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오묘한 면모

1. 청자를 배제한 1인칭 또는 2인칭

언어 의사소통이라는 게 기본적으로 화자와 청자 사이에서 이뤄지는 것이다 보니, 인칭대명사도 나와 너, 1인칭과 2인칭은 좀 특별하게 취급된다. I나 You가 아닌 다른 모든 사람은 제3자, 말 그대로 3인칭이 되며, 영어에서는 3인칭 단수에 대해 현재 시제 동사는 뒤에 -s가 붙기도 한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1인칭이나 2인칭이지만, "청자를 배제"하는 효과를 내는 대명사 내지 동사 굴절(활용??)이 존재하면 도움이 될 때가 있다. 이런 건 아무래도 주어 생략 눈치 100단과 높임법이 존재하는 한국어가 영어보다 더 발달해 있다.

대표적인 예는 '우리'와 '저희'이다. 1인칭은 복수형이 되면 나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른 사람까지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저희'는 '우리'와 달리 (1) 화자를 청자보다 낮출 뿐만 아니라 (2) 화자가 속한 집단과 청자는 서로 관계가 없는 별개라고 선을 긋는다.

이런 구분이 영어 we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언어학자에 따라서는 이건 가히 제4인칭이라고 보기도 한다. "저희나라는 틀린 말이니 우리나라라고 써야 한다??" 같은 성토가 존재할 수 있는 언어 자체가 한국어 말고는 거의 없을 것이다.

2인칭의 경우 화자에게는 you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가깝고 친근한 사람이지만 그렇다고 그 you가 청자를 의미하지는 않는 경우가 얼마든지 있다. 그래서 한국어는 '당신'이 웃어른에 대한 사실상 3인칭 높임말인데..
이게 2인칭일 때는 그다지 높이는 의도가 없고 낮잡아 부르는 말이라는 게 참 웃기는 짬뽕 같다. "당신이 뭔데 참견이야?"처럼.. 같은 단어가 2인칭과 3인칭을 오락가락 하는 건 한편으로 독일어의 Sie와 sie를 보는 것 같기도 하다.

CCM 가사에서 "당신은 평강의 왕"과 "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에서 '당신'이 가리키는 대상이 서로 완전히 다르다는 것은 결국 통사가 아닌 화용 계층으로 가야만 분별할 수 있다.
뭐, 영어는 인칭 호칭이 한국어보다 훨씬 더 간결하니 하나님까지 you라고 서슴없이 가리키는 언어이다. 그나마 문자로 표기할 때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써 주는 게 고작이다.

그리고 끝으로.. 한국어는 어휘 차원에서 청자 들으라고 하는 말이 아닌 '혼잣말'이 구분되는 굉장히 독특한 언어라고 한다. "그게 뭐였더라?"와 "그게 뭐였냐/뭐였니?"의 차이를 생각해 보자.
둘 다 똑같이 의문문이고 굳이 따지면 전자도 문맥에 따라서는 남에게 답을 듣고 싶을 때 쓸 수 있는 말이다. 하지만 골똘이 생각하면서 청자를 응시하지 않고 혼잣말로 중얼거릴 때 후자처럼 말을 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국어에는 이런 세밀한 문법적 기능이 존재한다는 뜻이다.

어떤 언어로든지 청자를 배제하는 1/2인칭, 높임법이나 성별에 구애받지 않고 단· 복수만 구분하는 간편한 대명사가 존재한다면 불필요한 오해를 줄일 수 있고 좋을 것 같다. 우리말 성경이 하나님이나 윗사람을 가리키는 2인칭 대명사를 '너, 그대'라고 번역하지를 못해서 몽땅 '주, 왕' 등으로 3인칭화하는 것은 상당히 불편하게 느껴지며 의미 왜곡까지 발생할 여지가 있는데.. 참 난감한 문제이다.

2. 용언들

한국어에서 활용되거나 접사가 붙는 양상이 좀 이상하게 꼬이고 있는 대표적인 용언을 몇 가지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뭐, 수 년 전에 이미 언급한 적이 있는 식상한 아이템도 포함해서 말이다.

(1) 바라다
개인적으로 ‘바랐는데’까지는 원리원칙대로 쓰지만, '바라요', '바람'(명사화된 형태)는 도저히 입에 익지 않아서 불가피하게 ‘바램’과 '바래요'가 튀어나온다. wind 바람과 구분하려는 심리도 있고, 또 ‘자라다, 발하다’ 같은 유사 형태의 다른 용언들은 그런 파생 명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교도 된다. 쉽지 않은 문제이다.
‘바라다’는 “-(시)기 바랍니다”라는 형태로.. 평서문(통사)을 가장한 사실상의 정중한 명령문(화용)으로 쓰이고 있다. “-(시)면 고맙겠습니다/감사하겠습니다”는 명령에서 한 단계 내려가서 화용론상의 청유, 부탁에 가깝고 말이다.

(2) 날다
‘나는’이라고만 쓰면 체언+조사 형태와 구분이 안 되니 틀린 줄 알면서도 자꾸 ‘날으는’이라는 대체제가 쓰인다. 아니면 ‘하늘 나는’ 내지 ‘비행하는’이라고 말을 바꿔서 혼동을 줄여야 한다. UFO를 ‘미확인 비행 물체’라는 한자어 말고 순우리말로 도대체 어떻게 깔끔하게 설명할 것인가?

(3) 맞다
동사와 형용사의 경계가 완전히 난장판이다. 원래는 동사이지만 ‘알맞다, 걸맞다’ 같은 비슷한 형용사들이 용법에 영향을 주는 게 틀림없다.
그리고 반의어인 ‘틀리다’는 잘 알다시피 현재 과거 시제 경계가 완전 난장판이다. 이게 ‘다르다/틀리다’ 구분까지 난장판으로 만드는 데 일조하고 있다.

(4) 우습다
‘웃다’의 사동형 동사인 ‘웃기다’가 ‘우습다’라는 기존 형용사의 의미와 용법을 대체해 온 게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아직까지는 원래 있던 ‘우습다’가 더 격식 있는 점잖은 말투로 여겨지지만 그런 인식이 언제까지 유지될지?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 이건 옳다/그리다의 가치 판단이 필요한 현상일까? 내 역량으로는 정확하게 분석을 못 하겠다.

(5) 좋다/좋아하다, 싫다/싫어하다
good와 like의 관계, 그리고 "난 네가 좋다/싫다" 같은 말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지를 생각해 보면 뭔가 묘한 느낌이 든다.
한국어는 영어와 달리 "덥다/춥다"(사람이 느끼는 결과)와 "뜨겁다/차갑다"(사람에게 느낌을 주는 공기, 물이나 다른 물체가.. 혹은 사람의 마음이)의 구분이 존재하는 언어이다. 저기서 "좋다/싫다"는 마치 "덥다/춥다"처럼 사람이 느끼는 결과 관점을 나타내는 형용사일 것이다.

(6) 모르다
내가 아는 언어들 중에 do not know가 타동사 한 단어로 딱 떨어지게 존재하는 언어는 모국어인 한국어 말고는 없다. 신기한 노릇이다.

3. 기억에 남는 단어들

  • 시력교정술인 '라식과 라섹', 폭염 속에서 발생하기 쉬운 '일사병과 열사병'. 요런 건 뭔가 비슷하면서 내부 디테일은 다른 용어쌍인 것 같다.
  • 충전은 일차적으로는 전기를 보충하는 것이지만 뭔가 리소스를 채운다는 뜻에서 교통카드 액수 보충, 휴식과 회복 같은 뜻으로 의미가 확장되고 있다. 물론 한자가 다른 充塡도 있다.
  • 포장도.. wrap과 pave는 서로 완전히 다른 뜻이긴 하지만, 도로를 포장하는 것도 노반을 싸매고 꾸민다는(?) 뜻과 그리 심하게 이질적이지 않은 것 같다. 앞의 '충전'의 의미 확장과 비슷하게 말이다.
  • 大/小가 쓰였지만 크다/작다의 의미가 많이 퇴색한 것이 좀 있다. 대학(고등교육) 대포(무기), 소설(문학..) 소포(우편물)

4. 스타크래프트 게임의 종족별 나레이션

스타크래프트가 출시된 지 20년이 훌쩍 넘었다는 게 믿어지지 않는다. 지금 2020년은 옛날에 PC 통신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소설 “환상의 테란”에서 상상하고 묘사하던 미래 배경이기도 하다.

스타는 처음 나왔을 때는 한국어 UI가 없었고 심지어 인게임 채팅창에서 한글 입력조차 되지 않았었다. Localization에 관한 한 불모지였다. 그러다가 스타 2라든가 리마스터 에디션이 나오면서 완벽하게 한국어로 번역되고 더빙까지 됐다. 컴퓨터 하드웨어 성능이 더 향상되었으며, 또 잘 알다시피 한국에서 스타가 넘사벽 급의 인기를 끌었기 때문이다. 처음에 스타가 로컬라이즈가 된 언어는 오히려 일본어였는데 그건 싹 묻혀 버렸다.

개인적으로는 3종족의 아나운서 나레이션을 모두 다른 문체로 번역했어야 했다고 생각한다. 자막은 합쇼체로 통일하더라도 음성 나레이션은 다르게 말이다. 몽땅 다 똑같이 합쇼체로 해 놓으면 너무 길기도 하고 종족별 개성이 살아나지 못한다.

  • 프로토스는 누가 봐도 점잖고 근엄한 분위기이니 디씨 같은 “핵 공격이 감지되었소. 파일런이 더 필요하오.”가 돼야 할 것이다.
  • 테란은 여성 부관이 사령관에게 보고하는 형태이니, 유구한 군대 말투 다나까를 반영하여 지금처럼 “핵 공격이 감지됐습니다. 서플라이가 더 필요합니다.”로 할 수도 있고.. 아니면 부관이 기계인간 사이보그인 걸 감안하여 무전 주고받듯이 뚝뚝 끊어서 “핵 공격 감지됨. 보급고 추가 요망”처럼 할 수도 있다.
  • 저그는 뭔가 공동체 같은 느낌이 드니 구어체 반말까지 생각할 수 있다. “핵 공격이 감지됐다! 오버로드를 더 뽑아야 돼.”

영어 원문은 주어가 다르다. 똑같이 미네랄이 부족해도 플토는 You’ve not enough minerals이지만 저그는 We require more minerals이지 않던가? 영어에 you와 we의 차이가 있다면 한국어는 합쇼체와 해라체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이 합당하다.

스타크 세계관이 한국에서 주도적으로 창작됐고 스타라는 게임이 한국에서 만들어졌다면 세 종족의 특성과 개성에 맞게 나레이션의 형태도 저렇게 달라졌을 거라는 게 내 생각이다.
한국어에 기왕 복잡한 조사(체언)와 어미(용언)들이 존재한다면, 그것들을 제 역할을 발휘할 수 있는 곳에 최대한 잘 활용해야 할 것이다. 특히 번역을 할 때 말이다.

Posted by 사무엘

2020/08/01 08:35 2020/08/01 08:35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779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779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573 : 574 : 575 : 576 : 577 : 578 : 579 : 580 : 581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984059
Today:
1796
Yesterday:
1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