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생태

1. 작물의 분류 기준 -- 악기와 비교했을 때

관악기는 전통적으로 금관악기와 목관악기로 나뉘는데, 이게 처음에는 말 그대로 목재냐 금속이냐 하는 재질에 따른 분류였다. 그러나 지금은 그런 구분이 거의 무의미해져서 그냥 발성 방식에 따른 분류로 바뀌었다.
길쭉하고 손가락으로 구멍을 막은 채 입으로 불어서 소리를 내면 목관악기요, 나팔 모양이고 호흡과 입술 떨림의 차이로 음을 내면 금관악기이다.

작물 중에서 과일과 채소의 구분도 이렇게 모호한 구석이 있는 것 같다. 곡식은 종자 낱알이 식용 부위이고 과일은 열매가 식용 부위이다. 그러니 채소는 나머지 잎, 줄기, 뿌리 따위가 식용 부위이다.

수박· 호박 같은 박류, 참외· 오이, 그리고 토마토는 열매가 맺히는 놈들이기 때문에 먹는 부위만 따지자면 과일이다. 그러나 실용적으로는 가열하는 주식 요리의 부품으로 주로 동원되는 놈들은 채소, 그렇지 않고 후식· 간식 형태로 단독으로 날것으로 고유한 맛을 즐기며 먹는 놈들은 과일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그래서 같은 박이어도 수박은 과일로 여겨지지만 호박은 채소로 여겨진다. 토마토는 법적으로 과일인지 채소인지에 대한 논란이 세계 여러 나라에서 벌어졌다고 한다. 열매 형태로 맺히는 채소는 '과채류'라고 따로 분류되기도 한다.
그나저나 참외와 오이가 계통상 굉장히 비슷한 녀석이었다니 의외이다. 애초에 '참외'라는 이름은 '레알(참) 오이'에서 유래된 거라고 한다.

2. 광합성에 대해서

지금도 그러는지는 모르겠다만, 요 몇 년쯤 전엔 나라에서 산의 멀쩡한 숲을 밀어내고 나무를 마구 베어 없애고 있었다.
환경 단체에서 항의를 하자 나랏님이 들이댄 변명이 뭐냐 하면 “수십 년 이상 오래된 늙은 나무는 광합성 성능이 떨어져서 어차피 산소 만드는 것보다 호흡하는 양이 더 많다. (그러니 이런 나무는 다른 나무로 대체하거나 어쨌든 베어 버려도 괜찮다)”였다.;;

엥..? 이게 도대체 무슨 듣도 보도 못한 희한한 논리이지..??? 과학적으로 진짜 사실인가? 구체적인 근거는?

글쎄, 호박을 키우면서도 어차피 병들고 누렇게 시들고 다른 잎에 가려져서 햇볕을 많이 받지도 못하는 잎은 괜히 영양분만 소모하기 때문에 따서 없애는 게 낫다는 말을 듣기는 했다.
하지만 나무가 통째로 잉여이기 때문에 없애는 게 낫다는 말은 난 정말 처음 들었다.

아닌 거 같은데?? 야바위 말장난 궤변 사기 같은데?
특히 이 당시 정권이 워낙 입만 열면 거짓말투성이였고, 아름드리 나무를 베어서 거기에다 태양광 패널 도배를 하는 걸 보고는 기가 막혀서 할 말을 잃었다. 과학을 떠나서 정치색이 들어가니 저 말을 더욱 믿을 수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야산에다 태양광 패널 설치하느라 나무를 베어낸 것 때문에 산사태 났던 걸 기억하는 분이 계시나 모르겠다.
그리고 산으로도 모자라서 바다 위의 태양광 패널에 새똥이 잔뜩 묻고, 그거 세척하고 버린 오염수 때문에 바다 생물들이 떼죽음 당하고..

이런 걸 생각하면 우리가 친환경 대체제라고 생각하는 것들이 그다지 효율적이지도 친환경적이지도 않으며, 오히려 화끈하게 화석/원자력 연료 쓰고 기존의 플라스틱 제품을 쓰는 게 더 나은 경우가 적지 않아 보인다.
특히 종이 빨대 같은 거.. 제조 과정이 전혀 친환경적이지 않으며, 그냥 플라스틱 빨대보다 더 나쁘면 나쁘지 좋지 않다고 들었다. 그러면서 괜히 입에 무는 느낌만 더 안 좋다.

원래 하던 대로 하면서 이미 심어 놓은 나무나 잘 지켰으면 좋겠다. 미우나 고우나 나무를 땔감으로 쓰지 않게 해 주는 것은 석유· 석탄이고, 석유· 석탄조차 쓰지 않게 역할을 훌륭하게 분담해 준 것은 원자력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팩트이다.

아이고, 얘기가 옆길로 많이 새긴 했다만..
식물의 잎은 도대체 무슨 원리로 광합성을 하고 자기 할 일을 하는지.. 자외선은 생물의 세포를 파괴한다고 들었는데 쟤들은 뙤약볕을 맞아도 괜찮은지, 잎에 걸리는 병은 도대체 무슨 과정을 거쳐서 퍼지는지..??
그리고 살아 있는 식물의 뿌리는 주변의 흙에 어떤 작용을 벌이는지, 식물이 자라면서 흙의 무게가 달라지기는 하는지.. 참 많은 것이 개인적으로 궁금하다.. ^^

3. 물과 양분의 흡수

동물은 식물을 먹어서 영양분을 섭취하는데, 식물은 동물이 먹고 남긴 것 내지 동물 시체가 썩고 분해된 것으로 다시 영양분을 얻는다니 이건 참 오묘한 관계이다. 식물 자신이 시들어서 죽은 흔적도 당연히 자연으로 되돌아가서 다른 살아 있는 식물에게 쓰인다.

식물은 자라기 위해 물과 비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그렇다고 단시간에 너무 많이 주면 그건 그것대로 또 탈을 일으킨다는 게 주지의 사실이다. (뿌리가 익사하고 썩는다, 삼투압 때문에 식물이 역으로 영양분을 잃고 말라 죽는다)
본인은 이런 말에 쫄아서 물과 비료를 지금까지 소심하게 주는 편이었다. 그러나 여러 정보통으로부터 조언을 들어 보니 그 정도까지 소심하게 줄 필요는 없는 것 같다.

물을 줘 보니 어지간히 많이 주지 않으면 땅속까지 물기가 잘 스며들지 않고, 뿌리에 잘 닿지 않는다.
물과 비료는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과감하게 많이, 뿌리에 좀 더 가깝게 줘도 될 것 같다. '조금씩 자주'보다는 '가끔씩 많이'를 더 지향해야겠다.

호박처럼 잎이 무성한 식물이 무더위에 물이 부족하면 잎들이 기공을 닫고 축~~ 늘어진다. 이건 수분 손실을 막아서 생존을 도모하는 기동이지만, 광합성을 못 하고 양분 생산도 못 하기 때문에 식물의 입장에서는 스트레스 받고 굉장히 좋지 않은 상태라고 한다.
이런 식물에게는 즉시 물을 많이 보충해 줘야 하며, 특히 열매를 거두고 싶은 식물이라면 이런 상태가 되지 않게 평소에 물을 잘 줘야 된다.

그렇게 물을 주고 2~30분 정도 지나면 축 늘어졌던 잎이 다시 기공을 열고 바싹 기립한다.
다만, 밤엔 빛이 없어서 식물이 애초에 광합성을 못 하고 증산작용도 없는데.. 이럴 때 뿌리가 감당을 못 할 정도로 물을 많이 주는 건 식물에게 여전히 좋지 않은 짓이랜다.

다음으로 비료도 말이다.
질소 성분은 영양성장(자기 자신)에 필요하고, 칼륨이나 인 따위는 생식성장(꽃과 열매)에 주로 필요하다고 하는데..
식물한테는 소변이나 심지어 막걸리· 맥주 같은 술도 양분이 될 수 있다. 단, 조건은.. 물을 많이 타고 희석해서 줘야 된다.

사람이 바닷물을 마시면 갈증이 해결되지 않고 목이 더 말라지고, 오래 굶은 사람한테 묽은 죽이 아니라 음식을 갑자기 많이 먹이면 탈이 나서 죽는다고 하는데.. 식물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 너무 찐한 걸 갑자기 흡수하면 똑같이 탈 난다.

식물에게 뿌리를 정조준해서 오줌을 찍 싸는 것은 주변의 위생에도 좋지 않을 뿐더러, 농도가 너무 짙어서 식물에게 해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뿌리에 직접 닿지는 않는 밑동 근처에다가 퇴비나 알비료를 묻는 것 정도로는 내 경험상 별 문제가 없고, 식물에게 도움이 됐던 것 같다. 특히 잎이 누래지고 시들어 가던 자그마한 호박 줄기가 갑자기 잎이 확 커지고 색깔이 짙은 초록색으로 바뀐 것에는 내 경험상, 비료빨이 큰 기여를 했다.

Posted by 사무엘

2022/10/08 19:34 2022/10/08 19:34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2076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2076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209 : 210 : 211 : 212 : 213 : 214 : 215 : 216 : 217 : ... 2139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663650
Today:
825
Yesterday:
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