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순의 차이

성경 용어만 해도 ‘그리스도 예수’랑 ‘예수 그리스도’는 용례와 의미가 서로 미묘하게 다르고 kingdom of heaven과 heavenly kingdom (딤후 4:18)은 다르다.
수학에서 '제곱근(=루트) 2'는 그냥 1.414...로 시작하는 양의 무리수 하나이지만, '2의 제곱근'은 말 그대로 방정식 x^2=2의 근을 모두 나타내므로 양수와 음수를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예전에 몇 번 언급한 적이 있었듯이, C++에서 new operator와 operator new는 다르다.
전자는 말 그대로 객체나 배열을 heap 메모리에 동적 생성할 때 사용하는 new 연산자 자체를 가리킨다. 그러나 두 단어의 순서를 바꿔서 ‘operator new’라고 하면, new 연산자가 메모리 할당을 위해 내부적으로 호출하는.. C로 치면 malloc 같은 함수를 가리키게 된다.
또한 function template이라고 하면 클래스 템플릿과 달리 함수 형태로 선언된 템플릿이고, template function은 그 템플릿에다가 템플릿 인자가 주어져서 실제 코드가 생성된 함수를 뜻한다.

이런 예가 언어학에도 있다. isolating language는 형태 구조상의 고립어를 말한다. 중국어 같은 언어. 영어도 이제 굴절이 하도 무뎌졌다 보니 이 정도면 많이 고립어처럼 된 거 아니냐는 얘기가 있다.
그 반면 language isolate는 계통 분류상으로 유사 언어를 현재로서는 도무지 찾을 수 없는 고립어, 언어계의 ‘은행나무’ 같은 특이한 유아독존 언어를 말한다.

그리고 한국어가 그런 유별난 위치를 차지하는 것에 우리 반도 사람들은 자부심을 갖도록 하자. =_=;; ‘우랄 알타이 어족/제어’처럼 한국어도 공통 조상이 있고 타 언어들과 같이 분류 가능할 거라는 가설은 현재로서는 근거 부족으로 인해 부정되고 있는 추세이니까.

물론, 일본어도 굉장히 유별나긴 하지만 걔들은 화자가 많고 여러 지역에 바리에이션이 있기 때문에 작게나마 자체적인 ‘어족/언어군’을 형성할 정도는 된다.
한국어는 그 정도까지 안 되지만 그래도 남한이 선진국 말석 정도는 차지하는 강소국이고, 다른 모든 소수 고립어 화자들을 합한 것보다 훨씬 더 많은 화자를 보유하고 있는 특이한 고립어이다.

끝으로, 우리나라 지명에도 어순 장난의 끝판왕이 대전에 있다. 서대전네거리역, 서대전역네거리, 서대전네거리..;;;가 모두 서로 다른 장소이고 버스 정류장 이름이기도 하다.

2. 고속버스 터미널

지금으로부터 1년 남짓 전인 2016년 8월경에 서울 강남 고속버스 터미널의 공식 명칭이 터미 “날”에서 “널”로 드디어 바뀌었다.
고속버스 타고 서울 올 때마다 굉장한 옛날 스타일의 간판 글씨체와 더불어 ‘날’이 참 압박스럽긴 했는데, 이제야 손을 봤나 보다.

그런데, 저기 말고 여전히 ‘날’이 활발히 쓰이는 곳이 있긴 하다. 바로 맥도 “날” 드.
원어 발음상으로는 둘 다 동일한 소리이다.
ㅓ와 ㅡ 사이의 미묘한 그 어눌한 중모음, 모음 삼각도에서 정중앙에 위치한 일명 ‘슈와’이다. 이마저도 워낙 약하게 발음되기 때문에 사전에 따라서는 이탤릭으로 표기하거나 아예 생략하기도 한다.

옛날에는 실제 발음은 상관없이 스펠링이 A니까 ‘날’이라고 적었던가 보다.
사실, 강남 고속버스 터미널이 처음 생겼던 1980년대는 컴퓨터조차도 ‘콤퓨타’ 이러던 시절이었다. 배터리 같은 것도 없고 ‘밧데리’가 있을 뿐이었지. 지금으로서는 ’-읍니다’ 만큼이나 굉장한 이질감이 느껴진다.

3. 어휘를 구성하는 글자

어떤 개념을 나타내는 두 글자짜리 한자어가 있는데, 그 개념을 더 실질적으로 가리키는 글자는 둘 중 무엇이냐 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원소 '유황'(sulfur). 흔히 '황'이라는 글자 자체가 저 원소를 가리킨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다. '황'은 그냥 '노랑'이라는 뜻일 뿐으로, 동음이의어 변별을 위해 덤으로 붙은 말에 가깝다. 금을 '황금'이라고 수식해서 부르는 것처럼 말이다.

원래는 '황' 대신 앞의 '유'(硫)가 진짜 sulfur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H2SO4라는 용액도 옛날에는 '황산'이 아닌 '유산'이라고 불렀으나.. 지금은 '황'이 '유'를 완전히 대체한 상태이다. 다만, 유황은 황산이나 황금과 달리 황이 앞에 붙지 않았는지는(황유..!) 잘 모르겠다.

그리고 본인이 꽤 재미있는 예를 또 찾은 것은 '명령'(command, instruction)이다.
"어명이오~!" 할 때는 '명'에도 명령이라는 뜻이 있으며, 이는 국어사전에도 '준말'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명령의 뜻을 가진 것은 뒤의 '령'(令)이다. 법령, 시행령, 포고령 등..

"누가 기침소리를 내었는가?"로 유명한 태조 왕건 80회 장면을 보면.. 궁예의 명령대로 신하를 죽이는 '금대'라는 장수가 하는 말이 대본상으로는 "폐하의 명이시니라. 눈을 감아라"라고 되어 있다.
그러나 TV에 방영은 "폐하의 영이시니라."라고 말하는 것으로 나갔다. 흥미롭지 않은가?

command는 명령으로, instruction은 지령으로, direction은 지시 정도로 번역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 다 어차피 일본식 한자어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지령'을 내리는 주체도 이상한 곳인 경우가 참 많다 보니 '동무, 인민'만큼이나 쓰기가 참 민망해져 가고 있다.

4. 며칠, 너머 등

우리말에는 '맞다'가 동사· 형용사 경계를 오락가락하는 것처럼.. 부사· 명사 경계를 오락가락하는 단어가 좀 있다. 대표적인 예는 '모두'이고, '서로'(상대방), '스스로'(자기 자신)도 좀 비스무리하다.
멀쩡한 부사 단어를 명사로 써서는 안 된다고 강경하게 주장하는 국어 운동가 내지 연구자도 있지만 썩 먹혀들지는 않고 있는 것 같다.

그런데 '넘다'라는 용언에 연결어미 '-어'가 붙은 활용형 '넘어'는 이게 통째로 명사로 쓰이기 때문에 사전에도 소리 나는 대로 풀어 쓴 '너머'가 등록되어 있다. "저 산 너머에는 뭐가 있을까?"
"저 강 건너에는 뭐가 있을까?"처럼 다른 유사 동사를 갖다붙여서는 말이 되지 않으니, '넘다'에만 저렇게 독특한 바리에이션이 있다고 본 것이다.

다들 사망과 관계가 있는 단어이긴 하다만, 무덤(묻다), 주검(죽다).. 그리고 '설거지'(설겆다)도 어원을 밝히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적고 있다. '굳다', '붓다', '웃다', '눋다' 등 다른 단어들을 살펴봐도 '-엄'이 붙은 활용례를 도통 찾을 수가 없으니.. 저건 생산성을 상실한 죽은 단어라고 보기 때문이다.

이런 단어들을 그냥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을 그냥 귀차니즘이나 맞춤법의 퇴화라고 꼭 부정적으로만 볼 필요는 없다. 단어는 언제까지나 합성어 형태로 남는 게 아니라 그 자체가 더 쪼개지지 않는 형태소인 것처럼 간소화도 돼 있어야 그게 또 다른 합성어의 부품으로도 쓰일 수 있고, 더 복잡한 개념을 나타내는 데 쓰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머리카락, 킬로그램조차도 너무 복잡하다고 "머리 자른다", "20키로" 이러는 게 인간이다. '머리카락'이 '멀칼' 이런 식으로라도 굳어졌다면 굳이 "머리 자른다"라고 말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일본은 합성어를 '게센', '프레스테' 제멋대로 잘도 짜르는 걸로 유명하며, 영어권에서도 로봇은 그냥 bot으로, 애플리케이션은 app으로 잘만 짤라서 AppStore 같은 단어도 만들어서 쓴다.

띄어쓰기(한 번, 한번 같은..)와 저런 표기 방식(넘어, 너머)이 한글 맞춤법에서 참 어려운 떡밥인데..
'며칠'은 '몇 주, 몇 개월'과는 달리, 통념상 한 단어로 굳어진 듯하다는 이유로 붙여 쓴다. '큰코다치다'를 한 단어로 쓰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품사(너머)나 뉘앙스(한번) 같은 거 따질 필요 없이 '몇 일'을 쓸 것을 기계적으로 '며칠'이라고 대체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5. 사이시옷이 아닌 표기

한글에서 받침 ㅅ은 한국어의 사잇소리를 표기할 때, 그리고 외래어에서도 음절말 D, T 발음 같은 걸 적당히 표기할 때 굉장히 즐겨 쓰인다. 그런데 이런 관행에만 너무 익숙해지면, 단어의 최소한의 어원을 생각하지도 않고 ㄷ 받침 소리를 몽땅 ㅅ으로 잘못 표기하기 쉽다.

  • '옛다'가 아니라 '옜다'가 맞다. 굉장히 의외이고 본인도 오랫동안 잘못 알고 있었다. 이 단어는 '예'(yes? old?)라는 형태소와는 전혀 관계 없이, 단순히 "여기 있다"의 준말이기 때문이다. ㅆ이 어색하게 느껴진다면 '있다'를 생각하면 된다. '옜'은 안 그럴 것 같지만 나름 KS X 1001 완성형에도 포함돼 있는 문자이다.
  • '반짇고리'도 무슨 '반지+고리'의 합성어가 아니라 '바느질'이 줄어든 형태이기 때문에 ㅅ 받침이 쓰이지 않았다. '숟가락'이 '술+가락'의 축약· 합성어이기 때문에 '숫가락' 대신 '숟가락'으로 적는 것과 동일한 이치이다. 그나저나 반지와 고리.. 영어로 둘 다 ring인 게 흥미롭다.

6. 기타 표기

  • 개인적으로 '소시지'가 맞는지 '소세지'가 맞는지 종종 헷갈리곤 했다. 최근에는 안 헷갈리는 노하우를 터득했는데, 그건 바로 '메세지'가 아니라 '메시지'라는 걸 떠올리면 된다는 것이다. 영어로는 똑같이 i 발음이다. 본인은 '메시지'는 혼동한 적이 없다.
  • 영어로 된 흑인영가 찬송가를 하나 듣고 있었는데.. 웬 "길르앗에 폭탄?" 이게 무슨 말이지 도저히 이해되지 않아서 알아봤더니.. 아~ BOMB이 아니라 BALM이었다. '길르앗의 향유'는 성경에서 유명한 물건이다. (렘 8:22, 렘 46:11)
    발음은 [ba:m]으로 둘 다 동일한데, 각 단어가 제각기 B, L이라는 기괴한 묵음도 있고 철자가 이상하다.
  • 그러고 보니 형용사화 접미사 -al이 붙은 영어 단어에서 끝의 L만 빼서 고유명사를 만든 예가 한국과 일본에 하나씩 있다. 기아 자동차 포텐샤(Potentia), 그리고 버추어(Virtua) 파이터. 어째 이런 것도 우연인가 싶다.

그리고, '브로더번드'라고 먼 옛날에 그 유명한 페르시아의 왕자 게임을 배급했고, 그것보다는 덜 알려졌지만 배너매니아(BannerMania)를 개발· 판매하기도 한 미국의 소프트웨어 회사가 있다. 지금도 회사가 살아는 있는 모양이다.
얘는 영문 표기가 Broderbund이다. 뭔가 '브라더'스러운데, 실제로 저 이름은 "band of brothers"에서 어순과 어감을 적당히 변조한 신조어라고 한다. (이거 무슨 SK 브로드밴드도 아니고..)

단, 더 정확한 공식 표기는 그냥 o가 아니라 사선이 쳐진 ø이다. 스펠링까지 미묘하게 이렇게 바꿨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컴퓨터 키보드로 치기 어렵거나 귀찮다는 이유로 그냥 o를 쓰기도 하며, 초창기엔 발음조차도 '로'냐 '루'냐 혼란이 있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아래아한글은 공식 명칭 표기에 컴퓨터에서 입력하기 쉽지 않은 옛한글이 포함돼 있다. 그래서 편의상 '한글'이나 '한/글'이라고 이름을 표기하기도 했으며, 공식 명칭을 '혼글', 심지어 '훈글'이라고 읽는 사람도 있었다. 브로더번드의 경우 라틴 알파벳 문화권에서 딱 그런 현상을 보는 것 같다.

Posted by 사무엘

2017/11/12 08:35 2017/11/12 08:35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426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426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922 : 923 : 924 : 925 : 926 : 927 : 928 : 929 : 930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990370
Today:
1930
Yesterday:
1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