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여 년 전에 개최되었던 서울 올림픽은 운동 선수들만 잘 뛰어서 성공한 게 아니었다. 마스코트 호돌이와 주제가 "손에 손잡고" 같은 예술 감성 마케팅도 완벽했다.

개인적으로는 자국의 음악가 대신 일부러 외국인에게 주제가 작곡을 맡기고, 공연도 한국인이지만 외국에서 활동한 그룹에게 맡긴 것이 선견지명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음악의 퀄리티가 더욱 올라갈 수 있었다. 고유 모델 자동차를 개발할 때도 첫 단추를 끼울 때 돈 아깝다는 생각을 접고 쿨하게 외국 일류 디자이너에게 디자인을 맡겼으며, 이름도 군사정권이나 북한스러운 시덥잖은 국뽕물 형태로 짓지 않고, 수출을 의식해서 '포니'라고 지었던 것처럼 말이다.

그 뿐만이 아니다. 벤 존슨 선수의 약물 도핑을 잡아낸 기술력, 그리고 자체 개발한 통합 전산 시스템 같은 운영도 아주 성공적이었다. 정말 "우리도 할 수 있다"라는 저력을 세계를 상대로 보이기에 손색이 없었다. 물론 이런 노하우가 갑자기 하늘에서 뚝 떨어진 건 아니고, 자국의 전국체전, 그리고 86년 아시안게임이라는 베타테스트 기회가 먼저 있긴 했다.

오늘은 본인이 서울 올림픽 개막식 동영상을 보다가 문득 떠오른 생각을 좀 열거하고자 한다. 어쩌다 보니 기계 이야기와 사람 이야기가 하나씩 모였는데, 일단 기계 이야기부터 먼저 늘어놓겠다.

1. 전산 시스템의 디지털 서체

본인이 예전부터 강조한 바와 같이, 1953년의 휴전 협정 문서는 한글이 기계식 타자기로 찍혀서 국제적인 역사 기록이 만들어진 거의 최초의 사례이다.
알파벳을 쓰는 서양에서는 학술 논문은 말할 것도 없고 전쟁 중에 삐라 찌라시를 만들 때도 타자기를 써서 일을 아주 신속하게 진행했지만 동양은 아직.. 심지어 펜보다도 더 느리고 불편한 붓을 썼던 것이다.

그런데 그로부터 30여 년 뒤, 서울 올림픽 주경기장 전광판에 떴던 자막은 한글이 디지털 컴퓨터의 화면에 표시되어 국제적인 역사 기록으로 남은.. 완전 최초까지는 아니어도 충분히 초창기 축에 드는 사례이지 싶다. 특히, 내부적으로 단순무식 그림이 아니라 진짜 문자로 처리되어서 출력된 것 말이다.
(화면은 모두 대한뉴스 유튜브 영상들 캡처해서 적당히 짜깁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알파벳· 숫자와 마찬가지로 모든 획을 수평 수직 45도 대각선만으로 구성한 단순한 디자인이요, 확대 계단 현상이 그대로 드러나 보이는 투박한 비트맵이다. 좀 허한 느낌이 드는 ㅅㄷㅈ 같은 초성의 배치를 보면.. 조합 벌수가 그리 많지도 않은 구조로 보인다.

전광판 말고도 그 시절의 대한뉴스 동영상을 열람해 보면 기자나 운영자들이 자료 입력용으로 사용한 전산 시스템의 접속 화면을 볼 수 있다. 일명 GIONS인데.. 난 1980년대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환경은 어떠했을까 아는 게 없으니 신기하기 그지없다. 저 때는 PC 환경에서는 온갖 한글 코드들이 난립하고 조합형이니 완성형이니 하면서 싸우던 때였다. 한글 카드라는 하드웨어(!!)가 있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한글 입출력을 구현하는 건 고난도 프로그래밍 테크닉이었다.

개인이 단말기 용도로 쓰던 컴은 그냥 IBM XT급인지, 아니면 다 IBM 워크스테이션급인 건지, 16비트인지 32비트인지, x86인지 아닌지(아마 아닌 듯)... 같은 것 말이다. 더구나 GIONS는 그 이름도 유명한 코볼 언어로 작성됐을 거라는 말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화면에서 쓰인 한글 폰트는 비교적 친숙하다. 글자가 전반적으로 홀쭉하고 영문· 숫자도 전각으로 표현되었던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런데 본인의 고개를 갸웃거리게 하는 것은 이 화면이다. 이건 분명 모니터 화면인데 영문· 숫자는 반각으로 표현되었을 뿐만 아니라 고해상도이다. 화면용 폰트가 아니라 24픽셀급의 도트 프린터 인쇄용 폰트가 쓰였다.
그 시절에 텍스트 모드 화면에서 인쇄용 폰트를 볼 일은 PC 레벨에서는 없었을 텐데.. 이건 도대체 무슨 기기인지 궁금하다.

서울 올림픽의 통합 전산 관리 시스템(모든 경기들의 진행 상황 파악, 선수들 기록 등록, 기사 전송 등...)인 이 GIONS는 순수하게 국산 기술로 개발되었고 대회 중에 한 번도 오류 없이 성공적으로 잘 돌아갔다. 서울 올림픽의 개최를 성공으로 이끈 숨은 일등공신 역할을 했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올림픽이 끝난 뒤에는 이 솔루션은 전혀 유지보수 되지 못한 채, 완벽하게 잊혀지고 사라져 버렸다. 심지어 후대의 올림픽 개최국 중에서 GIONS를 구매해서 도입하고 싶어하는 곳이 있었는데도 도움을 주지 못했다. 그때 한데 모였던 개발 인력은 각자 자기 먹고 살 길을 찾아 이직하고 흩어졌다. 이거 무슨 거북선도 아니고 뭐냐..

물론 지금이야 최신 웹과 DB 기술을 이용해서 그 정도 SI를 구축하는 것은 30년 전 그 시절만치 대단하고 거창한 일은 아닐지 모른다. 하지만 신기술이 아직 가치가 있던 시절에 그게 더 널리 쓰이지 못한 것은 애석한 노릇이다.

2. 고등학생들의 개회식 매스게임

올림픽의 개회· 폐회식 때는 주최국에서 준비한 온갖 화려 현란한 공연들이 펼쳐져서 흥을 돋우고 관객들에게 잔치 분위기를 내는 것이 관례이다. 서울 올림픽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런 건 주최국에서 내로라 하는 예술가들이 국가로부터 의뢰를 받아서 컨텐츠를 만든 뒤, 전공자 전문 무용수들이 대가를 받고 공연한다. 그런데 서울 올림픽의 경우, 거기에 덤으로 '동대문 상업 고등학교', '서울 여자 상업 고등학교' 이렇게 남녀 실업계 고등학교 두 곳에서 총 1100명이나 되는 2학년 학생들이 소집되어 매스게임을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사람들은 처음에 전문 무용수들이 '태초의 빛'이라는 창세기 1장스러운 공연을 할 때는 들러리로 자리 채우는 역할만 했지만, 그 다음 '어서오세요' 편에서는 자기들이 직접 운동장을 뛰어다니고 구르면서 88, WELCOME, 어서오세요, 오륜기 등등 글자 픽셀을 만들고 심지어 색깔띠(?)를 펼쳐서 펄럭이기까지 했다.

아예 체조 선수나 발레리나 같은 레오타드도 아니고 반쯤 운동 선수 같은 희고 짧은 복장에, 색깔띠는 저렇게 머리에 두르고 있는 게 무척 인상적으로 느껴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매스게임은 그 특성상 민주· 인권이 발달한 나라에서는 잘 안 하고 사회· 공산주의 집단· 전체주의 똥군기스러운 곳에서 체제 선전과 단결력 과시(?)를 목적으로 많이 하는 편이다. 가령, 북한의 아리랑 공연은 그야말로 HD급 해상도를 자랑하는-_- 카드섹션을 선보이는 걸로 유명하다. 그 대가로 침해되는 북한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개인 시간과 건강, 학습권 따위는 아웃 오브 안중..

우리나라는 북괴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옛날엔 주변에서 선진 문물이랍시고 보고 배운 게 온통 일본물밖에 없고, 또 생존을 위해서라도 멸사봉공 군대 문화와 전체주의 분위기가 오랫동안 쩔었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나 대기업 같은 데서 맛보기 수준의 매스게임은 종종 행해졌다. 당장 전국체전 때만 해도 운동부 애들의 운동 경기뿐만 아니라 여학생들 집단군무가 관행이었다는 것을 옛날 대한뉴스를 보면 알 수 있다.

군대는? 제식부터가 일종의 집단군무이다. 카드섹션 같은 건 없겠지만 그 대신 무릎을 안 굽히고 걷는 거위걸음 행군이 있다.
그리고 국군의 날 기념 퍼레이드 연습이 통과의례였다. 퍼레이드에 선발된 부대의 일반 보병들이야 각 잡고 광낸 군장 메고 행군만 하겠지만 사관 생도나 특전사들은 뭔가 더 특별한 걸 보여줘야 하니 연습하느라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을 것이다. 요즘이야 대규모 특별 행사를 5년마다 한 번씩 대통령이 취임한 해에만 하지만, 옛날 군사 정권 시절에는 그 짓을 여의도 광장과 서울 종로에서 매년 해야 했다.

자, 그런 와중에.. 서울 올림픽 개회식의 매스게임에 참여했었다는 익명의 서울여상 졸업생의 회고 인터뷰가 어째 딴지일보에 올라와 있어서 본인은 재미있게 읽었다. 참고로 딴지일보 기사도 무려 2004년작이니, 올림픽 당시와 지금의 중간 사이인 엄청난 옛날이다.;; "그리스 아테네 올림픽 개회식은 보셨나요?"라는 인터뷰 질문에서 세월의 격차를 느낄 수 있다.

인터뷰 내용에 따르면..

  • 그 아이들은 1학년 2학기에 들어갔을 무렵부터 거의 1년을 연습했다고 한다. 매일 하루도 빠짐없이는 아니었겠지만 그래도.. 연습날은 오전 수업만 하고 오후 내내 해 떨어질 때까지.. 이 때문에 수업 시간이 펑크난 건 방학을 줄여서 메워야 했다.
  • 자기 학교가 뜬금없이 개회식 매스게임에 참여하기로 결정된 것은 자기 반이 배틀로얄 시범 학급으로 지정된 과정과 다를 바 없다. 학생들의 의사는 반영되지 않았다. 그 시절엔 세계가 지켜보고 있으니 그냥 나라와 학교에서 시키면 애국이라는 명목으로 해야 했다. 까라면 까야 했다.
  • 두 학교가 같이 모여서 연습할 때는 연습 장소로 효창 운동장이 주로 쓰였다.
  • 세 번 정도 올림픽 주경기장에서 개막식 폐막식 총연습 리허설이 있었는데, 마지막 '최종' 리허설 때는 학부모들도 공식적으로 초청받았다고 한다.
  • 조금 씁쓸한 얘기이지만, 실업계고가 선택된 이유는 일반 인문계고에서는 애들 공부하는 데 방해 된다고 학부모들 반대가 심했기 때문이랜다. (그 전의 86년 아시안게임 때의 선례)
  • 올림픽이 끝난 뒤에 모든 참가자들은 고생했다고, 수고 많았다면서 나중에 국가로부터 자그마한 기념 훈장쪼가리를 받았다.

그래도 강제 동원된 것치고는 저 클로즈업 영상에 나오는 학생들의 표정은 대체로 밝아 보인다.
개회식 이후에 폐회식 때는 또 다른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매스게임을 했다. 학교명은 공주농고, 해성여상이라고 뜨는데, 지금은 두 학교 모두 특성화 고등학교를 표방하며 이름이 바뀌어 있다. 지방에 있는 학교이면 이동하느라 연습하기가 더 어려웠을 것 같은데..

정말 88 올림픽을 소재로 영화 좀 나오는 게 없으려나 모르겠다. 운동 선수, 운영 인력 등 무엇 하나를 집어도 드라마틱한 소재는 만들어질 수 있을 것 같은데 말이다.
참, '태초의 빛'을 지도한 이화여대 무용학과 교수는 성명이 어째 '유 관순' 열사랑 발음이 같다..; 일부러 노린 작명인지 진지하게 궁금해진다.

서울 올림픽은 전세계 지구촌 축제를 표방하며 개최되었고, 실제로 그 목표를 어느 정도 이뤘다. 자유 진영과 공산권 국가들이 모두 참가해서 그 전의 모스크바· LA 올림픽의 한계를 훌륭하게 극복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와중에 북괴는 펜대 굴리며 곰곰이 계산을 해 보니.. 결국 자기 주민들에게 미칠 여파를 생각하면 안 되겠다 싶었는지 불참했다. 불참만 한 게 아니라 KAL858편 테러나 일으키면서 남한의 올림픽 개최를 방해하고 해코지나 했다는 것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사무엘

2019/11/10 08:35 2019/11/10 08:35
,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682

올림픽 잡설

* 스포츠는 내가 극도로 관심이 없는 분야 중 하나이다만..

1. 잘 알다시피.. 2020년 하계 올림픽의 개최지로 일본 도쿄가 선정되었다.
전쟁 범죄를 전혀 반성하지 않은 나라, 더구나 방사선 유출 사고까지 친 나라가 어째 올림픽을 또 유치해 냈는지에 대해 의아해하는 분이 적지 않다만, 아무튼 이로써 일본은 1964년 이래로 거의 반세기 만에 올림픽을 동일 도시에서 또 하게 됐다.
일본은 1988년 올림픽에서 나고야에서 올림픽을 유치하려 했으나, 잘 알다시피 52:27의 표로 우리나라 서울에 패했던 적이 있다. 이른바 바덴바덴의 기적이다.

2. 그 전까지 역사상 올림픽을 두 번 개최한 동일 도시는 그리스 아테네(1896/2004)와 프랑스 파리(1900/1924)가 있고, 세 번은 런던(1908/1948/2012)뿐이었다.
미국은 올림픽을 네 번이나 개최한 유일한 국가이지만, 전부 다 다른 지역이다(1904/1932/1984/1996).
독일은 두 번 개최하긴 했으나, 나치 독일-베를린(1936), 그리고 서독-뮌헨(1972)이어서 둘의 위상이 서로 미묘하게 다르다.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도 다른 지역에서 두 번 개최한 나라이다(1956/2000).

3. 사실, 일본은 2차 세계대전이 아니었으면 20년 전인 아예 1944년에 올림픽 개최가 예정되었을 선진국이었다. 그로부터 20년 뒤, 일본은 1964년 도쿄 올림픽의 개최에 맞춰 세계 최초로 상용 최대 속도가 시속 200km를 넘는 신칸센 철도를 개통했었다. 신칸센은 표준궤일 뿐만 아니라 같은 표준궤 철도 중에서도 열차의 폭이 한국이나 유럽의 철도 차량보다 수십cm가량 더 넓게 설계되었다. 그래서 한 줄에 2-2뿐만 아니라 2-3 좌석 배치도 있다. 협궤 철도의 한계에 이골이 난 걸까.

전쟁은 일본의 올림픽 개통뿐만 아니라 지하철의 개통까지도 늦췄다.
일본은 아시아에서 최초로 긴자 선이라 불리는 도쿄 지하철을 1927년에 개통했었다.
그러나 그 다음 노선인 마루노우치 선은 그로부터 또 무려 27년이나 지난 1954년에야 개통할 수 있었다.
전쟁 때문에 물자가 부족하니, 신규 철도 건설은 고사하고 이미 있는 철도 선로도 뜯어가야 할 판이었기 때문이다.

4. 2020년 이전에 일단 요 몇 년간은 남아메리카 브라질이 꽤 주목을 받을 것 같다.
2014년 FIFA 월드컵도 브라질, 2016년 올림픽도 브라질(리우데자네이루)이기 때문이다. 특히 올림픽의 경우 역사상 최초의 남아메리카 개최이다.
월드컵은 매 경기가 서로 다른 지역의 다양한 경기장에서 개최되기 때문에, 올림픽과는 달리 개최국만 지정하지 도시 이름까지 하나로 콕 지명되지는 않는다.

5. 끝으로, 축구 얘기를 좀 한 후 글을 맺겠다.
지금이야 우리나라는 홈그라운드에서 무려 4강에까지 진출한 적이 있고 얼마 전엔 원정 16강까지도 진출한 축구 강국이다. 그러나, 대한민국 축구의 시작은 심히 미약했다는 걸 알 만한 분들은 다 알 것이다.

광복 후 최초 참가였던 1948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1라운드에서 멕시코를 5:3으로 이겼으나, 2라운드에서 우리나라는 스웨덴에게는 무려 12:0으로 패해서 올림픽 역사상 최다 실점이라는 기록을 갖고 있다.
1954년에 첫 참가한 FIFA 월드컵도 마찬가지다. 그 당시 월드컵은 스위스에서 열렸는데, 헝가리에게 9:0, 터키에게 7:0으로 졌다. 월드컵에서 9점차라는 실점 규모는 역사상 공동 1위이다.

물론 이건 부끄러워할 기록이 전혀 될 수 없다. 해방 직후에, 또 전쟁으로 전국토가 폐허가 된 직후에, 국제 스포츠 경기 참가를 위해 나라가 해 줄 수 있는 게 없다시피하던 시절이었다. 1948년 런던 올림픽 참가의 경우, 선수들은 먼저 부산까지 열차를 타고 간 뒤 일본을 거쳐서 각종 배와 경비행기를 갈아타면서 런던까지 가는 데만 무려 3주가 걸렸었다! 배 타고 갑판 위에서 축구 연습을 했다면 믿으시겠는가?

의류비(단복, 운동복 등)나 숙소 체류 비용조차 제대로 못 내서 완전 추레한 촌티를 팍팍 낸 채, 이들은 도착 직후에 시차 적응도 못 한 채 경기를 뛰어야 했다. 사정없이 쏟아지는 공격에 골키퍼는 상처투성이가 되는 투혼을 발휘하면서 온몸으로 공을 막아 냈다. 오히려 12:0으로, 9:0으로밖에 지지 않은 게 대단하다고 외신들이 골키퍼를 칭찬할 정도였으니... 눈물젖은 빵+헝그리 정신의 결정체가 아닐 수 없다.
스포츠도 나라가 부강하고 잘 살아야 제대로 육성이 가능하다는 걸 느낀다.

Posted by 사무엘

2013/09/15 08:30 2013/09/15 08:30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877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666807
Today:
2045
Yesterday:
1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