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옷, 지금까지 내 블로그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얘기가 거의 없었던 것 같다.
오늘날 정보화· 컴퓨터 세상의 근간을 담당하는 핵심 소프트웨어 기술을 꼽자면 (1) 운영체제(!!), (2) 컴파일러(컴퓨터에서 돌아가는 모든 프로그램들을 생성..), (3) 손실/무손실 압축 알고리즘, 그리고 (4) DB엔진이지 싶다. 딱히 무순으로 나열한 것임.

요즘은 전국민의 신분 근황, 학생들의 모든 학적 정보, 카드 거래 내역, 병원 진료 내역 등등등~ 모든 기록과 행적이 전산화됐다.
그리고 저기서 전산화라는 건 곧 DB화를 의미한다. DB 엔진 없이는 이 복잡한 세상이 돌아갈 수 없는 지경이 된 지 오래다. 또한 key-value 개념부터 시작해 삼라만상의 정보들을 다 표와 표를 융합해서 구축한다는 '관계형'이라는 모델, 그리고 정규화 계층 같은 DB 이론도 깊이 들어가면 생각보다 굉장히 심오하고 복잡하다.

똑같이 총이라 해도 권총부터 시작해 소총, 중기관총, 대포까지 다양한 크기가 있듯이 DB 엔진이라는 것도 스케일이 생각보다 매우 다양하다.
네트워크를 통해 들어오는 수백~수만~수백만 건의 동시 접속 트랜잭션을 소화하면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극도의 안정성(그 대신 성능 오버헤드도..)을 보장하면서 처리하는 대형 DB 엔진이 있다.
이런 건 일반 사용자가 개인용 PC에서 돌릴 일은 없는 물건이다. 오라클 내지 MS SQL Server 같은 프로그램의 제일 고급 에디션이 이 범주에 해당할 것이며 이런 건 가격도 왕창 비싸다.

MySQL은 저 정도로 방대한 스케일은 아니지만 원격· 다중 접속을 지원하고 로컬 내지 중소규모 웹 서버에서 굴리는 용도로 가성비가 아주 좋다. 게시판이나 블로그 엔진들이 컨텐츠를 얘를 기반으로 구축하곤 한다.

MS Office에 포함돼 있는 Access 정도로 가면 다중 접속은 이제 없고, 서버가 아닌 클라이언트 지향 DB가 된다. 개인용 컴퓨터에서 엑셀로 처리하기엔 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엑셀보다 더 프로그래밍 지향적으로 전문적으로 처리하는 도구로 격이 더 낮아진다. 예전에 Visual C++ 책을 봐도 DB 관련 API는 꼭 한 챕터가 할당돼 있었으며, ODBC는 큰 DB, DAO는 좀 작은 DB라고 봤었다.

개인적으로는 성경을 DB로 구축하니 좋았다. 성경은 신구약 전체가 31000구절쯤 되고 역본을 10여 개 갖고 있으면 구절 수가 몇십만 개에 달한다. 그리고 내가 원하는 구절만 쿼리를 날려서 찾는 건 아무래도 스프레드 시트보다는 응당 DB가 제격이다.

또한, 먼 옛날에 컴퓨터 학원에서 dBase III+를 배우던 추억이 떠오른다. 얘도 그 당시로서는 Access에 준하는 체급의 개인용 DBMS라 볼 수 있겠다. SQL이 아닌 독자적인 문법 기반이었고, 명령 프롬프트 모드도 있고 메뉴를 띄워서 DB 파일을 관리하는 assist 모드도 있어서 UI가 독특했다. 또한 dBase가 생성하던 DBF 파일은 도스 시절에 아래아한글도 전화번호부에서 사용하고 DB Viewer를 제공할 정도로 옛날에 꽤 대중적인 파일 포맷이었다.

여느 워드 프로세서나 스프레드 시트와는 달리, DB 프로그램에서는 각 데이터에 속하는 속성들을 자료형과 크기까지 꽤 까다롭게 미리 지정해 놓고 데이터를 넣어야 한다. 프로그램 코딩을 할 때 말고 '자료형'이라는 개념을 따지고 생각해야 하는 분야는 아마 DB밖에 없지 싶다.

사실은 프로그래밍 언어 중에도 자료형이 엄격하지 않고 귀걸이 코걸이 식으로 변할 수 있는 언어가 있다. 그리고 DB 자료형은 엔진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프로그래밍 언어의 그것과는 달리 딱히 기계 친화적으로 지정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다. 숫자형의 표현 범위를 2진법이 아닌 10진법 기준 자릿수로 지정하는 것처럼 말이다.
전화번호는 절대로 숫자형으로 지정하지 말고 문자열형으로 지정해서 넣어야 한다고 학원 선생님에게서 들은 기억이 남아 있다.

"명령줄 기반 + UI + 반쯤 절차형 프로그래밍 환경"이라는 점에서는 이런 DB 프로그램은 매쓰매티카 같은 수학 패키지와도 구조가 비슷한 구석이 있는 것 같다. 아무나 함부로 접근하기는 어렵다는 공통점도 있고 말이다.

그에 비해 엑셀은 어떤가? 대용량 데이터를 취급하는 성능은 DBMS보다 뒤쳐지고, 수식 계산은 수학 패키지에, 비주얼과 레이아웃 기능은 워드 프로세서에 밀린다. 엑셀은 심벌 연산이나 임의 자릿수 계산 기능이 없으며(수학 패키지), 성능을 위해 위지윅(워드 프로세서)도 포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엑셀은 이들 이념을 어중간하게 절충해서 얻은 접근성과 성능, 가성비 덕분에 일반 사용자에게 최고의 업무 처리 앱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일종의 포지셔닝을 잘해서 승리자가 됐다. 한 값이 바뀌었을 때 관련된 셀의 값들이 연달아 쫙 바뀌는 동적인 문서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게 최고의 강점인 듯하다. 또한 피벗테이블/차트는 SQL 같은 거 하나도 몰라도 SELECT 쿼리에서 특히 GROUP BY를 적절하게 구현해 줬다고 볼 수 있다.

DBMS는 굳이 사람만 쓰는 건 아니고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로컬에서 내부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에.. 그러니까, 사람이 관리하는 데이터 말고 프로그램이 자기 혼자만 취급하는 데이터를 관리할 목적으로 말이다. 이런 데에 미들웨어 컴포넌트처럼 쓰이는 DB 엔진은 덩치가 더욱 작고 백업· 응급 복구 같은 안전 기능이 없는 대신, 크기· 성능 오버헤드가 더욱 작고 빠르다.

예전에 파일 포맷에 대해서 글을 쓴 적이 있었다. 내 프로그램이 테이블 형태이고 수정이 빈번한 몇백만 개의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는데, 파일 포맷을 새로 만들기는 심히 귀찮고 그렇다고 단순 선형적인 바이너리/텍스트 컨테이너 포맷을 쓰기에는 성능이 우려된다면, 범용성으로 인한 약간의 오버헤드를 감수하고라도 저런 내장형 소형 DB를 얹는 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괜히 파일 내부에서 골치 아픈 청크가 어떻고 헤더가 어떻고 데이터를 바이너리 비트 수준에서 신경 쓸 필요 없이, 그냥 테이블 스키마.. 이건 프로그래밍 언어로 치면 C/C++ 쓰던 게 아주 고수준 언어로 바뀐 것과도 같다. DB 구조 자체가 일종의 파일 시스템에 대응하니까.

특히 데이터 전체를 무식하게 메모리에 다 올려서 작업하는 형태가 아니라면 DB의 가성비가 더욱 올라간다. 요즘 시대에 다 차려져 있는 밥상인 검증된 오픈소스 솔루션을 놔두고 개발자가 B+ 트리 같은 거 일일이 구현하면서 삽입 삭제 수정 케이스를 일일이 테스트 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런 컴퓨터지향적인 DB는 DB가 하는 본연의 작업에다가 비교/정렬/데이터 변형 알고리즘 같은 일부 핵심 작업만 내가 custom으로 작성한 함수로 대체할 수 있어서 대단히 강력하고 편리하다. 당연히 C/C++로 작성하여 네이티브 코드로 빌드한 함수로 말이다. 파이썬이나 Lua처럼 C/C++ glue에 뛰어난 고급 언어가 있듯, glue에 최적화된 DBMS도 응당 있다.

Visual Studio의 경우 인텔리센스 엔진이 ncb 자체구현 DB를 쓰던 것이 2010부터는 자사의 SQL Server "Compact Edition" DB 기반으로 바뀐 것으로 유명하다. 그런 건 DB를 사용하기 꽤 적절한 용례로 보인다. C++ 문법이란 건 앞으로 또 뭐가 생기고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데 그런 것에 대응하는 것도 파일보다는 DB 지향이 더 유리하겠다.

MS 것 말고도 이 바닥의 유명한 오픈소스 소형 DBMS로는 SQLite가 있다. 리처드 힙이라는 아저씨가 만들었는데, 그냥 오픈소스로도 모자라 골치아픈 LGPL, MIT 라이선스 그딴 것조차 거부하고 소스를 걍 public domain으로 뿌렸다..;;; 그러면서 "님이 받은 만큼 님도 남에게 베풀어 주세요"를 저작권 notice랍시고 적은 게 전부이고.. 천재에다 신자이고 굉장한 대인배이신 듯하다.

The author disclaims copyright to this source code. In place of a legal notice, here is a blessing:
- May you do good and not evil.
- May you find forgiveness for yourself and forgive others.
- May you share freely, never taking more than you give.


모질라 재단의 이메일 클라이언트 유틸인 ThunderBird는 워낙 대용량 편지함을 관리하다 보니 내부 파일이 SQLite DB인 듯하며, 안드로이드 OS에서도 얘를 적극 활용 중이라고 한다. 그러고 보니 소형 DB들은 MS것과 오픈소스 모두 제품명에 compact, lite라는 '꼬마'를 나타내는 단어는 꼭 들어가 있다.

본인도 회사에서 SQLite를 좀 다룰 일이 있었다.
SQLite는 코드가 다양한 플랫폼에서 다양한 문자 인코딩(UTF-8, UTF-16 빅/리틀/디폴트)에 대비하여 API가 굉장히 세심하게 설계된 게 인상적이었다. 하긴, 인코딩에 따라 한글 같은 건 글자 수가 달라져 버리니 정보량에 매우 민감한 DB에서 그걸 민감하게 다루지 않을 수가 없다. 간단하게 단일 문자열로 통합· 추상화가 가능하지 않다는 얘기다.

콜백 함수는 자신이 받고 싶은 문자열의 형태를 지정해 줄 수 있으며, 콜백 함수 자체의 인자는 char도, wchar_t도 아닌 const void*로 돼 있다.
그리고 DB 내부에서 사용하는 문자열뿐만 아니라 열고 싶은 DB 파일을 지정하는 것도 16비트 문자열형 버전이 따로 있는데, 이건 Windows처럼 16비트 문자열을 네이티브로 쓰는 OS에서 CreateFileW 같은 W API를 쓰면서 제 성능을 낼 수 있게 한 배려로 보인다.

다음은 DB와 관련된 여러 문자열 처리 관련 잡설들이다.

1. 정렬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제공하는 문자열 비교는 정말 단순무식하게 숫자 비교의 연장선으로서 각 문자들의 코드값 비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허나 실생활에서는 오름차순/내림차순부터 시작해 대소문자 구분, 언어 정보를 고려한 비교 같은 복잡다양한 옵션이 필요하다.

대중적이고 자주 쓰이는 옵션은 SQL에서도 언어 차원에서 (1) 옵션을 제공한다. 하지만 좀 더 복잡한 정렬을 위해서는 값을 그대로 비교하는 게 아니라 (2) 사용자가 변조한 값을 비교한다거나 (3) 아예 비교 함수 자체를 customize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3)만 있어도 (1)과 (2)는 다 처리가 가능하니 C 언어의 qsort 함수는 비교 함수만 인자로 받는다. 그러나 파이썬의 정렬 함수는 (1)~(3)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운용 가능하다. SQL은 collation이라는 개념으로 정렬 알고리즘 자체를 customize할 수 있다.

2. 토큰화

구분자를 사이에 두고 여러 문자열들이 뭉쳐 있는 문자열을 토큰화해서 문자열(단어)들의 리스트로 뽑아내는 건 탈출문자 인코드/디코드만큼이나 이 바닥에서 굉장히 흔하게 행해지는 작업인 것 같다. 파이썬의 경우 split이라는 메소드가 있다.

그런데 토큰화라는 게 두 부류가 있다. 하나는 구분자가 whitespace 부류이기 때문에 "A    B"나 "A B"나 똑같이 A와 B로 분간되는 것이다. A와 B 자체는 빈 문자열이 될 수 없다.
다른 하나는 구분자가 콤마나 세미콜론 같은 부류이며, 한 구분자가 정확하게 한 아이템만을 분간한다. A,,,B라고 쓰면 A와 B 사이에 빈 문자열이 두 개 더 걸려 나온다..

C가 제공하는 오리지널 strtok는 컨텍스트를 받는 인자가 없어서 (1) 토큰 안에서 또 토큰 구분을 할 수 없으며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사용하기에도 위험하다. 그뿐만이 아니라 얘는 (2) whitespace형 토큰화만 지원하기 때문에 콤마형 토큰화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도 단점이다. 그래도 뭔가 문자열을 또 복사하고 생성하는 게 없고 성능 하나는 나쁘지 않기 때문에 컨텍스트 인자만 추가해 주면 여전히 유용한 구석은 있다.

DB를 텍스트 형태로 덤프 백업하면 그냥 csv 형태로만 뱉는 게 아니라, 그대로 SQL을 실행만 하면 DB의 재구성이 가능하게 INSERT INTO xxx VALUES가 붙은 형태로 백업되는 것도 많다. DB 스키마는 그냥 CREATE TABLE ... 형태가 될 것이고.
코드와 데이터의 경계가 모호하다. DB 백업도 뭔가 JSON 같은 포맷과 연계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잠시 들었다.

3. 검색어의 전처리

SQL로 문자열을 검색하고 싶으면 그 이름도 유명한 LIKE 연산자를 쓰면 된다. 어지간한 프로그래밍 언어라면 함수 형태로 구현되었을 기능이 SQL에서는 연산자이다.
얘는 정규 표현식과 같지는 않은데 반쯤은 정규 표현식을 닮은 문법을 지원하여, A LIKE B는 A가 B라는 패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되돌린다.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열을 뜻하는 와일드카드가 *가 아니라 %이다. XXX로 시작하는 문자열, 끝나는 문자열, 중간에 XXX가 포함된 문자열 같은 게 다 이걸로 커버 가능하다.

그런데 탈출문자/와일드카드가 존재하는 모든 문자열 체계가 그렇듯이 그 탈출문자 자체는 어찌 표현하느냐가 또 문제가 된다. 이를 위해 SQL에서는 A LIKE B 다음에 ESCAPE C라고, '필요한 경우' 탈출문자를 사용자가 지정해 줄 수 있다. 그래서 \%, \_ 이런 식으로 와일드카드 자체를 표현할 수 있다. 탈출문자 자체는 역시 그 탈출문자를 두 번 찍으면 표현 가능.
탈출문자로는 C/C++처럼 역슬래시를 써도 되지만, 다른 걸 지정해 줘도 된다. SQL은 의외로 이런 데에 유도리가 있다. LIKE는 뒤의 ESCAPE와 합쳐져서 삼항 연산자 역할도 한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다음으로, SQL에서 문자열 상수(리터럴)는 작은따옴표 또는 큰따옴표로 모두 표현 가능하다. 문자열 내부에 작은따옴표가 있으면 큰따옴표로 둘러싸면 되고, 그 반대의 경우를 사용해도 된다. 그런데 고약하게 문자열 내부에 두 종류의 따옴표가 모두 존재한다면 그 따옴표 자체는 따옴표를 두 번 찍어서 표현하면 된다. 이건 LIKE 연산자가 아니라 SQL 파서 자체에서 인식하는 탈출문자이므로 LIKE 연산자가 인식하는 탈출문자와는 성격이 다르다. C/C++로 비유하자면 위상이 \ 탈출문자와 printf % 탈출문자와의 관계와도 같다.

쿼리 내부에서 따옴표 탈출문자의 처리는 매우 철저하게 해야 한다. 안 그러면 이건 SQL injection이라는 보안 취약점이 되기 때문이다. SELECT ... WHERE id='A' 이런 식으로 쿼리를 작성했는데 A 내부에 또 작은따옴표가 존재해서 문자열 상수를 종결해 버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이 쿼리의 실행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면.. WHERE 절을 언제나 true로 만들 수 있고 DB 내용을 몽땅 유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사건이 대외적으로는 '해킹' 내지 '개인정보 유출'이라고 보도된다.

Posted by 사무엘

2016/12/11 08:38 2016/12/11 08:38
,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304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304

Comments List

  1. 허국현 2016/12/16 11:39 # M/D Reply Permalink

    저작권 문구가 정말 인상적입니다.

    비슷한 성경 구절들이 연상될 정도네요.

    1. 사무엘 2016/12/16 12:26 # M/D Permalink

      네~ 정말 대단하지요. ^^ 개인 홈페이지를 찾아가 보면 알겠지만, 저분은 소수 민족 언어 성경 번역에도 관심이 있을 정도로 실제로 신자이기도 합니다.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1040 : 1041 : 1042 : 1043 : 1044 : 1045 : 1046 : 1047 : 1048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3054453
Today:
689
Yesterday:
2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