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이썬

요즘 프로그래밍 언어는 네이티브 코드+수동 메모리 관리(= 가상 머신이나 GC가 없는) 분야에서야 C++이 무섭게 발전하면서 약진하는 중이다. D나 Rust나 델파이 같은 나머지 네이티브 코드 언어 진영은 요즘 어찌 지내나 모르겠다.

거기서 양상이 살짝 바뀌어서 VM 기반의 언어로는 Java와 C#이 대표적이다. C#은 매우 뛰어난 언어이고 기반이 탄탄한 건 사실이지만 PC와 Windows의 밖에서는 과연 쓸 일이 얼마나 있나 모르겠다. 안드로이드와 iOS 모두 앱 개발용으로 권장하는 주력 언어가 코틀린, Swift 등 생소한 것으로 바뀌었는데, 지난 수 년 동안 기존 언어(Java, Objective C)의 점유율은 어찌 바뀌었는지 역시 궁금하다.

이보다 표현이 더 자유로운 동적 타입 언어 세계에서는 닥치고 JavaScript 아니면 파이썬이 지존 압권 깡패로 등극했다. 펄, 루비, 루아.. 등등 필요 없고 이걸로 다 물갈이돼 버렸다. 특히 파이썬은 교육용과 실무용이라는 두 영역에서 완벽하게 주류로 자리잡았다는 것이 대단하고 신기하다.

대학교들 CS101 프로그래밍 기초 코스에서 가르치는 언어도 C, Java를 거쳐 지금은 몽땅 파이썬이다. 교육용이 아니면 일부 특수한 분야 한정의 마이너 언어에 그쳤던 과거의 베이식이나 파스칼과는 매우 대조적인 점이다. 한편, JavaScript는 웹의 세계 공용어라는 독보적인 지위를 획득했고 말이다.

네이티브 코드인 C++, 가상 머신 기반인 Java, 동적 타입인 파이썬.. 이렇게 등급과 종류를 불문하고 언어들에 한때는 객체지향 패러다임이 들어가는 게 유행이었는데, 21세기에 들어서는 함수형 패러다임도 필수가 돼서 익명 함수(람다) 정도는 지원해 줘야 아쉽지 않은 지경이 돼 있다.

C/C++, Java 같은 언어에만 파묻혀 살다가 컴파일 에러와 런타임 에러의 구분이 없는 언어..
catch되지 않은 예외 같은 에러를 잡고 나니 다음으로 소스 코드의 스펠링 에러를 접할 수 있는 언어를 쓰는 느낌은 참 묘하다.
그래도 컴파일 없이 바로 실행한다는 게 심리적으로 참 부담없고 가벼운 느낌을 준다. 먼 옛날에 Basic 쓰던 시절 이래로 얼마 만에 다시 경험하는 느낌인지?

  • 나눗셈은 정수/정수라도 언제나 실수가 되는구나. 이건 C/C++ 계열이 아니라 베이식/파스칼에 더 가까운 이념이다. 그래도 '같지 않음'이 <>가 아니라 !=인 것은 C/C++ 영향이다.
  • 비트 연산자는 & |로 두고, 논리 연산자를 and or이라는 단어로 분리한 것은 나름 양 계열의 특성을 골고루 적절하게 수용한 디자인인 것 같다.
  • 삼항 연산자 A ? B:C를 B if A else C로 표현한 것은.. 우와;;;;
  • 함수에 인자를 전달할 때 값만 그냥 전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 config=100 이렇게도 주는 건.. C/C+++ 스타일과 objective C 스타일을 모두 접하는 것 같다.
  • 문자열이나 리스트 같은 복합 자료형에다가 상수배 곱셈 연산을 해서 복제 뻥튀기를 시키는 것도 상당히 유용하다. 단, 이 경우 내부에 있는 복합 자료형들은 shallow copy만 된다. 제대로 deep copy를 하려면 list comprehension 같은 다른 기법으로 원소들을 하나하나 새로 생성해야 한다.
  • 여러 변수에다 한꺼번에 대입하기, 그리고 리스트 원소들을 연달아 함수 인자로 풀어넣기...;;;
  • 코딩을 하다 보면 특정 자료구조 내부의 원소들을 range-based for 문으로 순회함과 동시에, 각 원소별로 1씩 증가하는 인덱스 번호도 같이 돌리고 싶은 때가 많다. 이럴 때 파이썬은 for i, elem in enumerator(set)라고.. enumerator를 사용하면 저 기능을 곧장 구현할 수 있다.. 오, 이거 사이다 같은데?
  • []는 배열, {}는 dictionary. 의도한 건지는 모르겠지만 JSON 자료구조와 딱 정확하게 대응한다.
  • 문자열에 "" ''을 모두 사용 가능한 건 SQL 같다. 다만, 문자로 표현된 숫자 리터럴과의 구분이 없다 보니, 'a'와 97을 상호 변환하는 건 베이식이나 파스칼처럼 별도의 함수를 써야 한다.

2. 각 프로그래밍 언어별로 없어서 처음에 좀 놀랐던 것들

  • JSON: JavaScript라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을 채용했다면서 정작 자신은 코멘트를 넣는 부분이 없고 정수 리터럴에 16진수 표기용 접두사가 없다. 얘는 오로지 machine-generation만 생각했는가 보다.
  • Java: int 같은 primitive type을 함수에다 reference로 전달해서 swap 같은 걸 시킬 수 없다. 그리고 가상 머신 환경에서 큰 의미가 없긴 하지만 sizeof 연산자도 없다.
  • 파이썬 1: goto가 없는 건 Java도 마찬가지이지만.. switch-case도 없다. 파이썬은 들여쓰기 구문이 콜론으로 끝나는 언어인데, 정작 C/C++계열에서 라벨과 콜론을 사용하는 문법이 저 동네에서 존재하지 않는 셈이다. 넣어 달라는 제안이 과거에 있긴 했지만 문법적으로 난감해서 봉인됐다고 한다. 뭐, 그 대신 얘는 elif가 있다.
  • 파이썬 2: 그리고 파이썬은 명시적인 const 속성도 없는 것 같다. 튜플이 값의 불변을 보장하는 자료형이기 때문에 const 테이블 역할을 같이 담당한다.
  • 파스칼: 오리지널 문법에서는 임의의 크기의 동적 배열을 만들 수 없다. 참고로 베이식은 배열의 크기 조절은 자유이지만 포인터가 아예 존재하지 않다 보니 리스트 같은 재귀 구조의 복잡한 자료구조를 구현하는 것 자체가 원천 불가능이다.
  • 익명 함수: C++의 람다만 그런 건지는 모르겠지만, 자기 자신을 간단히 가리키는 키워드가 없고 재귀호출을 구현할 수 없다. 그나마 구현했다는 것들은 다 주변의 다른 functor 등 갖가지 편법을 동원해서 매우 힘들게 억지로 구현한 것들이다.

사실, C/C++의 for문은 while문과 거의 동치일 정도로 조건 검사 지향적이고 range-based for는 21세기가 돼서야 도입됐다. 그러나 파이썬의 for문은 훨씬 더 range 내지 iterator 지향적이다.

그리고 베이식 같은 언어는 switch/case가 거의 if문의 연장선일 정도로 범위 지정도 되고 쓰임이 유연하지만.. C/C++의 switch/case는 그보다 제약이 심하다. 그 대신 그 제약을 이용해서 컴파일러가 최적화를 할 여지가 더 있다. (가령, 조건 검사 대신 테이블 오프셋 참조로..)

3. 언어 문법 차원에서의 지원

20여 년 전 먼 옛날에 스타크래프트 경기 중계방송이란 게 처음으로 행해지던 극초창기엔 경기 운영 노하우가 부족해서 이런 일이 있었다고 한다.
경기를 하는 선수 말고 화면 중계를 위한 옵저버도 게임에 join을 해야 하는데, 자기 기지는 없이 남들 시야 눈팅만 하는 상태로 참여하는 방법을 몰랐던 것이다.

그러니 그때 옵저버는 테란을 골라서 들어갔다. 자기 커맨드센터는 띄워서 맵 구석 모서리에 안 보이게 처박아 놓고, SCV 4기는 서로 공격시켜서 없앴다. 이런 궁색한 삽질을 해서 자기 존재를 최대한 없애 버린 뒤 선수들의 화면을 중계했던 것이다.

물론, 옵저버의 이런 자폭 플레이는 경기 시작 직후, 카메라가 잠시 각 선수들의 개인 화면을 비추고 있는 동안 최대한 잽싸게 행해졌다. 한편으로 선수들 역시 옵저버에게 자기 시야를 공개하는 설정을 매번 수동으로 해 줘야 했다.
선수가 옵저버의 커맨드센터를 고의나 실수로 부숴서 옵저버를 엘리시켜 버리는 건.. 그건 경기 진행 방해이며 규정상 거의 반칙 몰수패 사유가 됐을 것이다.;;

그러다가 잘 알다시피 경기용 맵은 특수하게 트리거를 조작해서 옵저버를 위한 전용 자리가 있는 "유즈맵, 커스텀 맵" 형태로 만들어지고 쓰이게 되었다. 이제 옵저버의 일꾼을 제거하고 커맨드센터를 치우는 삽질을 할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하지만 경기 자체는 다른 특이 사항이 전혀 없고 건물 짓고 유닛 뽑아서 적 진영을 부수는 것밖에 없는데 매번 유즈맵을 쓰는 건 번거로웠다. 스타 프로그램 차원에서 일반 맵에다가 옵저버 참관 기능을 지원하는 게 제일 이상적이고 바람직했다.

결국 옵저버 참관 기능은 먼 훗날 스타의 1.18 패치에서 정식으로 도입됐다. 지난 1.08 패치에서 리플레이 기능이 추가된 것만큼이나 참신한 기능이다.
특히 이 참관 기능은 각 선수들의 개인 화면과 동급으로 진영별 자원 수, 생산· 연구 건물들의 내부 진행 상태까지 모두 볼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과거의 유즈맵 옵저버로는 그런 게 가능하지 않았기 때문에 선수 개인 화면의 모습을 직접 봐야 했다.

이렇게 과거에 꼼수로 구현하던 기능들이 훗날 정식으로 가능해진 것의 예로는 C++ 프로그래밍이 떠오른다.
일례로, 복사나 대입이 가능하지 않은 클래스를 만들기 위해서 복사 생성자나 대입 연산자를 private에다가 미구현 상태로 박아 넣는 꼼수가 동원됐지만.. C++14부터는 = delete라는 더 완전하고 깔끔한 문법이 언어 차원에서 추가됐다.

Posted by 사무엘

2020/08/03 19:31 2020/08/03 19:31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780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780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572 : 573 : 574 : 575 : 576 : 577 : 578 : 579 : 580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3049586
Today:
606
Yesterday:
2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