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재부팅 이벤트

본인은 지금까지 Windows가 시스템 종료/재시작/로그아웃 될 때.. 메시지에 즉각 응답하면서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프로그램이라면 종료 처리도 당연히 정상적으로 되는 줄로 알고 있었다.
사용자가 [X] 버튼이나 Alt+F4를 눌러서 종료할 때와 완전히 동일하게 말이다. WM_CLOSE에 이어 WM_DESTROY, WM_NCDESTROY가 날아오고, WM_QUIT이 도달하고, message loop이 종료되고, MFC 프로그램으로 치면 ExitInstance와 CWinApp 소멸자가 호출되고 말이다.

왜냐하면 시스템이 종료될 때 발생하는 현상이 언뜻 보기에 정상적인 종료 과정과 동일했기 때문이다. 저장되지 않은 문서가 있는 프로그램에서는 문서를 저장할지 확인 질문이 뜨고, 운영체제는 그 프로그램 때문에 시스템 종료를 못 하고 있다고 통보를 한다. 좋게 WM_CLOSE 메시지를 보내는 걸로 반응을 안 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운영체제가 TerminateProcess 같은 강제 종료 메커니즘을 동원할 것이다.

그런데 알고 보니 그게 아니었다.
정상적인 종료라면 ExitInstance 부분이 실행되어야 할 것이고 프로그램 설정들을 레지스트리에다 저장하는 부분도(본인이 구현한..) 실행돼야 할 텐데, 내 프로그램이 실행돼 있는 채로 시스템 종료를 하고 나니까 이전 설정이 저장되어 있지 않았다.

꼭 필요하다면 WM_ENDSESSION 메시지에서 사실상 WM_DESTROY 내지 ExitInstance와 다를 바 없는 cleanup 작업을 해야 할 듯했다. 뭐, 날개셋 한글 입력기에서 이 부분이 반영되어 수정돼야 할 건 딱히 없었지만 아무튼 이건 내 직관과는 다른 부분이었다.

시스템이 종료될 때 발생하는 일은 딱히 디버거를 붙여서 테스트 가능하지 않다. =_=;; 로그 파일만 기록하게 해야 하고, 매번 운영체제를 재시작해야 하니 가상 머신을 동원한다 해도 몹시 불편하다. 꽤 오래 전 일이 됐다만, 날개셋 외부 모듈이 특정 운영체제와 특정 상황에서 시스템 종료 중에 운영체제 시스템 프로세스 안에서 죽는 문제가 발생해서 디버깅을 한 적이 있었다. 몹시 골치 아팠었던 걸로 기억한다.

2. 파일의 동등성 비교

파일 이름을 나타내는 어떤 문자열이 주어졌을 때,

  • 상대 경로(현재의 current directory를 기준) vs 절대 경로
  • 과거 Windows 9x 시절이라면 ~1 같은 게 붙은 8.3 짧은 이름 vs 원래의 긴 이름
  • 대소문자 (Windows는 대소문자 구분이 없으므로. 그런데 이것도 A~Z 26자만 기계적으로 되나? 언어별로 다른 문자의 대소문자는?)
  • 그리고 옵션으로는 정규 DLL search path와 환경 변수

이런 것들을 몽땅 다~ 감안해서 다음과 비스무리한 일을 하는 가벼운 API가 좀 있으면 좋겠다. 보다시피 동일한 파일을 표현하는 방법이 굉장히 다양하기 때문이다.

  • 두 개의 파일 명칭이 서로 동일한 파일인지 여부를 판단. 당연히 파일을 직접 open/load하지 않고 말이다.
  • 그 파일의 대소문자 원형을 유지한 절대 경로. 일명 '정규화된' 이름을 되돌린다. 이게 동일한 파일은 물리적으로, 절대적으로 동일한 파일임이 물론 보장된다.
    참고로 Windows API 중에서 얼추 비슷한 일을 한다고 여겨지는 GetFullPathName이나 GetModuleFileName 함수는 절대 경로 말고 파일의 대소문자 원형 복원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 혹은 그 파일의 시작 지점이 디스크에서 물리적으로 어디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64비트 정수 식별자를 구한다. 포인터가 아니지만 파일의 동등성 여부 판단은 가능한 값이다. 정수를 넘어 UUID급이어도 무방함.

본인은 비슷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그냥 두 파일을 CreateFileMapping으로 열어 보고 리턴된 주소가 동일하면 동일한 파일로 간주하게 한 적이 있었다. 핸들 말고 MapViewOfFile 말이다. 본질적으로 동일한 파일이라면 운영체제가 알아서 같은 주소에다 매핑을 하고 레퍼런스 카운트만 증가시킬 테니까..
Windows 9x에서는 주소가 시스템 전체 차원에서 동일하겠지만 NT 계열에서는 한 프로세스 내부에서만 동일할 것이다.

하지만 내가 필요한 건 파일의 내용이 아니라 그냥 두 파일의 동등성뿐인데 이렇게 매핑을 하는 건 overkill 삽질 같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었다.
비슷한 예로, LoadLibrary도 같은 파일에 대해서는 같은 리턴값이 돌아온다. HMODULE도 오늘날은 핸들이 아니라 메모리 map된 주소이니까.. 다만, 오버헤드를 줄인답시고 LoadLibraryEx + LOAD_LIBRARY_AS_DATAFILE 이렇게 열어서는 안 된다. 그러면 로딩 방식이 크게 달라지더라.

3. JNI에서 문자열 처리하기

Java 언어는 JNI라고 해서 자기네 바이트코드 가상 머신이 아닌 C/C++ 네이티브 코드를 호출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프로그램 자체를 C/C++로 짜던 시절에는 극한의 성능을 짜내야 하는 부분에 어셈블리어를 집어넣는 게 관행이었는데.. 이제는 일반적인 코딩은 garbage collector까지 있는 상위 계층에서 수행하고, 극한의 성능을 짜내야 하는 부분에서만 C/C++ 코드를 호출한다는 게 흥미롭다.

JNI는 그냥 언어 스펙에 가까운 광범위한 물건이다. Windows 환경에서는 그냥 Visual C++로 빌드한 DLL이 export하는 함수를 그대로 연결할 수도 있다. 물론 그 DLL을 빌드하기 위해서는 Java SDK에서 제공하는 jni 인터페이스 헤더와 static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 한다.
한편, 안드로이드 앱 개발에서 쓰이는 NDK는 JNI 스펙을 기반으로 자체적인 C++ 컴파일러까지 갖춘 네이티브 코드 빌드 도구이다.

Java의 문자열은 JNI에서는 jstring이라고 내부 구조를 알 수 없는 자료형의 포인터 형태로 전달된다. C++에서는 UTF-8과 UTF-16 중 편한 형태로 바꿔서 참조 가능하다.
UTF-8로 열람하려면 JNIEnv::GetStringUTFChars를 호출하면 된다. 길이를 알아 오려면 GetStringUTFLength부터 호출한다. 전해받은 문자열 포인터는 ReleaseStringUTFChars로 해제한다.

그 반면, UTF-16 형태로 열람하려면 위의 함수 명칭에서 UTF를 빼면 된다. GetStringChars, GetStringLength, ReleaseStringChars의 순이다. Java가 내부적으로 문자를 2바이트 단위로 처리하기 때문에 이들이 주로 취급하는 자료형은 jchar*이다. 그러니 얘는 char16_t 자료형과 호환된다고 간주해도 좋다. 참고로 wchar_t는 NDK 컴파일러의 경우 4바이트로 처리되더라.

UTF-16이나 UTF-8이나 다 UTF이긴 마찬가지인데, Java는 변별 요소인 8을 생략하고 함수 이름을 왜 저렇게 지었나 개인적으로 의구심이 든다. 물론 GetStringChars는 Java가 내부적으로 문자열을 원래부터 2바이트 단위로 처리하다 보니 우연히 UTF-16과 대응하게 됐을 뿐, 대놓고 UTF-16을 표방했던 건 아닐 것이다. 뭐, 이제 와서 그 체계를 바꾸는 건 불가능하고 "자바 문자열 = 2바이트 단위"는 완전히 고정되고 정착했지만 말이다.

또한 GetStringChars는 GetStringUTFChars와 달리 굉장히 치명적으로 불편한 단점이 하나 있다. 바로.. 변환된 문자열이 NULL-terminated라는 보장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본인은 이 포인터를 사용할 때 메모리를 n+1글자만치 또 할당해서 null문자를 추가해 주는 매우 번거로운 두벌일을 하고, 아예 클래스를 이렇게 따로 만들어야 했다. 좀 개선의 여지가 없으려나 모르겠다.

class CJstrToString16 {
    JNIEnv *_ev;
    jstring _jstr;
    const jchar *_ret;
    char16_t *_arr;
public:
    CJstrToString16(JNIEnv *ev, jstring js): _ev(ev), _jstr(js) {
        jsize n = ev->GetStringLength(js);
        _ret = ev->GetStringChars(js, NULL);
        _arr = new char16_t[n+1];
        memcpy(_arr, _ret, n*sizeof(char16_t));
        _arr[n] = 0; //고작 요거 하나 때문에..
    }
    ~CJstrToString16() {
        ev->ReleaseStringChars(_jstr, _ret);
        delete[] _arr;
    }
    operator const char16_t*() const { return _arr; }
};

4. Visual C++의 STL

C++은 타 프로그래밍 언어들과 달리, 심지어 전신인 C와도 달리, 언어가 개발되고 나서 자신의 특성을 잘 살린 라이브러리가 언어 차원에서 붙박이로 곧장 제정되지 않았던 모양이다. 그래서 각 컴파일러들이 중구난방으로 파편화된 형태로 라이브러리를 제공해 오다가.. 표준화라는 게 1990년대 말이 돼서야 논의되기 시작했다.

템플릿이 추가되어 C++에서도 제네릭, 메타프로그래밍이라는 게 가능해진 뒤부터 말이다. 처음에는 자료구조 컨테이너 위주로 STL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가 나중에는 그냥 C++ library가 된 걸로 본인은 알고 있다.

Windows용으로 가장 대중적인 C++ 컴파일러야 두 말할 나위 없이 MS Visual C++이다. 얘는 거의 20여 년 전 6.0 시절부터 P.J. Plauger라는 사람이 구현한 C++ 라이브러리를 제공해 왔다. C 라이브러리와 달리 C++ 라이브러리는 소스가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복잡하고 난해하다는 것(암호 같은 템플릿 인자들..=_=), 그리고 저렇게 마소 직원이 아닌 개인 이름이 붙어 있다는 게 인상적이었다.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휴렛-패커드라는 회사명도 주석에 기재돼 있었다.

P.J. Plauger는 현재는 Dinkumware라고 C++ 라이브러리만 전문적으로 관리하고 라이선스 하는 회사를 설립해 있다. 나이도 생각보다 지긋한 듯..
그런데 이런 세계적인 제품에 들어가는 라이브러리가.. 성능이 의외로 시원찮은가 보다. Visual C++이 제공하는 컨테이너 클래스가 유난히도 느리다고 까이는 걸 여러 사이트에서 봐 왔다.

최근에는 본인 직장의 상사마저도 같은 말씀을 하시기에 "헐~!" 했다. 업무상 필요해서 string, set, map 등을 써서 수십, 수백 MB에 달하는 문자열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돌렸는데, 자료 용량이 커질수록 속도가 급격히 느려져서 자료구조를 직접 새로 짜야 할 판이라고 한다.

난 개인적으로는 C++ 라이브러리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더구나 그걸로 그 정도까지 대용량 작업도 해 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다. 그 날고 기는 전문가가 만든 코드에 설마 그런 결함이 있으려나? 아니면 컴파일러의 최적화 문제인지?

글쎄.. 이런 게 있을 수는 있다. MFC의 CString은 그냥 포인터와 크기가 동일하며 값으로 전할 때의 reference counting도 처리한다. 그러나 std::string은 자주 쓰이는 짧은 문자열을 번거로운 heap 메모리 할당 없이 빠르게 취급하기 위한 배열까지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이런 특성을 모르고 std::string도 함수에다 매번 value로 전달하면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그런 식으로 임시 객체가 쓸데없이 생겼다가 사라지는 구조적인 비효율이 C++ 라이브러리에 좀 있는 걸로 들었다. R-value 참조자 &&가 도입된 것도 vector의 내부 처리에서 그런 삽질을 예방하는 근거를 언어 차원에서 마련하기 위해서라지 않는가? 그리고 Visual C++이 그런 비효율을 보정하는 성능이 좀 시원찮다거나 한 것 같다. 전부 다 그냥 추측일 뿐이다.

그러고 보니 cout<<"Hello world"가 printf("Hello world")보다 코드 오버헤드가 작아지는 날이 과연 올지 모르겠다. 이것도 그냥 떡밥인 건지..?? =_=;;

Posted by 사무엘

2019/04/09 08:32 2019/04/09 08:32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606

* 2014년에 썼던 글을 보완하여 다시 올린다.

옛날에 도스 시절에는 일명 '외부 명령'이라 하여 별도의 프로그램 형태로 존재하는 명령들이 있었다. format.com, diskcopy.exe 같은 것들.
이것들은 자기가 소속된 도스 버전을 가려서 동작했다. 가령, MS 도스 5.0이 설치된 컴퓨터에다 도스 6.x에 존재하는 새로운 유틸리티를 복사해 와서 실행하면, 실행에 필요한 파일들이 다 있다 하더라도 '도스 버전이 다릅니다'라는 에러 메시지와 함께 프로그램이 그냥 실행되지 않았다. 이것은 운영체제의 버전을 가려 가며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본인이 난생 처음으로 접한 사례였다.

Windows에도 자신의 버전을 알려 주는 API가 응당 존재한다. 하지만 이건 지금 구동 중인 운영체제가 무엇인지를 알려 주는 편의 기능을 구현할 때나 사용할 만한 기능이다. 일반적인 프로그램이라면 About 대화상자 같은 데서 말이다.
만약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의 버전을 가려 가며 실행해야 한다면, 단순히 운영체제의 버전을 갖고 판단하는 건 썩 좋은 방법이 아니다. 내가 실제로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요청해 보고(CoCreateInstance, LoadLibrary/GetProcAddress 등), 그 요청의 성공 여부에 따라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

뭐, 지금은 아무 의미가 없는 예가 돼 버렸다만,
가령 내 프로그램이 유니코드 API를 사용하기 때문에 Windows 9x에서는 실행을 거부해야 한다고 치자.
그렇다면 CreateWindowExW건 RegisterClassW건 유니코드 API를 실제로 호출해 본 뒤, 그게 실패하고 GetLastError()==ERROR_CALL_NOT_IMPLEMENTED가 돌아올 때 실행을 거부하면 된다. 운영체제의 외형보다는 그 운영체제의 실제 실행 결과를 보고 판단하는 게 낫다는 게 바로 이런 의미이다.

그런 것도 다 필요 없고 운영체제의 버전 숫자를 정말로 정확하게 알아 와야 한다면,
그 경우를 위해 태초에 GetVersion()이라는 간단한 함수가 있었다. 얘는 버전과 관련된 여러가지 정보들을 비트 자릿수별로 묶은 32비트 정수를 되돌렸다.

그 정보의 의미를 C언어의 비트필드 구조체로 나타내 보면 대충 다음과 같다. 주석으로 표시된 숫자는 윈도 7 기준으로 반환되는 값들이다.
(최신 Windows 10 기준의 반환값을 소개하지 않은 이유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union WINVERSION {
    DWORD dwValue;
    struct {
        UINT nMajorVer: 8; //6
        UINT nMinorVer: 8; //1
        UINT nBuildNumber: 15; //7601
        UINT bWin9xOrWin32s: 1; //0
    };
};

WINVERSION os;
os.dwValue = ::GetVersion();

이 함수는 아무 매개변수도 필요하지 않으며, 리턴값도 DWORD 달랑 하나이니 미치도록 가볍고 사용하기 편하다. Windows 9x와 NT 계열이 공존하던 옛날에, 지금 운영체제가 (1) NT 계열인지를 알고 싶다면 GetVersion()&0x80000000 (최상위 비트)만 하면 OK였다.
그 뒤, NT 3.x인지 4.0인지, 9x 계열의 경우 95인지 98인지 ME인지 같은 건 (2) major와 minor 번호를 보고 판별하면 됐다. (3) 빌드 번호는... 딱히 막 중요한 정보는 아닌 듯하다.

그러나 이 함수는 문제점과 한계도 보였다. 한눈에 봐도 각 비트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게 매우 지저분하고 번거로웠다. HIWORD, LOBYTE 삽질이 싫다면, 저런 비트필드 구조체는 프로그래머가 재량껏 알아서 만들어야 했으며, 응용 프로그램이 이 정보를 잘못 취급하는 경우도 많았다.

비교할 필요가 없는 필드까지 다 비교를 해 버리는 바람에, Windows 95 이상에서 모두 동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Windows 95에서“만” 동작하게 고정돼 버리기도 했다. 혹은 Windows NT 4.0이 NT 3.51보다 낮은 버전으로 취급되는 촌극도 벌어졌다. (리틀 엔디언 기준으로 저 구조체를 보면, minor 버전이 major 버전보다 더 높은 자릿수에 놓여 있음)

더구나 운영체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단순히 버전 번호와 빌드 번호 이상으로 더욱 복잡해져 왔다. NT 계열의 경우 당장 서비스 팩이 있고, 이게 무슨 에디션인지도(홈? 서버? 워크스테이션? 등) 알 필요가 있는데 단순히 숫자 하나만 달랑 되돌리는 함수로는 그런 걸 알려 줄 수가 없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Windows 95 내지 NT 3.5에서는 OSVERSIONINFO라는 구조체를 인자로 받는 GetVersionEx라는 함수가 추가되었다. major, minor 버전 번호와 빌드 번호, 운영체제 계열이 모두 독립된 구조체 멤버로 독립하였으며, (4) 서비스 팩 내역도 완전한 문자열 형태로 되돌려 주니 버전 정보를 다루기가 편해졌다.

이 구조체는 맨 앞에 자신의 크기를 써 주게 돼 있으며, 덕분에 추후 확장이 가능한 형태이다.
Windows 2000부터는 OSVERSIONINFOEX 구조체가 추가됐다. 확장된 구조체는 서비스 팩의 번호조차도 major와 minor 꼴로 받을 수 있으며, (5) 같은 NT 계열 중에서도 클라이언트 라인과 서버 라인을 구분할 수 있다(wProductType==VER_NT_WORKSTATION / VER_NT_SERVER). Windows XP와 Server 2003은 버전 번호가 5.1과 5.2로 서로 달랐지만, 후대 버전부터는 버전 번호는 동일하고 이걸로 구분을 해야 한다. (Vista / Server 2008, 10 / Server 2016 같은..)

그리고 클라이언트 라인은 XP 이래로 오늘날의 10까지 (6) home과 pro 에디션 구분이 거의 관행이 돼 있는데.. 이건 wSuiteMask 멤버의 비트 플래그 VER_SUITE_PERSONAL (0x200)의 존재 여부로 판별 가능하다. 저 플래그가 존재하는 게 home 에디션이다.
VER_SUITE_* 다른 플래그들 중에는 Windows XP의 embedded 에디션, enterprise 에디션 같은 걸 나타내는 것들도 있으니 참고하면 된다.

요컨대 9x/NT 이후로도 클라이언트/서버, home/pro 같은 복잡한 구분이 계속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도 GetVersionEx 한 방이면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걸로 모든 이야기가 끝이 났으면 좋겠지만.. 아이고, 끝이 아니다. GetVersionEx 함수는 2010년대 이후로 마소의 정책상 사용이 더 권장되지 않는 deprecate 판정을 받고, 시간이 정지해 버렸다.
이 함수는 아무런 단서가 없는 환경에서는 Windows 8, 즉 버전 6.2보다 더 높은 값을 되돌리지 않는 샌드박스가 되었다. 실제로는 이 컴퓨터에 Windows 8.1이나 10이 돌아가고 있더라도 말이다. 이와 관련된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한다면 다음 URL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이제 이 함수는 응용 프로그램에게 그 응용 프로그램보다 나중에 출시된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는 주지 않기로 작정한 듯하다. GetVersionEx가 샌드박스 없이 실제 자기 버전을 되돌리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응용 프로그램의 manifest XML에(compatibility-application-supportedOS) 그 운영체제의 GUID가 등록되어 있다.
  • 혹은 응용 프로그램의 PE 헤더에 OS의 최소 요구 버전이 최신 운영체제의 버전으로 맞춰져 있다. Windows 8.1의 경우 6.3, Windows 10이라면 10.0이 되겠다.

운영체제와 함께 제공되는 메모장 같은 기본 프로그램들은 후자의 조치를 취한 상태이다. 이렇게 빌드된 프로그램에서는 GetVersionEx가 해당 버전을 정확하게 되돌린다. 하지만 이런 프로그램은 이전 버전 운영체제에서는 아예 전혀 동작하지 않으므로, 3rd-party 응용 프로그램이라면 이런 방법을 쓰기 곤란하다. 그러니 매니페스트 등록을 해야 한다.

물론 마소에서 2015년의 Windows 10부터는 기존 버전 번호 자체를 10.0으로 동결시켜 버리고 더 바꾸지 않기로 작정했다. 그러니 버전 번호 변경으로 인해 GUID를 또 등록하는 식의 혼란은 앞으로 더 없을 것이다.

운영체제의 버전의 절대값을 되돌리는 GetVersionEx 대신 마소에서 사용을 권장하는 함수는... 지금 운영체제의 버전이 응용 프로그램이 제시하는 버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지 안 높은지 여부만을 되돌리는 VerifyVersionInfo 함수이다. 그리고 이걸 기반으로 IsWindows10OrGreater 같은 helper 함수들도 만들어져 있다. (VersionHelpers.h)

하지만 이 함수들도 내부적으로 GetVersionEx의 결과값을 기반으로 비교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샌드박스의 제약을 받는 건 마찬가지이다.

샌드박스 없이 운영체제의 정확한 버전을 얻어 오는 함수는 크게 두 군데에 있다.
먼저, 의외로 네트워크 API이다. 그렇다고 소켓 API 같은 건 아니고, Windows에서 독자적으로 제공하는 함수 중에 내 로컬 컴퓨터를 포함하여 원격 컴퓨터에 설치된 운영체제의 버전을 얻어 오는 함수가 있다. 대략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된다.

#include <LM.h>
#pragma comment(lib, "netapi32")

WKSTA_INFO_100 *p;
::NetWkstaGetInfo(NULL, 100, (LPBYTE *)&p);
printf("%d, %d\n", p->wki100_ver_major, p->wki100_ver_minor); //10, 0
::NetApiBufferFree(p);

저기 100은 수효를 나타내는 게 아니며 각각의 숫자들이 별개의 의미를 지님에도 불구하고, 상수 명칭이 존재하지 않아서 그냥 생으로 100을 넘겨 줘야 한다.
운영체제 버전 하나 좀 얻자고 웬 생뚱맞은 분야의 API를 써야 하는 것도 삽질스럽지만.. 저 함수를 통해서는 그냥 major와 minor 버전 번호만 얻을 수 있다. 서비스 팩이나 빌드 번호 같은 세부 정보는 얻을 수 없다.

저거 말고 다른 대안으로는.. ntdll.dll에 있는 native API인 RtlGetVersion을 써도 된다.
OSVERSIONINFO(EX)의 포인터를 받아들이고 정수값을 리턴하므로 prototype이 기존 GetVersionEx와 거의 동일하다.
단, native API 버전은 성공한 경우의 리턴값이 0이다. 리턴 타입이 BOOL이 아닌 셈이다.

얘는 Windows 8.1 내지 10 같은 요즘 운영체제에서는 잘 동작하는데, 과거의 Windows 2000에서는 GetVersionEx와 달리 서비스 팩 정보를 되돌리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구형 OS에서는 오히려 기존 함수를 쓰는 게 더 낫다. 거 참..;;
Windows가 지난 20년 동안 운영체제의 버전과 제품 종류를 얻는 그 단순한 절차만 해도 얼마나 복잡하고 지저분해져 왔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관련 여담을 몇 가지 더 남기는 것으로 글을 맺고자 한다.

  • OSVERSIONINFOEX는 C++ 상속 문법 같은 걸 이용해서 선언된 게 아닌 관계로, OSVERSIONINFO와는 언어 차원에서 아무런 연결 고리가 없다. GetVersionEx에다가 전달할 때는 OSVERSIONINFO*로 reinterpret_cast를 해 줘야 된다.
  • 과거 Windows XP에는 media center 에디션 내지 태블릿 PC 에디션 같은 바리에이션이 있었는데.. 이거 여부를 얻는 건 GetVersionEx가 아니라 GetSystemMetric라는 다소 생뚱맞은 함수에 있었다. SM_MEDIACENTER, SM_TABLETPC처럼 말이다 .
  • 끝으로, Windows 10부터는 (7) 릴리스 연-월을 나타내는 4자리 숫자가 사실상 버전 번호가 됐으니 이걸 표시해 줘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건.. 본인이 아는 방법은 그냥 무식한 레지스트리 조회가 유일하며, 공식적인 API가 따로 있지 않다.;;;

Posted by 사무엘

2019/03/14 08:36 2019/03/14 08:36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596

1. 새 노트북과 새 폰

본인은 2010년대 초중반까지 노트북은 맥북을, 폰은 삼성 안드로이드 폰을 사용해 왔다. 그랬는데 노트북은 이제 성능이 너무 뒤쳐졌으며 배터리 용량도 너무 감소했다.

그리고 폰도 하필 약정이 끝날 무렵부터 배터리가 급격히 빨리 줄어들기 시작했으며, 그로부터 몇 달 되지 않아 걸핏하면 툭툭 꺼지기 시작했다. 폰이 꺼지지 않도록 잘 간수하는(?) 게 마치 옛날에 집안 불씨가 안 꺼지게 간수하는 것 같은 일이 됐다. 서비스센터를 방문해 보니 배터리나 전원 단자 문제가 아니라 순전히 메인보드의 문제라는 말을 들었다.

이런 이유로 인해 본인은 2019년 초의 비슷한 시기에 전화기와 노트북을 모두 교체하게 됐다. 폰은 고맙게도 남아도는 준중고 기기를 그냥 주신 분이 직장에 계셔서 본인은 신규 개통도, 번호 이동도 아닌 기기 변경이란 걸 했다. 그리고 졸지에 생각지도 않았던 아이폰 유저의 대열에 합류했다.
그 반면, 노트북은 맥OS를 굳이 더 쓸 필요를 느끼지 않아서 오랜만에 국산 일반 Windows 기계로 복귀했다. 예전과 반대로 전화기를 애플 것으로 쓰게 된 셈이다.

내가 원하는 노트북 컴터는..
굳이 그렇게 무리하게 얇거나 가볍지는 않아도 된다. 화면 해상도도 그냥 Full HD 1920*1080 급이면 넉넉하고 충분하다. 굳이 2000 안 넘어가도 된다.

또한, 요즘은 무선 인터넷 인프라가 워낙 널리 깔렸으니 광학 드라이브나 유선 랜 단자쯤은 본체에 안 달려도 크게 불편하지는 않은 지경이 된 거 같다.

다만, 램은 8기가가 뭐야 8기가.. 장난하나? 안 그래도 추후 확장하기도 어려운 주제에..
뭐, 저걸로도 Windows 10 깔고 작업 자체는 가능하다. 하지만 개발툴, 가상 머신, 5개 이상 탭을 열어 놓은 크롬 브라우저, 문서 작업을 위한 오피스 등등을 한꺼번에 너끈히 구동하면서 5년 정도 버티려면 요즘은 정말 못 해도 12기가 이상은 달아야 된다.

(메모리가 부족해서 프로그램을 그렇게 많이 한꺼번에 돌리지 못하면? 고성능 CPU라든가, 요즘 놋붉들이 그렇게도 강조하는 큼직한 화면이 별 의미가 없다. 그 넓은 화면에다가 여러 프로그램들을 도배하려 해도 메모리에서 결국 병목이 걸린다!)

Windows 7 이래로 10까지 Windows의 최소/권장 사양의 메모리 용량이 계속 똑같이 1GB/2GB(64비트 기준)인 건.. 개인적으로 좀 사기극이고 허위 과장 광고라고 생각한다. 전혀 현실적이지 않다.

그리고.. 본인은 아재 사고방식이어서 그런지, SSD를 영 미덥지 않게 생각해 왔다. 빠른 건 좋지만 용량이 너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니 SSD의 가격도 놀라울 정도로 많이 떨어지고 512GB급 물건도 나오다니 기술의 발달에 경이로움을 느낀다.
기계식과 전자식의 차이는 확연히 드러난다. SSD가 아니면 이 정도 성능과 용량을 자랑하는 노트북 컴이 이렇게 조용하고 가볍고 빠르게 돌아갈 수가 없을 것이다.

2. 새 컴파일러

컴퓨터를 새로 세팅하면서 Visual C++도 드디어 최신 버전을 깔아 봤다. 전에도 얘기한 적이 있지만 IDE, 플랫폼 SDK, 그리고 컴파일러 툴킷이 서로 완전히 분리되고 제각기 따로 노는 게 가능해진 것은 매우 바람직한 변화이다. 그리고 IntelliSense DB를 저장하는 방식이 예전의 MS SQL Server Compact Edition (*.sdf)에서 SQLite (*.vc.db)로 바뀌어 있더라.

날개셋 한글 입력기의 소스를 빌드해 보니 다음 사항들만 '경고'로 걸리고 나머지는 문제 없이 컴파일 된다.

(1) GetVersionEx 함수를 사용하는 부분이 deprecated로 처리됐다. Windows 8.1 내지 10부터는 운영체제의 세부 버전을 체크하는 방식이 이 함수를 사용하지 않는 다른 쪽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다만, 옛 함수가 strcpy 내지 gets처럼 보안 위험 때문에 deprecated 된 건 아니다.

(2) C++에서는 포인터를 정수형으로 typecast 하기 위해서 잘 알다시피 reinterpret_cast 연산자를 사용하는데, 포인터형보다 작은 크기인 char, short, UINT(64비트 환경 한정)로 바꾼다면 언제나 경고가 뜨게 됐다. 이건 static_cast로 형변환을 한 단계 더 거쳐야 된다.

(3) delay-load 콜백 함수의 포인터를 보관하는 전역변수가 보안 강화를 위해 const 형태로 바뀌었다. 이 변수는 이제 실행 도중에 값이 변경될 수 없으며, 우리 코드에서 이 변수를 정의하면서 단 한 번 주소를 지정해 줄 수만 있다.
const PfnDliHook __pfnDliNotifyHook2 = _DelayDLLNotifyHook; 이런 식으로 말이다.
이 변수는 실행 파일의 read-only 영역에 보관되기 때문에 const_cast 같은 연산자를 이용해서 값을 강제로 변경하려 하면.. 그냥 crash가 발생하게 된다.

1은 그냥 어쩔 수 없고, 2는 경고가 안 뜨도록 코드를 고치고, 3은 조치를 취했다.

3. 날개셋 한글 입력기의 개선 사항

이렇게 개인용 컴퓨터가 바뀌고 개발 환경이 바뀌자, 날개셋 한글 입력기에 고칠 점이 몇 가지 눈에 띄기 시작했다. 요런 것들을 반영하면 또 0.01 정도 버전 숫자를 올릴 수 있을 것 같다.

(1) 이제 Windows 10이 세상을 평정했으니.. About 대화상자에 표시되는 운영체제 버전 정보에서도 10일 때는 년/월 형태의 세부 버전 번호(1709, 1809 같은)가 나타나게 했다. 아래 그림의 위/아래가 before과 after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입력 패드는 지금 떠 있는 도구들을 모두 닫으면 프로그램을 곧장 종료하게 하는 /S 옵션이란 게 있는데.. 이게 프로그램 내부 구조를 개편하는 과정에서 언제부턴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게 된 것을 뒤늦게 발견했다. 다음 버전에서는 고쳐질 예정이다.

(3) 글꼴을 본뜰 때 CJK 확장 한자 B뿐만 아니라 그 뒤의 C, D도 추가로 본뜨게 했다. 지난번 emoji에 이어서 글꼴 본뜨기 스크립트가 또 바뀌었다.

이쪽 SIP(보충 한자 평면) 한자들은 글자 수가 너무 많은데 일상생활에서 별로 쓰이지 않는 것들이고, BMP(기본 다국어 평면)보다 지원 시기가 훨씬 더 늦은 점으로 인해.. 지원하는 글꼴들도 통상적인 BMP 영역 한자용 글꼴과는 달리 비트맵 글립이 들어있지 않은 편이다.
그래서 16픽셀 글꼴은 썩 보기 좋지 않으며, 24픽셀은 돼야 볼 만하다.

(4) Vista 이래로 줄곧 그랬는지 아니면 8/10에서 보안이 강화돼서 그런 건지는 모르겠지만.. UAC를 켜 놓은 상태에서 ProgramData 디렉터리에는 새로운 파일을 생성할 수는 있지만 프로그램이 설치해 놓은 파일을 사용자가 임의로 고치는 건 안 되는가 보다.

본인은 거기에 있는 파일은 사용자가 마음대로 수정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글꼴 본뜨기 스크립트 같은 일부 파일은 사용자가 곧장 열어서 사용할 수 있게 했었다. 그런데 그렇게 할 수 없다면... 데이터 파일을 운용하는 방식을 바꾸든가 해야 할 것 같다. 비슷한 문제를 날개셋 타자연습의 연습글 목록 xml에서 이미 한번 겪은 바 있다.

(5) 지금까지 사용자에게서 옛한글 관련 동작 때문에 예기치 않은 오동작 의심 증세 문의를 많이 받았다. 옛한글은 일상생활에서는 안 쓰이다시피하니.. 다음 버전에서는 프로그램을 기본 설치했을 때 '세벌식 옛한글'을 아예 빼 버릴까도 고민 중이다.
장기적으로는 한글 표현 옵션 탭에서도 한양 PUA 내지 유니코드 1.1 레거시는 더 꽁꽁 숨겨 놓고 접근하기 어렵게 할 계획이다. 이제 쓰일 일이 없어졌으니 말이다.

(6) 그리고 좀 더 유의미한 변화로.. 휠 내지 노트북 터치패드를 아주 미세하게 굴렸을 때의 스크롤 동작을 개선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항목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4. 세밀하게 움직이는 휠

마우스 휠이란 게 PC에 도입된 지 20년이 넘었다. 휠이 도는 단위는 기본적으로 칸 단위로 구획이 나뉘어 있으며, 한 칸 돌 때마다 WHEEL_DELTA (120)이라는 값이 전달된다. 120이라는 값은 약수가 많아서(2*2*2*3*5) 다양하게 쪼개기 편한 수라는 이유로 선택된 것이다.

마소에서는 지금은 마우스 휠이 칸이라는 덩어리 단위로 돌아가지만, 미래에 연속된 단위로 아주 부드럽고 세밀하게 돌아가는 휠도 등장할 수 있을 거라고 예상했다. 그래서 단순히 움직인 칸 수가 아니라 거기에 delta를 곱한 값을 되돌리게 여유를 두고 메시지를 설계했다.

저게 1990년대 중후반의 일이다. 하지만 본인은 부드럽게 세밀하게 돌아가는 마우스 휠은 아직까지 구경하지 못했다. 그 대신 그 동작은 노트북의 터치패드/트랙패드가 물려받았다. 처음에는 손가락의 궤적을 따라 마우스 포인터를 옮기는 기능밖에 없었지만 나중에는 패드의 오른쪽 끝을 수직으로 문지른다거나, 아무 곳이나 두 손가락으로 수직으로 문지르는 것을 스크롤로 따로 인식하게 된 것이다.

그 스크롤 요청을 하는 방식이 예전에는 그 윈도우에 대해서 SetScrollInfo/Pos 함수를 호출하고 WM_H/VSCROLL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이었다. 화면 캡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스크롤 캡처 기능이 어떻게 구현됐겠는지를 생각하면 된다.

그랬는데 요즘은 WM_MOUSEWHEEL을 보내는 게 대세이다. 터치패드의 종류에 따라 동작이 케바케이긴 하지만, 이때 옛날 동작과의 호환을 유지하기 위해 WHEEL_DELTA의 배수 단위로 스크롤 요청을 하는 경우도 있고, 아니면 문지른 속도에 따라 그 이하의 값을 보내는 경우도 있다. 2010년대부터는.. 스크롤 하다가 손을 급격하게 확 떼면 스크롤도 마치 관성을 받은 듯이 한동안 지속되다가 멈추는 동작까지도 구현돼 있다.

스크롤 요청을 받은 윈도우가 그림이나 웹페이지처럼 원래 픽셀 수준의 부드러운 스크롤을 지원하고 있다면 WHEEL_DELTA로부터 산출한 비율만치 자연스럽게 스크롤을 하면 된다.
하지만 픽셀이 아닌 글자 줄 수 단위로 이산적이고 각진(?) 스크롤을 지원하는 윈도우는 사정이 다르다. 너무 작은 delta 값은 나눗셈 과정에서 아예 0으로 버려지고 없어져서 스크롤이 전혀 처리되지 않을 수 있다. 내부적으로 델타 값을 보관하고 있다가 그 합이 양수나 음수로 WHEEL_DELTA의 배수가 됐을 때 줄을 옮기도록 다소 번거로운 조치를 취해야 한다.

그런데 동일한 각속도로 굴렸어도 120 단위만 지원하는 휠을 굴렸을 때와, 그 이상 정밀한 휠을 굴렸을 때 들어오는 delta값의 규모가 서로 같지 않다. 휠의 종류를 얻을 수 있는 API는 내가 알기로 없다. 그렇기 때문에 그 종류는 WM_MOUSEWHEEL 메시지 때 날아오는 값들을 보며 얼추 짐작을 해야 한다. (120보다 작은 값이 들어오질 않는가?)

Windows의 리스트 박스에서 마우스 휠을 굴려 보면, 처음에는 목록이 한 줄 정도는 픽셀 단위로 답답하게 굼뜨면서 스크롤 되다가 그 뒤 나중에는 줄 단위로 비교적 빠르게 스크롤 되는 걸 볼 수 있다. 이게.. 휠의 종류와 동작 방식을 감지하는, 한번 "간보는" 동작이 아닌가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날개셋 한글 입력기에서 이런 정밀한 휠을 지원하도록 조치가 취해진 곳은 날개셋의 고유한 에디트 컨트롤, 문자표 리스트, 그리고 편집기의 화면 인쇄(300% 이상의 배율로 확대했을 때)창이다. 사실, 내 것이 아닌 어떤 노트북 PC에서 날개셋 편집기에서 휠 스크롤이 잘 안 된다는 걸 오래 전부터 어렴풋이 경험하긴 했는데 그 당시에는 그다지 문제 의식을 못 느끼고 넘어갔던 것 같다.

처음에는 휠을 굴렸을 때 키보드 포커스를 받고 있는 창이 스크롤 됐지만 Windows 8인가 10부터는 마우스 포인터가 놓여 있는 창이 스크롤 된다. 그리고 저렇게 정밀한 휠이 도입되고, 세로 스크롤뿐만 아니라 가로 휠 스크롤 메시지도 도입되니.. 휠도 마치 고해상도 dpi만큼이나 지금까지 은근히 많이 변했다.

Posted by 사무엘

2019/02/02 08:32 2019/02/02 08:32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582

오늘은 Windows라는 운영체제가 GUI 프로그래밍 용도로 제공하는 공용 컨트롤들 중의 하나인 리스트뷰(List-view) 컨트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름에서 '뷰'는 종종 생략되기도 함)
결론부터 말하자면 얘는 정말 세심하게 설계된 다재다능한 요물이다. 동일한 규격을 가진 다수의 아이템들, 특히 그림과 글자가 같이 가미된 아이템을 표시하는 모든 방식과 가능성을 고려해서 만들어졌다. 그래서 정말 많은 기능들을 제공한다.

리스트뷰가 기존의 재래식 초간단 리스트박스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 리스트뷰는 글자뿐만 아니라 곁들여진 그림도 태생적으로 같이 처리 가능하다. 리스트박스에서는 그림과 글자를 같이 표시하기 위해서 얄짤없이 owner-draw로 가야 했다.
  • 마우스의 동작이 다르다. 리스트박스는 내부를 왼쪽 버튼으로 아이템을 선택해서 드래그 하면 선택막대가 자동으로 쭉 바뀌며 스크롤도 된다. 하지만 리스트뷰는 그렇지 않다.
  • 키보드의 동작도 다르다. 아이템을 복수 선택할 때 리스트뷰는 Ctrl+화살표를 눌러서 포커스만 이동시키고 Ctrl+Space로 선택을 하지만 리스트박스는 Shift+F8과 space 같은 다른 글쇠를 사용한다. 리스트뷰는 F2를 눌러서 아이템의 이름을 바꾸는 기능도 있지만 리스트박스는 그렇지 않다.

아울러, 리스트뷰가 같이 추가된 공용 컨트롤인 트리뷰(Tree-view) 컨트롤과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 트리는 아이템 하나를 HTREEITEM이라는 별도의 자료형으로 식별하지만, 리스트는 그냥 인덱스 번호이다. 트리는 노드 포인터 기반의 이산적인 컨테이너를 쓰지만, 리스트는 내부적으로 배열과 유사한 컨테이너를 쓰는 듯하다.
  • 리스트는 아이템의 복수 선택이 가능하지만 트리는 그렇지 않다.
  • 트리는 리스트와 같은 다양한 view 모드가 존재하지 않는다.
  • 아이템의 텍스트를 진하게 표시하는 state 플래그가 트리에는 있지만 리스트에는 없다.

리스트박스와 위상이 비슷한 자매 컨트롤(?)은 콤보박스이다. 하지만 리스트뷰와 위상이 비슷한 자매 컨트롤은 트리뷰라고 할 수 있다.
왼쪽에 트리뷰, 오른쪽에 리스트뷰를 배치한 프로그램으로는 탐색기, 레지스트리 편집기, 시스템 정보 등 의외로 꽤 많다. 왼쪽에서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오른쪽에서 세부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다. 오죽했으면 Visual C++의 MFC 프로젝트 마법사에도 요런 형태의 프로그램을 만드는 템플릿이 제공될 정도이다.

옛날에는 리스트박스를 서브클래싱 해서 drag & drop을 구현하고, owner-draw와 item data를 이용해서 얼추 트리 계층 구조라든가 check list를 구현하고, 파일이나 디렉터리나 드라이브 목록을 채워 주는 리스트를 만드는 등.. 별별 짓을 다 했다. 그리고 Visual Basic 부류의 RAD 툴들은 그걸 미리 구현해 놓은 리스트를 컴포넌트 형태로 제공했었다. 하지만 리스트뷰와 트리뷰 공용 컨트롤이 등장하면서 리스트박스의 역할이 상당수 분담되었다.

Windows 탐색기의 보기 메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스트뷰 컨트롤에는 다양한 보기 모드가 있다.

(1) 큰 아이콘
아이콘이 중심이고 이를 설명하는 주 텍스트가 아이콘의 하단 중앙에 찍힌다. 이걸로 끝. 아이콘의 크기는 무엇이 되어도 상관없지만 보통은 표준 아이콘 크기인 32*32 또는 그보다 약간 더 큰 48*48이 쓰인다.
탐색기에서 확대 배율 조정이 되는 대부분의 모드들은 이 모드에 속한다. 아이콘의 크기만 바꾸는 거니까.. (보통 아이콘, 큰 아이콘, 아주 큰 아이콘..) 또한 당장 바탕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들도 다 리스트뷰의 이 모드인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작은 아이콘
글자의 크기와 대등한 크기인 작은 아이콘이 쓰이며, 아이콘의 아래가 아니라 오른쪽에 주 텍스트가 나란히 찍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목록
아이템 하나가 표시된 모습이 작은 아이콘 모드와 완전히 동일하다. 그렇기 때문에 '작은 아이콘'과 차이가 무엇인지 언뜻 봐서는 구분하기 어렵다. 하지만 작은 아이콘(+ 큰 아이콘도 포함)에서는, 아이템을 드래그 해서 화면의 아무 위치로나 옮길 수가 있는 반면, 목록 모드는 그렇지 않다. i째 아이템은 현재의 스크롤 위치 기준으로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위치에 있어야 하며, 아무 위치로나 옮길 수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자세히(일명 report view)
한 줄에 아이템이 오로지 하나만 찍힌다. 작은 아이콘, 주 텍스트, 그 다음으로 n개의 부 텍스트가 마치 표처럼 일목요연하게 표시된다. 즉, 이 모드는 부 텍스트를 표 형태로 모두 볼 수 있는 유일한 모드이며, 상단에 헤더 컨트롤이 등장해서 쓰이는 유일한 모드이기도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실, 헤더 컨트롤만 별도로 따로 생성할 수도 있다. 얘만으로도 각종 메시지 스펙이 공개돼 있는 별개의 공용 컨트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가 아주 특수한 사연이 있어서 리스트뷰 컨트롤 같은 거창한 물건을 직접 자체 구현이라도 하지 않는 한, 헤더만 끄집어내서 사용할 일은 별로 없을 것 같다.

지금까지 소개한 4종류의 모드를 정리하자면, 아이콘 모드들은 align을 어찌 하느냐에 따라서 상하와 좌우 스크롤바를 모두 볼 수 있고, '목록' 모드는 좌우 스크롤바만 볼 수 있다.
'자세히' 모드는 개수가 초과될 때는 상하 스크롤바이고, 아이템을 표시하는 폭이 초과됐을 때만 좌우 스크롤바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아이콘 모드는 기존 리스트박스에는 전혀 없던 새로운 기능이며, 기존 리스트박스와 가장 비슷한 모드는 '자세히' 내지 '목록' 모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두 모드에서는 아이콘은 필수가 아닌 그냥 선택, 옵션이다. 기존 리스트박스처럼 그림 없이 글자를 출력하는 용도로만 써도 된다.

이들에 비해 '작은 아이콘' 모드는 정체성이 불분명해서 사실 잘 쓰이지 않는다. 아이콘을 강조하고 싶으면 '큰 아이콘'으로 가면 되고, 좀 더 예쁘게 일목요연하게 아이템들을 출력하려면 '목록'(간단히) 또는 '자세히'로 가면 되기 때문이다. 저 그림에서도 보다시피 작은 아이콘은 폭이 들쭉날쭉이어서 보기에도 별로 좋지 않다.

그래서 Windows XP에서는 제5의 새로운 모드가 추가됐다. 바로..

(5) 타일
큰 아이콘을 사용하는데, 주 텍스트는 아이콘의 아래가 아닌 오른쪽에 출력된다.
아이콘이 좀 큰 편이니 주 텍스트의 아래에도 여유 공간이 생기는데, 거기에는 부 텍스트 중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것을 덤으로 출력해 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도 굉장히 참신한 발상인 것 같다. 타일의 폭은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 가능하다.
align은 아이콘 모드처럼 left와 top을 모두 지정 가능하다. 다만, 아이템들의 위치까지 아이콘 모드처럼 임의 지정 가능한지는 잘 모르겠다.

원래 리스트뷰 컨트롤의 보기 모드는 4종류이다 보니.. 윈도우 스타일에서 0부터 3까지 딱 2개의 최하위 비트를 사용하여 지정하게 돼 있었다.
컨트롤을 생성하고 아이템들을 잔뜩 추가한 뒤에도 모드를 변경할 수 있었다. SetWindowLongPtr을 이용해서 스타일 값을 변경하면 컨트롤이 이를 인식해서 모드를 변경했다.

그런데 제5의 모드는 이런 식으로 지정할 수 없게 됐다. 리스트뷰 컨트롤은 기능이 워낙 너무 많아서 스타일, 확장 스타일, 거기에다 자신만의 고유한 전용 확장 스타일까지(LVM_SETEXTENDEDLISTVIEWSTYLE) 비트 플래그들이 꽉 찼기 때문이다.
결국은 LVM_SETVIEW라고 보기 모드를 지정하는 전용 메시지가 추가됐다. 새로운 보기 모드를 겨우 하나 추가하기 위해서였다.

네이버나 다음의 블로그들만 들어가 봐도 제목 목록만 표시, 본문까지 약간 포함해서 타일 형태로 표시.. 처럼 적어도 두세 종류의 보기 모드가 있는 걸 알 수 있다. 리스트뷰도 그런 식으로 그림과 글자의 표시 비율, 아이템당 전체 크기 같은 다양한 변수를 이런 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아이콘이 들어갈 자리에 사람 얼굴이 들어가면 무슨 인사기록표나 선거 후보 목록을 출력할 수 있을 것이고, 한자가 들어가면 옥편· 자전 내용을 이런 식으로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이제부터는 리스트뷰 컨트롤의 주요 개념이나 기능에 대해서 분야별로 간단히 소개한 뒤 글을 맺도록 하겠다.

1. image list

리스트와 트리 컨트롤은 아이템들 옆에 출력할 다양한 종류의 아이콘 그림들을 한데 관리하기 위해서 무슨 HICON을 몇백 개 내부적으로 관리..하는 건 아니고 image list라는 자료 구조를 공통으로 사용한다. image list는 마치 애니메이션 프레임처럼 크기가 동일한 여러 그림들의 배열이라고 생각하면 되며, 아이콘 핸들도 물론 손쉽게 등록할 수 있다. 투명색은 이미지 내부의 특정 배경색 또는 별도의 마스크 비트맵 중 편한 것으로 지정 가능하다.

또한 트리에서는 작은 아이콘이라는 한 종류만 사용하지만, 리스트 컨트롤에서는 구조적으로 큰 아이콘, 작은 아이콘 두 종류를 나눠서 지정 가능하다.
그리고 한 아이템의 아이콘에 대해서 여러 종류의 이미지를 한데 겹쳐서(overlay) 지정할 수도 있다. 파일이라면 '바로가기'임을 나타내는 자그마한 화살표라든가,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 Up-to-date, modified 같은 상태를 나타내는 자그마한 modifier 그림이 바로 아이콘 overlay를 이용해서 표시된 것이다.

2. 그룹 분류

Windows XP에서는 타일 모드에 이어 리스트뷰 컨트롤에 아주 획기적인 기능이 하나 추가됐는데, 바로 '그룹' 기능이다. 필요하다면 그룹 내지 카테고리라는 것을 등록해 놓은 뒤, 아이템들별로 소속 그룹을 지정하면 이것들이 그룹별로 분류되어 딱 일목요연하게 표시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룹이 처음으로 도입된 XP에서는 이것 말고 다른 기능은 없다. Vista에서는 그룹에 대해 [+], [-] 버튼을 눌러서 마치 트리 컨트롤처럼 collapse/expand이 되게 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단, 응용 프로그램에서 그게 가능하도록 별도의 비트 플래그를 넣은 그룹에 대해서만 그렇게 동작한다.
그룹은 다른 보기 모드에서는 다 지원되고 '목록' 모드만 열외이다.

3. 수많은 기능과 복잡한 API

리스트뷰 컨트롤은 당장 마소에서도 적극 사용하고 있다 보니, 자기 필요에 따라서 이것저것 수많은 기능들이 추가돼 왔다.
특히 IE4 시절에는 Active 데스크톱이니 뭐니 하면서 뭐든지 웹페이지처럼 보이게 하는 게 유행이었다. 리스트뷰 컨트롤의 아이템을 클릭하는 것조차 밑줄 쳐진 링크를 클릭하는 것과 비슷하게 보이게 하는 옵션은.. 음~ 정말 비장함이 느껴진다.

리스트뷰는 기능이 너무 많고, 공용 컨트롤 특유의 그 조작감까지 더해져서 다루기가 귀찮고 까다롭다. 리스트박스처럼 간단하게 LB_ADDSTRING + "문자열" 한 방으로 아이템을 추가할 수 없다. 뭘 더하고 고치려면 기본적으로 LVITEM 구조체 선언하고 마스크 플래그 지정하고..

더구나 문자열 부분 멤버는 읽기 쓰기 겸용으로 모두 쓰인다. Set 용도로 읽기 전용 문자열 포인터를 집어넣으려 해도 부득이하게 PTSTR 멤버에다가 const_cast를 해 줘야 된다. PTSTR과 PCTSTR을 공용체로라도 좀 같이 넣어 주지 하는 아쉬운 생각이 든다.

그리고 아이템 drag & drop은 컨트롤에서 우리에게 이벤트만 날려 주고 그걸로 끝이다. 드래그용 이미지를 생성하고 마우스 포인터 모양을 바꾸고 실제로 drop 처리를 하는 것, 아이콘 모드의 경우 실제 위치를 변경하는 LVM_SETITEMPOSITION 요청 따위는... 머리부터 발끝까지 사용자가 전부 일일이 구현해야 한다. 이거 일이 여간 번거로운 게 아니다.

헤더 클릭 정렬도 마찬가지다. 컨트롤이 자동으로 해 주지 않는다. 클릭된 헤더에 대해서 오름차순/내림차순/무정렬 상태를 나타내는 ▲▼ 모양을 표시하는 것, 다른 헤더에 있던 마크는 제거하는 것까지 전부 미주알고주알 우리가 해 줘야 되며, 아이템 비교 함수도 우리가 공급해 줘야 한다.
좋게 말하면 customize의 폭이 큰 것이고 나쁘게 말하면.. 귀찮다. 물론 재래식 리스트박스는 한번 등록된 아이템은 텍스트를 고치거나 순서를 변경하는 기능 자체가 전무했으니 그것보다는 상황이 나아진 셈이다.

4. 시스템 색상 변경

어떤 윈도우가 WM_PAINT를 받아서 자기 내용을 그릴 때, 매번 GetSysColor나 GetSysColorBrush를 호출하고, 매번 색깔을 새로 지정하고 펜과 브러시를 새로 생성한다면.. 시스템 색상이 나중에 달라지더라도 별 상관 없다.
하지만 성능을 위해서 이런 GDI 개체를 보관해 놓는다거나, 특정 시스템 색상이 합성된 상태로 비트맵 같은 걸 저장하고 있다면(일종의 캐싱).. 그것들은 시스템 색상이 바뀌었을 때 갱신되어야 한다.

이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가 바로 WM_SYSCOLORCHANGE이다. 이제는 macOS조차도 최신 10.14 '모하비'에서 Dark 테마가 추가되었으니 시스템 색상 변경과 비슷한 개념이 도입된 셈이다. Windows는 다른 색깔 테마들은 다 없어졌지만 고대비 블랙/화이트만이 특수한 용도로 남아 있다.

WM_SYSCOLORCHANGE는 top-level 윈도우들에게 전파된다. 차일드에 속하는 리스트뷰 컨트롤이 이 메시지를 직접 받지는 못한다. 아이콘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별 문제가 없는데, 아이콘을 사용하는 컨트롤에 대해서 이 메시지를 수동으로 전해 줘야 한다. 그리하지 않으면 화면 배경의 흑백이 바뀌어도 쟤는 그게 반영되지 않아서 색깔 배색이 어색해지더라.

색깔 변경 통지도 마치 클립보드의 내용 변경 통지처럼 원하는 윈도우가 신청하면 top/bottom 위상을 불문하고 직통으로 받을 수 있어야 하지 않나 싶다. 이렇게 부모 윈도우가 일일이 전해 줘야 하는 건 디자인상 문제가 있어 보인다.

5. Ctrl+휠 인식

리스트뷰 컨트롤 내부에서 마우스 휠이 굴러갔다면 그렇다면 창 내부를 스크롤 하면 된다. 즉, 자체적으로 처리하면 되고 굳이 부모 윈도우에게 알려 줄 필요가 없다.
하지만 Ctrl+휠은 화면 확대 배율을 변경하는 용도로 쓰이는 게 요즘 추세이다. 응용 프로그램마다 자기가 사용하는 리스트뷰에서 지원하고자 하는 모드가 다를 테니, 이를 운영체제에서 임의로 일괄적으로 자동 지원할 수는 없다.

결국 Ctrl+휠은 그냥 휠과는 달리 부모 윈도우로 통지해 주는 게 바람직해 보인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event notification은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탐색기는 Ctrl+휠을 어떻게 구현했는지가 궁금해진다. 하긴, 탐색기는 리스트뷰 컨트롤도 워낙 많이 마개조했으니 윈도우 프로시저를 서브클래싱 해서 메시지 전체를 통째로 가로채 버렸다면 그 정도 구현쯤은 일도 아니긴 했을 것이다.

6. 체크리스트 모드에서의 버그

리스트뷰 컨트롤(그리고 트리 컨트롤도)에는 모든 항목들에 대해 체크박스를 넣는 옵션이 있다.
보통은 아이콘 자리에다가 체크박스 이미지를 집어넣는 꼼수를 동원해서 야메로 체크리스트 모드를 구현하는 편인데.. 이 옵션은 이미지와 별개로 체크박스를 또 표시해 준다.

이 기능은 공용 컨트롤이 처음 개발되던 때부터 있었던 건 아니고 Windows 98 + IE4 내지 5 타이밍 때 추가되었다. 이 기능이 처음부터 지원됐다면 리스트뷰 컨트롤의 Selection model이라는 속성 하에서 "단일 선택 / 체크박스 / 복수 선택" 중의 한 옵션으로 지원되는 게 바람직했을 것이다. 체크박스 모드에서 또 복수 선택을 사용할 일은 없을 테니까 말이다.

그리고 체크리스트 모드는 그 정의상 보기 모드들 중에서는 '목록' 모드와 가장 잘 어울리고 아니면 기껏해야 '자세히' 모드와도 추가로 어울린다. 큰 아이콘이 부각되는 모드와는 아무래도 영 어울리지 않는데, 그래도 원한다면 그 모드에서도 체크리스트를 사용할 수는 있다.
다만, 이 모드에서 키보드나 마우스로 체크 표시를 반복하면 선택막대가 갈수록 진해지는데.. 이건 명백히 버그로 보인다. 고전 테마나 XP~7 같은 구버전에서는 이런 현상이 없었고 Windows 8~10에서만 저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사무엘

2019/01/13 08:36 2019/01/13 08:36
, ,
Response
No Trackback , 3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575

1. WM_CREATE의 리턴값/타입에 의문

Windows에서 C/C++로 GUI 프로그래밍을 할 때 WM_CREATE 메시지는 기본 필수 0순위로 접하게 되는 물건이다. 메시지 번호부터가 WM_NULL 다음으로 당당하게 1번이다.
얘가 오면 윈도우 프로시저는 lParam의 값으로 날아온 CREATESTRUCT 구조체 내용을 참조하면서 자신에 대해 초기화를 하고, 필요하다면 자기의 위치와 크기도 변경하고, 내 밑의 차일드 컨트롤들도 적절히 생성하면 된다.

그런데 이 메시지를 처리하고 나서 되돌리는 리턴값은 약간 이상한 형태이다. 성공하면 0, 실패하면 -1을 되돌리라고 명시되어 있다. 윈도우 프로시저가 실패값을 되돌리면 CreateWindow(Ex) 함수의 동작도 실패하여 창이 생성되지 않으며, NULL이 돌아온다.

즉, WM_CREATE의 리턴 형태는 BOOL이나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왜, 어째서 직관적인 TRUE (1) / FALSE (0)가 아니라 이것보다 1 작은 값 형태로 정해진 걸까? (0 / -1)
이 때문에 MFC에서도 CWnd::OnCreate는 리턴 타입이 int로 설정되었다. 하지만 얘는 성공/실패만 따지기 때문에 원래는 int가 필요하지 않다. 내가 실험해 보니 굳이 0이 아니어도 -1을 제외한 다른 모든 값들은 성공이라고 간주되기는 하더라.

WM_CREATE는 대화상자 프로시저(DialogProc)처럼 평소에는 BOOL을 되돌리지만 몇몇 소수의 메시지에 대해서는 예외적으로 정보량이 더 많은 리턴값을 직접 되돌려야 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INT_PTR 형태로 설계된 것도 아니다. 더구나 WM_CREATE의 전신격인 WM_NCCREATE는 평범한 BOOL TRUE/FALSE 형태인 것도 의문을 더욱 증폭시킨다.

이와 관련해 혹시 숨겨진 사연이 있는지 레이먼드 챈 아저씨가 블로그에서 한 번쯤 다뤘을 법도 해 보이는데 내가 검색한 바로는 의외로 없다.
"CreateFileMapping은 실패값이 NULL인데 CreateFile은 실패값이 왜 혼자 INVALID_HANDLE_VALUE (-1)인가요?"와 거의 같은 맥락의 내력 의문점인데도 말이다.

파일 API의 경우, 먼 옛날에는(16비트 시절?) CreateFile이 지금 같은 형태의 핸들값이 아니라 파일 식별자 번호를 되돌렸으며, 0도 특수한 용도이지만 올바른 파일 식별자 값으로 예약돼 있었기 때문에 실패값을 -1로 따로 정한 거라고 설명이 돼 있다.

그렇다면 WM_CREATE도 처음에 설계하던 당시에는 굳이 BOOL로 국한되지 않고 0을 포함한 다양한 범위의 성공 리턴값을 되돌릴 수 있게 만들었는데.. 그럴 필요가 없어지면서 결국 지금 같은 형태로 굳어진 게 아닌가 싶다.

2. NC 버전과의 관계, 창의 소멸

Windows의 메시지 중에는 클라이언트 영역의 바깥 테두리를 그리거나(PAINT, ACTIVATE) 거기 크기를 정하거나(CALCSIZE) 그 영역의 마우스 동작을 감지하는(MOUSE*, ?BUTTON*) 용도로 WM_NC*로 시작하는 것들이 있다. 여기서 NC는 non-client를 의미한다.

그런데 WM_CREATE와 WM_DESTROY에도 WM_NC버전이 있다. 이때 NC는 딱히 외관상으로 클라이언트 바깥의 테두리나 제목 표시줄 같은 걸 가리키지는 않으며, 다른 방향으로 의미를 갖는다.
소멸 버전의 경우, WM_DESTROY는 아직 자기 밑에 자식 윈도우들이 멀쩡히 남아 있을 때 호출된다. 즉, 호출되는 순서가 top-to-bottom이다. 그러나 WM_NCDESTROY는 WM_DESTROY가 전달되었고 자식 윈도우들이 모두 소멸된 뒤에 자식에서 부모 순으로 bottom-to-top으로 호출된다.

즉, 어떤 윈도우가 윈도우 프로시저를 통해 가장 마지막으로 받는 메시지는 WM_DESTROY가 아니라 WM_NCDESTROY이다. WM_QUIT은 아예 스레드의 메시지 큐 차원에서 Get/PeekMessage를 통해 전달받을 뿐, 특정 윈도우의 프로시저로 오지는 않으니까...

어떤 윈도우 핸들과 C++ 객체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WM_NCDESTROY에서 그 객체를 delete 해 주면 된다. 그 전 단계인 WM_DESTROY에서 delete를 해 버리면 아직 소멸되지 않은 자기 자식 윈도우가 부모 윈도우의 C++ 객체 같은 걸 여전히 참조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Alt+F4를 누르거나 창의 [X] 버튼을 누르면 그 윈도우로 WM_CLOSE 메시지가 전달된다. 시스템 메뉴에서 닫기를 누른 것도(WM_SYSCOMMAND + SC_CLOSE)도 디폴트 처리는 WM_CLOSE 생성이다.
그리고 이 메시지에 대해 윈도우 프로시저가 다른 처리를 하지 않고 DefWindowProc으로 넘기면 그때서야 이 윈도우에 대해 DestroyWindow 함수가 호출되고 WM_DESTROY와 WM_NCDESTROY가 차례로 날아온다.

DestroyWindow는 호출하는 주체와 동일한 스레드가 생성한 윈도우들만 없앨 수 있다. 프로세스/스레드 소속이 다른 윈도우는 없앨 수 없으며, 그런 윈도우를 상대로는 WM_CLOSE를 보내서 창을 없애 달라는 간접적인 요청만 할 수 있다.

악성 코드 급의 프로그램이 아니라면 이 요청을 무작정 거부하는 끈질긴 윈도우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프로그램의 경우, "이름없음 문서를 저장하시겠습니까?"라고 질문을 해서 사용자가 취소를 누르면 자기가 종료되지 않게 하는 처리 정도는 한다. 작업 관리자의 '프로세스 종료' 기능은 응용 프로그램 창에다가 WM_CLOSE부터 먼저 보내 보고, 그래도 말을 안 들으면 TerminateProcess라는 극약 처방을 하는 식으로 동작한다.

그런데 WM_DESTROY 메시지를 받았는데 자기 자신에 대해서 DestroyWindow를 또 호출하는 이상한 프로그램도 있는가 보다. 창을 없애라는 요청은 WM_CLOSE이고, 이때는 그냥 DefWindowProc만 호출해도 알아서 소멸이 된다. WM_DESTROY는 요청이 아니라 이 창이 없어지는 건 이미 정해졌고 피할 수 없는 운명이라는 통지일 뿐인데.. 이때 DestroyWindow를 호출하면 같은 창에 대해서 WM_DESTROY가 이중으로, 재귀적으로 전달되는가 보더라.

소멸 중인 윈도우에 대해서 DestroyWindow 요청은 가볍게 무시만 해도 될 듯하지만 이미 이런 식으로 정해지고 정착해 버린 동작은 호환성 차원에서 함부로 고치지는 못한다고 한다.

3. 창의 생성

소멸 얘기가 좀 길어졌는데...
생성 버전에 속하는 WM_CREATE와 WM_NCCREATE 짝은 소멸 관련 메시지와 같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긴 하다.
자식 컨트롤들을 생성하는 건 그냥 WM_CREATE 때 하면 되지, NCCREATE 때 딱히 해야 할 일은 없다. 쟤는 그냥 NCDESTROY와 짝을 맞추기 위해 도입된 것에 가깝다.

어떤 창이 생성되면, CreateWindow(Ex) 함수가 실행되어 있는 동안 WM_CREATE만 오는 게 아니라 WM_GETMINMAXINFO, WM_NCCREATE, WM_NCCALCSIZE가 먼저 전달된다. CREATE말고 나머지 메시지들은 창 내부의 공간 배분과 관계 있는 것인데, 아주 특수한 형태로 동작하는 유별난 윈도우가 아니라면 그냥 다 디폴트로 넘겨도 무방한 것들이다.

그리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CREATE 계열 메시지들은 실패값을 리턴함으로써 이 창의 생성을 저지할 수 있다.
WM_NCCREATE의 실행이 실패한다면(FALSE) 이 창은 그 뒤로 곧장 WM_NCDESTROY만 날아온 뒤 소멸되어 버린다. 그러나 WM_CREATE에서 실패하면(-1) WM_DESTROY와 WM_NCDESTROY가 차례로 날아오면서 소멸된다.

그런데 여기서 유의할 것이 있다.
프로그램의 main 윈도우의 경우, WM_DESTROY를 받았을 때 대체로 main message loop을 벗어나고 프로그램 전체를 종료하기 위해서 PostQuitMessage를 호출한다.
이게 일단 호출된 뒤부터는 이 스레드에서는 다른 GUI 윈도우를 생성한다거나 message loop을 돌아서는 안 된다. 여기에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간단한 MessageBox 호출도 포함된다.

main 윈도우의 생성이 WM_CREATE 단계에서 실패했다면(WM_NCCREATE은 무관) WM_DESTROY를 거치게 되며, 특별한 조치가 없는 이상 그 메시지의 handler에 있는 PostQuitMessage도 처리되었을 것이다. 이 상태에서

if(::CreateWindowEx( .... )==NULL) {
    ::MessageBox(L"프로그램 실행 실패");
    return 1;
}

이런 식으로 코드를 쓰면 MessageBox 내부의 메시지 loop은 메시지 큐에서 WM_QUIT이 튀어나오기 때문에 곧바로 끝난다. 즉, 메시지 박스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니 에러 메시지를 찍을 거면 차라리 WM_CREATE 내부에서 -1를 리턴하기 전에 하는 게 낫다.

심지어 main 윈도우의 WM_NCDESTROY에서 MessageBox를 호출하려 시도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프로그램 실행이 다 끝난 마당에 무엇을 찍을 일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 역시 위와 동일한 이유로 인해 메시지 박스가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다.
뭐, WM_DESTROY 대신 WM_NCDESTROY에서 PostQuitMessage를 요청할 수도 있겠지만 int main(int argc, char *argv[]) 대신에 char **argv만큼이나.. 익숙한 관행은 아니어 보인다.

이상. 이렇게 간단하고 익숙한 주제를 갖고도 지금까지 진지하게 생각하지 못한 것에 대해 할 말이 많을 때가 흥미롭다.

Posted by 사무엘

2018/12/12 08:31 2018/12/12 08:31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564

1. Windows

과거에 Windows 95에는 워드패드, 그림판, 메모장, 계산기, 지뢰 찾기 같은 친근한(?) 프로그램 말고, 디스크 검사나 조각 모음, 남은 리소스 표시기 같은 프로그램도 같이 제공되었다. 이런 건 도스 시절부터 유틸리티 내지 '툴'이라는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온 프로그램들이다.

Windows 98에는 간략히 보기(QuickView)라는 유틸리티도 있어서 탐색기의 우클릭 메뉴를 통해 실행할 수 있었다. 주요 문서· 이미지 파일들을 본격적인 편집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내용만 재빨리 들여다볼 수 있었으며, 제공되는 COM 인터페이스를 확장하면 제3자가 임의의 파일 포맷에 대해서 간략히 보기 기능을 추가로 제공해 줄 수도 있었다.

또한 이 QuickView는 자체적으로 exe/dll의 내부 구조를 분석해서 보여주는 기능도 있었다. 32비트 바이너리에 대해서는 PE 헤더에 기록된 내용과, import/export 심벌의 내용을 보여줬으며, 16비트 바이너리에 대해서는 각종 resident/non-resident 문자열 테이블의 내용을 보여줬기 때문에 파일 내부를 들여다보는 용도로 꽤 괜찮았다.

다만, Visual C++ 6부터는 빌드하는 바이너리에서 import 및 export 심벌들을 고유한 섹션 없이 그냥 rdata 섹션에다가 집어넣기 시작했는데, 이건 QuickView가 제대로 감지해서 보여주지 못했다. 그리고 QuickView는 Windows 2000/ME 같은 후대 버전에서는 더 존재하지 않고 없어졌다.
그 대신 Windows 95가 아닌 98에서 첫 도입되어 지금까지 전해져 오는 유틸리티는 (1) 시스템 정보(msinfo32), 그리고 (2) DirectX 진단 도구인 dxdiag이다.

시스템 정보는 도스 시절부터 PC-Tools나 Norton 같은 3rd-party 유틸리티들이 단골로 제공하던 기능이었는데, Windows용으로는 딱히 마땅한 게 없었다. 단순히 운영체제의 버전이나 남은 메모리 양 말고 컴퓨터 프로세서의 명칭이나 정확한 속도 벤치마킹 같은 건 쉽게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아니었다.

사실, 시스템 정보는 Windows 팀이 아니라 Office 팀에서 먼저 개발해서 독자적으로 제공하고 있었다. Windows 95보다도 더 이른 1994년에 출시된 Word 6.0의 About 대화상자를 보면 System Info라는 버튼이 있다. 그러던 것이 Windows 98부터는 운영체제 기능으로 옮겨진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System Info의 초기 버전에는 현재 실행 중인 Office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 그 제품이 현재 열어 놓은 문서 같은 시시콜콜한 정보도 표시해 주는 기능이 있었다. 그러나 그 기능은 Windows XP인가 Vista 즈음부터 삭제됐다.
지금은 시스템 정보에서 본인이 종종 유용하게 열람하는 것은 CPU 관련 정보, 그리고 현재 실행 중인 모든 exe/dll들을 조회하는 기능 정도이다.

한편, dxdiag도 처음 도입됐을 때와 달리 인터페이스가 갈수록 단순해지고, 그냥 '드라이버 상태 이상 무'만 출력하는.. 있으나마나 한 유틸이 돼 간다.
처음 도입됐을 때는 간단한 예제 그래픽과 애니메이션, 음악을 출력하면서 상태를 점검하는 기능이 있었다. 그랬는데 DirectDraw는 그냥 운영체제의 기능으로 흡수되고, DirectMusic나 DirectPlay 같은 건 짤리고 DirectX는 오로지 Direct3D에만 올인을 하면서 진단 도구도 지금처럼 바뀌게 됐다. 그래픽 쪽도 데모 기능은 없어졌다.

2. Visual Studio

Visual Studio (더 정확히는 Visual C++)는 개발툴이다 보니, 프로그래머의 입장에서 도움이 되는 자그마한 유틸리티들이 이것저것 같이 제공되곤 했다.

가장 대표적인 물건은 (1) Spy++이다. 응용 프로그램이 생성하는 모든 윈도우들과 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메시지들을 들여다볼 수 있으니 역공학 분석 용도로도 아주 좋다. 이 프로그램은 Visual C++ 초창기 버전부터 지금까지 거의 모든 버전에서 개근하고 있다. 아이콘에 그려져 있는 스파이(?) 아저씨도 처음에는 초록색 복장이다가 분홍색, 보라색을 거쳐 검정색까지 여러 번 변모해 왔다.

다만, 최신 운영체제에서 새로 추가된 메시지를 지원하는 것 외에 딱히 추가적인 개발이 되고 있지는 않으며, 도움말도 2000년대 초에 chm 기반으로 바뀌고 나서 딱히 변화가 없는 것 같다. VC++ 2005 즈음 버전에서, 트리 구조가 리스트 박스를 쓰던 것이 진짜 트리 컨트롤 기반으로 바뀐 것이 그나마 큰 변화였다.

그리고 (2) Dependency Walker도 아주 훌륭한 도구이다. 어떤 EXE/DLL이 외부로 제공하는(export) 심벌, 그리고 자신이 import하는 심벌들을 모두 분석해서 모듈별 dependency tree를 딱 구축해 준다. 아까 소개했던 QuickView와 달리, 최신 버전 바이너리들도 잘 지원한다.
심지어 Profiling이라고,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 동적으로 불러들이는 dll과 심벌까지 찾아 주는 기능도 있다.

얘는 Visual C++ 6에서 1.x대의 구버전이 같이 제공되었지만 2000년대 이후부터는 같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개발자의 홈페이지에서 최신 버전을 따로 받아야 한다. 다만, 이 프로그램은 2000년대 중반, Windows Vista 타이밍 이후로 개발과 지원이 사실상 중단된 듯하다.

(3) GUID 생성기는 프로그램 짜면서 내 오브젝트의 GUID를 생성할 일이 있을 때 사용하면 되는 물건이고..
(4) Error lookup도 매번 winerror.h를 뒤지는 수고를 덜어 주니 좋다. 소켓 API처럼 특정 모듈을 불러들인 뒤에야 내역을 알 수 있는 에러 코드값도 의미를 알 수 있다.

옛날에, 2003 정도 시절까지는 뭐랄까 COM 기술과 관계가 있는 도구가 더 있었다.
(5) ActiveX Test Container는 운영체제에 등록돼 있는 ActiveX 컨트롤들을 마치 Visual Basic처럼 클라이언트 영역 여기저기에 설치해 놓고는 이벤트 로그를 확인하고, 속성값을 변경하고 메소드들을 invoke할 수 있는 툴이었다.

ActiveX 컨트롤은 기술적으로 따지자면 무슨 비주얼 베이직이나 델파이의 컴포넌트를 개발툴 밖에서 어디서나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 놓은 열린 규격에 가까웠다. 취지 자체는 나쁘지 않은데 후대에서 적극적으로 쓰이지를 않았으며, 기껏 웹에서나 비표준으로 잔뜩 쓰이다가 지금은 마소에서도 사실상 버린 자식 신세가 됐으니 참 안습하다.

본인도 실무에서 ActiveX 컨트롤을 삽입한 건 IE 웹브라우저 컨트롤과 플래시 컨트롤 딱 둘밖에 없었다. 원래는 Word/Excel 문서조차도 ActiveX 형태로 내 프로그램에다 삽입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은 ActiveX 없이 웹 브라우저 화면에서 그런 문서 편집 화면을 띄우는 세상이 됐다. 거 참...

(6) 그리고 OLE/COM Object Viewer는 HKEY_CLASSES_ROOT 레지스트리를 싹 뒤져서 시스템에 등록돼 있는 COM 객체들을 몽땅 출력하고, 이들 프로그램 바이너리에 내장된 type library를 추출해서 해당 객체들의 구체적인 스펙을 보여줬다. 이건 문서화되지 않고 COM 형태로만 몰래 제공되는 운영체제의 숨은 기능들을 찾는 데 굉장히 큰 도움이 됐다. 이놈의 GUID는 무엇이고 어떻게 불러 오고 어떻게 호출하면 되는지를 말이다.

(5)와 (6)은 언제부턴가 짤려서 Visual Studio 201x에서부터는 찾아볼 수 없게 됐다. 맥은 레지스트리도 없고 COM, OLE 같은 것도 존재하지 않겠지만, 그래도 Spy++나 Dependency Walker의 맥 버전에 해당하는 유틸은 없는지 궁금해진다. Windows 프로그래밍 공부에 굉장히 큰 도움이 되었던 프로그램인걸 말이다.

(7) regsvr32는 개발툴이 아니라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유틸이긴 하지만, Visual Studio의 외부 도구 메뉴에다가 등록해 놓을 만한 물건이다. 내가 코딩해서 빌드한 바이너리에 대해 곧장 DllRegisterServer를 호출해서 등록을 할 수 있게 말이다.

얘는 운영체제의 system 디렉터리에 32비트용과 64비트용이 제각각 존재하는데, 아무 프로그램에다가 32/64비트 아무 바이너리를 넘겨 줘도 잘 동작한다. 64비트 운영체제를 개발하면서 regsvr32에 그 정도 유도리는 같이 구현돼 있다.
COM 객체의 등록이나 제거를 위해서는 HEKY_CLASSES_ROOT 레지스트리를 건드려야 하니, 관리자 권한 실행은 언제나 필수이다.

끝으로, 독립된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Visual Studio의 200x대 버전부터는 (8) 전용 명령 프롬프트를 띄우는 기능이 외부 도구 메뉴에 등록돼 있다. 즉, 어느 디렉터리에서나 CL 같은 컴파일러와 링커를 띄울 수 있도록 LIB, INCLUDE, VCINSTALLDIR 같은 환경 변수들이 맞춰진 명령 프롬프트이다.

Visual Studio가 버전이 올라갈수록 IDE와 플랫폼 SDK가 분리되고, IDE와 컴파일러 툴킷 계층이 분리되고, 한 컴퓨터에서 여러 버전이 설치되는 것에도 유연하게 대응 가능하게 변모해 온 것은 매우 바람직한 현상으로 보인다.

Posted by 사무엘

2018/11/28 08:34 2018/11/28 08:34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559

1. rc 파일의 유니코드화

Visual C++ 2008까지만 해도 안 그랬던 것 같은데.. 2010쯤부터는 새로 만드는 프로젝트들의 리소스 스크립트(*.rc) 파일의 기본 인코딩이 유니코드(UTF-16LE)로 바뀌었다는 걸 본인은 최근에야 알아차렸다. 어쩐지 구버전에서는 파일을 열지를 못하더라.
그러니 이런 rc 파일의 내부에는 #pragma code_page(949) 같은 구차한 지시문도 없다.

리소스는 Windows의 실행 파일 포맷 차원에서 유니코드인데, 그걸 생성하는 스크립트 파일은 왜 유니코드가 아닌지 본인은 오랫동안 의아하게 생각해 왔다. 물론, 다국어 리소스는 언어별로 다 따로 만들지, 한 리소스 내부에 갖가지 외국어가 섞여 들어갈 일은 거의 없기 때문에 이런 방식이 크게 문제 되지 않았을 뿐이다.

리소스 파일 관련 속성을 보면.. MFC 모드로 동작할지 말지를 지정하는 옵션이 있다. 이건 rc 파일 내부에 저장되는 추가적인 옵션/플래그 같은 건 아니고, 그냥 Visual C++ IDE의 동작 방식을 결정하는 것이다. 프로젝트 내부의 설정으로 저장되는 것 같다.

이 옵션의 지정 여부에 따라 대표적으로 달라지는 것은 초기에 콤보박스 내부에다 집어넣을 데이터 목록을 지정하는 기능이다. 이것은 Windows API가 자동으로 해 주는 게 아니라, MFC가 추가적으로 구현해 놓은 기능이다. 그렇기 때문에 리소스 파일이 MFC mode로 지정돼 있지 않으면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리소스 파일을 들여다 본 분은 아시겠지만 이 초기화 데이터는 Dialog 리소스 템플릿 안에 내장돼 있는 게 아니라, 240 (RC_DLGINIT)이라는 custom 리소스 타입에 따로 들어있다.
할 거면 리스트박스에다가도 같은 기능을 넣어 줄 것이지 왜 하필 콤보박스에다가만 넣었는지는 잘 모르겠다.

굳이 MFC를 사용하는 프로젝트가 아니더라도, Visual C++ 리소스 에디터가 저장해 놓은 대로 콤보박스를 초기화하는 기능을 내 프로그램에다가 넣고 싶으면 MFC의 소스 코드를 참고해서 직접 구현하면 된다.

그런데 리소스 스크립트 전체의 포맷은 유니코드로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초기화 데이터는 기존 코드/프로그램과의 호환성 문제 때문에 여전히 CP_ACP이니 참 애석하다.
MFC 소스를 보면 문자열을 CB_ADDSTRING 메시지로 등록하는 부분에서 의도적으로 SendDlgItemMessageA라고 A 버전을 호출한 것을 볼 수 있다.

Windows는 여러 모로 UTF-8과는 친화적이지 않은 게 느껴진다. "UTF-8 + 32비트 wchar_t"를 전혀 찾아볼 수 없는 환경이다.

2. 소스 코드의 유니코드화, UTF-8 지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Windows는 유니코드 계열이건 그렇지 않은 계열이건 2바이트(...) 단위의 문자 인코딩을 굉장히 좋아해서 전통적으로 UTF-8에 친화적이지 않았다. 친화도는 "UTF-16 > BOM 있는 UTF-8 > BOM 없는 UTF-8"의 순이다.

물론 Visual Studio의 경우, 먼 옛날의 200x대부터 소스 코드를 UTF-8 방식으로 불러들이고 저장하고, 파일 형식을 자동 감지하는 것 자체는 잘 지원한다. 하지만 한글 같은 게 전혀 없고 BOM도 없어서 일반 ANSI 인코딩과 아무 차이가 없는 파일의 경우 기본적으로 UTF-8이 아니라 ANSI 인코딩으로 간주하며, 디폴트 인코딩 자체를 UTF-8로 맞추는 기능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않는다는 점이 아쉽다.

다시 말해 새로 만드는 소스 코드라든가, 처음엔 한글이 없었다가 나중에 한글· 한자가 추가된 파일의 경우 실수로 여전히 cp949 같은 재래식 인코딩으로 파일이 저장될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일일이 저장 옵션을 바꿔 줘야 된다.

Windows 환경에서 UTF-8 인코딩의 C++ 소스 코드는 (1) 주석을 다국어로 작성해서 온전히 보존 가능하고, (2) 동일 파일을 xcode 같은 타 OS에서도 깨지는 문자 없이 공유 가능하다는 것 정도에나 의미를 둬야 할 것이다.
L"" 문자열이 아니라 printf나 WM_SETTEXTA 같은 곳에 쓰이는 "" 문자열은 소스 코드의 인코딩이 무엇이냐에 따라 값 자체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Windows가 진정한 UTF-8 친화적인 환경이 되려면 시스템 코드 페이지 자체를 65001 UTF-8로 지정할 수 있고 명령 프롬프트에서도 그게 지원돼야 할 것이다. 하지만 UTF-8은 (1) 특정 로케일이나 언어에 속해 있지 않다는 점, 그리고 (2) 기존 multibyte 인코딩들과는 달리 한 글자가 3바이트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는 점으로 인해 Windows는 이를 지원하지 않고 있었다. 그래도 요즘 마소가 워낙 파격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Windows 10로 하루가 다르게 달라지고 있으니 이런 금기가 앞으로 깨지지 말라는 법도 없을 것 같다.

3. 디버그 로그의 유니코드화

Windows가 10이 나온 이래로 많이 바뀌긴 했다. 완전히 새로운 기능들만 추가되는 게 아니라, 이미 만들어졌고 앞으로 영원히 바뀌지 않을 것처럼 여겨지던 기능까지도 말이다.

가령, OutputDebugString 함수는 통상적인 다른 API 함수들과는 반대로, W가 내부적으로 A 버전을 호출하고 유니코드를 수십 년째 전혀 지원하지 않고 있었다. 이 때문에 굉장히 불편했는데.. 언제부턴가 Visual C++의 디버그 로그 출력창에 surrogate(확장 평면)까지 포함해 유니코드 문자열이 안 깨지고 온전히 찍혀 나오는 걸 보고 개인적으로 굉장히 놀랐다. 나중에 개선된 거라고 한다.

그리고 Windows의 에디트 컨트롤은 개행 문자를 오로지 \r\n밖에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메모장에서 유닉스(\n) 방식의 파일을 열면 텍스트가 개행 없이 한 줄에 몽땅 몰아서 출력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이것도 Windows 10의 최신 업데이트에서는 개선되어서 \n도 제대로 표시 가능하게 되었다.
수백 KB~수 MB 이상 큰 파일을 여는 게 너무 오래 걸리던 고질적인 문제가 개선된 데 이어, 또 장족의 발전이 이뤄졌다.

Windows가 제공하는 유니코드 관련 API 중에는 주어진 텍스트가 유니코드 인코딩처럼 보이는지 판별하는 IsTextUnicode도 있고, 한자 간체-번체를 전환하는 LCMapString 같은 함수도 있다.
IsTextUnicode의 경우, 1바이트 아스키 알파벳 2개로만 이뤄진 아주 짧은 텍스트를 UTF-16 한자 하나로 오진(?)하는 문제가 있어서 내 기억이 맞다면 한 2000년대 Windows XP 시절에 버그 패치가 행해지기도 했다. 사실, 이런 휴리스틱은 정답이 딱 떨어지는 문제가 아니기도 하다.

저런 식으로 알고리즘이 일부 개정되는 경우가 있긴 했지만, Windows에서 데이터 기반으로 동작하는 유니코드 API들은 대개가 한 1990년대 말, 겨우 Windows NT4와 유니코드 2.0 정도나 있던 시절 이후로 그 데이터와 알고리즘이 업데이트 된 내역이 없다.

그래서 간체/번체를 변환하는 테이블에 등재된 한자는 내가 세어 본 기억에 맞다면 2300개 남짓밖에 되지 않으며, IsTextUnicode도 21세기 이후에 유니코드에 새로 추가된 수많은 글자들까지 고려하지는 않고 동작한다.
이 와중에 그래도 Windows 10에 와서 OutputDebugStringW가 제 구실을 하기 시작하고 메모장의 동작이 바뀌기도 한 것이 놀랍게 느껴진다.

한편, UTF-8은 그래도 첫 바이트로 등장할 만한 글자와 그 이후 바이트로 등장할 만한 글자가 형태적으로 무조건 정해져 있다. 그래서 데이터니 통계니 휴리스틱 없이도 자기가 UTF-8이라는 게 딱 티가 나며, UTF-8을 타 인코딩으로 오인한다거나 타 인코딩을 UTF-8로 오인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이 매우 큰 장점이다.

4. 문자형의 부호 문제

컴퓨터에서 문자열의 각 문자를 구성하는 단위 타입으로는 전통적으로 char가 쓰여 왔다. 그러다가 유니코드가 등장하면서 이보다 공간이 더 커진 wchar_t가 도입되었으며, 언어 표준까지 채택됐다. 값을 다룰 때는 같은 크기의 정수와 다를 게 없지만, 포인터로는 서로 곧장 호환되지 않게 type-safety도 강화되었다.

그런데, 처음에 1바이트짜리 문자열의 기본 타입을 왜 괜히 부호 있는 정수형인 char로 잡았을까 하는 게 아쉬움으로 남는다. 물론 매번 unsigned를 붙이거나 typedef를 하는 건 귀찮은 일이며, 영미권에서는 문자 집합 크기가 7비트만으로도 충분했다는 그 상황은 이해한다. 하지만 문자 코드를 저장할 때는 애초에 부호 따위는 전혀 필요하지 않다. char보다 더 큰 wchar_t도 결코 부호 있는 정수형과 대응하지 않는다.

크기가 겨우 8비트밖에 안 되는 '바이트'는 양수 음수를 따지기에는 너무 작은 타입이기도 하다. 파일이나 메모리 데이터를 바이트 단위로 읽으면서 2의 보수 기반의 부호를 따질 일이 과연 있던가..?

이런 구조로 인해.. UTF-8이건 -16이건 -32이건 모두 대응 가능한 문자열 템플릿을 만들 때, char형에 대해서만 코드값 범위 검사를 할 때 예외를 둬야 하는 불편한 상황도 생긴다. 템플릿 인자로 주어진 어떤 타입에 대해서, 크기는 동일하면서 부호만 없는 타입을 자동으로 되돌리는 방법이 C++ 언어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니 다른 타입에서는 다 간단하게 >= 0x80을 검사하면 되는데, char만 <0을 봐야 한다. 이런 거 로직이 꼬이면 모든 타입에서 0xF0이 저장되어야 하는데 딴 타입에서는 0xFFF0이 저장되는 식의 문제도 생길 수 있다. 그렇다고 임의로 제일 큰 부호 없는 정수형으로 typecast를 하는 건 무식한 짓이다.

회사에서 일을 하다가 하루는 이게 너무 짜증 나서 std::basic_string<unsigned char>로부터 상속받은 클래스를 새로 만들어 버렸다. 베이스 클래스의 명칭이 딱 한 토큰 한 단어가 아니라 저렇게 템플릿 인자가 덕지덕지 붙은 형태인 게 특이했다만.. 생성자 함수에서 기반 클래스를 호출할 때는 __super를 쓰지도 못하더라.

내부적으로는 모든 처리를 unsigned char를 기준으로 하는데, 생성자와 덧셈 연산, 형변환 연산에서만 부호 있는 const char*를 추가로 지원하는 놈을 구현하는 게 목적이었다. 이런 생각을 나만 한 건 절대 아닐 텐데..
개인적으로 + 연산자를 만드는 부분에서 좀 헤맸었다. 얘는 +=와 달리 완전한 내 객체를 새로 만들어서 되돌리는 것이기 때문에 컴파일러 에러를 피해서 제대로 구현하는 게 생각보다 nasty했다. 그렇다고 도저히 못 할 정도는 아니었고.. 뭐 그랬다.

그러고 보니 Java는 기본적으로 부호 있는 정수형만 제공하지만, char만은 문자 저장용으로 부호 없는 16비트 정수를 쓰는 걸로 본인은 알고 있다.
그런데 얘도 그 크기로는 BMP 영역 밖은 표현할 수 없다. Java 언어가 처음으로 설계되고 만들어지던 때는 1990년대 중반으로, 아직 유니코드 2.0과 확장 평면 같은 개념이 도입되기 전이었다.
결국 범용적인 글자 하나를 나타내려면 부호 있는 정수인 int를 써야 한다. 상황이 좀 복잡하다..;;

5. Windows 문자열 변환 함수의 함정

Windows API 중에서 WideCharToMultiByte와 MultiByteToWideChar는 운영체제가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2바이트 단위 UTF-16 방식의 문자열과 타 인코딩 문자열(UTF-8, CP949 등..)을 서로 변환하는 고전적인 함수이다.

이 두 함수는 크게 두 가지 모드로 동작한다. (1) 사용자가 넘겨준 문자열 버퍼 포인터에다가 변환을 수행하거나.. (2) 아니면 그렇게 write 동작을 하지는 않고, 이 원본 문자열을 몽땅 변환하는 데 필요한 버퍼의 크기만을 되돌린다.
일단 (1)처럼 동작하기 시작했는데 사용자가 넘겨준 버퍼 크기가 원본 문자열을 모두 변환해 넣기에 충분하지 못하다면 함수의 실행은 실패하고 0이 돌아온다.

이때도 기존 버퍼의 크기만치 변환을 하다가 만 결과는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원본 문자열의 어느 지점까지 변환하다가 끊겼는지를 이 함수가 알려 주지는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그 정보를 유의미하게 활용하기 어려우며, 이는 개인적으로 아쉽게 생각하는 점이다.

그러니 버퍼가 얼마나 필요한지 알 수 없는 일반적인 경우라면, WideCharToMultiByte를 기준으로 함수를 사용하는 방식은 이런 형태가 된다. 함수를 두 번 호출하게 된다.

const wchar *pSrcBuf = L"....";
int len = WideCharToMultiByte(CP_***, pSrcBuf, -1, NULL, 0, ...); //(2) 크기 측정
char *pTgtBuf = new char[len];
WideCharToMultiByte(CP_***, pSrcBuf, -1, pTgtBuf, len, ...); //(1) 실제로 변환
...
delete []pTgtBuf;

그런데, 이들 함수가 (1)과 (2) 중 어느 모드로 동작할지 결정하는 기준은 버퍼 포인터(pTgtBuf)가 아니라, 버퍼의 크기(len)이다.
보통은 크기를 측정할 때 포인터도 NULL로 주고 크기도 0으로 주니, 함수가 내부적으로 둘 중에 뭘 기준으로 동작하든 크게 문제될 건 없다.

하지만 한 버퍼에다가 여러 문자열을 변환한 결과를 취합한다거나 해서 포인터는 NULL이 아닌데 남은 크기가 우연히도 딱 0이 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주의해야 한다. 포인터와 버퍼 크기가 pTgtBuf + pos, ARRAYSIZE(pTgtBuf) - pos 이런 식으로 정해진다거나 할 때 말이다.

저 식에서 pos가 우연히도 배열의 끝에 도달했다면, 남은 크기가 0이니까 프로그래머가 의도하는 건 이 함수의 실행이 무조건 실패하고 0이 돌아오는 것이다. 그럼 프로그램은 버퍼 공간이 부족해졌다는 걸 인지하여 지금까지 쌓인 버퍼 내용을 딴 데로 flush한 뒤, 변환을 재시도하면 된다.

하지만 이 함수는 프로그래머가 의도한 것처럼 동작하지 않는다. 문자열 변환을 하지 않지만, 마치 실행에 성공한 것처럼 변환에 필요한 버퍼 크기를 되돌린다. 쉽게 말해 "(1)에 대한 실패"가 아니라 "(2)에 대한 성공"으로 처리된다는 것이다.

이 문제를 피하려면, 버퍼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은 WideChar...함수가 실패했을 때뿐만 아니라 포인터가 버퍼의 끝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도 따로 체크해야 하며, 그 경우 버퍼를 flush해 줘야 한다. 변환 함수가 후자까지 같이 체크해 주지 않기 때문이다.
날개셋 편집기가 9.5의 이전 버전에, 바로 이것 때문에 대용량 파일을 저장할 때 낮은 확률로 데이터를 날려먹는 버그가 있었다.

Windows API가 입력값이 0일 때에 대해 일관된 유도리가 없어서 불편한 예가 GDI 함수에도 있다.
주어진 문자열의 픽셀 단위 길이와 높이를 구하는 GetTextExtentPoint32의 경우, 문자열 길이에다 0을 주면 가로는 0이고 세로 크기만 좀 구해 줬으면 좋겠는데.. 그러질 않고 그냥 실행이 실패해 버린다.
높이만 구하고 싶으면, 공백 하나라도 dummy로 전해 준 뒤 리턴값의 cx 부분은 무시하고 cy를 사용해야 한다.

Posted by 사무엘

2018/09/29 08:35 2018/09/29 08:35
, ,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537

1. R-value 임시 객체를 일반 참조자 형태로 함수 인자로 전달하기

C/C++ 프로그래밍 요소 중에는 잘 알다시피 & 연산자를 이용해서 주소를 추출할 수 있으며 값 대입이 가능한 L-value라는 게 있고, 그렇지 않고 값 자체만을 나타내는 R-value라는 게 있다.
C언어 시절에는 R-value라는 게 함수의 리턴값이 아니면 프로그램 소스 코드 차원에서 리터럴 형태로 하드코딩되는 숫자· 문자열밖에 없었다. 하지만 C++로 와서는 생성자와 소멸자가 호출되는 클래스에 대한 임시 인스턴스 개체도 그런 범주에 속할 수 있게 되었다.

다른 변수에 딱히 대입되지 않은 함수의 리턴값 내지, 변수로 선언되지 않고 함수의 인자에다가 곧장 Class_name(constructor_arg) 이런 형태로 명시해 준 객체 선언은 모두 R-value이다.

R-value를 그 타입에 대한 포인터형으로 함수 인자로 전달하는 것이야 가능하지 않다. 주소를 얻을 수 없으니 말이다. C/C++에 &100 이런 문법 같은 건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참조자는 외형상 값으로 전달하는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저런 제약이 없다. 그런데 참조자가 내부적으로 하는 일은 포인터와 완전히 동일하다. 그럼 뭔가 모순/딜레마가 발생하지 않을까?

이런 오류를 막기 위해, R-value를 일반 참조자형으로 전달하는 것은 원래 금지되어 있다. 참조자 내지 포인터는 자신이 가리키는 대상이 당연히 대입 가능한 L-value라는 것을 전제로 깔기 때문이다.
임시 개체를 함수 인자로 전하려면..

  • 그냥 값으로 전달해야 한다. 이 방법은 객체의 크기가 크거나 복사 생성자에서 하는 일이 많다면, 성능 오버헤드가 우려된다.
  • 아니면 const 참조자형으로 전달해야 한다. R-value는 대입이고 변경이고 불가능한 놈이니 const 제약을 줘서 취급하는 것이 이치에 맞다.
  • 아니면 얘는 임시 R-value이지만 값이 보존되지 않아도 아무 상관 없다는 표식이 붙은, C++11의 R-value 참조자 &&를 써서 전달하면 된다.

사실, 정수 같은 아주 작고 간단한 타입이라면 모를까, 커다란 객체는 임시 객체라 해도 어차피 자신만의 주소를 갖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래서 그런지 Visual C++은 200x 언제부턴가 R-value를 통째로 일반 참조자로 전달하는 것을 허용하기 시작했다. xcode에서는 에러가 나지만 Visual C++은 컴파일 된다. 이렇게 해 주는 게 특히 템플릿을 많이 쓸 때 더 편하긴 하다. VC++도 내 기억으로 6.0 시절에는 안 이랬다.

사실, 이걸 허용하나 안 하나.. &로 전달하나 &&로 전달하나 컴파일러 입장에서는 크게 달라지는 게 없다. 템플릿 인자로 들어간 타입이 객체가 아니라 정수라면 좀 문제가 되겠지만 어차피 C++은 서로 다른 템플릿 인자에 대해서 같은 템플릿을 매번 새로 컴파일 하면서 코드 생성과 최적화를 매번 새로 하는 불편한(?) 언어이다. 그러니 각 상황별로 따로 처리해 주면 된다.
물론 R-value 참조자가 C++에 좀 일찍 도입됐다면 Visual C++이 저런 편법을 구현하지 않아도 됐을 것 같아 보인다.

2. C++에서 함수 선언에다 리턴 타입 생략하기

엄청 옛날 유물 얘기이긴 하지만.. Visual C++이 2003 버전까지는 아래 코드가 컴파일이 됐었다는 걸 우연한 계기로 뒤늦게 알게 됐다. 바로 함수를 선언· 정의할 때 리턴 타입을 생략하는 것 말이다.

class foo {
public:
    bar(int x); //생성자나 소멸자가 아닌데 클래스 멤버 함수의 리턴 타입을 생략!! 여기서는 경고는 뜸
};

foo::bar(int x) //여기서도 생략했지만 그래도 int로 자동 간주됨
{
    return x*x;
}

main() { return 0; }

C++은 본격적인 클래스 다루는 거 말고 일상적인 코딩 분야에서 C와 달라지는 차이점이 몇 가지 있다. 그 차이점은 대부분 C보다 type-safety가 더 강화되고 엄격해진다는 것이다.

  • 임의의 type의 포인터에다가 void*를 대입하려면 형변환 연산자 필수. (경고이던 것이 에러로)
  • 함수도 prototype을 반드시 미리 선언해 놓고 사용해야 함. (경고이던 것이 에러로)
  • 그리고 함수의 선언이나 정의에서 리턴 타입을 생략할 수 없음. 한편, 인자 목록에서 ()은 그냥 임의의 함수가 아니라 인자가 아무것도 없는 함수, 즉 void 단독과 동치로 딱 정립됨.
  • 그 대신 C++은 지역 변수(+객체)를 굳이 {} 블록의 앞부분이 아니라 실행문 뒤에 아무 데서나 선언해도 된다.

이 개념이 어릴 적부터 머리에 완전히 박혀 있었는데, VC6도 아니고 2003의 컴파일러에는 C의 잔재가 아직 저렇게 남아 있었구나. 몰랐다.
cpp 소스에다가도 int main()대신 main()이라고 함수를 만들어도 되고, 심지어 클래스의 멤버 함수에다가도 리턴 타입을 생략할 수 있었다니... 완전 적응 안 된다.

물론 익명 함수(일명 람다)를 선언할 때는 꼭 리턴값 타입을 안 써 줘도 된다. void나 int 같은 간단한 것은 함수 내부의 return문을 통해서 컴파일러가 그럭저럭 유추해 주기 때문이다.
함수형이라는 완전히 다르고 새로운 패러다임이 C++에 한참 뒤에 추가되다 보니 일관성이 깨졌다면 깨진 듯이 보인다.

3. C/C++ 컴파일러 및 언어 문법 자체의 변화

내 경험상, 지난 2000년대에는 Visual C++ 컴파일러의 버전이 올라가면서 명칭의 scope 인식이 좀 더 유연해지곤 했다.
가령, 클래스 A의 내부에 선언된 구조체 B를 인자로 받는 멤버 함수 C의 경우, C의 몸체를 외부에다 정의할 때 프로토타입 부분에서 B를 꼭 A::B라고 써 줘야 됐지만, VC6 이후 버전부터는 그냥 B라고만 써도 되게 됐다.

람다가 최초로 지원되기 시작한 미래의 VC++ 2010에도 비슷한 한계가 있었다.
클래스 멤버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람다 안에서는 그 클래스가 자체적으로 정의해 놓은 타입이나 enum값에 곧장 접근이 안 됐다. A::value 이런 식으로 써 줘야 했는데.. 2012와 그 후대 버전부터는 곧바로 value라고만 써도 되게 바뀌었다. 2012부터 람다가 함수 포인터로 cast도 가능해졌고 말이다.

내 기억이 맞다면 템플릿 인자가 공급된 템플릿 함수가 함수 포인터로 곧장 연결되는 게 VC++ 2003쯤부터 가능해졌다. 상식적으로 당연히 가능해야 할 것 같지만 VC6 시절에는 가능하지 않았었다.
2000년대가 generic이라면 2010년대는 functional 프로그래밍이 도입된 셈이다.

아.. 또 무슨 얘기를 더 할 수 있을까?
C는 옛날에, 원래 처음에 1980년대까지는 K&R 문법인지 뭔지 해서 함수의 인자들의 타입을 다음과 같이 지정할 수도 있었다고 한다.

int foo(a, b) int a; float b; { return 0; }

같은 명칭을 이중으로 명시하고 체크하느라 괜히 분량 길어지고 파싱이 힘들어지고..
무슨 Ada나 Objective C처럼 함수를 호출할 때 foo(b=20, a=1)처럼 인자들 자체의 명칭을 지정하는 것도 아닌데..
저 문법이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고 왜 저런 게 존재했는지 나로서는 좀 이해가 안 된다. C는 파이썬 같은 dynamic 타입 언어도 전혀 아닌데 말이다.

C 말고 C++도 1980년대까지는 문법이나 라이브러리가 제대로 표준화되지도 않았었고, 지금으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관행이 많았다고 한다. 유명한 예로는 소멸자가 존재하는 클래스 객체들의 배열을 delete 연산자로 제거할 때는 원소 개수를 수동으로 공급해 줘야 했다거나, static 멤버를 선언한 뒤에 굳이 몸체를 또 정의할 필요가 없었다거나 하는 것 말이다.

사실, 후자의 경우 또 정의할 필요가 없는 게 더 직관적이고 프로그래머의 입장에서 편하긴 하지만.. 컴파일러와 링커의 입장에서는 생성자 함수를 호출하는 실행문이 추가되는 부분이 따로 들어가는 게 직관적이니 불가피하게 생긴 변화이긴 하다.
이런 저런 변화가 많은데 C++은 표준화 이전의 격변의 초창기 시절에 대한 자료를 구하기가 어려워 보인다.

객체를 생성하는데 메모리 주소는 정해져 있고 거기에다 생성자 함수만 호출해 주고 싶을 때..
지금이야 placement new라는 연산자가 라이브러리의 일부 겸 사실상 언어의 일부 요소로 정착해서 new(ptr) C라고 쓰면 되지만, 옛날에는 ptr->C::C() 이런 표기가 유행이었다. . ->를 이용해서 생성자와 소멸자 함수를 직접 호출하는 건 지금도 금지되어 있지는 않지만.. 사용이 권장되는 형태는 아닌 듯하다.

4. macOS와 Windows의 관점 차이

macOS의 GUI API(Cocoa)와 Windows의 GUI API는 뭐 뿌리나 설계 철학에서 같은 구석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완전히 다르다.
좌표를 지정하는데 화면이 수학 좌표계처럼 y축이 값이 커질수록 위로 올라가며, NSRect는 Windows의 RECT와 달리 한쪽이 절대좌표가 아니라 상대좌표이다. 즉, 두 개의 POINT로 구성된 게 아니라 POINT와 SIZE로 구성된 셈이다.

또한 Windows의 사고방식으로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float 부동소수점을 남발하며, 처음부터 픽셀이라는 개념은 잊고 추상적인 좌표계를 쓴다. 얘들은 이 정도로 장치· 해상도 독립적으로 시스템을 설계했으니 high DPI 지원도 Windows보다 더 유연하게 할 수 있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대화상자나 메뉴 같은 리소스를 관리하는 방식도 둘은 서로 다르다.
Windows는 철저하게 volatile하다. 이런 것은 생성되는 시점에서 매번 리소스로부터 처음부터 load와 copy, 초기화 작업이 반복되며, 사용자가 해당 창을 닫은 순간 메모리에서 완전히 사라진다.

그 반면, 맥은 그런 것들이 사용자가 닫은 뒤에도 이전 상태가 계속 남아 있다.
내가 뭔가 설정을 잘못 건드렸는지는 모르겠지만, Windows로 치면 [X]에 해당하는 닫기 버튼을 눌러서 대화상자를 닫았는데도 호락호락 창이 사라지지 않고 DestroyWindow보다는 ShowWindow(SW_HIDE)가 된 듯한 느낌? 대화상자의 이전 상태가 계속 살아 있는 것 같다.

특히 메뉴의 경우 Windows는 내부 상태가 완전히 일회용이다. 메뉴가 화면에 짠 표시될 때가 되면(우클릭, Alt+단축키 등) 매번 리소스로부터 데이터가 로딩된 뒤, 체크 또는 흐리게 같은 다이나믹한 속성은 그때 그때 새로 부여된다.
그 반면 mac에서는 메뉴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을 때에도 내부 상태가 쭉 관리되고 있는 게 무척 신기했다.

그러니 개발자는 시간과 여유만 된다면 프로그래밍 언어와 환경을 많이 알면 사고의 범위가 넓어질 수 있고 각각의 환경을 설계한 사람의 관점과 심정을 이해할 수도 있다.
하지만 뒤집어 말하면 프로그래머는 은퇴하는 마지막 순간까지도 공부하고 뒤따라가야 할 게 너무 많다.. -_-;; 이거 하나 적응했다 싶으면 그새 또 다른 새로운 게 튀어나와서 그거 스펙을 또 공부해야 된다.

Posted by 사무엘

2018/09/08 08:37 2018/09/08 08:37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530

컴퓨터 프로그램의 GUI 구성요소들 중에는 여러 아이템들을 한데 나열하는 리스트 박스(list box)라는 게 있고, 고정된 한 문장에 대해서 예/아니요, 참/거짓 여부를 지정하는 체크 박스(check box)라는 게 있다.

체크 박스는 프로그램이 고정 붙박이 형태로 제공하는 기능이나 옵션 하나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 박스는 보통은 가변적인 개수의 항목들 중에 하나를 선택할 때 쓰인다.
그런데 가끔은 이 두 물건의 기능을 한데 합치고 싶은 상황이 생긴다. 리스트 박스의 각 아이템들에 대해서 1비트짜리 정보를 배당해서 선택 여부를 지정하는 것 말이다.

뭐, Windows의 리스트박스 컨트롤은 모든 아이템들에 대해서 1비트도 아니고 그냥 machine word 크기 하나로 custom 정보 data를 지정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하나가 아닌 복수 개 multi-selection 모드로 동작하게 할 수 있고, 각 아이템에 대한 custom drawing도 가능하다.

하지만 딱 부러지게 아이템들 앞에 자동으로 운영체제의 check box 그림을 그려 주고 체크 박스의 리스트를 구현하는 기능 자체는 없다. 필요하면 사용자가 그걸 직접 구현해서 쓰게 여건만 만들어 놨을 뿐이다.
그래서 MFC의 경우 기존 리스트박스를 서브클래스 해서 CCheckListBox라는 걸 제공한다. owner drawing만 구현하는 것으로는 충분치 않고, space를 누른 키보드 입력과 check 버튼 주위를 누른 마우스 클릭도 감지하게 메시지 몇 개를 서브클래스 했다.

자고로 화면에 뭔가 길다란 리스트를 만들고 아이템들을 복수 선택할 수 있게 해 놓은 프로그램의 원조는 PC-Tools나 MDIR, Norton Commander, 심지어 Windows 3.x의 파일 관리자 같은 파일 관리 유틸리티이지 싶다. 복수 개의 파일을 복사하거나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해야 하니 리스트의 복수 선택 기능이 무조건 필수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selection이라는 것과 highlight 선택막대의 관계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서 프로그램의 동작이 달라지곤 했다. 도스용 프로그램들은 selection과 선택막대가 서로 따로 논다고 본 반면, Windows는 selection이 곧 선택막대의 연장선이라고 봤다.

그래서 Windows의 리스트박스는 화살표 키를 누르는 순간 기존 selection들이 다 사라지면서 선택막대가 움직이곤 했다. Shift+화살표로 연속된 영역을 한꺼번에 선택하는 것 말고 불연속적인 영역을 취사선택하려면 Shift+F8부터 눌러서 선택막대가 아닌 포커스 테두리가 깜빡거리는 상태로 들어간 뒤, 포커스 테두리만 움직이면서 Space로 아이템들을 선택하면 됐다.

굉장히 특이한 동작인데 Windows에서는 이게 기본이다. 기본적으로 포커스 테두리만 움직이게 하는 모드는 extended 플래그(LBS_EXTENDEDSEL)로 따로 있었다.
그에 비해 평소에는 선택막대와 selection이 다같이 움직이고 Ctrl+화살표로 포커스 테두리를 움직여서 Space로 선택하는 비교적 '직관적인 방법'은 훗날 리스트뷰 컨트롤이 도입하게 된다. 아이템을 복수 선택하는 방식은 이 두 컨트롤이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

또한, 각 아이템들에 대해 체크 플래그를 지원하는 건 아이템을 그냥 복수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과는 UI의 관점이 다르다. 비록 내부적으로 본질적으로는 아이템별로 1비트짜리 boolean 정보를 지정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겠지만 용도가 같지 않다는 것이다.

복수 선택은 대체로 아이템들이 진짜 가변적이고 사용자에 의해 아이템을 추가하거나 삭제까지 할 수 있는 상황에서 쓰이겠지만 체크 리스트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단순히 응용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능과 옵션이 많기 때문에 리스트 형태로 만들었을 뿐이다. 체크 리스트는 복수 선택과 달리, 선택 막대 selection과는 완전히 별개로 관리되기도 해야 할 것이고 말이다.

다음은 MFC의 CCheckListBox를 사용했던 먼 옛날 날개셋 한글 입력기 1.x의 옵션 대화상자이다.
Windows XP부터는 테마도 등장했기 때문에 지금 상황에 따라 체크 박스를 그리는 방법 역시 더 복잡해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은 리스트 박스가 아니라 무려 트리 컨트롤(공용 컨트롤)을 사용했던 날개셋 2.x의 옵션 대화상자의 모습이다.
Internet Explorer가 4인가 5에서부터 인터넷 고급 옵션들을 이렇게 트리 컨트롤로 구현해서 오늘날 최후의 11 버전에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지원하는 옵션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본인 역시 이 스타일을 따라해 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공용 컨트롤들은 owner-draw 안 쓰고도 자체적으로 아이템별 비트맵을 지정할 수 있으며, 더구나 트리 컨트롤은 아이템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도 할 수 있으니 더욱 좋다.
날개셋 3과 그 이후부터는 이들 옵션이 상당수가 오토마타와 글쇠의 수식, 별도의 카테고리 옵션 등으로 떨어져나간 관계로, 저렇게 트리 컨트롤까지 써야 할 정도로 긴 옵션 리스트를 만들 일이 없어졌다.

사실, 트리 컨트롤은 IE 4 타이밍에서 TVS_CHECKBOXES라는 스타일이 추가되기도 했다. 기존 이미지 스타일을 활용하는 게 아니라 그건 놔두고 옆에 체크 박스를 별도로 추가해 주는 형태이다.

트리 컨트롤에서 체크 박스는 설치 프로그램에서 어떤 소프트웨어 제품의 구성요소들을 계층 구조로 나열한 뒤 설치· 제거할 부분을 선택받는 부분에서 유용하게 쓰일 듯하다. 이런 데서는 자식 노드가 하나라도 선택되면 부모 노드들은 중간 상태로 바뀌고, 부모 노드를 선택하거나 해제하면 자식들도 한꺼번에 선택이나 해제되는 동작이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트리 컨트롤의 체크박스 기능은 깔끔하게 구현되지 않아서 잡음이 많다. 스타일을 윈도우를 생성한 뒤에 SetWindowLongPtr로 런타임 때, 그리고 아이템을 하나라도 추가하기 전에 적절한 타이밍에만 지정할 수 있다.
레이먼드 챈 아저씨는 저건 차라리 스타일이 아니라 메시지 형태로 구현하는 게 더 나았을 정도라면서 API 설계 구조를 비판한 바 있다. (☞ 링크) 실제로 콤보 박스의 extended UI 여부는 스타일이 적절해 보임에도 불구하고 덩그러니 CB_SETEXTENDEDUI라는 메시지를 통해 지정하게 돼 있다.

한편, 트리 컨트롤은 처음 도입됐을 때부터 지금까지 체크 박스와는 달리, '복수 선택'은 지원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리스트뷰 컨트롤처럼 아이콘을 Shift 및 Ctrl을 이용하여 복수 선택할 수 있지 않다는 뜻이다.
Windows 운영체제는 탐색기에서 볼 수 있듯이, UI 디자인 철학이 "트리로는 분야를 하나 선택만 하고", "리스트에다가 그 분야에 속하는 아이템들을 출력한 뒤 복수 선택해서 지지고 볶는다" 형태이긴 했다.

계층 구조를 나타낼 수 있는 복잡한 UI 컨트롤에서 복수 선택까지 가능하면 프로그램의 기능이 매우 복잡해지며, 리스트도 아니고 트리 컨트롤이 굳이 복수 선택까지 가능해야 할 일은 매우 드문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장 Visual Studio IDE부터가 클래스· 리소스· 솔루션 뷰의 트리 목록이 진작부터 복수 선택을 지원한다. 걔들은 4.0 시절부터 공용 컨트롤 없이 진작부터 자체 구현 트리 컨트롤을 써 왔기 때문이다.

끝으로, 체크와 다중 선택을 짬뽕한 듯한 기괴한 UI가 Windows의 역사상 단 한 번, 8의 리스트뷰 컨트롤에서 잠시 등장한 적이 있었다.
아이템의 좌측 상단 같은 특정 부위를 마우스로 가리키고 있으면 체크 박스가 나타나고, 그걸 클릭하면 아이템을 복수 선택할 수 있었던 것이다.
보통 아이템을 클릭하면 기존 selection들은 다 없어지고 그것'만' 선택되곤 하는데, 체크 박스를 선택하면 기존 selection들을 놔두고 그걸 추가로 선택할 수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 당시엔 아마 터치 장치를 염두에 두고.. Ctrl/Shift+클릭이나 드래그 없이 클릭만으로도 아이템들을 복수 선택할 수 있게 고심 끝에 저런 기능을 넣었던 듯하다.
하지만 반응이 좋지 않았는지, 이런 기능은 내 기억이 맞다면 Windows 8.1에서 곧장 없어졌고 다시 등장하지 않았다. 하긴, Windows 8은 저 정도면 약과이지, 아예 시작 버튼을 없애 버렸을 정도로 엄청 과격한 모험을 한 물건이기도 했으니까.

이렇듯, 리스트 박스, 리스트뷰 컨트롤, 트리 컨트롤을 두고 아이템의 복수 선택 및 체크 선택과 관련하여 할 말이 무척 많은 걸 알 수 있다. 복수 선택은 단수 선택만치 일상적으로 자주 쓰이는 기능은 아닐 뿐더러 어떤 방식으로 구현할지 동작의 customization의 폭도 넓은 편이다. 그래서 운영체제의 GUI가 곧장 직통으로 지원하지 않고 구현을 사용자에게 맡기는 편이었던 것 같다.

Posted by 사무엘

2017/12/20 08:36 2017/12/20 08:36
, ,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439

Visual Basic 6은 이제 개발사로부터 지원이 중단된 지 무려 10년이 돼 가는데(나온 지는 20년..!) 아직도 현업에서 쓰는 경우가 있는지 모르겠다. Visual C++ 6도 업계에서 도를 넘는 노인학대를 당해 온 물건이긴 하지만, 그래도 얘는 이제는 거의 은퇴한 듯하다. 그리고 VB6과 VB .NET은 VC6과 VC .NET하고는 처지가 완전히 딴판으로 다르다.

비주얼 베이직이 오늘날까지 인류에게 남긴 독보적인 GUI 유산은 바로 property grid이지 싶다. 이거 원조가 바로 VB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건 운영체제의 공용 컨트롤로 제공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닷넷에서는 자체 구현한 컴포넌트가 있는 듯하며, 네이티브 환경에서는 그냥 3rd-party GUI 툴킷에서 구현해 놓은 레플리카 내지 짝퉁이 쓰인다.

property grid는 오늘날까지 Visual Studio IDE에서 Alt+Enter 속성 창과 프로젝트 속성 대화상자에서 고스란히 볼 수 있다. 수십 개의 설정들이 추가되더라도 번거롭게 대화상자를 디자인할 필요 없이 설정을 뒤에다 추가만 하면 되니 참 편하다.
이에 비해 VC6의 옛날 속성 대화상자는 얼마나 추레하게 생겼는가?

단, 외형이 깔끔하긴 해도 너무 사무적이고 재미없게 생겨서 그런지, 개발툴이나 DBMS 말고 일반 사용자용 Office 제품 같은 데서는 property grid가 등장하는 걸 여전히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Visual Basic은 1991년 5월에 Windows용으로 1.0이 첫 출시됐다.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폼을 디자인하고 곧장 이벤트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코딩을 하는 굉장히 획기적인 개발툴이라고 찬사를 받았음이 틀림없다. Windows용의 호평에 힘입어 그 해 9월에는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도스용 비베도 1.0이 나와서 QuickBasic과 MS Basic PDS의 라인을 종결시켰다. 하지만 VB의 UI 엔진은 경쟁작이던 볼랜드 Turbo Vision 라이브러리에 비해서는 인지도가 매우 낮다.

그 뒤 VB 2와 3은 16비트 Windows용으로 나와서 인기를 얻다가 95년에 나온 4.0은 16비트용과 32비트용이 나란히 동시에 출시되었다. 마소에서 제품을 이런 식으로 동일 버전을 16비트용과 32비트용으로 동시에 내놓는 건 극히 드물었고 아마 VB4가 거의 유일했다. Office나 VC++는 그냥 상위 버전에서 곧장 32비트용이 나오면서 16비트 지원을 중단하는 형태였기 때문이다.
물론 VB도 5부터는 당연히 32비트 전용으로 갈아탔다. VB6 이후의 .NET에 맞춘 언어 마개조의 역사는 굳이 여기서 더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델파이(네이티브 코드 지원 RAD), Java(압도적으로 넓은 플랫폼 지원, 인지도, 점유율)와 C#(닷넷 지원 킹왕짱) 같은 경쟁 솔루션이 너무 쟁쟁한테 비주얼 베이직 프로그래머 수요가 국내에 얼마나 되는지는 잘 모르겠다. 그나저나 ASP도 비베와 비슷한 문법인 걸로 아는데 그건 살아 있나?
또한 비베가 .NET 으로 바뀌면서, 기존 Office와 Visual Studio IDE에서 제공되던 VBA 매크로 언어까지 반쯤 낙동강 오리알 레거시로 전락한 것도 좀 아쉬운 점이다. 덕분에 Visual Studio 201x 최신 IDE는 지금도 제대로 된 키/스크립트 기반 매크로가 없는 걸로 본인은 기억한다.

이런 비주얼 베이직과 달리 C/C++ 컴파일러 라인은 원래 IDE 같은 게 없다 보니 도스/Windows 플랫폼은 그리 타지 않았다. C/C++은 베이직과는 완전히 다른 저수준 고성능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이지 않던가? Windows는 NT 이전엔 애초에 자체적인 명령 프롬프트라는 게 없던 물건이었고, C 컴파일러는 도스 환경에서 스위치만 바꿔서 도스뿐만 아니라 Windows, 그리고 그 당시 중요한 플랫폼이던 OS/2용 프로그램을 크로스 컴파일했다.

그러다 1990년대 초에 이쪽은 C++ 언어 추가 → MFC 도입 → MS C/C++ 8.0 대신 Visual C++ 1.0으로 명칭 변경 같은 중요한 사건을 겪었으며, 리소스 편집기와 간단한 소스 코드 에디터가 16비트 Windows용으로 나왔다.
그리고 1993년, Windows NT가 출시되면서 NT용 32비트 Visual C++ 1.0이 별도로 나왔지만 이때는 NT는 시장 점유율이 아주 미미했으니 별 재미를 못 봤다.

그 뒤 1993~94년 사이에 Visual C++은 16비트와 32비트가 서로 약간 엇갈린 길을 갔다. 16비트용은 1.5 ~ 1.52c가 나온 뒤 지원이 중단됐고, 32비트용으로는 2.0이 나왔다. 하지만 아직 Windows 95도 없던 시절에 NT밖에 지원하지 않는 32비트용 VC++ 2는 정말 존재감이 없다. 이 32비트 바이너리를 Windows 3.1에서도 아쉬운 대로 돌릴 수 있게 하기 위해 Win32s라는 런타임이 이 시기에 개발되기 시작했는데, 얘 역시 본격적으로 이름이 부각된 건 Windows 95가 나온 뒤부터였다. 요컨대 Win32s는 95의 등장 이전부터 NT 3.1과 오리지널 3.1 사이의 gap을 메우기 위해 존재해 왔던 물건이다.

그 뒤, Windows 95가 나오고 1995년 말에 출시된 Visual C++ 4가 대박을 치면서 마소의 개발툴이 볼랜드 같은 타사 컴파일러를 슬슬 제치기 시작했다. Developer Studio라는 통합 IDE도 이때 처음으로 등장했다(텍스트 에디터, 리소스 에디터, 디버거, 빌드 툴, 도움말 레퍼런스 모두 한데 통합). VC4 시절에는 UI상으로 생뚱맞게도 맥용 크로스 컴파일이 있었던 모양이나, 본인이 직접 써 본 적은 없다.

이 당시에는 지금 같은 인터넷 기반 제품 업데이트가 없다 보니 소숫점 첫째나 둘째 자리가 0이 아닌 제품 버전을 심심찮게 볼 수 있었다. Win32s는 Visual C++ 4.1까지 지원되다가 96년 가을에 출시된 4.2에서부터 지원이 중단됐다. 설치할 때부터 "이 버전부터는 Win32s를 지원하지 않으니 이걸 타겟으로 개발하려면 구버전을 쓰고 이건 설치하지 마세요"라고 확인 질문이 뜬다.

비베는 4.0에서야 32비트 에디션이 등장하고 16비트와 32비트가 공존했던 반면, C++은 진작부터 32비트가 존재했고 그 대신 Win32s라는 과도기를 거쳤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비베는 21세기부터는 닷넷 기반 언어로 완전히 탈바꿈해 버린 반면, C++은 이전부터 위상이 위상이다 보니 닷넷의 공세에 영향을 받지 않있다. 차라리 C++/CLI 같은 파생형 확장이 나오면 나왔지, 네이티브 코드 개발 부분은 바뀐 게 없다.

비베는 5와 6에서 잠시 MS Office 97 기반 GUI 엔진을 사용했고, 닷넷 200x에서는 그 기반을 계승하여 Office XP 및 파생 변종 GUI를 사용했다. VC++의 4~6에서 쓰인 IDE는 MFC를 써서 Office와 비슷한 외형이 나오게 자체적으로 만든 GUI 엔진 기반이었다.
그러던 것이 Visual Studio 201x부터는 WPF 기반의 완전히 독자적인 고유한 GUI를 사용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버전이 올라갈 때마다 매번 외형을 바꾸던 것도 이제는 지쳤는지(?) 2013 이후쯤부터는 안 하고 있다.

Posted by 사무엘

2017/10/12 08:35 2017/10/12 08:35
, , , ,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415

« Previous : 1 : 2 : 3 : 4 : 5 : 6 : 7 : ... 13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983196
Today:
933
Yesterday:
1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