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들어가는 말

<날개셋> 한글 입력기와 타자연습이 개발 17년째에도 변함없이 온갖 새로운 기능들로 무장하여 새 버전이 나왔다. 4개월 동안 정말 많은 기능들이 추가되고 개선되었다. 지금까지 올라온 개발 근황글 시리즈만 봐도 이번 버전은 뭔가 심상찮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정상적인 개발 사이클이라면 지금보다 더 전에 새 버전이 나오고도 남았을 텐데 이번 버전만 이례적으로 중간 개발 근황글이 많아진 이유는..
8.8의 개발 완료 조건은 따로 있었는데 그게 너무 어려워서 오랫동안 충족되지 못하는 동안, 다른 분야에서 새 기능들이 잔뜩 추가되고 개선 사항이 생겼기 때문이다.

그것들이 새 버전 형태로 석방(release)되지 못한 채 장기간 갇혀 있었다. 지금 새 기능 리스트를 다시 읽어 보면 나로서는 "아니 이건 언젯적 작업 내역인데 8.6에서는 아직 반영이 안 된 상태였구나. 내 프로그램 사용자들은 작년 10월 이후로 시간이 정지해 있었구나!" 싶은 것들이 많다. 그걸 이제야 훌훌 털어내고 밖으로 내보내게 되어 참 기쁘다.

이 글에서는 이번 8.8 버전에서 궁극적으로 추가하려고 했고 시간적으로 제일 마지막에 구현된 '복합 낱자 입력 로직 생성기'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하겠다. 이것은 <날개셋> 한글 입력기가 제공하는 '빠른설정' 중의 하나이다.

1. 빠른설정

빠른설정이란 어떤 입력 항목에 대해서 사용자가 선택한 옵션대로 입력 스키마와 문자 생성기를 곧바로 세팅 해 주는 보조 GUI의 총칭이다. 지금 이미 지정돼 있는 입력 설정을 보완· 변경할 수도 있고, 그건 싹 무시하고 완전히 새로운 입력 설정으로 덮어쓸 수도 있다.

요런 개념과 기능은 먼 옛날, <날개셋> 한글 입력기 3.0에서 처음으로 도입됐다. 그리고 역사상 최초로 도입된 빠른설정은 '기본 글자판 설정'이었다. 두벌식, 세벌식, 쿼티, 드보락처럼 사용자가 가장 자주 사용하는 한글과 영문 글자판을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곧바로 맞춰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글의 경우 옛한글 사용 여부, bksp의 동작 단위 같은 옵션을 받기도 한다.

그러다 지난 2006년, 3.9 버전에서 빠른설정이 3개가 더 추가되어 4개가 되었으며, 빠른설정은 이렇게 4개가 거의 10여 년 동안 변경 없이 그대로 유지돼 왔다.
먼저, 한글 로마자 입력기. 얘는 기반 영문 글쇠배열(쿼티 or 드보락)과 로마자-한글 매핑 방법 같은 몇 가지 옵션을 받아서 로마자 입력 방식을 설정해 준다. 한글 로마자 입력 방식이라는 건 딱 한 가지만 존재하는 게 아니라 어떤 공통된 사상, 이념, 컨셉에 속하는 다양한 입력 방식들을 찍어 내는 '메타 입력 방식'에 가깝다. 그러니 이런 건 '빠른설정'이 커버하기에 적합하다.

한글 로마자 입력기는 한국어· 한글을 배우는 외국인에게 매우 유용하다. 그래서 <날개셋> 한글 입력기의 영문 페이지는 프로그램의 모든 기능을 영어로 소개하지는 못하는 대신, 입력 설정을 로마자 입력 방식으로 바꾸는 방법만을 간단히 안내해 놓았다.

나머지 빠른설정은 주어진 세벌식 글쇠배열을 표준 두벌식 배열과 합성해 주는 '복벌식 빠른설정', 그리고 한 글쇠에서 초성과 종성이 아니라 중성과 종성을 수식으로 구분해서 합성한 '신세벌식 빠른설정'이 있다. 이들 역시 두벌식과 세벌식을 절충하는 훌륭한 메타 입력 방식이므로 빠른설정 형태로 구현했다.
전자는 타자가 처음에 왼손으로 시작됐으면 두벌식, 오른손으로 시작됐으면 세벌식으로 인식해 준다. 후자는 도깨비불 현상이 없으면서 4단도 사용하지 않는 입력 방식이라는 의의가 있다.

'기본 글자판'과 '한글 로마자 입력기'는 완전히 새로운 입력 환경을 맞춰 주는 빠른설정이지만 복벌식과 신세벌식 빠른설정은 기존 입력 설정에다가 변형을 가하는 형태로 동작한다.
그러다가 제5의 빠른설정인 '복합 낱자 입력 로직 생성기'가 거의 10년 만에 또 추가되었다. 얘 역시 기존 입력 설정을 변형하는 형태로 동작한다. 단, 글쇠배열 같은 입력 스키마 설정은 직접 건드리지 않으며, 문자 생성기 계층의 설정을 건드린다. 뭐, 글쇠배열을 직접 고치지는 않더라도, 필요한 경우 요런 글쇠를 사용자가 직접 배당해서 쓰라고 안내를 해 주긴 한다.

이 로직 생성기는 단순한 편의 기능 이상으로 <날개셋> 한글 입력기의 아주 중요한 핵심 기능이다. 이거 하나만 코드의 양이 2천 줄을 넘어가며, 기존 4개 빠른설정들의 코드를 다 합한 것보다도 분량이 2배 이상 많다.

2. 본 기능 소개

복합 낱자 입력 로직 생성기가 하는 주된 일은.. 초중종성의 낱자 결합 규칙을 편의상 '대결합'과 '소결합'으로 또 나눠서 대결합을 소결합 노가다만으로 몽땅 자동 생성해 주는 것이다.

좀 formal하게 표현하자면, 기존 설정(소결합)과 우리 빠른설정 자체의 설정(대결합) 사이의 cartesian product를 구한다.
그리고 이와 연동해서 같이 움직이는 가상 낱자, 특수 도깨비불, 심지어 한글 치환 규칙을 다 자동으로 맞춰 주며, 대결합과 소결합 사이에 논리적으로 충돌이 있는 것도 감지해서 보여주고 회피해 준다.

PC용 한글 입력 방식이라면 낱자 결합 규칙을 굳이 대결합과 소결합으로 나눌 필요가 없다. 하지만 글쇠 수가 왕창 적은 모바일에서 옛한글 같은 복잡한 한글 입력 방식을 구현한다고 생각하면 저런 추가적인 추상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ㅎ 같은 기본 자모를 "ㅇ+가획"(나랏글) 내지 "ㅅ+ㅅ"(천지인)의 합성으로 입력하는 건 소결합이다. 그러나 ㄴ+ㅎ으로 ㄶ을 입력하고 ㄹ+ㅎ으로 ㅀ을 입력하는 건 대결합이며 어느 입력 방식이든 동일하다. 그러면 이 로직 생성기는 소결합과 대결합을 토대로 ㄶ과 ㅀ을 입력할 때 필요한 중간 상태인 ㄴㅇ, ㄹㅇ도 날개셋의 기존 기능으로 다 표현해 준다는 것이다.

이런 예가 옛한글로 가면 얼마나 많겠는가? 게다가 두벌식의 경우는 한 낱자를 다 입력한 뒤에도 아직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나랏글 기준으로 ㄽ이라는 겹받침을 입력한 뒤에도 ㄹㅈ, ㄹㅉ, ㄹㅊ 같은 임시 낱자를 고려해 줘야 ㄹ 다음에 ㅈ 계열 자음들을 연속 입력을 할 수 있다.

요런 식의 자동화를 종성에 한해서 찔끔 간단하게 구현해 준 것이 바로 6.x 버전 시절에서 추가된 '초-종성 공용 낱자 결합'이었다. 하지만 임시 낱자들의 처리는 여전히 사용자가 해야 하고 한계가 많았다. 그러다가 복합 낱자 입력 로직 생성기가 추가됨으로써 <날개셋> 한글 입력기는 한글 엔지니어링의 영역을 한 단계 넓혔다.

3. 예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그림은 천지인 입력 방식을 설정한 뒤, 대결합과 소결합 사이의 관계 분석을 통해 종성-초성 사이에 연속 입력이 안 되는 pair들을 프로그램이 찾아 준 것이다. 천지인은 모든 종성에 대해서 연속 입력이 안 되는 초성이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한다. 그 반면, Google 단모음 입력기라면 ㄱ, ㅅ뿐만 아니라 쌍자음이 존재하는 ㄺ, ㄽ, ㅄ 같은 일부 자음만이 이런 조건에 걸린다.

'글자판 입력을 문자열로' 텍스트 필터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에 대해서 연속 입력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이 있는데, 이 빠른설정은 아예 구조적으로 연속 입력이 불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찾아 준다는 차이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천지인과는 달리 나랏글은 구조적인 모호성이 없기 때문에 로직 생성 결과가 깔끔하다. 나랏글은 소결합을 담당하는 글쇠(가획, 쌍자음)와 대결합을 만드는 타 한글 자모 글쇠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생성되는 임시 낱자 수는 나랏글이 천지인보다 더 많다.

중성을 보면 나랏글에서 ㅝ를 입력하기 위해 중간에 거치는 ㅜ+ㅏ를 이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처리해 줬다는 말이 뜬다. 사용자가 일일이 대결합에 등록하지 않았더라도 말이다. 그리고 이 경우, ㅜ+ㅏ까지만 입력해도 화면에는 절차를 단축해서 자동으로 ㅝ를 띄워 준다. (대결합의 마지막 단계가 확정되어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을 때)
또한 중성에는 쌍자음(501) 글쇠가 결합용으로 전혀 쓰이지 않았다는 것도 알려 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건 좀 더 엄청난 장면이다. 천지인의 모음 입력 방식을 옛한글에다가도 적용했을 때 입력 순서가 동일해져서 충돌이 발생하는 쌍을 모두 찾은 것이다. 천지인의 경우 음절 경계에만 모호성이 있는 게 아니라 한 성분 내부에서도 ㅡㆍㆍㅡ를 ㅝ(2:2)로 보느냐 ㆌ (3:1)로 보느냐 같은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단, 이건 세벌식이라도 구조적으로 얼마든지 존재할 수 있는 모호성이다.

인위적인 모호성 보정이 없다면 이 프로그램은 언제나 대결합보다 소결합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2:2(ㅝ)가 아닌 3:1(ㆌ)이 채택된다. 이때 모호성은 2가지 방법 중 하나로 회피할 수 있는데, (1) 먼저 사전 구분이다. 2타까지 치고 'ㅜ+보정'을 누르면 이 ㅜ는 ㅠ로 넘어가는 ㅜ가 아니라 ㅜ+ㆍ, ㅜ+ㅓ 등 대결합 경계가 바뀌는 임시 낱자 ㅜ로 바뀐다. 즉, 임시 낱자도 입력을 위한 것과 모호성 보정을 위한 것 두 종류로 나뉜다.

(2) 그리고 사후 변환을 할 수 있다. 이미 ㅠ 또는 ㆌ가 된 상태에서 이 변환을 누르면 ㅜㆍ 또는 ㅝ를 왔다갔다 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입력 순서가 동일한 낱자들에 대해 일정 시점에서 구분자를 넣어서 상태를 분기하는 것을 일종의 binary tree 형태로 표현해서 관리하는데, 사전 구분은 그렇게 가지를 뻗는 것이고 사후 변환은 자신의 가장 가까운 sibling을 왔다갔다 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1) 또는 (2), 그리고 (1)과 (2)를 모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프로그램은 마치 나랏글의 가획/쌍자음처럼 저런 사전/사후 보정용 낱자를 초중종성 공용으로 하나 설정한 뒤, 수식을 생성해서 사용자에게 다음과 같이 안내도 해 준다.

입력 중에 낱자 결합 모호성을 해소하려면 다음 수식을 글쇠배열에 배당하여 사용하십시오.
- 사전 구분:
  F ? H2|0x25800000000 : E ? H2|0x2580000 : D ? H2|0x258 : 0
- 사후 변환:
  F ? H2|0x25900000000 : E ? H2|0x2590000 : D ? H2|0x259 : 0


또한 사후에라도 대결합 적용 방식이 바뀌는 것조차 처리해 준다. 현대 한글에서는 굳이 저렇게 보정을 하지 않아도 ㅠ 다음에 ㅣ가 입력됐을 때 ㅝ로 바로 넘어가게 할 수 있다. ㆌ가 쓰이지 않으므로 모호성이 없기 때문이다.
옛한글의 경우 위의 스크린샷에서 보다시피 소결합 단독으로 처리되던 ㅖ에서 옛한글 ㅕㅑ로 자동으로 넘어가는 것, ㅜㅡ에서 ㅡㅗ로 자동으로 넘어가는 것 등 그런 예가 더 많다.

한글 입력 방식의 고안자는 소결합 수준에서 기본 한글 자모를 입력하는 방법만 생각하면 된다. 이로부터 복합 자모를 입력하고 오류를 찾는 온갖 복잡한 노가다는 이제 컴퓨터 프로그램이 알아서 해 준다!

비록 한글 타자는 마치 알파벳 풀어쓰기처럼 sequential하게 이뤄지지만 한글은 구조적으로 ㄱㄱ과 ㄲ이 동일하지 않고 초성 ㄱ과 종성 ㄱ이 같지 않은 문자이다. 자체적으로 낱자 경계가 있고 음절 경계가 있는데 이것 구분을 한글 입력 오토마타가 implicit하게 자동 처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서 생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자동화 절차를 이 빠른설정이 담당해 준다.

작년에 본인이 부산 학회에 가서 발표한 논문(한글 및 한국어 정보 처리 학술대회)이 바로 이런 시스템의 구현에 관한 것이었다. 본인은 박사 졸업 이수요건 충족을 위해 중간에 이렇게 한글 자체에 지극히 특화된 연구를 해서 논문을 투고하고 발표하게 된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

4. 옵션 대화상자

'복합 낱자 입력 로직 생성기'는 이례적으로 마치 설치 프로그램처럼 단계가 휙휙 진행되는 마법사 형태로 UI가 구현되었다. 1단계는 대결합을 지정하는 단계이며, 마지막 3단계는 지금까지 봐 온 결과 로그 화면이다.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마법사 UI는 대화상자의 크기 조절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마법사 UI를 불가피하게 자체 구현했다. 로그가 분량이 상당할 수도 있기 때문에 크기 조절 기능이 없으면 안 된다. 그리고 마법사 UI는 자체 구현하는 것도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니..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위의 그림은 바로 중간의 2단계인 옵션 지정 화면이다. 복합 낱자 입력 로직과 관련하여 이 옵션들을 생각해 내고 구현하는 게 지금까지 정말 머리 쥐어 뜯도록 힘든 일이었고, 개념을 도움말에다 설명하는 것도 어려웠다. 내가 누구만치만 머리가 빨리빨리 잘 돌아가기만 했어도..;; 단지 나보다 똑똑한 사람들은 이런 프로그램을 만들 생각 자체를 안 하겠지..

'글쇠배열 종류'를 두벌식이 아닌 세벌식으로 지정하면 음절 경계 체크라든가, ㅂㅉ, ㅂㅊ처럼 종성 연속 입력을 위한 임시 낱자 생성이 생략된다. 세벌식에서는 그런 걸 고려할 필요가 없으니까.

그리고 '옛한글 자모 사용' 옵션을 '끄면', ㄸㅃㅉ 같은 건 종성에 등장이 허용되지 않고 자동으로 다음 글자 초성으로 넘어간다. 이런 지저분 자질구레한 처리까지 가상 낱자와 한글 출력 치환을 이용해서 이 빠른설정이 알아서 다 세팅해 준다.
옛한글을 사용하더라도 정치· 치두음 같은 건 어차피 초성 전용이니 그런 게 종성에 등장하지 않게 처리된다.

'미리 분리' 옵션은 "(갇) ↔ (가ㄸ)" 왕복을 하느냐 "(갇) → 가(ㄸ) ↔ 가(ㄷ)" 왕복을 하느냐 차이를 결정한다. 이런 자음들을 그냥 다음 글자로 보내 버리면 종성에 생성되는 임시 낱자의 개수가 상당수 줄어든다. 세벌식에서는 초성 전용 자음을 처리할 때를 빼고는 이런 옵션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세벌식에서는 아까 나랏글 중성 ㅜㅏ → ㅝ 단축처럼 종성도 ㄴㅇ까지만 입력하더라도 ㄶ으로 자동으로 단축이 가능하다. 단지 두벌식에서는 허용되지 않을 뿐이다. 진짜 받침 ㄴ + 초성 ㅇ을 의도한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세밀한 처리까지 다 고려해서 동작한다.

로직을 생성해 보니 결합 모호성이 존재하는데도 '모호성 해소 방식' 두 옵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돼 있지 않으면 일부 낱자는 모호성 때문에 입력할 수 없을 거라고 경고문이 끝에 나온다.
단, "짧은 소결합으로 연장 결합 지원" 옵션을 켜면 일부 낱자는 입력 가능해질 수도 있다. 아까 ㅠ에서 ㅝ로 자동으로 넘어가는 것처럼 말이다.

옵션들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대화상자에서 F1을 누르면 볼 수 있다.
8.8의 다음 버전은 올해 6월쯤에 나올 9.0 정도로 잡고 있다. 9.0에서는 이 빠른설정에 '허용 한글 범위' 제한 기능과 연계하는 새로운 기능이 더 추가될 예정이다.

* 마지막 썰: 프로그램 관련 문의는 둘 중 한 곳으로

'복합 낱자 입력 로직 생성기'는 이번 버전의 워낙 독보적인 끝판왕이다 보니 이거 하나만 간략하게만 소개했는데도 글 분량이 벌써 이만치가 됐다. -_-;;
기능 자랑은 이 정도로 하고, 이제 프로그램 관련 공익 광고(?)를 덧붙이며 글을 맺고자 한다.
본인은 여건상 개발자와 사용자 사이의 소통을 위해서 딱히 <날개셋> 한글 입력기 공식 게시판이나 카페 같은 걸 운영하고 있지는 않다. 프로그램 관련 문의는

  1. 공개적으로 하려면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페이지에 있는 페이스북 플러그 인
  2. 비공개로 몰래 하려면 본인의 개인 메일(gmail)

둘 중 한 곳으로 하는 것을 가장 권장한다.

블로그에 올라오는 날개셋 한글 입력기 새 버전 공지글의 댓글로는 가능한 한 새 버전에 대한 의견만을 가장 권장한다. 하지만 이전 버전부터 보편적으로 있던 기능에 대한 문의가 올라오는 걸 명시적으로 금지할 것도 없기 때문에 받아들일 뿐이다.

다음으로 블로그 방명록이 있다. 여기도 프로그램 문의 게시판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거기엔 내 블로그 방문 소감이나 안부 인사만 권하지 프로그램 문의는 원하지 않는다. 뭐, 문의글이라고 해서 무슨 스팸 광고글 쓰레기는 아니니, 게시판의 원래 성격에 맞지 않은 글이라고 해서 내가 매정하게 무시 또는 삭제한다거나 하지는 않는다. 답변을 하긴 하지만 그래도 원래 취지와 권고 사항은 저렇다는 거다.

페이스북 플러그 인을 열면서 동시에 내 페이스북 계정도 노출되었는데.. 요 몇 년 간 지켜보니 페이스북 쪽지로 프로그램 문의를 하는 분도 있었다. 하지만 쪽지로는 보내지 마시기 바란다.
페친이 아닌 모르는 사람이 보낸 쪽지는 페이스북이 알림창으로 안내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쪽지가 왔다는 것을 내가 즉시 알아채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거의 몇 달 뒤에야 뒤늦게 발견해서 답변을 허겁지겁 했거나 아니면 그 사이에 질문자가 계정을 삭제하여 답변을 못 하게 된 일이 몇 번 있었다.

아무튼, 이 점을 염두에 두고 프로그램 관련 문의는 페이스북 플러그 인 또는 메일 중 한 곳을 이용해서 하셨으면 한다.

Posted by 사무엘

2017/02/15 08:28 2017/02/15 08:28
Response
No Trackback , 17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327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17/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Site Stats

Total hits:
2712690
Today:
766
Yesterday:
1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