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외국을 나타내는 한자 접사

한(韓 한복, 한류, 한식, 한옥, 한의원... 3인칭)이나 국(國 국악, 국궁, 국어, 국사, 국산... 1인칭)은 뭔가 우리 것, 고유한 것을 나타내는 접사 역할을 한다. 어떨 때 '한'이 붙고 어떨 때 '국'이 붙는지에 대해서는 딱히 원칙이 없는 것 같다. 또한, 요즘은 알파벳 K도 K방역, K팝... -_- 이런 식으로 비슷한 역할을 할 때가 있다.

이와 달리, 나라 이름과 별개로 외국을 나타내는 한자 낱글자도 있다.

(1) 양(洋): 우리 전통 문물이 아닌 서양 문물을 포괄적으로 나타낸다. 그래서 양복, 양놈-_-, 양잿물, 양주, 양담배, 양말, 양동이 같은 여러 파생어들이 존재한다.
참고로, 양말 할 때 '말'은 '버선 말'(襪)인데, 한국어에서 사실상 양말에서밖에 쓰이지 않는 굉장히 생소하고 난해한 한자로 보인다. 마치 '가방/구두'가 외래어라는 관념이 거의 없어졌고 '무덤/주검'을 '묻/죽+엄'이라고 쪼개서 생각하는 관념이 거의 없어진 것처럼.. '양말'은 '양+말'이라고 쪼갤 여지가 거의 없어져 있다. '양복-한복'과는 상황이 다르기 때문이다.

(2) 왜(倭): 일본을 지칭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제 시대의 트라우마가 워낙 심한 관계로 왜색, 왜놈, 왜구 등의 부정적인 심상이 압도적이다. 단, 일본 음식은 어째 나라 이름이 붙어서 '일식'이라고 부르는 편이다.

(3) 호(胡): 중국 중에서도 특히 청나라를 가리킨다. 호떡, 호주머니 같은 의외의 단어가 원래 중국물 출신이어서 그런지 호짜가 붙어 있다.
그리고 채소 '호박'은 한반도 유래 시기와 경로를 추적해 보건대 胡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여겨진다. 단, 이 어원이 국어사전에 반영되어 있지는 않다. 그리고 '호빵'은 호떡이나 胡와 관계 없는 상표명이다.

2. 어휘

난 개인적으로 덩굴채소 박이 '朴'에서 유래된 한자어라고 오랫동안 생각해 왔다. '수박'의 수는 명백히 水일 테니 '박'도 한자어이지 않을까?
그런데 그렇지 않더라. 그러고 보니 덩굴 채소를 글자로 표현하려면 부수가 草 계열이어야지, 木이 배당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채소 '박'은 순우리말이고, 보석 호박 amber만이 한자로 등재돼 있다(琥珀). 걔는 보석이니 글자의 부수는 다들 玉이다.
보석 호박과 늙은 호박이 모두 주황색 계열인 건 꽤 흥미로운 우연인 것 같다.

그 대신 朴은 '후박나무'를 가리킨다.
우리나라 울릉도의 유명 특산물로 오징어뿐만 아니라 호박엿이 전해지는데.. 이것도 '후박엿'이라는 전혀 다른 재질의 엿이 잘못 전해진 거라고 한다. 호박으로 죽은 쑤어 먹지만 웬 엿까지 만드는 걸까..??

그런데 원래 존재하지도 않던 호박엿이 워낙 유명해지니, 울릉도에서는 뒤늦게 진짜로 호박 성분이 들어간 엿도 만들어서 팔기 시작했다고 한다. 마라도에 뜬금없이 짜장면집들이 잔뜩 들어선 것처럼 말이다.

3. 성경의 용례

난 어떤 새로운 문물에 관심이 생기면 이에 대해서 어학 사전과 백과사전을 찾아보고, 관련 최근 신문 기사를 찾아본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성경에 비슷한 용례가 있는지도 찾아본다.

성경에는 덩굴 뻗는 박 종류 채소 gourd가 딱 두 번 나온다.
먼저, 하나님께서 요나에게 그늘을 제공해 줬다가 싹 걷어가서 현타를 선사하는 교보재로 사용하신 그 덩굴이 대표적이며.. (욘 4)
열왕기하 4장에서 국을 끓여 먹었다가 사람들이 배탈이 났고 엘리사가 정체불명 마법의 가루를 넣어서 해독한 채소도 요런 야생박이다. (왕하 4:39-4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담으로, 성경에서 그냥 돼지(pig, swine) 말고 야생 멧돼지(boar)는 딱 한 번 나온다. 흥미롭다. "숲에서 나온 멧돼지가 그것을 피폐하게 하고 들의 들짐승이 그것을 먹어치우나이다" (시 80:13)
멧돼지는 수천 년 전이나 지금이나 농작물을 파헤쳐 먹으며 민폐 끼치는 짐승이었는가 보다. 저기서는 타겟이 포도나무이다.;;

vine은 덩굴이라는 큰 뜻이 있으면서 통상적으로 더 좁은 포도나무(grapevine)라는 뜻을 갖는 것 같다.
earth (땅 - 지구), man (사람 - 남자), day (날 - 낮)처럼 영어에는 이런 다의어가 여럿 있는 것 같다. 한국어는 '이름'이 대표적인 예라 하겠다(성명 full name 또는 성을 뺀 first name만).

4. 품종

사람이 어떤 물건이나 분야에 덕질을 시작하면 제일 먼저 생기는 변화가 뭐냐 하면, 종류를 세밀하게 분간하는 눈썰미가 생긴다는 것이다.
가령, 다 똑같은 자동차나 열차, 총기 따위가 아니다. "요런 건 언제쯤 어느 제조사에서 생산된 것이기 때문에 이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드라마에 등장하는 건 고증오류이다, 저 장면에서는 요런 게 들어가는 게 맞다" 어쩌구저쩌구를 논하게 된다.

그런 것처럼 호박은..?
작고 짙은 녹색인 (1) 단호박이 있고, 초록색에 가지처럼 길쭉한 (2) 애호박류가 있다. 얘들은 누렇게 변색되지 않는다.
그 반면, 제일 큼직하고 납작 둥글고 누런 늙은 호박으로 바뀌는 그 일반적인 호박은 (3) 맷돌호박 또는 청둥호박이라고 불린다.
본인은 이 개념이 최근에야 제대로 정립됐다. 그리고..

(1) 맷돌호박은 단호박 애호박과는 달리, 열매가 맺힌 뒤에도 한참을 놔둬서 늙은 호박으로 누렇게 숙성된 뒤에 수확하는 게 정석이다. 그래야 맛도 좋고 무엇보다 개월 단위로 오래 보관이 가능하다. 어쩐지 맷돌호박은 그 모양으로 초록색인 모습 사진은 인터넷을 아무리 검색해도 좀체 나오질 않는다.;;

(2) 그럼에도 불구하고 맷돌호박이 제 모양이 형성되기 한참 전에, 아직 시퍼렇고 작고 동글동글 단지처럼 생겼을 때 미리 따기도 하는가 보다. 얘는 '풋호박'이라고 한다. 내가 올해 땄던 대부분의 일반 호박(?)은 이런 풋호박 형태였던 셈이다.
풋호박은 빨리 생산되긴 하지만 늙은 호박보다 유통기한이 훨씬 짧다. 개인적으로는 이런 풋호박은 뭐고 애호박은 뭔지 관계가 헷갈리는 편이었다.

(3) 끝으로, 똑같이 누래지는 일반 호박이라도 동양계와 서양계는 외형이 서로 미묘하게 다르다.
서양 호박은 동양 호박보다는 덜 납작하고 가로 세로 종횡비가 좀 더 정사각형에 가까운 것 같다. 매끈한 공에 좀 더 가까우며 사람 머리통과 비슷하게 생겼다.
그렇기 때문에 얘에다가 눈코입 구멍을 내서 Jack-o'-lantern이라는 것도 만들 수 있다. pumpkin이라는 영어 단어는 바로 이런 호박을 가리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호박의 세계란 게 이런 것이구나..
그래도 개인적인 생각은 사랑스러운 호박 갖고 하필 괴물 얼굴이나 만들지는 않았으면 좋겠다.;;

Posted by 사무엘

2021/11/12 19:34 2021/11/12 19:34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953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953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320 : 321 : 322 : 323 : 324 : 325 : 326 : 327 : 328 : ... 2128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0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2619868
Today:
2867
Yesterday:
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