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은 올해 가을엔 어쩌다 보니 등산 야영을 시리즈로 계속하게 됐다. (1) 예빈산(남양주), (2) 청계산 국사봉+발화산(의왕+성남) 다음으로는 (3) 수락산을 다시 찾아갔다. 한강 근처의 예빈산· 예봉산 일대도 남양주이고 서울 북동부의 수락산 근처도 남양주라니.. 실감이 잘 가지 않았다. 세부 행정구역이 별내면과 와부읍으로 서로 다르긴 하다만 말이다.
지금으로부터 3년쯤 전, 겨울에 장암 역 근처에서 수락산을 올라서 주봉 정상에 도달한 뒤, 남양주의 청학리 수락산 유원지 방면으로 하산한 적이 있었다. 산을 서에서 동으로 횡단한 것이다. 이번에는 차를 가져가서 수락산 유원지에서 등산을 시작한 뒤, 하산도 동일 지점으로 했다.
그러니 등산 경로의 관점에서 보면 이번 산행은 새로운 산이나 등산로를 개척한 것이 없었다.
하지만 시간이 3년에 가깝게 지나니 기존 경로도 충분히 새롭게 느껴졌으며, 수락산은 재방문만으로도 예빈산이나 청계산과는 사뭇 다른 경험을 선사했다. 암반이 많은 돌산이며, 물이 졸졸 흐르는 계곡도 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등산로는 꽤 높은 곳까지 자동차 접근성이 좋았으며, 이렇게 차를 댈 만한 곳도 곳곳에 있었다. 내가 굳이 이 경로를 택한 주 이유 중 하나 역시 이것이었다.
경치 좋은 계곡의 주변 공간을 어디선가 무단 점유하고는 방문객에게 바가지 요금을 물리는 식당들의 불법 영업이 어제오늘 일이 아니었다. 그랬는데 올해는 이 관행을 근절하겠다고 경기도에서 주도적으로 칼을 뽑고 나섰다. 언제까지나 생계형 범죄랍시고 오냐 오냐 봐 주지 않겠다고 말이다. 그래서 그런지 여기도 식당들이 상당수 박살이 난 듯한 모습이었다.
한강 공원들만 해도 텐트와 야식 광고 찌라시, 쓰레기 때문에 몸살을 앓다가 지금은 질서를 많이 되찾았듯이.. 저것도 공권력이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금방 바로잡을 수 있었던 일이었던 셈이다.
한참을 올라간 뒤에야 드디어 차도가 끝나고 사람만이 접근 가능한 돌계단과 비좁은 등산로가 나타났다.
이게 '금류 폭포'이며, 요런 게 바로 여느 흙산에서는 볼 수 없는 풍경이다. 흙바닥이 아닌 바위 위로 물이 줄줄..
이렇게 높은 곳에서도 아주 가늘게나마 물이 흐르는 산은 본인은 지금까지 수락산밖에 못 봤다. 이 정도면 물을 그냥 인위로 끌어올리기라도 한 건가 궁금해진다. 수락산 계곡에서 발원한 이 물은 평지에서 청학천으로 이어진다.
금류 폭포의 바로 옆엔 산장이라고 해야 하나 휴게소라고 해야 하나 자그마한 간이 식당까지 있었다.
예전에도 언급한 적이 있지지만, 여기는 국립공원이 아니기 때문에 이런 민간 산장이 들어서는 게 가능하다. 북한산 같은 곳이라면 등산로를 벗어난 계곡 근처는 몽땅 울타리가 쳐지고, 무단 침입 시 과태료가 부과되었을 것이다.
여기서 정상을 향해 더 올라가면 그리 멀지 않은 곳에 '내원암'이라는 바위와 함께 절인지 암자인지가 있다. 차량이 들어올 수 없는 높고 험한 곳치고는 건물과 마당을 포함한 부지가 꽤 넓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게다가 '해우소'라고 불리는 공중 화장실도 있었다. 실제로 이용해 보지는 않았지만 생긴 형태는 마치 수돗물이 여기까지 들어오기라도 하는 것처럼 수세식이었다.
하긴, 나중에 집에서 지도를 확인해 보니 금류 폭포와 내원암 정도는 해발 고도가 아직 300~350m밖에 안 되었다.
지금까지 올랐던 200여 m 고도는 경사가 여전히 굉장히 완만한 편이었고, 내원함 이후부터가 급격히 가팔라졌다. 실제로 빽빽한 계단을 오르고 또 올라야 하는 곳이 계속해서 등장했다.
아직 정상이 보일 기미가 안 보이는데 날은 계속해서 어두워져 갔다. 하긴, 오늘은 등산 자체를 오후 5시가 돼서야 시작했다.
정상에 거의 다 와서야 그 이름도 유명한 '수락 산장'과 함께 약수터도 등장했다. 1리터짜리 통을 다 채우는 데 내 기억으로 거의 1분 가까이 걸릴 정도로 수압이 낮았지만, 그래도 이 높이에서 맑은 물이 나오는 것만으로 어디냐.. 마시는 용도와 씻는 용도로 모두 도움이 됐다.
결국 해가 다 떨어진 뒤에야 주봉 정상에 도착했다. 1시간 반쯤 걸렸다.
수락산엔 여기 말고도 능선에 온갖 이름의 기암괴석 봉우리들이 더 있고 다른 등산로도 있는데, 거기는 아직 가 보지 못한 게 아쉽다.
성경의 '반석 위에 지은 집'에서 착안하여 '반석 위에 친 텐트' 정도 되겠다. ㄲㄲㄲㄲㄲ
따뜻한 간이 숙소에서 휴식을 취하고 도시락을 먹었다.
산을 오를 때까지만 해도 힘들어서 옷이 땀으로 흠뻑 젖고 물을 다 마실 정도였지만, 날씨는 이내 급격히 추워지고 땀이 식었으며, 바람도 세차게 불기 시작했다.
전에 예영을 했던 산들은 한밤중에 정말 아무도 없었지만 이 산은 달랐다. 새벽 1시쯤에 야간 산행을 하는 일행이 수락산 정상에 왔다가 갔다.
아무도 없을 줄 알았던 산 정상 근처 바위에 텐트가 덩그러니 놓여 있으니 그 사람들도 좀 놀랐을 것 같다. =_=;;
"웬 텐트? 허걱~" 하는 소리를 본인도 듣긴 했지만.. 서로 마주치지는 않았다.
그리고 사실은 아까 전에 저녁을 먹고 있던 중에 텐트 문을 열었을 때는 근처에 웬 고양이 한 마리와 마주치기도 했다.
옛날에 인왕산 정상 부근과 북한산 정상에서도 고양이를 봤던 기억이 있다. 야생일 텐데 어디서 어떻게 먹고 사는지 모르겠다.
바람이 너무 세게 불고 시끄러워서 결국은 숙소를 정상 아래의 숲 속 공터로 옮겼다. 여기가 훨씬 더 조용하고 자기 편했다.
달빛이 밝았던 덕분에 주변도 한 치 앞이 안 보일 정도로 암흑천지는 아니었다.
그리고.. 눈을 감았다 뜨니 이튿날 아침이 되었다. 처음에 텐트를 쳤던 곳의 낮과 밤 풍경은 이러했다.
탁 트인 정상 주변 풍경은 몹시 멋졌다. 근처의 불암산도 수락산보다 약간 더 낮고 작은 축소판일 뿐, 내부 제원(?)은 수락산의 판박이인 것 같다.
어제 깜깜할 때 지나갔던 길이 낮에는 이런 모습이었다.
하산하고 차가 세워진 공터로 돌아오니, 이제야 여기에 차를 몰고 와서 주차 자리를 찾는 등산객들 일행을 여럿 볼 수 있었다.
본인은 여기 올 때는 용마 터널과 구리-포천 고속도로(29) 같은 유료 도로를 적극 활용해서 갔지만, 귀가할 때는 그냥 순화궁로, 덕릉로, 동부 간선 도로 등의 기존 종축 도로만 타고 갔다. 글쎄, 서울 동쪽의 구리와 남양주 쪽으로는 유료 도로와 관련 진출입로들이 유난히 많이 눈에 띄는 것 같다.
- 산을 관통하는 유료 터널: 용마(아차산), 별내(불암산)
- 서울-양양 고속도로(60): 남양주*, 덕소삼패
- 외곽순환 고속도로(100): 구리남양주, 불암산, 토평
- 구리(세종)-포천 고속도로(29): 갈매동구릉*, 남별내
- 수석-호평 도시고속화도로: 이패
서울의 남쪽이야 서해안(서서울), 경부(서울), 중부(동서울)라는 3대 '종축' 간선 고속도로가 시작되는 요금소가 있으며, 좀 더 생각하면 관악산 아래를 지나는 유료 도로인 남부순환로, 그리고 유료 터널인 우면산 터널 정도가 떠오른다.
그런데 서울의 동쪽에는 서울-춘천-양양이라는 '횡축' 간선 고속도로가 시작된다. 남양주는 마치 경부의 서울, 서해안의 서서울처럼 폐쇄식과 개방식을 전환하는 톨게이트이다. 그리고 덕소삼패는 남양주보다 전인 개방식 구간에 있지만 경부의 판교 톨게이트처럼 고정된 요금을 징수하는 톨게이트이다.
그리고 서울의 북동쪽으로는 구리(세종)-포천이라는 '종축' 간선 고속도로가 시작된다. 공식 명칭은 세종이지만 과연 그 길고 먼 구간이 모두 개통하는 때는 과연 언제가 될지 모르겠다. 얘는 갈매동구릉 톨게이트가 폐쇄식과 개방식이 전환되는 곳이며, 여기 근처에서는 북중랑 톨게이트를 통해 고속도로를 드나들 수 있다.
폐쇄식 요금소와 개방식 요금소가 뒤섞여 있으니 구조가 더욱 복잡하게 느껴진다. 폐쇄식과 개방식 요금제는 열차로 치면 지정석과 자유석의 관계와도 비슷해 보인다.
서울 북쪽 외곽의 노고산, 사패산, 수락산, 불암산은 모두 터널이 뚫려 있다. 그 중 수락산 아래를 지나는 덕릉 터널만이 무료이고, 나머지는 다들 유료 터널이거나 유료 도로인 외곽순환 고속도로 구간에 포함돼 있다.
이에 덧붙여 수석-호평 고속화도로는 고속도로도, 터널도 아닌 마치 제3 경인 고속화도로와 비슷한 급의 유료 도로이다.
Posted by 사무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