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가는 말
정렬은 검색과 더불어 컴퓨터가 인간에게 유용한 결과물을 내놓기 위해 내부적으로 가장 빈번히 수행하는 계산 동작에 속한다. 다른 알고리즘의 내부 과정으로 즐겨 쓰이기도 하고 말이다. 전산학 내지 컴퓨터 과학에서 정렬 문제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서는 더 말이 필요하지 않다.
정렬은 문제의 목표가 너무나 명확하고 실용적이며,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의 접근이 가능하고 좋은 알고리즘과 나쁜 알고리즘의 차이도 아주 드라마틱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예로부터 그 특성과 해법이 연구될 대로 연구되어 왔다. 시간 복잡도 관념이 없던 초짜 프로그래머가 O(n^2)와 O(n log n)의 어마어마한 차이를 깨우치는 계기도 대체로 정렬 알고리즘을 공부하고부터이다.
n개의 원소에 대한 정렬 작업은 n개의 원소를 임의의 방식으로 늘어놓는 n!가지의 순열 중에, 원소들의 값 순서가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이 유지되는 순열을 선택하는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정렬 알고리즘은 임의의 두 원소와의 비교를 통해 거기서 가능한 선택의 범위를 좁혀 나간다.
이런 원론적인 분석을 통해, 비교 연산 기반 정렬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아무리 기가 막힌 알고리즘을 고안하더라도 O(n log n)보다는 결코 더 좋을 수가 없다는 것이 증명되어 있다. 그리고 정렬 알고리즘 중, 제자리(in-place)라는 특성을 지닌 알고리즘은 교환(swap)이라는 동작도 공통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정렬 문제는 NP 완전 문제라고 알려져 있는 외판원 문제(TSP)에서 정점(vertex)들이 일렬로 쭉 나열되어 있는 특수한 경우라고 볼 수도 있다. 가까운 순서대로 순서대로 방문하는 게 정답일 테니 결국 정점들이 정렬된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비록 domain이 1차원이 아닌 2차원 이상으로 가면 난이도가 곧바로 안드로메다 급으로 치솟지만 말이다.
※ O(n^2) 또는 O(n log n)인 비교 기반 알고리즘
역사적으로 굉장히 많은 수의 정렬 알고리즘이 고안되었으며 이들은 제각기 장단점과 특성이 있다.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주 잣대로는 자료 개수 n에 대한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가 있으며, 이들도 평균적일 때와 최악의 상황일 때를 따로 평가한다. 이 외에도 자료의 상태에 성능이 민감하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값이 같은 원소의 상대적인 순서가 보존되는지를 나타내는 순서 안정성(stability)을 따지기도 한다.
시간 복잡도가 O(n^2)에 속하는 정렬 알고리즘은 일명 '발로 짠 알고리즘'에 속한다. 직관적이고 구현하기 매우 쉬우나 성능이 쥐약이라는 뜻.
거품 정렬, 선택 정렬, 삽입 정렬이 대표적인데, 거품의 경우 배열이 아니라 아예 random access가 불가능한 연결 리스트 같은 컨테이너에다가 적용해도 좋을 정도로 바로 옆 원소와의 비교와 교환밖에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성능이 대단히 나쁘다.
선택 정렬은 비교에 비해 대입 연산이 적고 자료의 상태에 그리 민감하지 않은 게 특징이다. 그에 반해 삽입 정렬은 자료 상태에 따른 성능 편차가 크고 O(n^2) 알고리즘 중에서는 성능이 나은 편이기 때문에, 작은 범위의 입력에 한해서 종종 쓰이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비주얼 C++의 qsort 함수 구현을 보면, 퀵 정렬을 쓰다가 구간이 8개 이하의 원소로 감소하면 거기는 삽입 정렬로 때운다.
O(n^2) 알고리즘들은 원리가 간단하기 때문에 공간 복잡도는 대체로 O(1)인 in-place이다. 한 쌍의 원소를 그때 그때 교환하기 위한 고정된 크기의 메모리밖에 쓰지 않는다는 뜻 되겠다. 시간이 비효율이면 공간 오버헤드라도 없어야 하지 않겠는가.
이론적인 시간 복잡도에 부합하는 O(n log n)급 알고리즘으로는 힙, 병합, 퀵 등이 있다. 이들은 시간 복잡도만 동일할 뿐 내부적인 특징은 정말 제각각이다.
일단 힙 정렬은 위의 세 알고리즘 중에서 유일하게 메모리 복잡도가 O(1)인 검소한 녀석이다. 그 대신 한 배열 안에서 왔다 갔다 하는 작업이 많아서 그런지 속도는 미세하게 다른 알고리즘보다 더 느린 편. 한 배열 안에서 heap 자료구조를 만든 뒤, 이것으로부터 정렬된 형태의 배열을 역순으로 만드는 두 단계의 과정이 무척 기발하며, 인간의 머리로 어째 이런 걸 생각해 낼 수 있는지 놀라움을 느낀다.
병합 정렬은 동급 시간 복잡도 알고리즘 중에서는 꽤 직관적인 편이고 또 유일하게 안정성도 있어서 좋다. 그러나 FM대로 구현한 녀석은 배열 복사본이 하나 더 필요하기 때문에 메모리 복잡도가 O(n)이나 되며, 대입에 대한 비용이 큰 자료구조에 대해서는 성능 하락의 폭이 큰 게 흠이다.
※ 퀵 정렬
한편, Tony Hoare이라는 영국의 전산학자가 1960년대에 20대 중반의 나이에 고안한 퀵 정렬은 정렬 알고리즘계의 종결자, 야생마, 이단아 같은 존재이다. pivot이라 불리는 중간값을 설정하여, 주어진 구간을 “pivot보다 작은 값, pivot, pivot보다 큰 값” 조건을 만족하게 swap 연산을 통해 바꾼다. 그 뒤, pivot을 기준으로 구간을 양분하여 양 구간도 재귀적으로 똑같은 작업을 한다. 알고리즘도 너무 명쾌하고 깔끔하지 않은가?
이 알고리즘은 대충 부분적으로 정렬되었거나 아예 완전히 무작위인 데이터에 대해서 매우 대단히 좋은 성능을 자랑한다. 그러나 pivot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서 알고리즘의 성능이 크게 좌지우지되며, 자료의 상태에도 매우 민감해진다는 점이 간과될 수 없는 특성이다.
pivot이 데이터의 적당한 중간값으로 설정되지 못하고 하필이면 최소값이나 최대값으로 설정된 경우, 알고리즘 수행 후에도 구간은 깔끔하게 양분되지 못하고 하나씩만 줄어들게 된다. 이 경우 알고리즘의 수행 시간은 O(n log n)이 아니라 O(n^2)에 가까워진다! 역순으로 정렬된 데이터를 정렬하는데 구간의 맨 앞이나 맨 뒤의 값을 pivot으로 쓴다고 생각해 보자.
문제는 이때 시간 복잡도만 늘어나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분할 정복법을 쓴다는 특성상 퀵 정렬은 재귀호출을 써서 구현되는데, 구간이 반씩 시원하게 안 쪼개지고 하나씩만 쪼개지면 재귀호출의 깊이도 자칫 n회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경우 프로그램은 stack overflow 오류가 발생하며, 이는 프로그램의 보안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다만, 쪼개진 구간 중에 원소 수가 많은 구간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적은 구간부터 골라서 재귀적으로 처리하는 경우, 메모리 복잡도는 O(log n)으로 원천적으로 줄일 수 있다. 퀵 정렬 함수의 구현체 자체에 딱히 동적 배열 같은 게 없더라도 재귀호출 때문에 메모리 복잡도가 올라가며, 원소들이 정확하게 반씩 분할될 경우에 log n에 해당하는 깊이까지 간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퀵 정렬의 구현체는 그냥 구간의 정중앙에 있는 원소만 pivot으로 지정하는 게 보통이다. 이렇게만 하더라도 O(n^2)의 최악 시간 복잡도를 만드는 입력 데이터를 일부러 만들기란 대단히 어려우며, 수학적으로 발생하기도 불가능에 가까운 건 사실이다.
하지만 공격자가 퀵 정렬 구현체의 알고리즘을 알고 있는 경우, 의도적으로 해당 알고리즘이 pivot을 요청할 만한 위치에 일부러 구간의 최대값이나 최소값을 집어넣어서 매 단계별로 퀵 정렬을 엿먹이는 게 불가능하지는 않다! 세상엔 그것만 전문적으로 연구한 사람도 있다. anti quick sort라고 검색해 보셈.. 이것이 퀵 정렬의 진정 오묘하고 이상한 면모라 하겠다.
이걸 이용하여 비주얼 C++의 qsort 함수로 테스트하면, 평소 같으면 인텔 i5 기준 눈 깜짝할 사이에 끝나는 정수 10만 개의 정렬이 수 초 대로 떡실신하는 기현상이 벌어지는 걸 볼 수 있다. 그런데 xcode의 C 라이브러리가 제공하는 qsort는 퀵 정렬을 쓰지 않는지 그런 것의 영향을 받지 않더라..
※ C/C++ 언어에서의 지원
C 라이브러리에 있는 qsort 함수는 콜백 함수에 전달해 줄 사용자 데이터--가령, 비교 옵션 같은 것--를 받는 부분이 없어서 무척 불편하다. 그래서 별도의 사용자 데이터는 전역 변수나 TLS(thread local storage)를 통해 얻어 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것이 비주얼 C++ 2005부터 도입된 qsort_s에서는 개선되었다.
한편, C++ 라이브러리에도 잘 알다시피 std::sort라는 함수가 있다. C 함수보다 type-safe할뿐만 아니라 iterator를 통해 포인터보다 더 추상적인 자료형도 정렬할 수 있으며, 비교도 직관적인 비교 연산자 아니면 functor로 편리하게 지정할 수 있어서 좋다. 또한 이건 템플릿 형태이기 때문에 정렬 코드가 해당 프로그램의 번역 단위에 최적화된 형태로 embed된다는 것도 더욱 좋다.
C의 경우 비교 연산 함수의 리턴값은 뺄셈 연산을 모델로 삼아서 '음수, 0, 양수' 중 하나를 되돌리게 되어 있다. 그러나 C++ 버전은 < 연산을 모델로 삼아서 그냥 true/false boolean값만 되돌리면 된다는 차이가 있다. 사실, 그것만 있어도 정렬이 되니까 말이다.
C++ 라이브러리에는 sort뿐만이 아니라 stable_sort도 있다. 하지만 실생활에서 꼭 stable_sort를 써야만 할 상황이 있는지는 모르겠다. 실제로 정렬 성능은 굳이 안정성이 지켜지지 않아도 되는 sort가 더욱 뛰어나다.
※ 기타 정렬 알고리즘
정렬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굳이 O(n^2) 아니면 O(n log n) 중 하나로만 떨어지는 게 아니다. 그 범주에 속하지 않는 대표적인 알고리즘은 셸 정렬이다. 고안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이 알고리즘은 삽입 정렬이 대충 정렬된 자료에 대한 성능이 뛰어나다는 점을 응용하여, 삽입 정렬을 일정 구간별로 띄엄띄엄 반복해서 적용해 준 뒤 최종적으로 삽입 정렬을 full scale로 한번 돌려서 정렬을 끝낸다.
퀵 정렬이 pivot을 정하는 것이 판타지라면, 셸 정렬은 그 구간을 정하는 방식이 판타지이다. 셸은 분명 O(n^2)보다는 훨씬 더 뛰어난 성능을 보이지만 그렇다고 O(n log n)급은 아니다. 사실, 셸은 구간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서 시간 복잡도를 계산하기가 대단히 chaotic하고 어렵다.
구간을 두 배씩 좁히는 게 제일 나쁜 방법이이기 때문에 최악의 경우 도로 O(n^2)까지 떨어져 버리나, 약간 머리를 쓰면 O(n^1.5) 정도는 된다. 구간을 가장 잘 잡았을 때 최대 O(n (log n)^2)까지는 갈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도 셸은 메모리 복잡도가 깔끔한 O(1)이고, 코딩이 상당히 짧고 간결하면서도 O(n^2)보다는 성능이 확실히 낫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앞서 말했듯이 정렬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의 한계가 O(n log n)이라는 것은 비교 연산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알고리즘이 그렇다는 소리이다. 그런 방식으로 정렬을 하지 않는 알고리즘의 경우, O(n)짜리 알고리즘도 충분히 존재할 수 있다.
가령, 데이터의 도메인이 메달이어서 '금, 은, 동'이라는 세 종류밖에 없는 경우, 자료를 일일이 뒤져 볼 필요 없이, 각 메달의 개수를 세어서 금 a개, 은 b개, 동 c개라고 써 주기만 하면 될 것이다. 부동소숫점이나 문자열처럼 도메인이 굉장히 넓은 자료형은 그런 식으로 정렬할 수 없겠지만, 좁은 범위의 정수 정도면 그런 식으로 발상을 전환하여 비교 연산을 요청하지 않는 정렬 알고리즘을 쓸 수도 있다.
여기에 속하는 대표적인 알고리즘은 기수(radix) 정렬이며, 이 외에도 유사한 전략을 사용하는 알고리즘이 더 있다.
정렬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메아리 풉에도 수학적으로 더 엄밀한 개념 기술이 있으므로 참고하시고, 또 이 홈페이지에는 이미 아시는 분도 있겠지만 본인이 학부 시절에 정렬 알고리즘 모음집이라는 간단한 프로그램을 짜서 올려 놓은 게 있다. 일부 검색엔진에서는 '사이트'로도 등록되어 있다. ㅎㅎ 관심 있으신 분은 거기 소스도 참고하시기 바란다.
* 여담이지만, 전산학 덕후와 해커들의 머리 싸움 덕질에는 끝이 없는지라, 퀵 정렬뿐만 아니라 hash 알고리즘을 엿먹이는 연구도 이미 될 대로 돼 있다.. 특정 해싱 알고리즘에 대해서 충돌만 골라서 일으키는 입력을 생성하는 것 말이다.
Posted by 사무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