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증기 기관과 컴퓨터

20세기 중반에 전자식 컴퓨터나 그 전신뻘의 물건이 최초로 개발되어서 수행했던 임무는 탄도 계산이나 암호 해독 같은 군사 관련 일이었다. 게임이나 무슨 수학자 덕질 같은 용도가 아니었다. 인터넷도 맨 처음엔 생각보다 굉장히 군사· 안보 상의 목적과 필요 때문에 개발되었다는 것을 알 만한 분은 아실 것이다.

그리고 옛날에 증기 기관이란 게 최초로 개발되어서 투입된 용도는.. 기억하시는가? 무슨 군사나 교통수단이나 면직물 가공 기계가 아니라, 탄광 내부에 찬 지하수를 빼내는 펌프의 가동이었다. 즉, 자신이 석탄을 소모하면서 역으로 석탄을 캐는 일을 도와줬던 것이다. (물론 자기가 소모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석탄을 캐는 걸..)
그렇게 태동했던 기계가 하나는 산업 혁명을 견인했고 다른 하나는 정보화 시대라는 걸 만들었다니 참 격세지감이다.

2. 도트 프린터와 비트맵 폰트

21세기, 2020년대를 찍고 있는 요즘은 자그마한 종이 쪼가리에 찍혀 나오는 영수증이나 카드 명세서, 승차권/탑승권, 주문 번호표, 관공서 차례 대기 번호표조차도 다 열전사 같은 비충격식 프린터로 인쇄되는 세상이다.
하지만 쌍팔년도의 잔재인 찌익~ 찍 도트 프린터의 출력 결과물을 아직까지 생생히 볼 수 있는 곳은 단연 은행이라 하겠다. 독보적이고 유일하다. 이게 개인적으로 매우 매우 흥미롭고 신기하게 느껴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통장의 책장을 넘겨가며 거래 내용을 인쇄한다거나, 혹은 이미 만들어져 있는 은행 특유의 각종 양식 문서의 일부란에 문자와 숫자를 찍는 용도로는 재래식 도트 프린터가 여전히 유용한가 보다. 물론 전자 통장, 전자 문서 때문에 예전에 비해서 필요성이나 활용 빈도가 많이 줄어들긴 했지만 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도트 프린터가 독특한 이유는 찍혀 나온 글자의 자형, 즉 폰트부터가 독특하기 때문이다.
이런 도트 프린터는 해상도가 그리 높지 않았기 때문에 겨우 본문용 크기에서 산돌이니 윤디자인이니 하는 상업용 폰트를 보기 좋은 퀄리티로 찍을 수 없다. 그 대신 그 저해상도에서 그럭저럭 보기 좋게 특화된 전용 비트맵 명조/고딕 같은 폰트가 쓰인다.

지금 Windows의 굴림/바탕/돋움 같은 폰트만 봐도, 대략 19포인트까지는 이런 비트맵 버전이 쓰이다가 20포인트부터는 일반적인 윤곽선 버전이 투입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게 저해상도 프린터에서는 인쇄용으로도 쓰인다는 것이다.

저해상도 비트맵 폰트를 종이 인쇄를 통해 볼 수 있는 곳은 은행이고, 화면 형태로 볼 수 있는 곳은 단연 각종 LED 전광판일 것이다. 하지만, 이 분야도 해상도와 색상이 증가하면서 윤곽선 폰트(= 출판물용 고퀄 폰트)로 대체돼 가고 있다.

아날로그 숫자 카운터가 원래 주유소 주유기, 테이프 재생기의 구간, 자동차 계기판의 거리계 등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다가 지금은 싹 다 사라지고 수도· 전기· 가스 검침기에서나 볼 수 있는 것과 비슷한 현상 같다.
많이 없어지긴 했지만, 완전히 멸종 급으로 자취를 감춘 건 아니라는 것이다. 공중 전화처럼 말이다.

나 역시 비트맵 폰트의 끝물 마지노 선을 지키는 프로그램을(날개셋 편집기..) 보유하고 있는 관계로.. 이런 비트맵 폰트를 주위에서 보면 괜히 반갑다. 컴퓨터라는 게 처음 등장하던 시절에 쓰였던 투박한 추억의 폰트들을 최대한 복원해서 내 프로그램에서 재생해 보고 싶다.

그나저나, 요즘은 민증이나 면허증 같은 신분증들도 온통 전산화됐기 때문에 실물의 필요성이 많이 없어졌다. 잃어버렸을 때의 타격도 많이 덜하다.
하지만 현물 실물의 중요성이 여전히 가장 크고 절대로 잃어버려서는 안 되는 개인 증서는 아무래도 여권이지 싶다. 당연히 외국 나가 있는 중에 말이다. 신원 조회라는 게 전국구 급으로는 수월하게 되지만 그게 세계구 급으로 되는 건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세계가 무슨 음모론자들의 주장처럼 세계 단일 정부로 가는 건 말처럼 호락호락 쉽게 가능하지 않다.;;

여권도 카드가 아니라 통장 같은 수첩 형태이고, 도트 프린터로 찍은 기록들이 덕지덕지 추가될 것 같은데 그래도 얘는 통장보다는 인쇄 스타일이 옛날식이 아닌 것 같다.

3. 일반인 소비자가 보는 것만이 전부가 아님

(1) 증기 같은 외연 기관은 교통수단의 동력원으로는 진작에 퇴출됐다. 허나, 외연 기관 자체는 증기 터빈의 형태로 지금까지도 엄연히 현역이다. 지금 세계에서 생산되는 전기의 압도다수는 증기 터빈 발전기를 돌려서 생산된 것이다. 화력이든, 원자력이든.

(2) 선박은 비행기에 밀려서 대륙 간 장거리 여객 교통수단으로는 완전히 퇴출됐다. 그러나 화물을 살펴보면?? 선박이 없이는 세계 물류가 돌아갈 수 없다. 운하가 하나 틀어막히기만 해도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우리는 얼마 전에 목격한 바 있다.

(3) 인터넷을 통해 지구 반대편으로 정보 전송이 가능한 것은 압도다수가 인공위성이 아니라 해저 케이블 덕분이다.

(4) 8비트 CPU는 성능이 너무 떨어지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다루는 PC나 게임기용으로는 수십 년 전에 진작에 퇴출됐다. 그러나 그 정도로 높은 성능이 필요하지 않고 최소한의 제어만 하면 되는 기기들.. 밥솥, 자판기, 전광판 이런 데서는 저렴한 가격에 낮은 전력 소모 등 유용한 구석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임베디드용으로 세계에서 여전히 수십억 개씩 생산되고 있다~! 다른 분야에다 비유해 보면 거의 척추동물(PC)과 무척추동물(임베디드..)의 개체수 차이와 비슷할 정도이다.;; 오히려 이도 저도 아니고 어중간한 16비트가 콩라인이 됐을 뿐..

(5) 오늘날 카세트 테이프는 컴퓨터에서나 오디오에서나 모두 한물 가고 퇴출됐다. 그러나 테라/페타바이트 급의 초 거대 용량의 백업 보관용으로 가장 우월한 저장 매체는 여전히 자기 테이프이다. 물론 이런 건 일반인이 가정에서 취급하는 급의 물건은 아니다.

(6) 컴퓨터의 통신 수단으로서 구닥다리 전화선과 모뎀은 진작에 퇴출되었다. 하지만 서류를 주고 받는 용도로 전화선 기반의 팩시밀리는 여전히 건재하다.
디지털이나 인터넷과 동떨어져 있지만 고유한 쓸모가 있기 때문이다. 어떤 가게가 지금 영업을 하는 중인지 알아보는 제일 쉽고 확실한 방법은 카톡이고 이메일이고 나발이고 필요 없이, 그냥 전화를 걸어 보는 것이듯이 말이다.;;
복사기, 스캐너, 팩스, 프린터는 종이를 다루는 복합기로 싹 통합해 버리기에 딱 좋아 보인다.

4. 저렴해지는 것, 비싸지는 것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랜저가 30년 전이나 지금이나 똑같이 3~4천만 원대인 걸 아시는가..??
배기량과 가격만 비슷하지 엔진 성능이나 효율, 편의 시설은 30년 전과 지금이 쨉이 안 될 것이고, 물가 상승도 쨉이 안 될 것이다.
하지만 어떻게 지내냐고 누가 물었을 때 그랜저로 답하기가 지금이 훨씬 더 쉬워진 셈이다. 물론 그 대신, 그랜저보다 더 비싼 고급차가 나오기도 했고 말이다.

1990년대 초엔 486 컴터 한 대가 3백~5백만 원이었다. 당연히 그 시절 물가 기준으로. -_-
버스비, 우유· 라면처럼 원래부터 소액이던 것은 가격이 몇 배로 무섭게 뛰었지만, 옛날에 왕창 비쌌던 고급 기계는 가격이 놀라울 정도로 변하지 않거나 더 싸졌다.

컴퓨터는 CPU뿐만 아니라 메모리도 Windows 95가 처음 나왔던 시절에 4MB를 추가로 장착하는 데 십몇만 원 이랬었다.
이러니 PC 환경에서 16비트 도스를 좀체 졸업할 수 없었다. 가상 메모리를 구현하고 현대적인 32비트 운영체제를 돌리려면 메모리를 관리하는 데 드는 메모리도 필요하고 도스보다 훨씬 고사양의 컴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x86이 구닥다리 비효율을 감수하고라도 조밀조밀 CISC 방식으로 만들어진 건 메모리를 조금이라도 더 아끼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1990년대 말~2000년대 초 사이에 메모리가 갑자기 64, 128, 256MB 이렇게 순식간에 뻥튀기 되기 시작했다. CPU 클럭 속도만 뻥튀기 된 게 아니었던 거다. 이렇게 메모리가 값싸고 풍족해진 덕분에 그 당시 Windows 9x 계열의 퇴출이 더욱 앞당겨지고 2000/XP 같은 NT 계열이 대세가 될 수 있었다!
메모리 반도체의 본좌인 삼성 전자에서 그 당시에 갑자기 외계인 고문과 공밀레를 열나게 시전해서 기술 혁신을 이뤄낸 건지는 잘 모르겠다. 무어의 법칙뿐만 아니라 황의 법칙도 거론될 정도였으니까..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동안 외모처럼, 어떤 분야엔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가격이라는 것도 있는가 보다. 이런 변화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한 번쯤 곱씹어 볼 필요가 있다.

5. 멀티미디어 기능

옛날에 PC가 성능이 뛰어나지 못했을 때는.. 텍스트 모드에서 한글· 한자를 찍기 위해서(!!!), 부동소수점 연산을 더 빠르게 하기 위해서, '삑삑'이 아닌 레알 사운드를 듣기 위해서 별도의 카드를 꽂고 애드온을 컴퓨터에다 장착해야 했다. 뭐, 상당수는 쌍팔년도 얘기이지만 1990년대 초중까지만 해도 동영상 재생 정도는 별도의 MPEG 카드를 꽂아서 해야 했다. 그러나 지금은..

  • 그래픽과 사운드는 기본적인 수준이야 CPU 메인보드에 이미 다 기본 내장됐다. 저 분야에서도 SoundMAX인지 인텔 비디오인지 하면서 Intel이라는 단어가 슬금슬금 보이기 시작했다.
  • 이제는 동영상 재생이 아니라 컴퓨터 화면을 실시간으로 부드럽게 녹화할 때에나 캡처보드 같은 별도의 카드가 필요한 듯하다. 물론, 평범하게 컴터를 다루는 모습이 아니라 복잡한 게임 장면을 녹화하는 것 말이다.
  • 아니면 GPU까지 빡빡 혹사시키는 high-end급 온라인 게임을 할 때, 머신러닝을 시킬 때..

  • TV 수신 카드는 요즘도 수요가 있는지 모르겠다.
  • 모니터와 텔레비전이 모두 디지털에 LCD 기반으로 바뀌다 보니, 오랫만에 켰을 때 과거의 브라운관 수상기처럼 화면이 서서히 밝아지고 상이 커지는 모습도 볼 일이 없어져 있다. 이런 모션은 이제 프로젝터를 켤 때에나 가끔 보는 것 같다.

Posted by 사무엘

2022/06/08 08:35 2022/06/08 08:35
Response
No Trackback , 4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2029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2/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676913
Today:
1481
Yesterday:
2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