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하반기는 여러 분야에서 굵직한 철도 개통 스케줄이 잡혀 있어서 생각만 해도 즐겁다.

※ 경부 고속철 2차 개통(1차가 2004년)

1차 개통을 한 지 거의 6년 반 만의 일이다. G20 정상 회의 때문에 진행 속도가 좀더 붙었다.
이번 개통의 가장 큰 변화는, 두말할 나위도 없이 드디어 대구-부산 구간에도 신선이 개통된다는 것이다. 서울-부산 운행 시간이 더욱 단축된다. 대전과 대구에만 정차하는 걸 기준으로 서울-부산을 1시간 56분으로 예측하던 시절도 있었는데 지금은 2시간을 약간 넘긴 시간으로 좀 더 길어진 모양이다.

이것 때문에 항공 업계는 서울-부산 비행기가 더욱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서울-대구 비행기가 이미 KTX에게 발리고 닥버-_-했듯이 말이다. 단적인 예로, 부산 김해 공항을 경유할 예정인 김해 경전철의 공항 역은 국내선을 배제하고 국제선 청사와 더 가까이 연결되게 건설된다.

앞으로 경부 고속철에는 신선뿐만이 아니라 기 개통 구간에도 김천구미와 오송 역이 신설되며, 아직 기존선을 사용하는 대전과 대구 시내 구간에도 시내를 관통하는 선로가 새로 생긴다. 사실, 대전-대구 사이에는 기존선 주행 구간이 너무 긴 게 문제이긴 했다. 대전의 경우 이미 옥천에서부터 고속선이 끝나고 기존선으로 빠지니 말이다.

대전과 대구의 시내 통과 구간을 지상으로 만드냐 지하화하냐 때문에 지금까지 말이 많았는데, 아마 모르긴 몰라도 조삼모사 식으로 일이 진행된 것 같다.

A: 고속철은 시내 구간을 지상으로 통과할 예정이다.
B: 꺅 꺅~ 소음과 진동 때문에 싫단 말야!
A: 싫으면 지하화할 사업비나 대던가.
B: 이미 지상 노반 다 확보해 놨습니다.
ㄲㄲㄲㄲㄲㄲ

※ 공항 철도 2차 개통(1차가 2007년)

김포-인천 공항 사이의 1차 구간이 3년 반쯤 전에 먼저 개통한 뒤, 이제 공항 철도도 서울 역으로 들어온다. 지하철들(1, 4호선)이 역의 동쪽에 있다면 공항 철도는 지금 경의선 전철이 있는 자리인 서쪽으로 입주하게 된다. 사실 공항 철도의 서울 강북 구간의 노선 자체도 경의선과 꽤 비슷하다. 둘 다 지하로 건설되지만 공항 철도가 경의선보다 더 깊게 건설된다.

환승역이 될 홍대입구, DMC, 공덕 같은 곳은 대략 대박. 이제 공항 철도도 이용객이 더욱 늘길 기대해 본다.

그런데 노선이 더 길어지는 것 이상으로 기대되는 떡밥이 있는데, 바로 공항 철도에 KTX 산천 차량이 투입된다는 것이다. 이미 경의선과 공항 철도 사이의 연결선의 건설도 확정된 상태. KTX를 타고 공항까지 간다니 뭔가 흥미롭지 않은가?

이건 코레일의 공항 철도 회사 인수, KTX 산천 도입, 공항 철도 2차 구간 등 여러 요인이 한데 어우러진 덕분에 가능한 일이다. 이미 거미줄처럼 구축된 공항 리무진 버스 인프라에 맞서, 단군의 후손들에게 “기차 타고 공항 간다”라는 인식을 심는 게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공항과 서울 시내를 연결하는 철도 자체는 꼭 필요하다. 강남은 서울 지하철 9호선 급행으로, 강북은 공항 철도로, 이렇게 양분된 구도가 될 예정이다.

더구나 KTX 산천은 편성이 유동적이기 때문에, 굳이 한 편성에 무려 935명씩이나 태울 만한 지역이 아닌 곳에도 좀더 구석구석까지 고속철의 혜택을 줄 수 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임률이 가장 높은, 쉽게 말해서 가장 비싼 철도는 KTX가 아니다. 명목상으로는 공항 철도 직통 열차-_-가 임률이 가장 높다. 1km당 새마을호가 93원, KTX는 기존선이 100원이고 고속선은 158원인데, 직통 열차는 무려 209원으로 잡혀 있다(일반 통근 열차는 82원). 그래서 김포에서 인천 공항까지 40km가 채 안 되는 거리를 가는 데 직통 열차는 무려 8천 원이 넘는 운임을 징수하는 것이다. 물론 지금은 하도 이용객이 너무 없어서 FM대로의 직통 운임 징수를 몇 년째 보류하고 있지만 말이다.

물론 공항 철도는 무슨 박리다매 출퇴근 통근 컨셉이 아니라, 어차피 돈 많이 쓰고 오는 여행객이 주 고객이 될 것이기 때문에 좀 비싸고 내장재가 호화로워도 된다. 또한 무거운 짐을 취급하는 시설이 더욱 발달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KTX가 공항 철도에 투입된다면 운임이 어떻게 산정될지 흥미롭다. 공철 직통 열차는 KTX 1과 동일한 좌석을 쓰고 있고 임률이 이미 KTX보다 더 비싸기 때문이다. 2차 구간이 개통되면 이런 임률도 조금 개선되어야 하지 않나 싶다. 어쩌면 옛날에 임진강 라이너 새마을호가 독자적인 운임 체계를 썼듯이 공항 철도를 달리는 KTX는 좀 독자적인 운임 체계를 쓸 가능성도 있다.

공철에 KTX가 투입되고 나면 열차 운행 속도나 좀더 빨라졌으면 좋겠다. 영종 대교를 달리고 있노라면 열차가 일개 공항 리무진(딱 규정 속도대로만 달리고 과속을 절대 하지도 않는!) 버스들에게도 추월당한다. 원래 공철 자체도 시속 150 이상도 낼 수 있을 정도로 굉장히 좋은 선형으로 건설되었다고 한다.

또한, KTX가 공철에 투입된다 하더라도, 서울과 공항 사이만 오갈 뿐, 인천에서 바로 부산 방면으로 가기란 쉽지 않다는 것도 아쉬운 점이다. 이런 점에서는 차라리 인천 대교를 따라 철도를 건설해서 KTX를 인천 공항에서 서울 역이 아니라 차라리 광명 역으로 가게 한 후 경부 고속선으로 진입시키는 게 필요할 것이다.

※ 경춘선 복선 전철 개통(춘천 역은 2005년 10월부터 폐쇄됨)

이것도 꽤 오래 됐다. 세상이 참 많이도 바뀌어, 30년이 넘게 수도권 전철의 혜택에서 소외되어 있던 경의선마저 2009년부터 광역전철로 편입되었고 심지어 천안 이남의 장항선 구간까지 전철 1호선의 일부가 되었다. 중앙선과 경원선의 발전도 놀랍다. 이제 다음은 경춘선 차례이다!

그런데 성북은 물론이고 청량리 역까지 경춘선 취급 기능을 상실한다면 청량리 민자 역사 관계자들이 많이 섭섭해할 것 같다. 상봉이라는 웬 듣보잡 신설역이 경춘선의 시종착역으로 과연 굳어질까? 뭐, 선로 용량 부족 때문에 어쩔 수가 없다고는 하던데.

느리고 무거운 무궁화호가 다니던 단선 비전철 노선이 복선 전철로 바뀌고, 루머에 따르면 심지어 2층 전동차까지 투입된다고 하는데 나름 경춘 고속도로와 경쟁한답시고 대비를 많이 한 모양이다.

Posted by 사무엘

2010/09/29 08:25 2010/09/29 08:25
, , ,
Response
No Trackback , 6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381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381

Comments List

  1. 김재주 2010/09/29 22:30 # M/D Reply Permalink

    흠. 철도 하니 생각났는데 앞으로 GTX던가 경기권을 관통하는 지하철도도 만들어진다던데...

    아예 깊이 파 버리면 토지보상금을 안 줘도 되기 때문에 오히려 싸게 먹힌다고 하더군요.

    1. 사무엘 2010/09/30 07:40 # M/D Permalink

      네. 대심도 급행 전철입니다. 영어 약어로 GTX라고 하죠.
      기본 컨셉은 출퇴근용이지만, 기존 경부 고속철과 연계하여 지금까지 철도가 없던 서울· 수도권 동남부를 잇는 장거리 간선 고속철도도 구상 중이라고 들었습니다.

      물론 언제 실현될지는 모르겠지만..;; 토지 보상비가 면제되는 건 좋지만 만만찮게 돈 많이 들고 힘들 텐데요.
      그래도 우리나라 광역 철도는 좀더 노선이 많아지고 무엇보다도 빨라지긴 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2. 김재주 2010/10/01 11:45 # M/D Reply Permalink

    뭐 기계 밀어넣고 파면 대심도나 저심도나 별반 차이가 없을지도요?

    오히려 비 좀 온다고 공사가 중단되거나 할 일은 없을 것이니 꽤 빨리 진척이 될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서울 경기를 관통해서 지나가다보니 토지보상비가 추가 공사비보다 많은 모양입니다

    1. 사무엘 2010/10/01 16:42 # M/D Permalink

      1km당 1억 꼴이라는 거의 사기에 가까운 비용이 든 경부 고속도로에 비해,
      그로부터 30년 가까이 뒤에 전구간 개통한 중부내륙 고속도로는 1km당 400억이 넘는 비용이 들어서 1km가 경부 고속도로 전체 건설비에 맞먹는 비용이 들었다고 어디선가 봤습니다.
      물론 30년간의 물가 상승과 인건비 상승, 고가와 터널 같은 것도 비용을 증가시켰지만, 역시 큰 비중을 차지한 건 토지 보상비였다고 합니다.

      GTX라고 해도 숭실대입구나 여의나루, 만덕보다 크게 더 깊은 정도는 아니겠죠 설마?

  3. 나그네 2010/10/03 13:19 # M/D Reply Permalink

    먼저 두서없이 뎃글을 적는것이라 이해 부탁드립니다만
    김 용묵님이 생각나더군요.
    정확하진 않지만 지하철 3호선 아니면 1호선인을 탔는데 '5678 new model'이라는 광고문구가 있고 지하철의 국산화 내용이 있고 10% 무게를 감축해서 에너지 절약에도 한몫한다는 내용을 봤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이 있나 해서 두서없이 적어봅니다.
    뒷북일수도 있겠네요. ;;

    1. 사무엘 2010/10/03 20:59 # M/D Permalink

      광고 문구부터가 ‘5678’인데 1호선이나 3호선일 리가 없죠. ^^;;
      서울 지하철 5~8호선을 관할하는 서울 도시철도 공사(SMRT)에서 자체적으로 전동차를 생산했다는 광고를 보신 것입니다. 7호선이 온수-부평구청 구간이 연장 개통하면서 3차 도입분 전동차에 그런 신형 차량이 투입될 예정이지요. (1차: 1996년, 건대입구 이북의 강북 구간; 2차: 2000년, 온수-건대입구 사이의 강남 구간; 3차: 201x년...)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1880 : 1881 : 1882 : 1883 : 1884 : 1885 : 1886 : 1887 : 1888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983962
Today:
1699
Yesterday:
1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