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세벌식 이야기

본인은 세벌식 최종 자판을 1999년부터 지금까지 10년간 써 온 사람이다.
세벌식으로 10분간 장문 평타 750타대를 유지하며, 이 타속은 2002~3년 이후로 성장이 멈춰서 지금까지 안정화되어 쭉 이어져 오고 있다. 최종 유저이지만 390도 배열은 다 외우고 있다.

그러는 한편으로 두벌식도 장문 평타 450~500대를 유지하고 치며, 남보다 느리다는 소리는 안 듣는다. 나는 머리와 손이 두 자판에 모두 완전히 능숙하다. 어렸을 때는 '받침' 글쇠가 따로 존재하는 두벌식 타자기도 써 봤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어지간한 사람들보다는 두벌식과 세벌식의 경험 차이를 좀더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위치에 서 있다고 생각한다. 나름대로 아래와 같은 경력도 있으니..!
http://moogi.new21.org/news_sponge.htm

그런 나의 판정은??
두말할 나위도 없이 당연히 세벌식이 더 편하고 더 빠르게 칠 수 있는 자판이다. ^^;; 타자를 오래 할수록 차이는 더 두드러지게 된다. 개인적으로 장문하고 단문의 타속이 이렇게도 차이가 안 날 수가 있다는 걸 처음으로 느낀 게 세벌식 쓰면서부터이다.
공 병우 박사의 은혜가 고마울 따름이다. 내가 이 쪽으로 프로그램까지 이미 여럿 만들었으니 기득권 유지(?) 때문에 하는 말이 아니다.

이 홈페이지에 자주 들르는 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나는 평소에 프로그래밍뿐만 아니라 글도 많이 쓰는 편이다(당연히 한글로). 그렇기 때문에 글을 많이 칠수록 세벌식 자판의 혜택을 더욱 많이 누리고 있다.

세벌식이 가장 최적화되어 있는 패턴은 1~3단 사이에서 받침이 자주 나오고 초중종 다 한 타씩 끝나는 글자들이다. '대한민국', '한글날' 이런 단어는 내가 두벌식을 차별해서가 아니고 정말로 세벌식의 능률을 따라갈 수가 없다. 모아치기가 바로 이런 단어를 위해서 존재하는 개념이다.

뭐 글쇠 수가 많고 외워야 할 게 많아서 어렵고 더구나 속도까지 안 날 거라는 말은 정말 근거 없는 소리이고 쉽게 말해서 엄살이다. 이건 내가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두벌식보다 하루나 이틀 정도 시간 더 들여서, 평생을 훨씬 더 편한 자판 쓰면서 보내는 게 이익이지 않은가? 없, 않 같은 글자를 두벌식으로 치느니 차라리 받침 더 외워서 세벌식처럼 치고 말겠다.

더구나 세벌식은 그렇게도 접근하기 어렵고 그렇게도 프로페셔널 매니아-_-적인 글자판도 아니다. 오히려 세벌식은 전기계, 전계층 글자판 통일까지 염두에 두고 철저하게 '보편적'으로 만들어진 글자판이다. 저런 쪽의 오해는 제발 더 없었으면 좋겠다.

본인은 두벌식도 단문은 500 넘기는 건 물론이고 600까지도 치긴 하지만, 30초 이상만 한글 타자를 할 상황이 생기면 남 컴퓨터라도 반드시 설정부터 세벌식으로 바꾸고 세벌식으로 친다. 그만큼 타속과는 별개로 두벌식이 불편하다. 머리를 손이 따라가지 못한다. 걸핏하면 초성과 종성이 뒤바뀌고 꼬이고, "생일, 없어"가 "생리, ㅇ벗어"로 바뀌는 소위 "두벌식 오타" 때문에 글자가 엉망이 돼 버린다. 그 반면 세벌식은 근본적으로 그럴 일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그나마 오타가 난 것도 모아치기 오토마타를 쓰면 보정마저 된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순수하게 손의 체력이 딸리고 지쳐서 타속이 떨어질 뿐이지, 구조적인 장애물 bottleneck은 느껴지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인해 나는 두벌식을 쓸 때는 날타는 생각도 안 하고 지내며, 타순이 꼬이는 걸 방지하는 아주 강력한 스레드 동기화(?) 오브젝트를, 큰 오버헤드를 감수하고라도 머릿속에다 발동하고 타자를 한다. 두벌식이라는 체계 하에서도 굉장히 졸속으로 비합리적으로 만들어진 축에 드는 이런 불편한 글자판만으로, 7, 800, 단문이라도 1000을 넘게 치는 사람이 있다는 게 대단할 따름이다. 정말 대단하고 존경스럽다. 나는 저게 4단 쓰는 것보다 훨씬 더 큰 단점으로 보이는데!

물론 세벌식도 단점이 있으며, 몇몇 예외적인 글자는 두벌식보다 치기 어려운 게 있다. 오른손으로 쳐야 하는 ㅖ(예의), 받침 ㄽ, ㄿ, ㄾ이라든가 '컴퓨터', 퇴, 봐 같은 글자. 이 정도는 연습으로 충분히 극복이 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은 하지만, 초보자에게는 분명 쉽지 않을 거라는 점을 본인도 인정한다.

세벌식 10년차로서 내가 정말로 세벌식에서 어렵다고 여겨지는 자리를 굳이 꼽자면 그냥 4단이 아니라 4단의 중앙에 있는 '모음'들이다. 법률, 불량률, 야유 같은 것. 세벌식은 자리를 찾고 이동하기가 어렵지만 두벌식으로도 자음 연타가 굉장히 많아서 그다지 유쾌하게 치지는 못할 단어들이다. 이거 말고 ㅋ, 받침 ㅆ 같은 4단은 전혀 불편하지 않으며, 있어서 오히려 편한 것들이다.

공 병우 세벌식이 정말 대단하고 절묘하다고 느껴지는 면모는 앞서 말했듯이 기계식 타자기부터 컴퓨터까지 "직결식이 가능하며 글자판 통일을 염두에 뒀다는 것"(안 마태 글자판에도 없는 면모이다), 그리고 기계에게 편하게 함과 동시에 사람에게도 편하게 두 마리 토끼를 효과적으로 같이 잡았다는 것이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타자 진행 및 겹모음용 ㅗ ㅜ, 그리고 숫자 배열 같은)
세상에 한글 갖고 한 건 하려는 장사꾼이 아니라 정말로 한글 기계화의 근간과 뿌리를 생각한 공 병우 박사 같은 선각자는 이 세상에 정말 찾을 수 없다.

그래서 남들이 4단을 없애고 어떻게든 세벌식 자판의 단점만 가리려고 시도한 것과는 달리 본인은 컴퓨터 상에서 세벌식 자판의 다른 잠재적인 장점을 찾으려는 시도를 했고, 모아치기를 범용화한 오타마타 편집, 무한 낱자 수정, 각종 특수 글쇠들을 생각해 냈다. <날개셋> 한글 입력기를 그런 아이디어로 개발한 것이다.

두벌식은 글쇠 수가 정말로 너무 적어서 세벌식을 적용할 수 없는 곳에서 보조 역할로나 쓰이는 방식이어야 한다.
아울러 현 세벌식 자판에 대한 연구도 세벌식 최종을 기준으로 계속하여, 특히 기호를 재정비하고 재배치해야 할 자모가 있다면 더 효율적으로 바꾸는 시도가 있어야 하지 않나 생각도 해 본다.

Posted by 사무엘

2010/01/12 09:48 2010/01/12 09:48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17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17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2103 : 2104 : 2105 : 2106 : 2107 : 2108 : 2109 : 2110 : 2111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3050019
Today:
1039
Yesterday:
2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