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호출과 사용

Windows API 중에는 IsBadWritePtr이라고 해서 주어진 포인터가 가리키는 메모리가 올바른지를 되돌리는 함수가 있다. 하지만 이 함수는 모든 경우를 맞게 판단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른 코드에서 처리해야 하는 exception을 가로채서 다른 곳에서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을 높인다.

그리고 올바르지 않은 포인터가 발생했을 정도라면 이런 부류의 함수를 갖고 성공 여부를 어설프게 간보는 게 애초에 별 의미도 없다. 그 즉시 깔끔하게 뻗고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게 차라리 더 안전하며, 문제의 원인을 탐색하는 데도 더 도움이 된다.

이런 이유로 인해 과거에 the old new thing 블로그에서는 IsBadWritePtr should be called XXXX..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는데, 본인은 제목의 진짜 의미를 파악하지 못해서 한동안 멈칫했다. 함수 이름 다음에 be called가 나오니 이 함수의 호출과 실행, 다시 말해 프로그래머가 이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과 관련이 있는 제목인 줄 알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제목의 실제 의미는 그게 아니다. "IsBadWritePtr은 실제로는 XXX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었어야 한다. 하는 일이 '요게 잘못된 포인터인지 판단'이 아니라 그냥 '프로그램을 랜덤하게 뻗게 하라'이기 때문이다." 요게 제목의 의도이다.
하긴, Windows API 중에는 이름이 좀 므흣하게 지어진 게 내 기억으로 몇 가지 있다. 가령, IsDialogMessage는 동사가 Is가 아니라 Translate가 되는 게 훨씬 더 적절하다는 식으로 말이다.

call이 '명칭 부여'라는 뜻도 있고 '실행, 사용'이라는 뜻도 있다. 옛날에 GWBASIC의 Illegal function call이라는 에러 메시지가 한국어로는 "기능호출 사용이 잘못되었읍니다"라고 호출과 사용을 모두 넣어서 번역됐던 게 떠오른다.

2. 목적어가 자체 포함된 타동사

정확한 출처와 문맥은 기억이 안 난다만.. 본인은 어느 프로그래밍 라이브러리 문서에서 "The XXXX function does not return." 형태의 문장을 본 적이 있다. 언뜻 보기에는 이 함수가 실행이 끝나지 않고 무한루프에 빠진다는 말 같지만, 거기서의 의미는 그렇지 않았다. 저 함수는 그냥 리턴 타입이 void, 즉 리턴값이 없다는 뜻이었다.
이건 영어에서 마치 이런 식의 의미 차이를 보는 것 같다.

  • I can't read. 난 문맹이다. (시력이나 조명에 문제가 있어서 못 읽는 게 아니라)
  • XXXX is a word. 스크래블 게임 같은 데서, XXXX는 아무 글자 나열이 아니라 스펠링이 맞는 정식 단어이다.

read가 단독으로 '글을' 읽는다라는 뉘앙스를 포함하고 있고, word라고만 해도 자동으로 '올바른' 단어라는 뜻이 포함돼 있다.
사실, 이건 생소한 개념이 아니다. dream, design, sleep 같은 다른 동사도 마찬가지이며 얘들은 아예 명사도 된다. 심지어 dream a dream, design a design, sleep a sound sleep 같은 말도 의도적으로 쓰인다.

옛날 영어에서는 심지어 kill/slay, send 같은 타동사도 목적어를 생략한 채로 쓰였다는 것을 예전 글에서 언급한 바 있다. 그러니 굳이 murder이라고 안 쓰고 thou shalt not kill이라고만 해도 "살인하지 말지니라"가 된다.
return도 그런 식의 유도리 용례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3. 한국어와 영어의 재귀 구조

한국어는 주어, 보어, 목적어, 부사어 등의 격이 체언 뒤에 달라붙는 온갖 조사들에 의해 구분된다. 어순에 의존하지 않고 격조사가 따로 존재하기 때문에 어순의 도치가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하지만 종결어미가 들어있는 서술어는 예외이다. 절대적으로 무조건 마지막에 와야 한다. 그리고 그 어떤 문장도 종결어미가 등장해서 말을 완전히 끝맺기 전에는 끝난 게 아니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 한국어를 외국어로서 공부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한국어는 끝까지 들어 보지 않으면 뭔 말인지 도무지 종잡을 수 없는 스펙터클한 반전 언어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내가 무릎을 꿇은 건 추진력을 얻기 위함이었다...는 소식이 나돈다..고 하지만 그건 사실이 아니다" ... 앞서 언급되었던 내용들이 막판에서 순식간에 전면 부정되거나 매트릭스 안에 들어가 버리기 때문이다. 이런 막장 어순을 영어로 실시간 동시 통역해야 한다면 통역자의 멘탈에 얼마 못 가 과부하가 걸릴 것이다.

이런 한국어와 달리, 영어는 SVO형 언어답게 보어건 목적어건 객체를 문장의 뒤에다 꽝 찍은 뒤, 그 객체를 수식하는 문구들이 관계대명사와 함께 꼬리에 꼬리를 물고 끝없이 이어질 수 있다. 즉, 뒤에 이어지는 말들은 앞의 문맥을 더 구체화하는 역할을 한다.
성경으로 치면 롬 8:1처럼 말이다. 그들은 정죄가 없는데 그들이란 바로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걷는 자들이고, 그런 자들은 육체가 아니라 성령을 따라 걷는다.. them, who가 말을 쭉쭉 이어 준다.

한국어는 저런 영어의 특기를 그대로 따라하기가 난감하다. 관형어가 체언의 뒤가 아니라 앞에 등장하며, 길이가 한없이 길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말을 저렇게 만들면 십중팔구 번역투가 돼 버리니.. 문장을 둘로 나누거나 어순을 재배치한다든가 해야 한다. 한국어에 가주어 it 같은 개념이 있지도 않으니 말이다.

한국어는 인용문 안에 또 인용이 등장하는 식으로 문장을 n중으로 안았다면 안은 문장을 끝내는 종결어미도 n중으로 역순으로 스택 pop 하듯이 나와 줘야 한다. 그래서 성경에도 “... 있나이다, 하라, 하고” (창 32:18) 같은 문장이 종종 등장한다.

영어는 그런 제약이 없다. 지금 문장이 몇 중으로 깊게 인용돼 있건, 끝나는 건 인용이 없을 때와 아무런 차이가 없다. 이는
if() for() for() while() ...;
if() { for() { for() { while() { ... } ... } ... } ... }
의 차이와도 비슷해 보인다.
혹은, 전자는 굳이 스택을 사용하지 않는 선형적인 최적화가 가능한 tail recursion 구조인 반면, 후자는 그렇지 않은 느낌?

지금까지 별 잡생각이 다 튀어나왔는데, 정리하고 결론을 내리자면 이렇다. 한국어와 영어는 말을 길게 이어 나갈 때 화자의 관점 내지 사고 전개 방식이 서로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이다.
어느 것이 구조적으로 더 나은지 굳이 우열을 따질 필요는 없을 것이다. 비트 배열 순서(엔디언)나 함수 인자 전달 방식에 절대적인 우열이 존재하지는 않을 테니 말이다.

단지, 언어간에 이런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염두에 둔다면 외국어 학습이나 자연스러운 번역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차이점들을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성과 연계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는 게 이 글의 요지이다.

Posted by 사무엘

2020/04/24 19:35 2020/04/24 19:35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744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744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608 : 609 : 610 : 611 : 612 : 613 : 614 : 615 : 616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3041934
Today:
1561
Yesterday: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