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있으면 한글날이기도 하니 오랜만에 이 주제로.. ^^
나는 표준어와 맞춤법, 띄어쓰기 규정을 숙지하고, 어지간해서는 이것들을 최대한 준수하면서 글을 쓴다.
가령, 다르다/틀리다, 안/않, 되/돼 같은 거야 이견의 여지가 없으니 당연히 무조건 구분한다.
하지만 내가 꼭 지키지 않거나 예외를 두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 순우리말 또는 우리식 한자 발음으로 성 1, 이름 2자 형태가 아닌 성명들은 띄어 쓴다. '윤봉길, 안중근, 김 구, 박 마리아, 남궁 억' (단, 여기 내 개인 블로그에서는 1:2 형태까지도 다 띄어 쓰고 있음)
-- 외래어 명칭 다음에 일반명사가 결합할 때도 띄어 쓴다.
백두산, 한라산, 한강, 흑묘백묘론, 불교, 유교
에베레스트 산, 후지 산, 마지노 선, 모기지 론, 양쯔 강, 나일 강, 라인 강, 이슬람 교, 힌두 교, 조로아스터 교

이건 글자 단위 붙여쓰기를 좋아하는 한자 패러다임에다가 단어 단위 띄어쓰기를 좋아하는 라틴 패러다임이 나중에 섞이면서 벌어지는 어쩔 수 없는 혼란이다.
그렇다고 한글을 몽땅 다 풀어 써 버리면서 완전히 후자대로 할 수는 없으니 전자와 후자를 적당히 절충해야만 한다. 잘 정의된 띄어쓰기는 특히 한글 전용 주장하는 사람이 영원히 풀어야 할 숙제이다.

옛날 사람들은 한자 혼용만 한 게 아니다. 같은 한글도 고유명사나 외래어를 별도의 폰트로 일일이 구분해서 표기할 정도로 세밀했다.
내 개인적으로는.. 필요하다면 이 어절이 체언-조사인지 용언-어미인지 엄밀히 구분하는 표기도 도입돼야 한다고 본다. '삶은 계란'이 계란의 상태를 말하는 건지 인생의 본질을 말하는 건지 기계적인 구분이 필요할 때 말이다.

-- 주요 행적이 20세기 중화민국· 현대 중국/대만 배경인 중국인은 현지음으로 이름 표기. 청나라나 그 이전 중국인은 한국식 한자음으로 표기.
-- 접사인지 관형어인지 긴가민가한 단어는 일일이 띄어 쓰지 않는다. '전세계' the whole world는 원래 '전 세계'가 맞다고는 하지만 개인적으로 붙여 쓰는 게 더 편하게 느껴진다.
-- '맞다'는 동사뿐만 아니라 형용사적 용례도 허용해야 할 것 같다. 유사 단어인 '걸맞다', '알맞다'는 다 형용사이지만.
-- "강하고 담대하라" 역시 비문이 아니라 좀 허용해야 할 것 같다. 저게 잘못됐으면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라" 알아듣는 데 아무 지장 없는 이런 선언도 틀리게 된다. '거룩하다'도 동사가 절대 아니고 '거북하다'와 동급인 형용사인데?
우리말이 용언이 정말 애매하고 므흣한 품사통용 면모가 있다.

-- "잘 되길 바래".. 이것도 원래는 '바라'가 맞는데.. 아무도 그렇게 안 쓴다. 사실상 특례가 주어져야 하지 않을지? "바랬다"는 "바랐다"로 고쳐야겠지만, 저 종결어미는... 글쎄다.
-- 'S+모음' 외래어를 그냥 외래어로 쎄게 적는 편이다. 씬(scene), 쏘리(sorry), 싸인파(sine), 싸인(autograph). 이럴 때 신, 소리, 사인은 얼마나 뜬금없게 보이는가.
현대차에서도 소나타를 쏘나타로 괜히 바꾼 게 아니다. ㄲㄲㄲ

-- 개인적으로는 '처' 대신 '쳐'라고 쓰는 걸 아주 선호한다. "이거나 쳐먹어", "창고에 쳐박혀 있는 물건", "잠이나 쳐 자?", "저 사람 쳐 돌았구만" 등등 ㅋㅋㅋㅋㅋ
-- 몇몇 접사 내지 의존명사는 '깜, 꽈, 짜' 이렇게 된소리로 쓰고 싶다.

지난 1988년 한글 맞춤법 개정 때는 한자어의 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식이 단순화됐다.
실제 발음 때 들어가는 사이소리를 무시하고, 언제나 원래 한자음만 적는 걸로 바뀌었다.
숫자, 곳간, 셋방, 횟수 같은 6개 예외만 인정하고 나머지는 ㅅ을 뺀다. 촛점이 아니라 초점, 갯수도 아니고 개수..

저 쌍팔년도 시절에는 말에 된소리 거센소리가 늘어나면 사람 심성이 거칠어진다(!!!!!!) 이런 풍조가 강했다.
햇님이 아니고 해님.. 효과는 효꽈가 아니라 반드시 '효과' 그대로. 김밥도 김빱이 아니라 '김밥' 그대로..
그러니 사이소리는 말을 쓸데없이 쎄게 만드는(!!) 원흉이니, 표기에 더욱 반영되지 않고 무시됐다.

하지만 이 사이소리는 불필요하게 들어가는 게 아니라 동음이의어 구분이나 어원 구분, 형태소 경계 구분 같은 여러 역할도 한다.
여러 예가 있지만 하나만.. 내 개인적으로는 prime number를 뜻하는 '솟수'까지 '소수'라고 바꾼 건 잘못된 조치였다고 본다. '소수'는 안 그래도 뜻이 겹치는 동음이의어가 많은데 말이다.

개드립을 좀 치자면.. 표준어 제정한 사람들이 모두 문과 출신밖에 없어서 저렇게 된 게 아닐까? =_=;;;; 문송합니다 -_-;;
'솟수'라고 예외를 추가로 인정하거나, 아니면 씨수, 핵심수, 으뜸수 등.. 완전히 다른 말을 그때 새로 만들어서 학교에 보급했어야 했다. 그리고 대가도 뭐냐. 댓가라고 해 줘야지.

나는 뭐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이런 말을 순화하느니 그럴 게 아니라, '장' page / chapter 같은 기본적인 말부터 순우리말 대체제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말로 들어서 변별이 안 되는 거를 한자로 표기해 봤자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되지 않는다.

그래도 그나마 다행인 건, 이 프라임 '소수'라는 건 정수론에서 다루는 개념이기 때문에 '소수점' 따위하고는 영역이 겹칠 일이 없다는 것이다. 그 소수하고는 혼동될 일이 없다.
하지만.. 소수의 반의어가 합성수도 될 수 있고, 다수도 될 수 있으니.. 꺼림칙하다는 사실 자체는 변하지 않는다.

이상이다.
말이 나왔으니 말인데..
그러고 보니 지난 1990년대 이래로 지금까지 국내에서 30년 가까이 한글 맞춤법 검사기 내지 형태소 분석기 외길을 파 온 연구실은 다음과 같다. 이분들 2020년대 기준으로는 은퇴가 거의 임박했거나 이미 은퇴했다.

  • 부산대 권 혁철 교수: 아래아한글의 맞춤법 검사기
  • 한국외대 유 재원 교수: 마소 Word 한글판의 맞춤법 검사기
  • 항공대 이 긍해 교수: 두벌식 기반 한-영 자동 전환 오토마타를 개발했다.
  • 국민대 강 승식 교수: 초창기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의 원조가 아니었나 싶다.
  • 울산대 옥 철영 교수: 형태소 분석기의 떠오르는 강자이다.

아래아한글의 맞춤법 검사기는 오랫동안 개발돼 왔고 퀄리티가 좋은 편이지만, 2000년대 이후부터는 단순히 학교 문법뿐만 아니라 민간 국어 운동 이념이 들어간 판정도 많이 하고 있어서 약간 논란거리이다.
가령, 그냥 맞춤법· 오타를 지적하라고 돌리는 검사기에서 "일제시대가 아니라 일제강점기라고 써야 맞습니다"...;; 이런 것까지 굳이 지적할 필요가 있을까..?? 이런 식이다.

꼭 맞춤법 검사가 아니더라도 개인적으로 한국어· 한글 정보 처리 분야에서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띄어쓰기를 재구성하기. 하나도 띄어 쓰지 않았거나, 임의로 줄이 바뀌면서 어절 경계 정보가 소실된--특히 pdf나 ocr에서 긁어 온-- 텍스트의 문장을 원래대로 재구성하기
(영문도 대소문자나 하이픈 관련해서 휴리스틱이 필요한 처리가 있긴 하다. 하지만 그건 한국어보다는 훨씬 더 간단하다.)
-- 텍스트를 쭉 읽으면서 한자어는 몽땅 한자로 바꿔 주기. 당연히 헷갈리기 쉬운 한자를 틀리지 말아야 한다.
-- 텍스트를 이대로 읽을 때, 쓰여 있는 대로 곧이곧대로 발음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 토 달기 (긴소리, 사이소리, 말음 법칙, ㅢ의 발음 따위)

Posted by 사무엘

2024/10/06 19:35 2024/10/06 19:35
, , ,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2350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3040945
Today:
572
Yesterday: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