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런 개념을 표로 일목요연하게 한 번쯤 정리할 필요를 예전부터 느꼈던지라, 잠시 짬을 내어 만들었다. C++ 프로그래머라면 고개가 절로 끄덕여질 내용 되겠다.
토큰 | type 앞 | type 뒤 | value 앞 | 양 value 사이 | value 뒤 |
& | 참조자형 명시 | address-of (L-value만) | 비트 AND | ||
&& | R-value 참조자형 명시 | 논리 AND | |||
* | 포인터형 명시 | 배열 및 포인터 역참조 | 곱셈 | ||
± | 양/음 부호 | 덧셈/뺄셈 | |||
괄호() | (1) 형변환(typecast) (2) 타입 선언자 나열 순서 조절 |
함수형 명시 | 연산 순서 조절 | 함수 호출 | |
대괄호[] | 배열형 명시 | 배열 참조 | |||
부등호<> | 템플릿 인자 명시 | 비교 | 템플릿 함수 인자 | ||
콤마, | (1) 콤마 연산 (2) 함수 호출/템플릿 인자 구분 (3) 변수 선언 구분 |
- 괄호는 영어에서 접속사도 되고 지시형용사/지시대명사, 관계대명사까지 다 되는 that만큼이나 정말 다재다능한 물건이다.
- 베이직은 이례적으로 =, ()가 쓰임이 중첩되어 있다. =가 대입과 동등 연산을 모두 담당하며, ()가 함수 호출과 배열 첨자를 모두 담당한다. 함수 호출은 문법적으로 매우 제한된 문맥에서만 허용되니, C/C++같은 함수 포인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 중첩이 아주 불가능하지는 않은 듯하다.
- C/C++은 @ $ ` 기호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예전에 베이직은 각종 기괴한 기호들을 이용하여 변수의 자료형을 표현하곤 했다. A$는 문자열, A%는 정수, A#은 실수 같은 식이다.
- 파스칼은 포인터형을 선언하는 토큰이 ^인데, C/C++와는 달리, 포인터형을 나타낼 때와 포인터를 역참조할 때 토큰이 등장하는 위치가 서로 다르다. ^Type 그리고 Value^ 이런 식.
- int *a와 int a[5]배열에 대해서는 똑같이 *a를 쓸 수 있지만, 잘 알다시피 배열의 역참조와 포인터의 역참조는 개념적으로 다르다. C/C++을 처음 공부하는 초보자가 굉장히 혼동할 수도 있을 듯하다.
- 포인터는 다중 포인터가 존재할 수 있고 역참조도 여러 단계를 연달아 할 수 있다. 그러니 *가 여러 개 연달아 올 수 있다. 그 반면, 참조자는 구조적으로 딱 한 번만 참조/역참조가 가능하게 만들어진 포인터의 축소판이다. 그렇기 때문에 &&에다가 별도로 R-value 참조자라는 물건을 집어넣을 수도 있다. 이걸 생각해 낸 고안자는 정말 천재다.
- 일반적으로 &는 address-of 연산자이며 R-value를 상대로는 적용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값은 L-value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 연산자의 적용이 가능하며, 심지어 a와 &a가 동일하게 취급되는 것도 있는데, 바로 static 배열과 일반 함수이다.
기본적으로 포인터의 성격을 갖추고 있는지라 &를 안 해도 기본적으로 자신의 주소가 되돌아오고, &를 붙여도 무방하다는 오묘한 특징이 있다. - 한편, C/C++에서 배열은 고유한 자료형임에도 불구하고 함수의 인자로 전달되거나 리턴값이 될 때는 그냥 포인터든 배열의 포인터든 포인터의 형태로만 전달된다. 배열 그 자체가 전달되지는 못한다.
배열을 생으로 함수를 통해 주고 받으려면 구조체에다가 배열을 집어넣어야 한다.
Posted by 사무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