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는 한강이라는 거대한 강이 있다. 서울은 수도답게 고층 빌딩이 즐비하며, 고속도로 톨게이트를 통과한 뒤에 한참을 더 가야 시내가 나오고.. 자연물인 강조차도 폭이 저렇게 왕창 크다는 생각을 본인은 어린 시절부터 했었다.
한강이 임진강과 합류한 막바지 하구는 폭이 여기보다도 더 크며, 이름부터가 '조강'이라고 달리 불린다고 한다. 하지만 거기는 소금물이 수시로 드나드는 반쯤 바다이며, 사실은 북한이 코앞에 있어서 일반인이 접근할 수도 없으니 논외로 하자.
서울 전역을 통틀어 강이 한강만 있는 건 아니다.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여러 산들의 계곡에서 개천이 발원하여 흘러내린다. 이것들은 지형이 낮아지고 다른 물줄기와 합쳐지면서 굵어진 뒤, 최종적으로는 한강으로 흘러든다. 모양이 트리 구조와 얼추 비슷하다. 사이클이 존재한다면 그건 하중도를 뜻할 것이다.
본인은 서울과 여기 변두리에 존재하는 하천으로 청계, 중랑, 도림, 안양, 탄.. 딱 5개 정도만 금방 떠오른다.
청계천은 딱 서울 도심을 지날 뿐만 아니라 이 명박 서울 시장 시절부터 복원 사업 때문에 너무 유명해서 모를 수가 없고.. 중랑천은 동부 간선 도로 때문에 금세 알게 됐다.
도림천은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일부 구간을 덮어 버렸기 때문에 알고, 안양천은 전철 구일 역의 교량과 서울-광명 경계 때문에, 탄천은 분당-판교의 경계 때문에 알았다.
좀 더 생각해 보니 탄천으로 흘러드는 양재천이 있으며, 은평구에서 국도 1호선 증산로와 나란히 흐르는 불광천, 그리고 근처의 서대문구에는 홍제천이 있다. 동쪽으로는 성내천이라는 것도 들어 봤다.
본인은 서울에 한강과 청계천 말고도 하천이 생각보다 많이 있다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흥미로운 사실을 추가로 알게 됐다. 복개되어서 지표면에서 존재감이 싹 사라지고 사실상 지하수처럼 바뀐 하천 구간도 굉장히 많다는 것이다.
복개라는 게 단순히 그 위로 고가 형태로 도로나 철도가 지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작고 만만한 하천의 경우, 주변의 땅과 구분이 전혀 안 되게 싹 복개되어서 시가지의 일부가 되기도 했다. 바다는 간척하고 하천은 복개해서 땅을 확보하는가 보다.
가령, 청계천의 경우 복원 구간이 잘 알다시피 서울 시청 광장에서 시작되는데.. 그렇다고 해서 청계천이 원래부터 거기서부터 시작되었을 리는 없을 것이다.
청계천의 제일 먼 발원지는 청운동의 인왕산 모 계곡 정도로 추정된다. 거기서부터 서울 시청 정도는 여전히 복개되어 있다.
본인은 이런 사실에 흥미를 느끼게 되었다. 그렇다고 서울 시내의 모든 하천을 돌아다닐 필요까지는 없고.. 가성비가 높은 천호대로의 동대문구· 성동구 구간을 중심으로 자전거를 타고 답사를 했다. 여기는 짧은 거리에 비해 꽤 다양한 하천들을 볼 수 있으며, 최근에 근사한 공원으로 조성된 중랑구 하수 처리 시설과 하수도 박물관도 있다. 그래서 예상했던 것보다 굉장히 유익한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신설동 역 교차로를 지나서 천호대로가 시작되는 구간을 달려 보면.. 신설동-용두 역 사이에만 하천을 두 개나 건너게 된다. 바로 성북천과 정릉천이다. 하지만 다들 워낙 작기 때문에 다리를 건넌다는 생각이 별로 안 들고 순식간에 지나가 버린다. 이들 모두 청계천으로 합류한다.
성북천은 북악산 동쪽 기슭에서 발원하지만 계곡을 제외한 상류 구간은 복개되었다. 그러다가 2000년대부터 한성대입구 지하철역에서부터 여기까지가 그나마 조금씩 복개를 걷어내고 복원되어서 위의 사진과 같은 산책로가 조성되었다.
그리고 좀 더 지나면 나오는 이 하천은 정릉천이다. 정릉천도 상류는 복개되어 파묻혔고, 그나마 숨통을 튼 구간은 온통 내부순환로 고가가 위로 지나기 때문에 지상에서 제 모습을 제대로 보기 어렵다. 하긴, 본인은 작년에 고려대에 다녀올 때 이 산책로를 유용하게 이용했다.
내부순환로는 홍제천, 청계천 등 여러 하천의 선형을 따라 만들어졌는데, 바로 이 지점에서 청계천 대신 정릉천으로 갈아탄다.
여기는 정릉천이 청계천으로 합류하는 지점이다. 내부순환로도 마장 IC 이후로 청계천에서 정릉천 쪽으로 선형이 바뀌는 걸 볼 수 있다. 그리고 청계천 박물관과 판잣집 체험관이라는 통나무집도 바로 여기 근처에 있다.
청계천이야 지금 같은 깔끔한 산책로가 조성되기 전에는 그 위로 고가도로가 지나고 있었고, 더 옛날에는 판잣집들이 즐비했고 물은 똥물 수준으로 더러웠다는 것을 국내 역덕 지리덕이라면 다들 아실 것이다.
참고로 본인은 청계 고가 차도를 실물로 본 기억은 없다. 아직 서울 지리도 잘 모르고, 어쩌다 서울에 갈 일이 있으면 버스보다 지하철을 훨씬 더 즐겨 타던 대학교 초창기 시절이니 그런 걸 볼 일이 더욱 없었기 때문이다. 한 가지 기억에 남아 있는 건.. 청계 고가 차도의 폐쇄· 철거와 서울 역 민자 역사 개관이 2003년 하반기로 꽤 비슷한 시기에 시행됐다는 것이 전부이다.
그 반면, 그로부터 10여 년 뒤에 서대문 고가 차도와 서울 역 고가 차도가 철거된 것은 확실하게 기억에 남아 있다. 이것들은 내가 운전을 해서 직접 지나가 본 적도 있는 시설이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본인은 답십리까지 갔다. 여기서 주목한 곳은 바로.. 군자 차량기지의 바로 옆에 붙어 있는 전농천이라는 존재감 없는 개천이다.
얘도 원래는 북쪽의 배봉산에서 발원한다고 전해지지만.. 배봉산부터가 별로 크고 높은 산이 아니고 물줄기가 워낙 보잘것없는 수준이니 도시 개발을 위해 얄짤없이 복개되었다.
성동구 공영 주차장과 견인 차량 보관소가 바로 그 복개된 부지 위에 조성되었다. 시기적으로는 1970년대 후반.. 천호대로라는 길 자체가 닦인 때와 비슷하다. 어쩐지~! 여기는 교량 분위기가 전혀 아님에도 불구하고 도로에 교량 같은 이음매가 있더라.
그리고 남쪽의 복개 부지는 응당 차량기지가 사용하며, 전농천은 차량기지의 아래를 지나서 근처의 청계천으로 합류한다.
전농천은 주차장과 차량기지 사이의 400미터 남짓한 직선 구간만이 복개되지 않았으며, 산책로도 한쪽에 짤막하게나마 마련돼 있다. 하지만 퀄리티가 그리 좋지 않기 때문에 차라리 위쪽에 차도와 나란히 지나는 인도가 더 낫다.
이 길은 청계천 같은 다른 하천으로 연결되는 게 없이 여기에서만 얼쩡거려야 하며, 중간에 앉아서 쉴 곳도 없다. 물의 양과 질이라든가 경치 역시 썩 좋지 않다.
그래도 하천을 따라 서울이라는 도시의 지리와 개발 내력을 공부하는 게 생각보다 재미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나중에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금화, 시민, 충정, 삼일 등.. 서울의 역사를 풍미하는 옛날 아파트들에 대해서도 자료를 한데 찾아서 글을 한번 썼으면 싶다.
하천의 생태에 대해서 궁금증이 하나 떠오른다.
가뭄이 계속되면 거기를 흐르던 물은 어쩔 수 없이 말라 버릴 것이다. 그래도 비가 그치자마자 물줄기가 즉시 칼같이 끊기는 건 아니다. 최상류의 계곡이라도 말이다.
이 물이 어떻게 유지되는 걸까? 강의 발원지에 가면 무엇이 있고 주변 지형이 어떤 형태일까?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모르겠지만 산 속 식물이 물을 자체적으로 저장해 놓고 증산 작용을 통해 그걸 수증기 형태로 위로 끌어올려 주는 것이 기여하는 게 크다고 한다. 그 많은 물이 위치 에너지를 얻어서 올라가는 것도 그냥 되는 일이 아닐 테니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산에 나무를 비롯해 각종 식물들을 많이 심어 놓으면 뿌리가 흙을 붙잡아 줘서 홍수 때 산사태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가 안 오는 동안에도 계곡에 물이 공급되는 선순환이 계속된다. 산이 벌거숭이 민둥산이어서 좋을 건 하나도 없다.
여기까지 구경한 뒤 본인은 여기 근처에 있는 하수도 과학관을 찾아갔다. 글이 길어지니 여기 얘기는 다음 시간에 하도록 하겠다.
Posted by 사무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