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다음과 같은 서로 완전히 다른 분야의 관행들에서 공통된 패턴이 존재한다고 생각하시는가? 만약 존재한다면 공통점이 무엇일까?

  • 컴퓨터에서 각종 계정의 암호를 설정하는데, 암호는 무조건 n글자 이상에 대소문자와 숫자 등이 반드시 골고루 섞여야 한다고 프로그램이 사용자에게 강요를 한다.
  • 출퇴근 시간엔 서울 지하철 사당 역은 2호선과 4호선 사이의 지름길 직통 환승 통로를 폐쇄하고 먼 우회 통로로만 환승이 가능하게 만든다. 또한 사람이 지나치게 많이 몰리는 행사가 열리면 가까운 지하철 역이 통째로 폐쇄되고 열차가 무정차 통과한다.
  • (종교 얘기. 비기독교인은 skip해도 좋음) 예루살렘에서 성령이 강림한 후 신약 기독교회가 갓 태동했다. 그러나 하나님은 역설적으로 그 기독교 성지에서 맹렬한 기독교 박해와 스데반의 순교를 허락하셔서 신자들을 뿔뿔이 흩어 버렸다.

내가 생각하는 이것들의 공통점은... 한데 몰려서는 안 되는 곳에 사람들이 지나치게 많이 몰릴 때 “그 몰리는 선택지 자체를 없애 버려서 분산을 강제로 유도”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로써 집단 내부의 잠재적 부작용이나 병폐를 해결했다.

먼저 종교의 경우다. 먼저 믿고 구원받은 크리스천은 주님의 명령대로 세상 방방곡곡에 흩어져서 복음을 전해야 하는데 그게 말처럼 쉽지 않다. 어지간하면 그냥 신자들끼리만 기득권을 형성하고 교제라는 명목의 친목질만 하면서 고향에서 편하게 살고 싶다. 그러니 하나님이 저런 역경을 허락하신 것이다. 물리적으로만 보자면 그건 자기 신자를 줄이고 세력을 약화시키는 팀킬인데 기독교는 오히려 그런 역경을 통해서 역설적으로 잡초처럼 더 강해지고 널리 퍼져 온 것이다.
(단, 그렇다고 해서 기독교 박해 행위 자체를 정당화할 생각은 하지 마시길.)

교회사뿐만 아니라 바벨 탑 사건도 비슷한 맥락으로 사람들을 강제로 뿔뿔이 흩어 버린 경우에 속한다. 온 인류가 단일 민족 단일 언어이면 지금처럼 복음 전할 때에도 “아프리카 원주민이나 세종대왕, 이 순신 같은 사람도 다 예수 전해듣지도 못했는데 지옥 갔냐?” 이런 쓸데없는 질문을 받을 일이 없었을 텐데.. 하나님이 왜 그런 비효율적인 자충수를 일부러 두신 걸까?

두 말할 나위도 없이 인류가 단일 언어 단일 체계이면.. 다같이 하나님을 믿는 것보다 다같이 순식간이 부패하고 타락하고 썩어 버리는 게 훨씬 더 빨리 진행되기 때문이다. 다 합당한 이유가 있다.
그 대신, 교회가 태동하던 무렵에는 복음이 빨리 퍼져 나가라고 바벨 탑 사건 때와는 정반대로 언어 장벽을 잠시 극복해 주신 것이다. 그게 바로 '방언 은사'이라는 거다. 성경의 방언은 알아들을 수 있는 외국어이지, 울랄날따따따 잡소리가 절대 아니다.

자 그건 그렇고, 교통 얘기로 오면..
사람이 한 장소에 너무 몰리면 꼼짝달싹 못 하고 아무도 이동을 못 하게 될 뿐만 아니라 압사 사고 등 안전상의 위험도 매우 커진다. 제일 가까운 지하철역을 폐쇄하는 것은 사람들을 더 먼 곳까지 강제로 이동시킴으로써 밀집도를 낮추는 효과를 내며, 우회 환승 통로 역시 환승 승객을 수용할 공간을 확보하여 밀도를 낮춰 준다.

새해에 타종 행사를 하고 나면 종각/시청 일대의 지하철역이 폐쇄되고 불꽃 축제가 있을 때는 여의도 근처의 지하철역이 폐쇄되는 이유가 이로써 설명된다. 지난 여름에 교황이 왔을 때에도 광화문, 시청 근처의 지하철역은 당연히 폐쇄크리를 먹었다. 정말 상상을 초월하는 수의 인파가 몰렸기 때문이다.

서로 가깝고 같은 기간에 동일한 십자형으로 건설된 천호 역은 환승 거리가 짧은 반면, 군자 역은 거리가 일부러 꽤 길게 만들어져 있다. 7호선이 8호선보다 더 수요가 많고 혼잡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천호도 마냥 짧기만 한 건 아니다. 천호에서 8호선을 타는 승객의 압도 다수가 잠실 역에서 내리는데, 환승 지점은 열차의 뒷부분이고 잠실에서 빨리 갈아타려면 암사 방면 열차의 맨 앞까지 이동을 해야 한다. 이것 때문에 사람들이 많이 걷는다. 지하철 8호선이 만들어질 때 이런 것까지 다 지능적으로 고려를 했는지는 모르겠다.

자, 그 다음으로 암호 얘기를 하겠다.
모든 사람들이 정말 정보 엔트로피가 높은 완전 무작위한 숫자· 문자를 암호로 사용한다면..
저런 제약은 오히려 암호 공격자에게 좋은 단서로 작용할 수 있다. 비록 암호 조합 문자열이라는 파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미미하겠지만, 어쨌든 n글자 이하는 절대로 거들떠보지 않아도 되고, 한 종류의 문자만으로 이뤄진 문자열은 처음부터 탐색 대상에서 제끼면 되니까 말이다.

그런데도 굳이 저런 제약이 존재하는 건.. 불행히도 매우 많은 사람들이 저 작은 표본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암호를 허술하게 만들고, 그게 공격자에게 왕왕 털리기 때문이다.
password, qwerty, q1w2e3, asdf, letmein, love 등...;;
그러니 차라리 그 표본을 명시하고서 사용자들로 하여금 강제로 배제하게 하는 게...
공격자에게 새 발의 피 정도의 단서를 던져주고서 전체 보안은 넘사벽급으로 훨씬 더 강화하는 효과를 낸다. 내 발뒤꿈치를 주고 상대방의 머리를 공격하는 전략 되겠다.

암호라는 건 마치 캡챠만큼이나 서로 모순되는 두 이념을 적당히 잘 충족해야 한다.
캡챠가 사람은 쉽게 알아보고 컴퓨터는 못 알아보는 그림이라면, 암호는 공격자--공격자의 주 도구인 컴퓨터도 포함--는 유추하기 무진장 어려우면서 당사자는 기억하기 쉬워야 한다.
주인이 기억하기 쉬우려면 결국 주인은 자기 개성을 표현하는 문자열을 떠올리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암호 공격은 거의 사회과학의 영역으로까지 확장되게 된다.

(더 극단적으로는, 기계적으로 완전 철통같은 암호라 해도 암호를 아는 사람을 돈이나 미인계로 매수한다든지, 혹은 아예 물리적으로 잡아 족침으로써 어이없게 뚫어 버리는 예도 있다.;; brute force 테크닉 그딴 것도 필요 없다. 성경에도 삼손의 지인들이 삼손의 수수께끼를 어떻게 풀었던가? 삿 14 참고)

일반적으로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암호 입력란은 IME가 동작하지 않아서 영문· 숫자 이외의 문자를 입력할 수 없다. 이건 여러 모로 바람직한 조치라 여겨진다.
암호는 무슨 문자를 입력하느냐보다는 결국 무슨 keystroke를 입력했느냐가 더 중요하며, 지금 입력하는 글자가 일반적으로 화면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복잡하게 입력 모드 같은 걸 따질 처지가 못 된다.
또한 암호 입력란에서 IME 같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계층이 동작할 경우, 암호 문자열을 악성 프로그램이 가로채는 보안 문제가 커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점에도 불구하고, 운영체제의 자체 GUI를 쓰지 않는 프로그램 중에는 IME가 동작하는 암호 입력란을 가진 경우도 있다. 굳이 한글로 입력을 안 하고 영문 자판에서 한글 입력을 하면.. 무질서도가 상당히 높은 알파벳 문자열이 생성되기 때문에 외국인 공격자가 알아내는 데는 애로사항이 꽃핀다. 이 사용자가 한국인이라는 단서가 없다면 말이다.
특히 세벌식은 사용자가 매우 적은 데다가 자체적으로 4단의 숫자· 기호까지 일부 활용하기 때문에 이런 보안 면에서 아주 좋다. Mac OS가 악성 코드가 별로 안 들끓는 이유도 딴 거 없고 사용자가 심히 적어서 해커들에게 별로 돈이 안 되기 때문이다. 간단하다.

아무도 모르고 내가 기억하기 쉬운 문자열이라는 특성상, 국가를 막론하고 욕설을 암호로 사용하는 사람도 있다. 뭐, 나쁠 것 전혀 없는 발상이긴 하지만 너무 대중적인(?) 욕설은 공격자들도 이미 다 파악하고 있으니 이 역시 조심해야 한다.

암호는 닥치고 20글자 이상으로 엄청 길면.. 무질서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치솟는다. 어지간히 단순무식한 형태의 암호라고 해도 엄청나게 긴 것에는 답이 없다. 글자수가 몇 자 늘어날 때마다 0.n초이던 예상 공격 시간이 그야말로 수천, 수만 년 이상으로 뻥튀기된다. 그러니 암호라는 건 pass-word가 아니라 최하 phrase나 sentence 정도의 규모로 만드는 게 좋다.

Microsoft Iphone 내지 언어학의 Colorless green ideas sleep furiously처럼 서로 개연성이 없는 생뚱맞은 단어들(저 문장 자체는 절대 쓰지 말 것! ㅋㅋ), 내가 좋아하는 무리수나 엄청 방대한 소수의 x~y째 자리수의 base64 인코딩 등을 섞으면 공격자가 뚫기 대단히 어려운 암호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리고 까먹었더라도 그 암호를 생성하는 공식을 기억하고 있으니 나중에라도 컴퓨터를 돌려 언제든지 다시 만들 수 있다.

그리고 굳이 저런 식으로 머리를 안 굴리더라도, 본인 같은 사람은 직업 특성상 맨날 숫자와 특수문자와 알파벳이 뒤죽박죽 섞인 문자열을 취급하는 게 일이니... 저런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진짜 암호스러운(cryptic) 암호(password)를 의외로 금방 떠올릴 수 있었다.
요즘은 암호 관리자 전용 앱도 많이 나와 있는데, 이런 식으로 암호 생성기가 같이 연계되고 각 포털 사이트별로 암호 변경 주기를 관리도 해 주는 똑똑한 앱이 있으려나 궁금하다.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이 시각 장애인에게 악재인 것만큼이나(점자!)..
PC와는 구조적으로 다른 스마트폰의 문자 입력 방식은 무질서도가 높은 암호를 입력하는 데 악재인 것 같다.
작은 화면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를 섞어서 수월하게 입력하는 게 압도적으로 불편하고 까다롭기 때문이다.
물론 그 때문에 거기에는 패턴 제스처 같은 다른 암호 입력 방법도 등장했겠지만, 아무래도 문자 입력만치 보안이 강력하지는 못하다.

끝으로 글을 맺으며 든 생각이 있다.
우리말은 엄연히 다른 개념인 password와 encrypt/cryptic이라는 두 의미가 '암호(화)'에 모두 담겨 있다.
이건 어찌 보면 '다른'에 different와 another가 모두 포함돼 있고, 조사 '과/와'에 and뿐만 아니라 with가 섞여 있으며
단순히 시계의 표시 시각이 이르거나 늦은 것까지 다 '빠르다/느리다'로 표현하는 것만큼이나..
일면 좀 부정확하고 어정쩡하게 들린다.

하지만 한국어만 저렇게 한데 싸잡아 표현하는 건 아닌 듯하다.
또한 '암호'는 정보에 대한 접근 가능 여부 자체를 binary로 통제하는 것이고 '암호화'는 정보에 접근했더라도 해독을 못 하게 하는 것인데.
암호화를 해독하기 위한 암호가 있기도 하니, 목표면에서는 굳이 서로 떼어서 생각할 필요가 없는 비슷한 개념인지도 모르니까 말이다.

Posted by 사무엘

2014/11/04 08:37 2014/11/04 08:37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025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025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1305 : 1306 : 1307 : 1308 : 1309 : 1310 : 1311 : 1312 : 1313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3043003
Today:
195
Yesterday:
2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