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코드를 읽으면서 신기하게 느꼈던 점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요즘 C++은 변해도 너무 많이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 것 같다. 뭔가 다른 언어에 있던 기능이 비슷한 형태로 그대로 도입되는 편이다.

1. final과 override

본인은 C++에 클래스에 뭔가 제약을 가하는 기능이 부족한 편이라고 볼멘소리를 늘어놓아 왔다. 어떤 클래스가 더 상속이 되지 않게 하기, 이 함수가 더 오버라이딩이 되지 않게 하기, 대입이나 복제가 되지 않게 하기 등...
하긴, 이런 불평은 나만 하는 게 아니며, 오히려 나보다 더 깐깐한 불편러 PL 순수주의 성향인 사람도 많다.

함수 차원에서 제약을 가하는 것은 요즘 C++에서는 = delete 문법이 생겨서 불편이 많이 해소됐다.
그런데 이것 말고도 C++에 final과 override라는 조건부 키워드도 드디어 추가되었다니 참 놀랍다.

class Parent final { }

요렇게 해 주면 Parent를 기반으로 삼는 파생 클래스를 만들 수 없다. class Child: public Parent {} 이런 걸 시도하면 에러가 난다.
한편,

class Parent {
public:
    virtual void foo() {}
};
class Child: public Parent {
public:
    void foo() override {}
};

여기서 override는 Child의 foo가 기반 클래스의 foo를 재정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표기는 당연히 전적으로 optional이기 때문에 하든 안 하든 컴파일러의 코드 생성과 프로그램의 실행에는 아무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단지, 기반 클래스에 저런 함수가 없는데도 파생 클래스의 함수에 override가 선언돼 있다면 컴파일러는 에러를 찍어 준다. 그러므로 저걸 집어넣으면 내가 함수의 스펠링이나 매개변수를 실수로 잘못 넣었는지 여부를 곧장 알 수 있다.
그리고..

void foo() final;

final을 집어넣으면 짐작하다시피 이 함수는 파생 클래스에서 오버라이딩을 할 수 없게 된다. override와 final을 동시에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멤버 함수의 선언 뒤에다가 뭔가 속성을 지정한다는 점에서 const와 비슷해 보인다. 허나, 다시 말하지만 얘들은 전적으로 컴파일 때의 편의를 제공하는 hint일 뿐이다. 코드의 생성 방식이나 심지어 명칭의 decoration에도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const는 이거 지정 여부로 함수 오버로딩을 가능하게 하는 변별 요인이지만 override와 final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클래스 안에 함수의 선언부에다가만 지정하고 함수의 몸체 정의에다가는 생략도 가능하다. const는 그렇지 않다.

2. [[??]] 속성 지정자

함수의 선언에서 리턴 타입보다도 먼저 맨앞에 붙어 있는 [[nodiscard]] 이런 문구가 정체가 무엇인지 궁금해서 찾아 봤는데..
이 함수의 리턴값을 무시하지 않게 하는 자잘한 속성 지정자였다. 이 함수는 호출만 하고 리턴값을 무시하는 경우, 호출하는 쪽의 코드에다가 경고를 날리게 된다.

&를 두 개 써서 R-value 참조자라는 걸 추가했듯이, 여는 대괄호도 2개를 써서 저런 새로운 문법을 만든 것이다.
nodiscard 말고도 컴파일러의 최적화 전략에 단서를 제공하는 속성이 몇 가지 더 존재하며, C++ 언어의 버전이 올라가면서 아이템들이 추가되곤 했다.

함수의 선언에는 함수의 이름, 리턴 타입, 그리고 인자들 목록과 타입만 있는 줄 알았는데 그 사이에 calling convention 지정부터 시작해서 갖가지 추가적인 정보와 단서들을 지정하는 문법이 야금야금 도입돼 왔다.

extern "C"도 있고, 그리고 Visual C++이 전통적으로 사용한 방법은 __declspec(????)이다.
특히 deprecated는 [[]]와 __declspec()에 모두 존재해서 이제 기능이 완벽하게 겹치는 것 같다. 자기들이 필요하니까 마소에서 먼저 deprecated API를 지정하는 속성을 비표준 방식으로 추가했는데 그게 이제야 표준에도 도입된 셈이다.

그런데 C/C++은 태생적으로 함수를 선언할 때 function이나 그에 준하는 별도의 키워드를 두지 않았고, "리턴값 함수명(인자)"라는 문법 형태만으로 함수를 선언 및 정의할 수 있게 해 놓았다. 그러다 보니 그 사이에다 추가적인 정보를 집어넣는 문법이 좀 지저분해진 것은 피할 수 없어 보인다.
관점에 따라서는 아까 저 final, override 같은 힌트 속성도 [[]] 형태로 일관되게 넣을 수도 있어 보이지 않는가?

이런 부가 정보들을.. 단순히 경고만으로 끝나는 것, 컴파일 가능 여부에 영향을 주는 것(final), 코드의 생성 방식에 영향을 주는 것(호출 규약), 최적화 방식에 영향을 주는 것, C++ name mangling에 포함되는 것(const) 등으로 한데 분류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다.

3. Variadic macro

요즘 C/C++에서는 #define 매크로 함수도 마지막 인자에다가 ...를 줘서 가변 인자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이게 없던 옛날에는 가변 인자를 받는 함수를 매크로 함수로 간단하게 치환할 수 없어서 그냥 이름만 치환하는 매크로 상수를 써야 했다. 그리고 매크로 상수로는 가변 인자의 앞에다가 추가적인 인자를 삽입해서 다른 함수를 호출하는 식의 응용을 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제는 그게 가능해졌다.

물론 가변 인자라는 건 근본적으로 C++의 이념과 그닥 어울리지 않는 물건이다. C++이 자체 제공하는 함수 오버로딩이나 default argument와 충돌하기 쉬우며, type-safety와 객체지향(특히 임시 객체에 대한 생성자/소멸자) 처리가 보장되지 않는다. 그러니 가변 인자로 주고받는 건 반드시 정수나 포인터 같은 단순 POD로 한정돼야 한다.

C++과 어울리는 물건이 아니다 보니 얘는 auto니 템플릿이니 하는 쪽에 관심이 온통 쏠려 있는 modern C++의 산물이 아니다. C99에서 맨 처음 도입됐던 것을 C++11이 나중에 같이 받아들인 것이다.
애초에 #define 전처리기도 C++보다는 꽤 C스러운 물건이다. 거기에 또 다른 C의 냄새가 풀풀 풍기는 ...이 잘 결합한 것 같다.

전처리기에는 ##이라는 연산자가 있어서 기존 명칭의 스펠링에다가 뭘 앞뒤로 붙여서 새로운 명칭을 만들게 해 준다.
그것처럼 가변 인자 매크로의 내부에는 가변 인자들 묶음을 한꺼번에 나타내는 __VA_ARGS__라는 특수한 매크로 상수가 정의되어서 사용 가능하다. 가변 인자 지원을 위해서 언어 문법이 확장이라면 확장된 셈이다.

사실, 이게 문법도 변형이 존재한다..

#define my_printf(a, ...)   printf(a, __VA_ARGS__) //A형
#define my_printf(a, args...)   printf(a, ##args ) //B형

지금은 A형이 표준인데 GNU C에서는 B형도 존재했는가 보다. Visual C++에서는 B형은 지원되지 않는다.

요즘 가변 인자가 활발하게 쓰이는 분야 중 하나는 printf 가변 인자 스타일로 문자열을 포매팅하는 디버그 로그 쪽일 것이다.
개발자가 잠깐 보고 마는 정보이니 문자열까지 쓸 것도 없이 간단히 char buff[256]으로 때워도 무관할 것이고 굳이 C++ string이나 stream을 쓸 필요가 없다. 더구나 이거야말로 디버그 빌드 여부냐에 따라 각종 조건부 컴파일과 전처리기 치환이 절실히 필요한 분야이니.. 가변 인자 매크로는 생각보다 개발 명분과 정당성이 풍부해 보인다.

추신:
글을 다 써 놓고 나중에 알고 보니 C++도 variadic macro와 비슷한 개념이 더 괴물 같은 형태로 템플릿에 이미 도입되었다.;; 이름하여 variadic template. template<typename... T> void foo(T.. args) {} 이러면 args가 __VA_ARGS__와 얼추 비슷한 argument pack 역할을 하게 된다.
이것 말고도 온갖 복잡한 용법이 많다. 이거 예시를 보이기 위해서 C++ 코드에다가 굳이 printf를 호출하려고 애쓰는 걸 보니 뭔가 느낌이 짠하다.

4. 현재의 함수 이름을 나타내는 매크로 상수

ANSI C에는 디버깅을 위해 __FILE__, __LINE__처럼 현재 컴파일 되는 파일 이름과 줄 번호로 유동적으로 치환되는 표준 매크로가 정의되어 있다. 이런 게 디버그 로그 내지 assert failure 매크로에서 즐겨 쓰인다.

그런데 현업에서는 이 뿐만 아니라 현재의 코드가 소속되어 있는 함수 이름 문자열을 나타내는 매크로도 쓰인다.
ANSI C 급의 원조 표준은 아니지만 #pragma once나 __super처럼 업계에서 오랫동안 사실상의 표준이나 마찬가지였던 물건이 있는데.. 바로 __func__이다.

얘는 C++11에서는 결국 정식 표준으로 등재되기도 했다. C++ 문법과 관계 있는 물건은 아니니 가변 인자 매크로처럼 C99에서 먼저 도입됐던 것이 추후 수용된 게 아닌가 싶다.
그리고 __FUNCTION__이라는 바리에이션도 __func__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Posted by 사무엘

2021/08/12 08:33 2021/08/12 08:33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920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920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432 : 433 : 434 : 435 : 436 : 437 : 438 : 439 : 440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983998
Today:
1735
Yesterday:
1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