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옛날 수필

1. 비는 반드시 옵니다 (주 기운) (☞ 전문)

요즘은 전반적으로 장마나 태풍의 위력이 예전 같지 않고.. 기계에다 비유하자면 비구름들의 출력(?)이 좀 시원찮은 것 같다. 비는 대부분 일기예보보다 늦게 적게 내리고 금방 그치는 편이다.

지난 6월, 이례적인 이상 고온이 계속됐을 때 본인은 중학교 시절에 접했던 이 수필이 문득 생각났다.
‘사후약방문’, 그리고 ‘패연히’라는 단어가 인상적이어서 기억에서 잊혀지지 않는다. 비가 패연히 내리는 건 ‘태연히’가 아니라 콸콸 세차게 내린다는 뜻이다.

글쓴이인 주 기운(1928~2007. 3. 16.)에 대해서는 검색해 보니 광주/호남 지방의 유명 문인이었던가 보다.
기일을 보니 내가 곧바로 떠오르는 건.. “아, 이분은 공항철도 1차 구간 개통 딱 1주일 전에 돌아가셨구나.”이다. 철도님이 계시해 주셨다.

그런데 정작 저 글이 언제 쓰여졌는지, 우리나라에 언제 저런 기록적인 폭염과 가뭄이 들었었는지는 알 길이 없다. 카더라 통신에 따르면 1970년대에 신문에 기고된 글이라는데.. 저게 교과서에 소개되어 실린 건 1994년부터라고 한다.
“은전 한 닢”이라든가 “방망이 깎던 노인” 같은 유명 수필도 글이 발표되고 공개된 때는 거의 1970년대이고, 그 글이 다루는 배경은 1930년대인 걸로 난 알고 있다.

2. 아버지의 손 (오 천석) (☞ 전문)

올해 초에는 어느 현직 의사가 “내과 박원장”이라는 자전적인(?) 웹툰을 연재해서 의료인뿐만 아니라 의대 지망생 내지 일반인들에게도 큰 호응과 인기를 얻었다. 그림이며 스토리며 모두 전문 웹툰 작가 뺨치는 퀄티리였다. IT업계에만 월화수목 금금금이 있는 게 아니었군..

특히 몸집 크고 나이 많고 동기들에 비해 어리버리하지만.. 성격은 정말 순진하고 착하던 소대광이라는 의사를 소개한 에피소드는 정말 대박이었다. (☞ 보기)
물론 저건 의사로서 최악에 최악의 상황만 골라서 발생한 예외에 가까운 사례이겠지만.. 실화와 각색의 비율이 어느 정도 되는지 궁금하다. 이 정도면 단편영화 한 편 찍어도 될 것 같다.

요즘은 버스 기사를 폭행하는 것도 가중 처벌되고, 심지어 신호 대기 중이라도 운전 중과 동급으로 취급되도록 법이 바뀌었다. 하물며 밤에 고생하는 의료진을 술 쳐먹은 인간쓰레기들로부터 더 강력하게 보호할 수 없나 안타깝다. 삼청교육대 같은 거 만들어서 삼청의 삼짜만 나와도 무서워서 술이 확 깨는 지경 정도는 돼야 할 텐데.. 뭐 그건 그렇고.

소대광은 처자식을 먹여 살리려고 개원 후에 지나치게 과로하다가 돌연사하고 말았다.
심장에 문제가 생겨서 쓰라린 흉통이 느껴질 때 약을 먹으려고 했는데.. 좁쌀만 한 알약을 실수로 책상과 벽 사이의 좁은 틈새로 톡 떨어뜨려 버렸다. 그걸 큰 손으로 미처 건져내지 못하고 그만..

내과 박원장을 읽으면서 졸피뎀이라는 약이 있다는 걸 알게 됐고, 니트로글리세린이 폭약일 뿐만 아니라 협심증에 대처 가능한 의약품이기도 하다는 걸 알게 됐다.;; 뭐, 의사 약사 지망생들에게는 기본 상식이겠지만 말이다.
그런데.. 생각해 보니 비슷한 스토리가 나오는 옛날 수필이 하나 더 있었다. 바로 “아버지의 손”.

저 글에서는 글쓴이의 선친이 똑같은 협심증 지병 때문에 똑같은 니트로글리세린 약을 처방 받았다.
그러나 선친은 문맹이었던지라, 위급한 상황이 됐을 때 약병을 개봉하지를 못했다. 그래서 병을 돌로 쳐서 깰 생각까지 했지만 미처 그러지 못하고 통증을 호소하다가 최후를 맞이했다. ㅠㅠㅠㅠ

“어린이가 함부로 건드릴 수 없는 안전 뚜껑. 눌러서 돌리면 열립니다”를 읽지 못해서.
게다가 저 글에서도 아버지는 힘 세고 손이 크고.. 영락없이 소대광 같은 캐릭터였다고 묘사된다.

다만, 니트로글리세린은 혈관 문제나 심장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해 주는 약은 아니다. 글에서도 “그 약만 먹었으면 아버지는 도움을 청할 때까지 버틸 수 있어 안 돌아가셨을 것”이라고 쓰여 있다.
저 약은 환자가 의료진에게 도착할 때까지 생존할 수 있도록 잠시 시간을 벌어 주는 역할만 한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매우 유용하며 사람 생명을 구할 수 있다. 마치 심폐소생술처럼 말이다.

저것도 완전히 낯설지는 않게 느껴지는 글인데.. 학교에서 접한 적이 있었나 모르겠다. 교과서 아니면 문학 시험지 지문으로..?? 잘 모르겠다.
참고로 저 글은 초판이 1977년에 나온 책에 소개되었고, 저자의 생몰년도가 1901-1987년이다. 그러니 저 글 역시 다루는 시점은 1930~40년대 정도이지 싶다. 문맹률이 아직 굉장히 높던 시절 말이다.

Posted by 사무엘

2020/07/01 08:35 2020/07/01 08:35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768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768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584 : 585 : 586 : 587 : 588 : 589 : 590 : 591 : 592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985357
Today:
910
Yesterday:
2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