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의 부록이나 표지에 넣을 만한 도표

물리학 전공 서적의 앞뒤 표지에는 각종 물리 상수들과 단위 변환표가 있다.
화학 교과서의 표지에는 당연히 원소 주기율표가 0순위로 들어가 있다.
수학 교재나 교과서의 앞뒤 표지에는 근의 공식부터 시작해서 초월이지만 초등에 속하는 주요 함수들의 미적분 패턴, 로그표와 삼각함수표, 주요 수학 상수들의 근사값 같은 게 있다.
성경은? 지도 내지 도량형 테이블, 주요 사건 연대기표가 들어갈 만하다.

다음으로 언어 쪽으로 가면.. 옥편(한자 자전)의 표지에는 당연히 부수 테이블이 있다.
일본어 관련 사전은 글자 테이블부터 들어가야 할 것이다.
(사실, 원자의 합성 원리하고 한자의 합자 원리에 묘하게 유사점이 보이는 듯하다.)

영한사전은 당장 종이 사전을 갖고 있지 않고 기억도 가물가물하지만.. 영국식 영어와 미국식 영어의 주요 차이점 나열이 들어갈 만하며, 중간 중간 등장하는 영문법 용어 해설서의 키워드 목차가 있더라. 그리고 학생용의 좀 얇고 쉬운 사전이라면 불규칙 동사의 과거/과거분사 테이블이 있었다.

그럼 국어사전이라면..? 외국인이 한글로 쓰여진 한국어 텍스트를 읽다가 모르는 단어는 곧장 사전을 찾을 수 있도록.. (1) 격조사· 보조사의 전체 리스트, 그리고 (2) 각종 용언의 불규칙 활용형으로부터 사전에 등재되는 어간 형태를 유추하는 것을 돕는 규칙 테이블이 있어야 한다고 여겨진다.

이런 힌트 없이 '들으면'이라는 어절로부터 '들다'(lift?)뿐만 아니라 '듣다'(hear/listen)라는 뜬금없는 동사를 외국인이 어떻게 유추하겠으며, '더워'로부터 '덥다'를 어떻게 유추하겠는가?

2. 둘 중 한 기준

좌우, 전후, 상하, 흑백 같은 이분법적인 체계에서 어떤 절대적인 기준을 딱 지칭하기가 어려워서 사람마다 의미가 통일되지 않고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말을 이렇게 써 놓으면 어려운데.. 쉽게 말해서 "얼룩말은 흰 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나, 아니면 검은 바탕에 흰 무늬가 있는 건가?" 같은 거 말이다. 회전하는 방향의 경우 아예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기준이 통일돼 있으며, 3차원 좌표계에서는 손가락 방향을 기준으로 삼아서 하나를 왼손 좌표계, 다른 하나는 오른손 좌표계라고 부른다.

본인은 전화기의 숫자 버튼은 1 2 3이 위에 있지만 계산기의 숫자 버튼은 1 2 3이 아래에 있는 걸 지금까지 별로 의식하지 않고 있었다. 그러다가 날개셋 한글 입력기 개발 작업을 하면서 이를 깨닫고 개인적으로 굉장히 놀랐다. 하긴, 컴퓨터 키패드도 계산기 형태로 돼 있다.

마우스 휠을 위로 굴렸을 때 텍스트도 위쪽 앞부분으로 스크롤할 것인가, 아니면 손으로 종이를 위로 밀친 것처럼 아래로 스크롤할 것인가?
up-down 컨트롤은 위쪽 삼각형을 눌렀을 때 숫자를 감소시킬 것인가, 증가시킬 것인가?
텍스트 앞과 뒤는 cursor의 왼쪽-오른쪽에 대응하나, 아니면 오른쪽-왼쪽에 대응하나?
인터넷 게시판에서 '이전글/다음글' 앞 뒤는 더 먼저 올라온 글인가, 아니면 그 반대인가?

뭐 이런 것들을 생각하면, 비트 배열 순서 endian 같은 문제가 컴퓨터 아키텍처뿐만 아니라 UI와 사람의 인지 구조에도 있다는 것을 새삼 느낄 수 있었다. 결국은 "취향입니다, 존중해 주시죠" 옵션의 영역으로 갈 수밖에 없다.

3. 대충 따지는 것과 정확하게 따지는 것

평소에는 근사값을 적당히 뭉뚱그려서 표현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1자리까지 정확하게 숫자를 따져서 계산해야 하기도 하는 분야가 몇 군데 있다.
먼저 연대기를 생각해 보자. 지금으로부터 수백, 수천만 년 전의 지질 시대를 나타낼 때야 기준이 1950년이건 2010년이건 중요하지 않다. 하지만 다루는 시기가 불과 수천 년 전의 인류의 역사 시대에 근접한다면 정확한 기준이 필요해진다.

그런데 사실은 인간의 달력도 지금과 같은 그레고리력이 정착한 건 불과 몇백 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율리우스력은 4년 주기로 윤년이 들어갔지만, 그레고리력은 4의 배수 연도이더라도 400의 배수가 아니면서 100의 배수인 해는 평년이 되도록 보정을 한 것이다. 도중에 달력을 정리하느라 특정 기간의 날짜가 삭제되어 말 그대로 흑역사 처리되기도 했다.

서기 연대가 예수님의 탄생을 기준으로 삼았다고는 하지만 예수의 실제 탄생 연도는 BC 4 정도로 더 오래됐다는 연구도 있다.
또한, AD 1년의 이전은 BC 1년이다. 0년이라는 건 존재하지 않는다. 마치 건물의 지상· 지하 층수와 비슷한 개념이다. 수천~수만 년의 기간을 다룰 때에야 0년이 있냐 없냐는 무시해도 아무 상관 없는 차이에 불과하겠지만, 1년 단위로 정밀하게 고대사 연대기를 논할 때는 이런 함정을 놓쳐서는 안 된다.

비슷한 혼란이 컴퓨터에도 존재한다.
잘 알다시피 사람은 10진법을 쓰지만 컴퓨터는 2진법이 친숙하다. 그래서 메모리나 디스크의 용량을 나타낼 때 사람은 1000 단위로 킬로· 메가 같은 단위 접두사를 얹어서 썼지만, 컴퓨터에서는 1000과 비슷하지만 같지는 않은 값인 2의 10승, 즉, 1024 단위로 단위 접두사를 만들어 썼다.

그런데 이게 겨우 수십 KB, 수십 MB 이러던 시절에는 별 문제 없었는데, 수백 MB~수십 기가바이트급부터는 오차가 무시 못 할 수준이 된다. n이 무한대로 갈 때 1000^n / 1024^n의 극한이 0으로 수렴한다는 건 고등학교 수학 수준으로도 알 수 있으니 말이다. 그러니, 가령 램 용량이 16GB라고 하면 사용자는 1024 기준으로 생각하는데 컴퓨터 제조업자에서는 1000 기준으로 판매해서 이로 인한 분쟁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래서 요즘 대세는 1000 기준인 KB/MB/GB와, 1024 기준인 KiB/MiB/GiB를 구분해서 표기하는 것이다. 예전에는 별 구분 없이 생각 없이 쓰다가 지금은 구분이 필요해진 것이다.
Windows의 경우 전반적으로 굳이 i를 써 주지는 않지만 그래도 도스 시절의 레거시를 간직한 유구한 운영체제답게 내부적으로 1024 단위를 쓰는 것 같다. 그런데 1000이 아닌 1024 단위로 소수점은 어찌 표현하나 모르겠다("5.8GB 남음"처럼..). 일반적인 부동소수점을 쓰지는 않을 테고 소수점에 해당하는 작은 자리수의 정수 연산을 따로 하는 듯하다.

우리가 평소에는 질량과 중력도 별로 구분을 안 해서 킬로그램(kg)과 킬로그램중-힘(kgf)을 별 구분 없이 섞어 쓰는데, 1000과 1024 구분도 이런 것과 비슷한 관행인지 모르겠다. 이 정도야 인간이 중력 가속도가 다른 여러 행성을 수시로 드나드는 우주 시대라도 도래하지 않는 한, 호락호락 바뀌지는 않을 것 같다.

4. 규모와 비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가격

자동차 보험의 대물 보상 스펙을 보면 보상 한도가 겨우 몇천만 원에서 1억~2억을 거쳐서 10억까지 올라가는 것도 있다. 외제차와 사고 나도 집안 뿌리 뽑히지 않게 대비하려면 기본은 억대 이상으로 들어야 한다고 그런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보험료와 보상 한도가 정비례 관계가 아니라는 것이다. 3천만 원짜리 보장과 10억짜리 보장은 단돈 몇만 원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거의 로그나 그에 준하는 급으로 천천히 증가하는 것에 가깝다.

보험사가 실제로 10억씩이나 몽땅 물어줘야 할 일은 매우, 극히 드물게 발생하기 때문에 확률 통계상 원가를 산출해 보니 그런 견적이 나오는 것이다. 이런 것을 보면 금융 수학의 신비로운 면모를 느낀다.
그렇기 때문에 무보험 뺑소니 자가 보상은 1년 보험료가 몇천 원밖에 안 되는데 1억까지 보상되기도 한다. 대다수 일반인에게 평생 한 번도 일어나지 않을 희소한 사건이기 때문에 그렇다. 이에 반해 평범한 대물 보상은 늘 발생하는 사건인 관계로, 그런 사기적인 비율이 보장되지 않는다.

보험료뿐만 아니라 휴대전화의 데이터 정액 요금제도 이와 비슷한 모델을 반대 방향으로 따르는 것 같다.
월 2GB부터 시작해서 5, 10, 25GB 같은 단위가 있고 나중에는 무제한까지 간다. 요금은 용량이 올라갈수록 비싸지지만 이 역시 당연히 정비례가 아니다. 최저 데이터 용량보다 두세 배가량 비싸지지만 그래도 보장되는 데이터가 훨씬 더 많아진다. 이런 공식도 폰 이용자들의 행동 패턴과 전체 통신 시스템 유지비를 총체적으로 따져서 회사의 입장에서 최대 이윤이 나오게 정말 치밀하게 산출했을 것이다.

그러니 나 자신에게 적절한 요금제를 선택할 필요가 있는데, 자동차 보험료고 폰 요금이고 할 것 없이 너무 복잡하고 골치 아프긴 하다. 자본주의 시대에 이 정도 복잡함은 피할 수 없이 감내해야 할 듯하다.

5. 기타 일상에서 보고 들으며 느낀 것들 메모

(1) 아파트 모델하우스 같은 곳을 가서 무슨 아파트의 24평형, 30평형 같은 면적 차이를 보면.. 자동차로 치면 2000cc, 2400cc 이런 배기량의 차이를 보는 것 같다.

(2) 고깃집 중에서 어떤 곳은 의자가 평범한 의자가 아닌 원통 드럼(?) 모양이고, 드럼 뚜껑을 열어서 그 안에다가 손님의 옷이나 가방을 집어넣는 형태인 게 있다. 등받이가 없어서 약간 불편하지만 이건 꽤 괜찮은 디자인인 것 같다.
사람들의 소지품이 노출된 게 없고 깔끔한 게 마치 도시로 치면 지중화가 돼서 길거리에 전봇대와 전선이 하나도 안 보이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지중화를 하고 안 하고는 역사가 오래된 서울 시내 돌아다니다가 일산 내지 분당 가 보면 차이를 바로 느낄 수 있다.

(3) '콩고기'라는 게 있다. 비록 진짜 쇠고기· 돼지고기 같은 식감(특히 비계 부분!)을 재현하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저렴한 원가로 적당히 쫄깃한 단백질 맛을 내기 때문에 라면의 건더기 스프에도 들어가고 여기저기 쓸모가 있다.
이게 자동차로 치면 석탄으로 만든 석유라든가 세녹스 같은 휘발유 대체 연료가 해당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4) 직불· 체크카드는 피처폰, 신용카드는 스마트폰에 대응하는 것 같다. 후자가 기능이 더 많고, 자꾸 장만하거나 교체하라는 귀찮은 전화가 오는 게 신세가 서로 비슷하다.
자동차, 폰, 통장은 '대포'라는 접두사가 붙어서 명의와 실사용자가 다른 물건이 엄격한 단속 대상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5) 그리고 자동차와 전화기는 '긴급'이라는 접두사가 붙을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긴급자동차는 교통 법규를 어느 정도 무시하면서 빨리 가도 되는 특혜가 있고, 112 119 같은 긴급 통화는 누구나 어느 전화기로든 무료로 즉시 할 수 있다.
한편, 자동차와 총은 동작을 위해 폭발이 수반되며, 사용을 위해 사람에게는 면허, 물건에는 등록이 필요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6) 옛날에 브라운관 모니터는 화면 크기에 비해 부피가 매우 크고 무겁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옛날의 도트 프린터는 인쇄 속도가 느리고 무엇보다도 엄청나게 시끄럽다는 단점이 있었다. 옛날에 쓰였던 컴퓨터의 출력 장치로서 분야는 다르지만 단점이 뭔가 그 시절을 풍미하는 독특함이 느껴진다.

(7) 대부분의 동물들은 노랑 계열, 회색 계열, 갈색 계열 같은 고유한 색깔이 있는 편인데, 색깔이 꽤 다양하고 컬러풀하다는 평판이 있는 품종은.. 앵무새와 카멜레온 같다.
그러니 컬러 프린터, 모니터, 카메라, 스캐너 같은 물건의 광고에는 화면이나 인쇄 결과물에 꼭 이런 동물이 들어가는 것 같다.

(8) 세상에는 1 - NEW - 2의 관계인 것들이 몇 가지 보인다.

  • 펜티엄 - 펜티엄 프로 - 펜티엄 2
  • 쏘나타 - 뉴 쏘나타 - 쏘나타 2
  • 인천 공항 여객 터미널 - 확장 탑승동 - 제2 여객 터미널..;;

Posted by 사무엘

2018/07/18 08:29 2018/07/18 08:29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512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512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836 : 837 : 838 : 839 : 840 : 841 : 842 : 843 : 844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3051187
Today:
2207
Yesterday:
2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