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Windows

과거에 Windows 95에는 워드패드, 그림판, 메모장, 계산기, 지뢰 찾기 같은 친근한(?) 프로그램 말고, 디스크 검사나 조각 모음, 남은 리소스 표시기 같은 프로그램도 같이 제공되었다. 이런 건 도스 시절부터 유틸리티 내지 '툴'이라는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온 프로그램들이다.

Windows 98에는 간략히 보기(QuickView)라는 유틸리티도 있어서 탐색기의 우클릭 메뉴를 통해 실행할 수 있었다. 주요 문서· 이미지 파일들을 본격적인 편집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내용만 재빨리 들여다볼 수 있었으며, 제공되는 COM 인터페이스를 확장하면 제3자가 임의의 파일 포맷에 대해서 간략히 보기 기능을 추가로 제공해 줄 수도 있었다.

또한 이 QuickView는 자체적으로 exe/dll의 내부 구조를 분석해서 보여주는 기능도 있었다. 32비트 바이너리에 대해서는 PE 헤더에 기록된 내용과, import/export 심벌의 내용을 보여줬으며, 16비트 바이너리에 대해서는 각종 resident/non-resident 문자열 테이블의 내용을 보여줬기 때문에 파일 내부를 들여다보는 용도로 꽤 괜찮았다.

다만, Visual C++ 6부터는 빌드하는 바이너리에서 import 및 export 심벌들을 고유한 섹션 없이 그냥 rdata 섹션에다가 집어넣기 시작했는데, 이건 QuickView가 제대로 감지해서 보여주지 못했다. 그리고 QuickView는 Windows 2000/ME 같은 후대 버전에서는 더 존재하지 않고 없어졌다.
그 대신 Windows 95가 아닌 98에서 첫 도입되어 지금까지 전해져 오는 유틸리티는 (1) 시스템 정보(msinfo32), 그리고 (2) DirectX 진단 도구인 dxdiag이다.

시스템 정보는 도스 시절부터 PC-Tools나 Norton 같은 3rd-party 유틸리티들이 단골로 제공하던 기능이었는데, Windows용으로는 딱히 마땅한 게 없었다. 단순히 운영체제의 버전이나 남은 메모리 양 말고 컴퓨터 프로세서의 명칭이나 정확한 속도 벤치마킹 같은 건 쉽게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아니었다.

사실, 시스템 정보는 Windows 팀이 아니라 Office 팀에서 먼저 개발해서 독자적으로 제공하고 있었다. Windows 95보다도 더 이른 1994년에 출시된 Word 6.0의 About 대화상자를 보면 System Info라는 버튼이 있다. 그러던 것이 Windows 98부터는 운영체제 기능으로 옮겨진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System Info의 초기 버전에는 현재 실행 중인 Office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 그 제품이 현재 열어 놓은 문서 같은 시시콜콜한 정보도 표시해 주는 기능이 있었다. 그러나 그 기능은 Windows XP인가 Vista 즈음부터 삭제됐다.
지금은 시스템 정보에서 본인이 종종 유용하게 열람하는 것은 CPU 관련 정보, 그리고 현재 실행 중인 모든 exe/dll들을 조회하는 기능 정도이다.

한편, dxdiag도 처음 도입됐을 때와 달리 인터페이스가 갈수록 단순해지고, 그냥 '드라이버 상태 이상 무'만 출력하는.. 있으나마나 한 유틸이 돼 간다.
처음 도입됐을 때는 간단한 예제 그래픽과 애니메이션, 음악을 출력하면서 상태를 점검하는 기능이 있었다. 그랬는데 DirectDraw는 그냥 운영체제의 기능으로 흡수되고, DirectMusic나 DirectPlay 같은 건 짤리고 DirectX는 오로지 Direct3D에만 올인을 하면서 진단 도구도 지금처럼 바뀌게 됐다. 그래픽 쪽도 데모 기능은 없어졌다.

2. Visual Studio

Visual Studio (더 정확히는 Visual C++)는 개발툴이다 보니, 프로그래머의 입장에서 도움이 되는 자그마한 유틸리티들이 이것저것 같이 제공되곤 했다.

가장 대표적인 물건은 (1) Spy++이다. 응용 프로그램이 생성하는 모든 윈도우들과 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메시지들을 들여다볼 수 있으니 역공학 분석 용도로도 아주 좋다. 이 프로그램은 Visual C++ 초창기 버전부터 지금까지 거의 모든 버전에서 개근하고 있다. 아이콘에 그려져 있는 스파이(?) 아저씨도 처음에는 초록색 복장이다가 분홍색, 보라색을 거쳐 검정색까지 여러 번 변모해 왔다.

다만, 최신 운영체제에서 새로 추가된 메시지를 지원하는 것 외에 딱히 추가적인 개발이 되고 있지는 않으며, 도움말도 2000년대 초에 chm 기반으로 바뀌고 나서 딱히 변화가 없는 것 같다. VC++ 2005 즈음 버전에서, 트리 구조가 리스트 박스를 쓰던 것이 진짜 트리 컨트롤 기반으로 바뀐 것이 그나마 큰 변화였다.

그리고 (2) Dependency Walker도 아주 훌륭한 도구이다. 어떤 EXE/DLL이 외부로 제공하는(export) 심벌, 그리고 자신이 import하는 심벌들을 모두 분석해서 모듈별 dependency tree를 딱 구축해 준다. 아까 소개했던 QuickView와 달리, 최신 버전 바이너리들도 잘 지원한다.
심지어 Profiling이라고,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 동적으로 불러들이는 dll과 심벌까지 찾아 주는 기능도 있다.

얘는 Visual C++ 6에서 1.x대의 구버전이 같이 제공되었지만 2000년대 이후부터는 같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개발자의 홈페이지에서 최신 버전을 따로 받아야 한다. 다만, 이 프로그램은 2000년대 중반, Windows Vista 타이밍 이후로 개발과 지원이 사실상 중단된 듯하다.

(3) GUID 생성기는 프로그램 짜면서 내 오브젝트의 GUID를 생성할 일이 있을 때 사용하면 되는 물건이고..
(4) Error lookup도 매번 winerror.h를 뒤지는 수고를 덜어 주니 좋다. 소켓 API처럼 특정 모듈을 불러들인 뒤에야 내역을 알 수 있는 에러 코드값도 의미를 알 수 있다.

옛날에, 2003 정도 시절까지는 뭐랄까 COM 기술과 관계가 있는 도구가 더 있었다.
(5) ActiveX Test Container는 운영체제에 등록돼 있는 ActiveX 컨트롤들을 마치 Visual Basic처럼 클라이언트 영역 여기저기에 설치해 놓고는 이벤트 로그를 확인하고, 속성값을 변경하고 메소드들을 invoke할 수 있는 툴이었다.

ActiveX 컨트롤은 기술적으로 따지자면 무슨 비주얼 베이직이나 델파이의 컴포넌트를 개발툴 밖에서 어디서나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 놓은 열린 규격에 가까웠다. 취지 자체는 나쁘지 않은데 후대에서 적극적으로 쓰이지를 않았으며, 기껏 웹에서나 비표준으로 잔뜩 쓰이다가 지금은 마소에서도 사실상 버린 자식 신세가 됐으니 참 안습하다.

본인도 실무에서 ActiveX 컨트롤을 삽입한 건 IE 웹브라우저 컨트롤과 플래시 컨트롤 딱 둘밖에 없었다. 원래는 Word/Excel 문서조차도 ActiveX 형태로 내 프로그램에다 삽입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은 ActiveX 없이 웹 브라우저 화면에서 그런 문서 편집 화면을 띄우는 세상이 됐다. 거 참...

(6) 그리고 OLE/COM Object Viewer는 HKEY_CLASSES_ROOT 레지스트리를 싹 뒤져서 시스템에 등록돼 있는 COM 객체들을 몽땅 출력하고, 이들 프로그램 바이너리에 내장된 type library를 추출해서 해당 객체들의 구체적인 스펙을 보여줬다. 이건 문서화되지 않고 COM 형태로만 몰래 제공되는 운영체제의 숨은 기능들을 찾는 데 굉장히 큰 도움이 됐다. 이놈의 GUID는 무엇이고 어떻게 불러 오고 어떻게 호출하면 되는지를 말이다.

(5)와 (6)은 언제부턴가 짤려서 Visual Studio 201x에서부터는 찾아볼 수 없게 됐다. 맥은 레지스트리도 없고 COM, OLE 같은 것도 존재하지 않겠지만, 그래도 Spy++나 Dependency Walker의 맥 버전에 해당하는 유틸은 없는지 궁금해진다. Windows 프로그래밍 공부에 굉장히 큰 도움이 되었던 프로그램인걸 말이다.

(7) regsvr32는 개발툴이 아니라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유틸이긴 하지만, Visual Studio의 외부 도구 메뉴에다가 등록해 놓을 만한 물건이다. 내가 코딩해서 빌드한 바이너리에 대해 곧장 DllRegisterServer를 호출해서 등록을 할 수 있게 말이다.

얘는 운영체제의 system 디렉터리에 32비트용과 64비트용이 제각각 존재하는데, 아무 프로그램에다가 32/64비트 아무 바이너리를 넘겨 줘도 잘 동작한다. 64비트 운영체제를 개발하면서 regsvr32에 그 정도 유도리는 같이 구현돼 있다.
COM 객체의 등록이나 제거를 위해서는 HEKY_CLASSES_ROOT 레지스트리를 건드려야 하니, 관리자 권한 실행은 언제나 필수이다.

끝으로, 독립된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Visual Studio의 200x대 버전부터는 (8) 전용 명령 프롬프트를 띄우는 기능이 외부 도구 메뉴에 등록돼 있다. 즉, 어느 디렉터리에서나 CL 같은 컴파일러와 링커를 띄울 수 있도록 LIB, INCLUDE, VCINSTALLDIR 같은 환경 변수들이 맞춰진 명령 프롬프트이다.

Visual Studio가 버전이 올라갈수록 IDE와 플랫폼 SDK가 분리되고, IDE와 컴파일러 툴킷 계층이 분리되고, 한 컴퓨터에서 여러 버전이 설치되는 것에도 유연하게 대응 가능하게 변모해 온 것은 매우 바람직한 현상으로 보인다.

Posted by 사무엘

2018/11/28 08:34 2018/11/28 08:34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559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559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790 : 791 : 792 : 793 : 794 : 795 : 796 : 797 : 798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3050634
Today:
1654
Yesterday:
2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