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 이야기

1. 평가

국왕이건 대통령이건 한 나라를 대표하는 군주? 국가원수는 재임 중에 그야말로 엄청난 부귀영화에다 최고의 복리후생 서비스를 공짜로 받으면서 최고 권력을 행사한다.
하지만 그 사람도 죽거나 퇴임한 뒤에는 엄연히 당대 사람들로부터 평가를 받게 된다. 그리고 그 사람에 대한 칭호라든가 '묫자리'의 등급이 그 평가 결과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나라의 경우, 서울 교외에 초라하게 쳐박혀 있는 연산군묘와.. 정말 으리으리한 규모로 조성돼 있는 세종대왕릉의 차이를 생각해 보자.
이런 사례는 성경의 역사서에도 기록되어 있다.

  • "... 그들이 그를 다윗의 도시에 묻었으나 왕들의 돌무덤에 두지는 아니하였더라" (대하 21:20, 안 좋은 왕 여호람)
  • "... 히스기야가 자기 조상들과 함께 잠드니 그들이 그를 다윗의 아들들의 돌무덤 중에서 가장 좋은 곳에 묻어" (대하 32:33)

역사 속의 왕 중에서 특별히 매우 탁월 훌륭했던 명군 성군은 '대왕'이라고 높여 부르곤 한다.
고구려 광개토, 조선 세종, 프로이센 제국의 프리드리히 대왕 정도가 떠오른다. the great / der Große

2. 묘호

우리나라의 경우, 삼국시대까지는 군주의 이름이 다 '무슨무슨 왕'이었다. 그러다가 고려부터는 묘호라는 게 도입돼서 '-종' 이렇게 표기가 바뀌었다. 내가 알기로 아마 중국 시스템을 가져온 거지 싶다.

자기 임기를 못 마치고 폐위된 왕은 '-군'이라고 불리며, 묘지조차 '릉'이라고 불리지 못하게 된다는 건 잘 알려진 상식이다. 연산군· 광해군이 그 예이다.
그럼 정상적인 왕에게 부여되는 '-종'과 '-조'의 차이는 뭘까? 이건 정확하게 아는 사람이 의외로 드문 것 같다.

" '조'가 '종'보다 격이 더 높다.", "쿠데타를 일으켜서 왕위를 뺏은 왕이 '조'(세조, 태조..)다" 이런 말은 들어 본 것 같다.
글쎄, 검색을 해 보니 "공이 많은 왕은 '조', 은덕(?)이 많은 왕은 '종'"이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구분 기준이 매우 불명확하다. 공으로 치면 세종대왕이야말로 '조'가 돼야 하지 않는가? 여전히 좀 헷갈린다.

고려가 원 간섭기에 들어가서 개판오분전이 됐을 때는 왕의 이름에 '-종' 그딴 거 없고 몽땅 다 '충?왕' 내지 '공?왕'으로 물갈이됐었다. 위에서 시키는 대로 이름을 붙여야 했으니 말이다. ㄲㄲㄲㄲㄲㄲ
그리고 조선도 나중에 제국이니 황제를 표방했지만.. 일제에게 휘둘렸을 때는 그냥 '이왕가'라고 격하됐다. 천황 폐하의 휘하에 있는 왕이라고 말이다. 하지만 그 당시 왕들의 묘호는 그대로 고종 순종이 이어진 듯하다.

3. 현대의 대통령

현대 사회 시스템이 전근대 시절의 그것과 크게 다른 특성 중 하나는 고도의 세분화· 전문화, 계층 분리, 법과 규정· 매뉴얼 운용이다.
한 사람 독점이란 게 없으며, 한 사람의 실수나 폭주, 유고가 조직 전체를 순식간에 말아먹지 못한다. 서열 1위 VIP가 급사하면 이미 있던 매뉴얼에 따라 다음 서열이 그 자리를 승계할 뿐이다.

소유와 경영이 구분되고(국가뿐만 아니라 땅이나 기업, 선박, 군대 같은 것도..), 통치자의 권한도 사법 입법 행정 분야별로 분리된다. "짐이 곧 국가이니라, 짐이 곧 법이니라" 이런 게 없다.
뭐, 미국은 세계 최초로 임기제 대통령이라는 시스템을 도입한 나라이고, 오늘날 대한민국은 그 정치 모델을 따랐다. 두 나라 모두 초대 대통령은 자기를 3인칭화하면서 반쯤 왕 행세를 하기도 했지만, 그래도 그것만으로도 그 당시에는 충분히 파격적이었다.

대통령은 조선 시대 국왕 같은 존재가 아니다. 대통령이 죽었다고 해서 무슨 묘호를 따로 붙이거나 무덤을 왕릉 급으로 성대하게 꾸미지는 않는다. 그냥 국립 현충원의 국가원수 묘역에 모셔 주는 게 예우의 전부이다.
거기에 안장되는 자격은 단순히 무능해서 나라 말아먹은 정도로는 박탈되지 않는다. 악의적인 사고를 훨씬 더 크게 쳐서 형사 범죄 유죄가 확정됐을 때에나 박탈된다.

그런데 국립 대전 현충원 국가원수 묘역이 생긴 이래로 40년이 다 돼 가는 와중에, 저기에 묻혀 있는 사람은 울나라 역사상 제일 존재감 없었던 대통령인 최 규하 내외밖에 없다는 게 함정이다..;; 덕분에 저 묘역 자체의 존재감도 최 대통령의 존재감처럼 돼 간다. -_-;;

(리 승만과 박 정희 대통령 묘소는 서울 현충원 안에서 어지간한 왕릉처럼 따로 조성돼 있긴 하다. 그러나 앞으로 이런 특례 예외가 더 나올 일은 없을 것이다.)

4. 왕에 준하는 영어 어휘

(1) prince는 꼭 왕의 친아들뿐만 아니라 왕의 사위(부마) 내지 왕에 준하는 고위 통치자.. governor 총독과 얼추 비슷한 뜻이 되는 경우가 있다. 성경의 사 9:6 Prince of Peace가 '평화의 왕자'라고 번역되지 않음을 생각해 보자.
그러고 보니 Prince of Persia도 있구나. ㅋㅋㅋㅋㅋ 여기서도 주인공이 혈통상으로 무슨 왕의 친아들 같지는 않다. ^^

(2) 그러고 보니 여자 계열인 queen은 왕비도 되고 여왕도 된다. 영어에서 로얄 패밀리 관련 용어들이 전반적으로 중의적인 구석이 있는 것 같다.

(3) 다니엘서 6장에서는 이례적으로 총리 president라는 단어가 등장하며, prince와 대등하게 같이 나열된다. 서로 비슷한 신분이지만 선출 방식, 영역이나 직무, 지위가 다른 듯하다.

5. 왕보다 높은 칭호

다음으로 반대로 왕보다도 높은 사람은 뭐라고 부를까?
성경에서 쓰이는 타이틀은 king of kings '왕들의 왕'이다. 우리식으로 좀 짤막하게 의역하면 '왕중왕' 정도. 사실상 예수님의 칭호로만 쓰인다는 건 성경깨나 공부한 사람이라면 아실 것이다.

그 반면, 세상에서 특히 동양 한중일 문화권에서는 '황제'가 친숙하다.
오늘날은 옛날 같은 왕정이 세계적으로 전멸하다시피했기 때문에 "테란의 황제 임 요환. 소프트웨어의 황제 빌 게이츠"처럼 그 분야의 지존 왕고, 1인자 같은 비유적인 의미로 더 많이 쓰인다.

오늘날 자기 국가원수에 대한 영문 공식 명칭으로 emperor를 쓰는 나라는 일본이 세계 유일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야 반일 감정 때문에 '皇'자를 붙이고 싶지 않아서 '천황' 따위 생까고 '일왕'이라고 부르는 곳이 많다.
허나, 김 대중 때 저쪽에 대한 울나라의 공식 표기를 '천황'이라고 굳히기는 했었다. 노 태우 때 '중공' 대신 '중국'이라고 공식 표기를 굳힌 것과 완전히 동급으로 말이다. 왜냐하면 그때 한중 수교 내지 일본 대중문화 개방 같은 큰 사건이 있었기 때문이다.;;

6. 나머지 얘기들

(1) 예전에도 했던 말이지만..
성경엔 이스라엘 백성 "우리도 왕을 갖고 싶습니다" vs 사무엘 "그 왕의 간지를 유지하는 비용이 얼마나 되는지 알기나 하냐? 니들은 왕을 뒀다간 세금폭탄 맞고 개고생할 것이다. 그때 가서 후회해도 왕을 없앨 수도 없고 소용없을 거다" 이런 말이 나온다.
이거.. 요즘으로 치면 "우리도 빚 내서라도 차를 장만하고 싶습니다." vs "차는 안 몰고 세워 놓기만 해도 유지비가 얼마나 드는지 알기나 하냐? 나중에 빚더미에 올라서 고생해도 차를 무를 수 없을 거다" ...;; 카푸어와 싱크로율이 아주 높아 보인다.

(2) 동양에서는 역대 왕들에게 서로 다른 한자 글자를 할당해서 이름을 붙이는 반면.. 서양은 기존 선조의 이름을 계속 재활용하면서 n세 n+1세.. 이러는 관행이 있다!! 한중일에서 n세 n+1세 이런 이름이 붙은 군주는 내가 아는 한 없다. 신기한 노릇이다. =_=;;

(3) 신라에서는 우리나라 역사상 전무후무하게 서로 다른 김, 박 왕조가 번갈아가며 왕좌에 올랐으며.. 잠깐이지만 여왕도 있었다. 왕릉이 바다에 조성된 왕도 있었고, 또 죽어서 왕으로 추존된 장군(김 유신)도 있었다.
처음에는 이사금인지 뭔지 이렇게 불리다가 진흥왕인가 그때 처음으로 중국식 표기가 도입됐다. 여러 모로 특이하다.

(4) 왕 내지 절대권력을 의미하는 색깔도 문화권마다 다른지.. 성경 시대엔 보라색?자주색? 계열이 고귀하게 여겨진다.
예수님이 왕드립 패드립을 당하실 때도 이 색깔의 겉옷이 걸쳐졌다(요 19:2).
한때 서울 지하철 5호선에서는.. "5호선 보라색의 상징은 황제입니다. 5호선을 이용하시는 승객 여러분도 황제입니다" 이런 아부성 광고가 붙기도 했는데.. 그 색의 의미가 저기서 유래된 게 아닌가 싶다.
그러나 중국 청나라에서는 노랑이 황제를 의미하는 최고급 색깔이었다.

(5) 세종대왕에 대해서.. 종모법을 시행해서 노비 신분을 무슨 유전병 우성 인자마냥 퍼뜨리고 전 백성을 노비로 만든 원흉인 것처럼 얘기하는 낭설이 떠돈다.
글쎄.. 오히려 세종 이후 나중에.. "부모 중 누구라도 노비이기만 하면 자식은 모두 노비" 즉, X나 Y 둘 중 하나가 아니라 X|Y를 만들어 버린 게 진짜 노비를 폭증시킨 것 같은데 말이다. 저건 마치 "요셉에 대해서 백성의 땅을 몽땅 뺏어 버린 원흉"이라는 말처럼 들릴 수 있어 보인다.

(6) 왕은 저렇게 고귀한 신분이거늘, "우리를 사랑하사 자신의 피로 우리의 죄들에서 우리를 씻으시고 하나님 아버지를 위해 우리를 왕(경복궁!!)과 제사장(종묘!!)으로 삼으신 예수 그리스도"에게(계 1:5-6) 찬양과 영광을 돌리고 싶어진다.
진짜 왕 신분은 자주색 노선인 지하철 탄타고 부여되는 게 아니라 예수님의 피를 믿어야 영적 신분으로나마 주어질 수 있을 것이다.

Posted by 사무엘

2024/04/22 08:35 2024/04/22 08:35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2289

조선 시대의 관행

1. 향교와 서원

조선 시대엔 '향교'와 '서원'이라는 뭔가 유교 냄새가 나는 공공 교육 시설이 있었다. 이게 뭘 하던 물건이며 둘의 차이점이 정확하게 무엇인지는 난 잘 모르겠다. 종교 시설은 아니겠지만 일본의 신사 같은 느낌도 좀 드는데 말이다. 위키를 찾아보니 오늘날로 치면 각각 지방의 국· 공립대 vs 사립대 정도의 위상이었다고 한다.

옛날에는 이런 게 지금보다 더 많이 있었지만 나중에는 심지어 조선 정부에서도 많이 정리하고 없앴다. 특히 서원 말이다. 너무 많이 난립하니 세금이 제대로 걷히지 않고 나라가 못 돌아갈 지경이 됐기 때문이라고 한다. 서원에 무슨 초법적인 권한이 있기라도 했는지...?

이런 이유로 인해 오늘날은 행정구역상 인서울엔 향교와 서원이 공교롭게도 각각 딱 하나씩만 남아 있다.
먼저 향교는 강서구에 있는 양천 향교가 유일하다. 원래는 인지도가 완전히 듣보잡이었는데 서울 지하철 9호선에 '양천향교'라는 역이 대문짝만 하게 생김으로써 크게 유명해졌다.

이 향교의 위로는 '궁산'이라는 높이 80m 남짓한 언덕이 공원으로 꾸며져 있다. 고층 아파트를 계단으로 오르는 정도의 수고만 하면 금세 정상에 도달해서 넓은 풀밭과 함께 한강을 내려다볼 수 있어서 아주 좋다.
다음으로 서원은 '도봉 서원과 각석군'이라는 이름으로 도봉산 기슭에 딱 하나 있다.

본인은 지난 2016년 말에 지하철 7호선의 종점인 장암 역 부근에서 수락산을 올랐을 때 '노강 서원'이라는 걸 본 적이 있었다. 얘는 근소한 차이로 인서울 서원은 아니지만.. 그래도 도봉 서원과 막 멀지는 않은 거리에 있는 셈이다.
그리고 2017년 여름에 관악산을 올랐다가 과천 시내 쪽으로 하산했을 때는 산기슭에서.. 그래, 과천 향교를 본 적이 있었다. 등산을 다니면서 이런 쪽 견문도 넓어지는구나.

본인은 예전에는 산 속에 벙커를 보고는 별 생각 없이 그냥 지나쳤다. 그러다가 수 년 뒤엔 거길 뒤늦게 다시 찾아가서 안에서 잠도 자고 온 것처럼..왔다.
그런 것처럼 향교와 서원도 처음엔 잘 모르고 사진만 찍어 놨다가 수 년 뒤에 이렇게 존재감을 다시 생각하고 의미를 재발견하게 됐다.

관련 자료를 더 찾아보니.. 전국에 있는 교동· 교촌이라는 지명은 다 향교의 흔적이라고 한다.
음.. 그럼 교촌 치킨도 향교에서 유래된 것이었구나~! +_+ ㅋㅋㅋㅋ

2. 색깔

하양 - 노랑 - 초록 - 파랑 - 빨강 - 검정
이게 뭔가 사람이 보편적으로 느끼는 색깔 별 등급 내지 레벨 대응인 것 같다.
태권도 도복의 띠 색깔이라든가, 카트라이더의 레벨 별 면허증 색깔, 그리고 서울 버스의 등급 별 색깔을 생각해 보면 알 수 있다. 무지개 hue 스펙트럼과 얼추 비슷하지만 시작 지점이 빨강이 아니라 노랑인 셈이다.

그런데 옛날 조선 시대에 궁궐에서 관료와 왕이 입었던 한복은.. 하양 - 초록 - 검정 - 파랑 - 빨강 - 노랑의 순으로 격이 올라갔던가 보다. 흠 그것도 아무렇게나 배치한 건 아니었군.

빨강이 격이 높은 색인 건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임금님 곤룡포는 다 빨강이다.
그리고 성경에서 예수님이 "자칭 유대인의 왕 만세~!" 이렇게 왕 코스프레(?)를 당하실 때 걸쳐졌던 옷도 빨강이었다(마 27:28 등).

그 다음으로 노랑은.. 현대에서는 유치원 초딩, 초보, 조심· 주의의 상징이다. 병아리가 노란색이어서 그런지 스쿨버스나 어린이집 통학 차량도 전부 노랑이지 않은가?
하지만 관점에 따라서는 노랑이 완전 고급스러운 색일 수도 있어서.. 중국을 포함한 동양에서는 노랑이야말로 황제의 색깔이었는가 보다.

대국을 받들어 모시던 조선에서는 노란색은 감히 입을 수 없었다고 한다. 우리나라 국군에 '원수' 계급은 반영구적인 공석인 것처럼.. 노랑은 그렇게 무기한 봉인돼 있었던가 보다.
그래서 대한제국 때 탈중궈를 선언한 뒤, 끄트머리인 고종과 순종의 어진만이 노란 옷차림이다..;; 헐~

3. 종

우리나라 경주에는 신라 왕조에서 유래된 성덕대왕 신종, 일명 애밀레종이란 게 있다.
그리고 서울에는 조선 왕조에서 유래된 보신각 종(?)이 있다.
전자가 후자보다 시기적으로 600년이 넘게 더 앞섰다. 전자는 국보이고 후자는 보물이다. 하지만 둘은 용도와 심상이 굉장히 비슷하다.

요즘이야 새해가 됐을 때 보신각에서 타종 행사가 열리지만.. 먼 옛날(197, 80년대)에는 에밀레종도 타종했다. 텔레비전에서 서울과 경주의 타종 행사를 나란히 중계했을 정도였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는 두 종 모두 문화재 보존을 위해 실물을 건드리지는 않고 있다.

그러다가 보신각 종은 1985년부터 국립 중앙 박물관으로 옮겨졌고, 현재는 경주 에밀레종을 복제한 새 종을 거기에다가 달아서 매년 타종하게 됐다.
그럼 경주에 있는 진짜 에밀레종은..?? 공식적으로는 1992년 이후부터 제야 타종을 중단했고, 박물관에서는 녹음된 타종 음향만을 주기적으로 쏴 준다. 이런 관계가 됐다.;;

보신각 종 원판은 상태가 안 좋아서 진짜 박물관에 처박혀서 영구 봉인된 듯한 반면, 에밀레종은 그렇지 않았다. 2003년까지 비정기적으로 타종을 좀 하다가 그 뒤로는 타종이 진짜로 중단됐다. 2020년에는 코로나 시국에도 오랜만에 타종한다는 보도 자료가 검색돼 나오지만, 그 뒤에 실제로 했는지는 모르겠다.

Posted by 사무엘

2021/06/23 19:34 2021/06/23 19:34
,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902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984730
Today:
283
Yesterday:
2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