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람이 주먹질이나 몸통박치기를 해서 와장창 깨지는 유리창, 머리 박치기를 해서 깨지는 맥주병은 진짜 유리가 전혀 아니다. 훨씬 더 잘 깨지고 인체에 위험하지도 않은 슈가글래스 같은 다른 소재이다.
현실에서 유리를 그렇게 깼다간 큰일난다. 이런 점에서는 페르시아의 왕자 게임의 설정도 매우 비현실적이고 위험하다. (1편은 레벨 4에서 거울 깨기, 2편은 시작부터 창문 부수고 탈출)
(2) 거대한 선박은 제작비를 아끼기 위해 실제 크기의 90% 남짓한 세트로 대체하고, 그것도 좌우 중 한쪽 현만 만드는 편이다. 맞은편 현 씬은 기존 현에서 촬영 후에 좌우 대칭을 시켜서 연출한다. (배우도 좌우 바뀐 복장과 연기를 하고)
이건 타이타닉과 연평해전에서 공통으로 동원된 테크닉이다. 심지어 연평해전의 경우, 적함과 아군함을 같은 배에서 세팅만 달리해서 찍었다고 전해진다.;;;
90% 크기의 약간 작은 가구 소품은 아파트 모델하우스에서도 쓰이기도 한다. 소비자에게 집이 겉보기보다 더 넓어 보이는 느낌을 준다. 길이를 10%만 후려쳐도 전체 부피는 3제곱의 특성상 27%나 줄어든다. (1 - 0.9^3)
(3) 현금박치기나 돈다발을 불태우는 씬은 영화/드라마 소품용으로 특별히 한국 은행으로부터 허가까지 받고 제작된 가짜 돈, 한 마디로 합법적인 위조지폐로 한다. 병원에서 처방하는 합법적인 마약과 비슷한 존재랄까?
얘는 크기나 재질이나 인쇄 내용 등 어디에 어떤 형태로든 이건 진짜 돈이 아니라는 티를 내는 표식이 반드시 들어간다.
(4) 우리나라나 미국의 경우, 영화나 드라마 화면에 안전하게 노출시키는 용도로 쓰라고 허구의 전화번호 리스트도 통신사 차원에서 생성해서 지원해 준다. 자동차 번호판에도 비슷한 게 있으려나?
(5) 현업에서 쓰이고 있는 것이 그대로 방송을 타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야 하는 의류가 있다. 군복, 그리고 항공사 승무원 유니폼.
그래서 군대를 소재로 하는 영상물에서는 한물 간 옛날 개구리 군복이 즐겨 쓰이며, 스튜어디스 제복도 대충 비슷하게는 생겼지만 실제로 어느 항공사에서도 현재 쓰이지 않는 물건이 소품용으로 따로 만들어져 쓰인다.
(6) 금호 상사처럼 영화 촬영을 위한 올드카 대여 업체가 있다. 포니, 브리사, 봉고, 그라나다 같은 차들 말이다.
말죽거리 잔혹사의 경우, 감독이 실제 1970년대 중문 버스를 구하고 싶었지만.. 그러지 못해서 1980년대 대우 자동차의 등장 이후에 만들어진 BF105를 적당히 개조해서 찍었을 것이라고 예전에 본인이 추측한 바 있다.
(7) 비행기 정도라면 모를까, 현실의 자동차는 꼬라박거나 총 좀 맞는다고 해서 그렇게 쉽게 잘도 펑펑 터지고 불바다가 되지 않는다.
또한, 현실의 수류탄 역시 폭발하더라도 영화나 게임 같은 화끈한 화염이 나오지 않는다. 그냥 총 쏠 때와 비슷한 정도의 불꽃이 잠깐 반짝이고 마는 정도다. 그 대신 폭음과 진동이 영화의 묘사보다 훨씬 더 클 뿐이다.
(8) 비슷한 맥락에서 인체도.. 사람은 저격수나 자객에 의해 총칼로 급소를 강타했을 때 차라리 즉사를 하면 했지, 뒤통수 한 대 퍽 맞았다고 그렇게 호락호락 잘 기절하지는 않는다. 이건 영화적 과장이 많이 가미된 연출이다.
(9) 영화는 전반적인 색깔 톤도 인위적으로 왜곡 보정된 경우가 많다.
가령, 친구(2001) 같은 경우, 빛바랜 느낌을 내려고 영상의 톤이 전반적으로 누렇게 바래져 있다.
아저씨나 타이타닉에서 결말 장면(지하주차장 방탄유리 드립 내지, 배 침몰 후)은 배경에 전부 어두컴컴한 시퍼런 톤이 들어가 있는데... 어느 건물이건 실제 지하주차장의 조명이 그렇게 어두컴컴 시퍼런 게 아니다.
타이타닉도 뭐.. 실제 상황이었으면 그냥 닥치고 깜깜하고 아무것도 안 보였겠지만.. 하지만 이런 것들이 다 영화적 허용이다.
뭐 이런 게 한둘이 아니어서 말이지..?
영화와 현실이 차이가 이렇게 크니 대륙 무술 영화에 나오는 쿵푸도 현실에서는 아무 실속이 없는 무용일 뿐이라는 비판이 나오는가 보다.
Posted by 사무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