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입으로 만들어 낸 창작물 내지 정보 중에, 말은 문자를 통해서 글의 형태로 보존되곤 했다. 그러나 말은 노래라는 형태로 표현되기도 하는데 거기서 말을 감싸던 음악, 멜로디, 선율은 제대로 전해지지 못한 것이 적지 않다.

먼 옛날(지금으로부터 수백 년 이상 전)에는 아시다시피 물자가 몹시 비싸고 귀했으며, 종이와 필기구도 예외가 아니었다. 선율은커녕 말을 받아 적는 것조차 아무나 함부로 하기 어려웠으며 아예 글을 모르는 문맹도 부지기수였다.
그런 시절에 모든 사람이 알고 대대로 전수해야 하는 텍스트는 전수 방법이 '구전'밖에 없으니, 최대한 규칙성을 띠고 외우기 쉬운 형태로 텍스트를 마개조해야만 했다. 그래서 운율이라는 개념이 생겼고 운문이 등장했다.

그리고 운문을 넘어 아예 노래를 만들어 흥얼거리기 시작했다. 노래를 기억하면서 가사도 덤으로 기억하게 되기 때문이다. 사람은 유전자 차원에서 음악을 즐기는 본성이 새겨져 있는 게 틀림없어 보인다.

옛날에는 음반이란 게 없었고, 평범한 사람들이 단순히 길거리 악사 이상 수준의 프로페셔널한 음악을 접할 일이 그닥 없었다. 그러니 싸제 야메 노래를 흥얼거리는 것에 대한 자괴감도 현대인보다는 적었으리라 여겨진다.
지금처럼 트루타입 윤곽선 글꼴이 널리 쓰이기 전의 도스 시절엔 싸제 야메 비트맵 글꼴들이 수십 종 이상 만들어져 쓰였던 것처럼 말이다.

그러니, 옛날 사람들은 암기용이든 단순 감정 분출 한풀이용이든.. 음악이라는 걸 스스로 더 창의적으로 활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들이 자연스럽게 만들어 부른 노래는 역사적으로 귀한 자료가 됐을 텐데, 정작 그 귀한 자료들은 등장을 촉진했던 이유(기록 수단 부재)와 동일한 이유 때문에 소실도 많이 됐다는 것이 아이러니이다.

노래들을 전수받은 마지막 세대들은 그게 그렇게도 귀한 자료라는 걸 전혀 인지하지 않고 있었는데.. 시대가 바뀌면서 그런 노래를 부를 일이 없어졌고(산업화, 정권 교체 등), 그렇게 세월을 보내다가 전수자가 죽고 생존한 피전수자도 당시 기억을 망각하면서 음악 정보가 사라진 것이다.
문학 시간에 배울 정도인 구지가(龜旨歌), 청산별곡(!!) 등의 진짜 옛날 노래들뿐만 아니라 비교적 최근까지 다음과 같은 예가 있었다.

1.
3· 1 운동 때는 유 관순처럼 서대문 형무소에 투옥됐던 어린 여성 독립운동가들이 여럿 있었다. 그 중에는 심 명철(1896-1983)이라는 분이 있었는데, 감옥에서 동지들과 이런 노래를 숨죽여 지어서 불렀다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분의 아들인 문 수일 씨는 어머니가 살아 계실 적에 그 노래를 들으면서 가사를 적어 놨다. 그러나 멜로디는 콩나물로 미처 그려 놓지도, 녹음하지도 못했기 때문에 소실됐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지는 이미 35년이 훌쩍 넘었고..

"대한이 살았다 대한이 살았다, 산천이 동하고 바다가 끓는다, 에헤이 데헤이 대한이 살았다"


이런 가사인데.. 이게 최근에 알려져셔 가수 박 정현이 그 가사에다가 곡을 자기 스타일로 새로 붙여서 노래를 불렀다. 이 영상이 유튜브에 공개돼 있다.

가사를 구성하는 어절들이 전반적으로 3글자 단위인 걸 보니 원래 멜로디도 3박자 계열이었지 싶다.
물론 이론적으로 꼭 그래야 할 필요는 없다. 4/4박자에다가도 ♪♪♪가 아니라 ♪♪♩ 같은 식으로 3글자 단위는 얼마든지 집어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민요풍 박자들이 전반적으로 6/8 같은 3박자 계열인 것까지 감안하면 원래 멜로디 역시 그 범주를 벗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박 정현의 리메이크곡도 들어 보면 아시겠지만 응당 3박자 계열이다.

옛날에는 '대한'이라는 단어가 대중적으로 익숙하지 않아서 "대한 독립 만세"가 아니라 "조선 독립 만세"라고 외쳤다는 말도 어디선가 들었는데.. 정말 그랬는지는 잘 모르겠다. 저 가사에도 멀쩡히 '대한'이라는 단어가 쓰이긴 했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 관순만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징역 3년으로 형량이 유난히 무거웠으며, 매우 단명하기까지 해서 겨우 1920년에 순국한 것을 알 수 있다. 유 열사가 법정에서나 형무소에서 간수나 법조인들에게 굉장히 많이 저항하고 밉보였기 때문일 것이다.
몰년이 미상인 사람도 둘 있지만 그들은 유 관순이 죽기 전에 이미 만기 출소했을 정도로 형량이 가벼웠다.

참고로 심 명철 여사는 맹인이었다! 저 유튜브 영상에서 그 사실이 직접 언급돼 있지는 않지만, 저분은 사진에서도 검은 안경을 쓴 걸 볼 수 있다. 평생을 점자 아니면 기억에만 의지해서 의사소통을 해야 했으니 수십 년 전에 불렀던 노래도 생생하게 기억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2.
자, 다음으로는 엄격 진지 근엄한 시절 말고 해방 이후 1955년의 일이다.
우리나라에서 시발 자동차라는 게 나왔을 때.. 믿기 어렵지만 이런 CM쏭까지 있었다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발, 시발, 우리의 시~발 자동차를 타고 삼천리를 달리자"


195, 60년대에 이런 CM쏭을 대중적으로 퍼뜨릴 매체는 텔레비전은 어림도 없고, 라디오 아니면 극장 영화 상영 전 광고에 의지해야 했을 것이다.
이거 멜로디가 전해졌다면 인터넷 시대에 병맛 개그로 재조명되어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으리라 여겨지나..
아쉽지만 악보도, 음반도, 증언자의 기억에서도 몽땅 다 소실됐다고 한다. 아마 팬암 CM쏭의 "You can't beat the experience -- Pan Am!" 같은 느낌이지 않았을까?

이상이다.
수십 년 전에 본인의 외할머니께서 사용하시던 찬송가 책이 문득 떠오른다. 거기에는 가사만 세로쓰기로 쭉~ 적혀 있고 악보가 인쇄돼 있지도 않았다. 복잡한 악보는 아무래도 저렴하게 인쇄하기 어려울 테니.. 가격 문제 때문에 옛날엔 가사만 적힌 책도 쓰였던가 보다.

멜로디는? 당연히 구전이었다. 보존의 우선순위가 아무래도 가사보다 뒤로 밀릴 수밖에 없다. 원래 조가 무엇이었는지, 혹은 4부 합창 파트 같은 건 생각할 수 없었다. 지금도 북한의 지하 교회에서는 성경과 찬송가 가사를 급히 베끼고 찬송가 멜로디 정도는 그냥 외워 와서 몰래 예배를 드린다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찬송가만 해도 열악하던 시절엔 이런 식으로 전해졌으니, 하물며 민중에 의해 만들어진 노래는 더 격식 없이 의식의 흐름대로 만들어지고 전수되다가 잊혀지고 사라지기를 반복했을 것 같다.

끝으로, 성경도..
홍해 바다를 건넌 뒤에 이스라엘 백성들이 부른 노래를 포함해 시편까지 전부 원래는 곡이 붙어 있는 노래였다! 허나, 하나님은 말씀을 보존해 주신다고 했지 멜로디를 보존해 주신다고 약속하시지 않은 관계로... 후손들이 접할 수 있는 건 오로지 가사뿐이다. 곡을 붙이는 건 전적으로 후대 작곡자들의 재량 영역이 됐다.

"그들이 왕좌 앞과 네 짐승과 장로들 앞에서 새 노래 같은 것을 부르더라. 땅에서 구속받은 십사만 사천 외에는 아무도 능히 그 노래를 배우지 못하더라." (계 14:3)


이것도 도대체 무엇을 들은 것일지 굉장히 궁금해진다. 뭔가 새마을호 로고송이나 Looking for you에 근접하는 멜로디였을 것이다.

이번 기회에 무슨 마음에 드는 시, 짤막한 문구, 표어 같은 거 놓고 곡을 붙이는 연습을 스스로 해 보자. 생각보다 재미있다. 심지어 저 시발자동차 광고카피라도 말이다~! ㅎㅎ

Posted by 사무엘

2020/01/28 08:36 2020/01/28 08:36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710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710

« Previous : 1 : ... 642 : 643 : 644 : 645 : 646 : 647 : 648 : 649 : 650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3048129
Today:
1291
Yesterday:
2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