠지만 NT 계열에서는 한 프로세스 내부에서만 동일할 것이다.

하지만 내가 필요한 건 파일의 내용이 아니라 그냥 두 파일의 동등성뿐인데 이렇게 매핑을 하는 건 overkill 삽질 같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었다.
비슷한 예로, LoadLibrary도 같은 파일에 대해서는 같은 리턴값이 돌아온다. HMODULE도 오늘날은 핸들이 아니라 메모리 map된 주소이니까.. 다만, 오버헤드를 줄인답시고 LoadLibraryEx + LOAD_LIBRARY_AS_DATAFILE 이렇게 열어서는 안 된다. 그러면 로딩 방식이 크게 달라지더라.

3. JNI에서 문자열 처리하기

Java 언어는 JNI라고 해서 자기네 바이트코드 가상 머신이 아닌 C/C++ 네이티브 코드를 호출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프로그램 자체를 C/C++로 짜던 시절에는 극한의 성능을 짜내야 하는 부분에 어셈블리어를 집어넣는 게 관행이었는데.. 이제는 일반적인 코딩은 garbage collector까지 있는 상위 계층에서 수행하고, 극한의 성능을 짜내야 하는 부분에서만 C/C++ 코드를 호출한다는 게 흥미롭다.

JNI는 그냥 언어 스펙에 가까운 광범위한 물건이다. Windows 환경에서는 그냥 Visual C++로 빌드한 DLL이 export하는 함수를 그대로 연결할 수도 있다. 물론 그 DLL을 빌드하기 위해서는 Java SDK에서 제공하는 jni 인터페이스 헤더와 static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 한다.
한편, 안드로이드 앱 개발에서 쓰이는 NDK는 JNI 스펙을 기반으로 자체적인 C++ 컴파일러까지 갖춘 네이티브 코드 빌드 도구이다.

Java의 문자열은 JNI에서는 jstring이라고 내부 구조를 알 수 없는 자료형의 포인터 형태로 전달된다. C++에서는 UTF-8과 UTF-16 중 편한 형태로 바꿔서 참조 가능하다.
UTF-8로 열람하려면 JNIEnv::GetStringUTFChars를 호출하면 된다. 길이를 알아 오려면 GetStringUTFLength부터 호출한다. 전해받은 문자열 포인터는 ReleaseStringUTFChars로 해제한다.

그 반면, UTF-16 형태로 열람하려면 위의 함수 명칭에서 UTF를 빼면 된다. GetStringChars, GetStringLength, ReleaseStringChars의 순이다. Java가 내부적으로 문자를 2바이트 단위로 처리하기 때문에 이들이 주로 취급하는 자료형은 jchar*이다. 그러니 얘는 char16_t 자료형과 호환된다고 간주해도 좋다. 참고로 wchar_t는 NDK 컴파일러의 경우 4바이트로 처리되더라.

UTF-16이나 UTF-8이나 다 UTF이긴 마찬가지인데, Java는 변별 요소인 8을 생략하고 함수 이름을 왜 저렇게 지었나 개인적으로 의구심이 든다. 물론 GetStringChars는 Java가 내부적으로 문자열을 원래부터 2바이트 단위로 처리하다 보니 우연히 UTF-16과 대응하게 됐을 뿐, 대놓고 UTF-16을 표방했던 건 아닐 것이다. 뭐, 이제 와서 그 체계를 바꾸는 건 불가능하고 "자바 문자열 = 2바이트 단위"는 완전히 고정되고 정착했지만 말이다.

또한 GetStringChars는 GetStringUTFChars와 달리 굉장히 치명적으로 불편한 단점이 하나 있다. 바로.. 변환된 문자열이 NULL-terminated라는 보장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본인은 이 포인터를 사용할 때 메모리를 n+1글자만치 또 할당해서 null문자를 추가해 주는 매우 번거로운 두벌일을 하고, 아예 클래스를 이렇게 따로 만들어야 했다. 좀 개선의 여지가 없으려나 모르겠다.

class CJstrToString16 {
    JNIEnv *_ev;
    jstring _jstr;
    const jchar *_ret;
    char16_t *_arr;
public:
    CJstrToString16(JNIEnv *ev, jstring js): _ev(ev), _jstr(js) {
        jsize n = ev->GetStringLength(js);
        _ret = ev->GetStringChars(js, NULL);
        _arr = new char16_t[n+1];
        memcpy(_arr, _ret, n*sizeof(char16_t));
        _arr[n] = 0; //고작 요거 하나 때문에..
    }
    ~CJstrToString16() {
        ev->ReleaseStringChars(_jstr, _ret);
        delete[] _arr;
    }
    operator const char16_t*() const { return _arr; }
};

4. Visual C++의 STL

C++은 타 프로그래밍 언어들과 달리, 심지어 전신인 C와도 달리, 언어가 개발되고 나서 자신의 특성을 잘 살린 라이브러리가 언어 차원에서 붙박이로 곧장 제정되지 않았던 모양이다. 그래서 각 컴파일러들이 중구난방으로 파편화된 형태로 라이브러리를 제공해 오다가.. 표준화라는 게 1990년대 말이 돼서야 논의되기 시작했다.

템플릿이 추가되어 C++에서도 제네릭, 메타프로그래밍이라는 게 가능해진 뒤부터 말이다. 처음에는 자료구조 컨테이너 위주로 STL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가 나중에는 그냥 C++ library가 된 걸로 본인은 알고 있다.

Windows용으로 가장 대중적인 C++ 컴파일러야 두 말할 나위 없이 MS Visual C++이다. 얘는 거의 20여 년 전 6.0 시절부터 P.J. Plauger라는 사람이 구현한 C++ 라이브러리를 제공해 왔다. C 라이브러리와 달리 C++ 라이브러리는 소스가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복잡하고 난해하다는 것(암호 같은 템플릿 인자들..=_=), 그리고 저렇게 마소 직원이 아닌 개인 이름이 붙어 있다는 게 인상적이었다.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휴렛-패커드라는 회사명도 주석에 기재돼 있었다.

P.J. Plauger는 현재는 Dinkumware라고 C++ 라이브러리만 전문적으로 관리하고 라이선스 하는 회사를 설립해 있다. 나이도 생각보다 지긋한 듯..
그런데 이런 세계적인 제품에 들어가는 라이브러리가.. 성능이 의외로 시원찮은가 보다. Visual C++이 제공하는 컨테이너 클래스가 유난히도 느리다고 까이는 걸 여러 사이트에서 봐 왔다.

최근에는 본인 직장의 상사마저도 같은 말씀을 하시기에 "헐~!" 했다. 업무상 필요해서 string, set, map 등을 써서 수십, 수백 MB에 달하는 문자열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돌렸는데, 자료 용량이 커질수록 속도가 급격히 느려져서 자료구조를 직접 새로 짜야 할 판이라고 한다.

난 개인적으로는 C++ 라이브러리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더구나 그걸로 그 정도까지 대용량 작업도 해 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다. 그 날고 기는 전문가가 만든 코드에 설마 그런 결함이 있으려나? 아니면 컴파일러의 최적화 문제인지?

글쎄.. 이런 게 있을 수는 있다. MFC의 CString은 그냥 포인터와 크기가 동일하며 값으로 전할 때의 reference counting도 처리한다. 그러나 std::string은 자주 쓰이는 짧은 문자열을 번거로운 heap 메모리 할당 없이 빠르게 취급하기 위한 배열까지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이런 특성을 모르고 std::string도 함수에다 매번 value로 전달하면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그런 식으로 임시 객체가 쓸데없이 생겼다가 사라지는 구조적인 비효율이 C++ 라이브러리에 좀 있는 걸로 들었다. R-value 참조자 &&가 도입된 것도 vector의 내부 처리에서 그런 삽질을 예방하는 근거를 언어 차원에서 마련하기 위해서라지 않는가? 그리고 Visual C++이 그런 비효율을 보정하는 성능이 좀 시원찮다거나 한 것 같다. 전부 다 그냥 추측일 뿐이다.

그러고 보니 cout<<"Hello world"가 printf("Hello world")보다 코드 오버헤드가 작아지는 날이 과연 올지 모르겠다. 이것도 그냥 떡밥인 건지..?? =_=;;

Posted by 사무엘

2019/04/09 08:32 2019/04/09 08:32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606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606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675 : 676 : 677 : 678 : 679 : 680 : 681 : 682 : 683 : ... 2139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667671
Today:
2909
Yesterday:
1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