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이튿날 아침에는 계속해서 봉화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새벽에는 계절이 바뀌기라도 했나 싶을 정도로 공기가 차가워져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주변엔 계속해서 이런 풍경이 펼쳐졌다.
그러고 보니 옛날 도로는 가드레일 말고 저렇게 노란 경계석이 쓰였던 것 같은데 요즘은 어느 샌가 보기 힘든 풍경이 돼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중간에 마을 어귀를 흐르는 요런 맑은 개울을 발견해서 차를 세우고 물놀이를 했다.
이럴 때 햇볕이 쨍쨍하고 날씨가 더 더웠으면 물놀이의 효과가 더 커졌겠지만, 폭염과 가뭄 때문에 개울이 말라 버리는 것보다야 이렇게라도 물에 들어가는 게 훨씬 더 낫다. 비 덕분에 여기 모든 개천· 개울들은 물이 콸콸 세차게 흐르고 있어서 참 보기 좋았다.
그렇잖아도 어제 땀을 많이 흘려서 몸이 온통 끈적거리는 상태였는데 싹 개운해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일월산 자생화 공원이라는 곳을 발견해서 들렀다가 갔다. 주변에 나밖에 없는 오지에서 자연을 즐긴다는 건 참 멋진 일이다. 지구가 금성 화성과 달리 초록별이라는 사실에 경이로움과 고마움을 느끼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양에서 봉화로 가려면 역시 산을 하나 넘어야 하더라. 길은 어느 샌가 꼬불꼬불한 산길로 바뀌었다.
터널 안에 들어갈 때는 일반적으로는 헤드라이트를 켜는 게 맞는데, 현실에서는 '끄시오'라고 안내된 표지판도 많이 보인다. 화장실에서 휴지는 변기에 "넣으시오/넣지 마시오"만큼이나 사람을 헷갈리게 만드는 사항인 것 같다.

저 영양 터널을 지난 다음에는 행정구역이 봉화로 바뀌고, 봉화 터널과 어느 공군 부대가 뒤이어 등장했다. 그리고 오르막이 끝나고 내리막이 시작됐다.

6. 봉화군 탐험기

본인은 이번 여행의 마지막 일정으로, 봉화에서 영동선 양원 역을 답사하고 봉화 시가지로 돌아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상· 하행 합쳐도 차가 몇 분에 한 대 다닐까말까인 이 꼬불꼬불 산길을 떠나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수시로 정차하고 사진 찍고 시동 끄고 사색에 잠기곤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산을 하나 넘어서 내려오니 또 강이 펼쳐졌다. 이 강은 온통 흙탕물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영동선 철길 위를 지나갔다. 참 공교롭게도 본인이 아래를 내려다보고 있는 타이밍에 맞춰서 여객도 아니고 화물 열차가 하나 지나갔다. 얼마나 무거운 짐을 끄는지, 전기 기관차 중련에다가 보조 중형 디젤 기관차까지 편성한 상태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드디어 양원 역이 자리잡고 있다는 어느 마을 어귀에 도착했다. 마을 앞에도 맑은 물이 졸졸 흐르고 있었다.
양원 역은 행정구역상 봉화이지만 동쪽 맨 끝이기 때문에 거의 울진 근처이며, 가는 길에 울진의 서쪽 끝을 경유하기도 했다. 봉화 시가지와는 수십 km 이상 떨어져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런데 마을에 도착했다고 끝이 아니었다. 양원 역으로 가려면 거기서도 산을 하나 타넘어야 했다~!
엔진 회전수 4000rpm을 고속도로에서 고속으로 밟을 때도 찍고, 여기서 2단 엔진 브레이크로도 찍었다. 1단 말고 2단으로 말이다.
그렇게 산을 넘은 뒤에도 저 길로 들어가야 했는데.. 차가 지나갈 수는 있지만 거기서 주민에게 민폐를 끼치지 않고 딱히 차를 세울 만한 공간이 없었다. 그래서 차는 이 부근에서 세우고 여기서부터 몇백 m 남짓은 걸어가야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도를 보니 이 강은 낙동강 상류라고 한다. 물이 콸콸 세차게 흐르고 있었다. 저 교각은 무슨 옛날에 있었던 다리의 흔적 같다.
양원 역이 이 정도로 답 없는 오지에 있는지는 미처 몰랐다. 저기를 건너간 다음에야..

사용자 삽입 이미지

드디어 얘를 실물로 보게 되었다.
예전에 태백선· 함백선 부근에서 조동 역과 함백 역을 보던 느낌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양원 역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지역 주민들이 교통이 너무 불편해서 현기증이 나니 제발 열차 좀 정차시켜 달라고 아우성 치고 정부에 청원 넣고, 아무 국고 지원 없이 스스로 돈을 모아서 역 건물을 지어서 승인 받은 역이다. 진정한 의미의 민자역사인 셈이다. 단지, 자본주의 논리가 아니라 지역 주민 복지를 위한 민자역사인 것이고.. 그게 지금으로부터 무려 30년 전의 일이다.
전날 옥천에서 정 지용 시인 관련 안내문에서도 1988이라는 숫자를 봤는데, 양원 역의 개업 시기도 1988년 4월이라니 우연 치고는 절묘하다. (지용회: 1988년 3월)

얼마나 한이 서렸으면 양원 역에 첫 열차가 정차하던 날 사람도 감격하고 산과 강도 감격했댄다.
옛날엔 열차가 여기 마을을 통과할 때 짐보따리부터 미리 던져 놓은 뒤 더 먼 승부 역에서 여기까지 걸어서 돌아와서 그 짐을 챙겼다니..

지금으로서는 상상하기 어렵겠지만, 옛날에는 열차에 화장실이 비산식이었고(오물이 선로로 그대로...; ), 주행 중일 때 차량의 출입문이나 창문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었다.
그럼 근성 있는 사람이라면 짐만 미리 던져 놓는 게 아니라, 자기 자신까지 훌쩍 뛰어내릴 법도 해 보이는데.. 그러기에는 아무리 젊고 민첩한 사람이라도 좀 위험했을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락없이 컨테이너 가건물 같은 규모이지만 컨테이너가 아니다. 시멘트를 얹어서 정식으로 지은 건축물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궁서체 안내판까지도 주민들이 직접 만든 거라고 한다.
현재는 여기가 유명세를 타면서 정규 여객열차뿐만 아니라 V-train(백두대간 협곡)과 O-train(중부내륙 순환)이라는 관광 열차도 정차하는 곳이 되었다. 그러니 역 건물과 안내판 말고 저 승강장은 코레일에서 만들었다는 티가 난다.
순환선이기 때문에 O이고, 그리고 계곡 모양을 형상화해서 V라니.. 코레일 수뇌부에서 머리 좀 쓴 것 같다. 이름을 참 기발하게 지었다.

사진을 찍지는 못했지만 마침 저기에 열차가 정차하는 것을 봤다.
이번 여행 동안 경부선과 영동선을 지나는 열차를 종종 목격했는데, 모두 전기 기관차 기반이었다. 디젤 기관차는 전혀 보지 못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쪽의 봉화 시가지로 가는 길에 또 절경을 발견하여 풍경 사진을 찍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오후가 돼서야 봉화 시가지에 도착했다. 이 강은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이다.
여기서 식사를 하고 보급을 받는 것으로 2일간의 여행에 종지부를 찍었다.
올해도 어김없이 정말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앞으로는 3년 주기로 남해안, 서해안, 동해안을 한 번씩 가는 것으로 어렴풋이 계획을 잡았다.

Posted by 사무엘

2019/09/13 08:33 2019/09/13 08:33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661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661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690 : 691 : 692 : 693 : 694 : 695 : 696 : 697 : 698 : ... 2205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3059745
Today:
261
Yesterday:
1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