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벌식 한글 입력 방식에는 초성과 종성의 구분을 위해 도깨비불 현상이라는 게 존재한다.
이것은 <날개셋> 한글 입력기의 내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발생한다. 쉽게 말해 두벌식 종성 + 두벌식 중성 + 오토마타 0상태라고 요약된다.

1. 현재 입력 중인 글자의 직전 마지막 타가 두벌식 타입으로 입력되었고, 종성이 존재한다. (초성이나 중성은 있든 없든 무관)

2. 그 상태에서 초성이 없고 중성이 존재하는 두벌식 타입의 날개셋문자가 새로 입력되었다. (종성은 있든 없든 무관)
여기서 두벌식 타입이라 함은, 오리지널 두벌식 또는 6.7에서 새로 추가된 두벌식 종성 타입이 모두 해당한다.

3. 종성까지 입력된 그 상태에서 새로 입력된 날개셋문자에 대한 오토마타 수식 계산 결과가 0이다. 보통 종성의 경우 이어치기 오토마타 수식은 n -> C ? n : 0인데, 이때는 중성이 입력되면 C가 아닌 B가 nonzero가 되므로 어차피 계산 결과는 0으로 귀착된다.

4. 혹은 양수 상태라 해도 그 상태로는 중성 and/or 종성의 낱자 결합이 불가능해서 어차피 다음 글자로 넘어가야 한다. (implied zero state)


이런 상태에서 다음 글자의 조합이 계속될 때는, 그냥 넘어가는 게 아니라 앞 글자의 종성을 적당히 떼어서 다음 글자의 초성에 미리 넣어 주는 게 도깨비불 현상이 하는 일이다.
자음을 분할하는 방식은 그냥 마지막 한 타만 떼는 기본 동작이 있고, 그 외에 특수 도깨비불 규칙이나 초-종성 공유 낱자 결합 규칙이 관여하기도 한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프로그램 도움말을 참고하도록 하시고.

<날개셋> 한글 입력기는 여러 낱자를 한꺼번에 입력하는 걸 지원한다. 초-중성, 중-종성을 한꺼번에 입력하는 건 물론이고 지금 글자의 종성과 다음 글자의 초성을 곧바로 입력하는 것조차 가능하다.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두벌식에서는 '굴' 상태에서 ㅡ를 입력해서 '구르'까지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ㅡ+ㅁ을 한꺼번에 입력해서 '구름'을 바로 만들 수도 있다.

다만, 그게 오리지널 두벌식 타입으로는 가능한데, 비교적 따끈한 새 기능인 '두벌식 종성' 타입에서는 중성과 종성을 중첩 입력하는 게 제대로 지원되지 않았다. 이것이 지난 7.11 버전에서 개선되었다.
오리지널 두벌식은 비록 종성이라 하더라도 다음 글자로 넘어갈 때 종성이라는 정체성이 없어지고 초성과 완전히 다름없게 처리된다. 그렇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중성+종성을 한꺼번에 입력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가능하다.

그러나 두벌식 종성은... 비록 다음 글자로 넘어가서 모음과 결합함으로써 외형상 초성으로 바뀌긴 하지만, 원래 자신이 종성이었다는 본디 정체성은 변함없이 유지되어야 한다.
자신이 이미 불변 종성인데 중성과 더불어 또 다른 종성까지 한꺼번에 입력되면, 이것은 도깨비불을 의도하는 건지 아니면 그냥 중성과 종성의 평범한 결합이나 분리를 의미하는 건지 프로그램이 논리적으로 명확하게 결정해야 한다.

오리지널 두벌식 타입의 종성 ㅁ (H2|_M)을 조합하는 상태에서 두벌식 ㅏ+ㅂ(H2|EO|_B)을 배당해 주면 응당 '맙'으로 바뀐다. 단지 bksp를 한번 누르면 ㅁ이 이제는 종성이 아니라 초성으로 되어 있을 뿐이다.
그러나 두벌식 종성 타입의 종성 ㅁ (H2J|_M)에다가 같은 입력을 공급하면 '받침ㅁ/ㅏㅂ'이 되고 ㅏ+ㅂ을 따로 조합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받침 ㅁ 대신 받침 ㄹ을 조합하는 상태에서 같은 입력을 공급하면 그 중성과 종성이 지금 글자와 결합하여 ㅏ+ㄻ을 조합하는 상태가 된다. 이것은 받침 ㄹ이 오리지널 두벌식이든 두벌식 종성이든 결과가 동일하다. 왜 그럴까?

가장 큰 이유는 입력 날개셋문자에 중성뿐만 아니라 종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날개셋> 한글 입력기가 제공하는 기본 오토마타들은 한 번에 초-중-종이든 낱자가 하나씩만 들어온다고 가정하고 설계되어 있다. 그래서 C ? n : 0 수식의 값은 nonzero가 되어, 도깨비불 현상 대신 지금 글자의 조합이 계속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물론, ㄹ+ㅂ의 경우와는 달리 ㅁ+ㅂ은 결합이 성립하지 않는다. 세 성분 중 한 성분이라도 결합이 되지 않으면 결합은 실패하므로 도깨비불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오리지널 두벌식은 ㅁ을 초성으로 넘겨 주기 때문에 '맙'을 성공적으로 만들어 준다. 그 반면 두벌식 종성은 ㅁ을 종성으로 처리한다. 그래서 도깨비불 현상 후에도 두 종성은 서로 충돌하며 결합이 실패한다.

이 경우 프로그램은 최종적으로 도깨비불 없이 ㅁ이 마치 세벌식 종성이었던 것처럼 변경 없이 놔 두고, ㅏ+ㅂ만 다음 글자로 따로 떼어 내 준다. 이번 7.11이 취한 정책이다. 예전에는 그냥 조합이 끊어져 버렸었다.

두벌식 종성으로도 중성+종성이 충돌 없이 도깨비불 현상 처리가 되려면, 도깨비불은 결합 실패로 인해 뒤늦게 발생하는 게 아니라 오토마타 수식 차원에서 0이 돌아옴으로써 이 타이밍 때 곧바로 발생해야 한다.
애초에 중성+종성 날개셋문자가 C ? n : 0 수식을 nonzero로 통과했던 게 화근이었다. 이 수식을 !B && C ? n : 0으로 바꿔 주면 문제가 해결된다. 종성이 한번 입력된 뒤부터는 오로지 종성만 받아들이도록 말이다.

이렇듯, 두벌식 종성에서 중성뿐만 아니라 중성+종성 복합 입력의 도깨비불 현상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내부 알고리즘도 개선되어야 하고, 사용자의 설정도 미묘하게 바뀌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한글 입력기 하나에도 오묘한 면모가 은근히 많다.

<날개셋> 한글 입력기는 13년 동안 개발되면서 버전이 무려 7.x대까지 올라갔다. 편집기나 외부 모듈의 외형은 엄청 옛날 버전이나 지금이나 거의 바뀐 게 없지만, 이 프로그램이 진짜로 꾸준히 바뀌고 있는 부분은 입력 엔진과 이를 제어하는 제어판 쪽이다. 이 프로그램은 그야말로 어떤 변칙적인 한글 입력 방식도 만들 수 있고 한자 변환이나 bksp 동작 같은 주변 기능까지 전부 세밀하게 제어 가능한 기술 통합형 엔진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살짝만 스포일링을 하자면, 현재 구상하고 있는 것은 고급 입력 스키마와 고급 입력기이다.
글쇠를 길게 눌렀다 떼는 건, 여러 글쇠를 한꺼번에 누르는 것, 타이밍까지 세벌식 자판에 최적화해 주는 입력 스키마..
그리고 지금의 최종 변환 규칙 같은 것을 입력기 단위로도 적용하여 한글로 일본어나 구결을 곧바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생성기. 한글과 비한글 문자를 조합 상태에서 끌어들일 수 있는 그런 시스템을 생각 중이다.

이 정도까지 만들어 놓으면 프로그램의 버전은 7.x대 중후반은 올라갈 수 있을 것이고, 그 뒤에 입력기 개발은 진짜로 반쯤 접은 채 다음 글꼴 연구를 시작할 수 있을 것 같다.
NLP 쪽의 연동이 없이 한국어와 무관하게 한글 자체만의 engineering도 할 일이 정말 많다.

Posted by 사무엘

2013/12/01 08:22 2013/12/01 08:22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904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904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1410 : 1411 : 1412 : 1413 : 1414 : 1415 : 1416 : 1417 : 1418 : ... 2205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3079705
Today:
1287
Yesterday:
1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