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거 내지 현재의 컴퓨터와 관련하여 개인적으로 궁금한 것들 컬렉션이다.
1.
요즘 길거리나 건물 근처에서 쏘는 와이파이를 보면 처음에 접속하는 건 암호가 없는 public 형태이지만, 접속한 뒤에는 무슨 주소를 입력하더라도 로그인/요금 결제 페이지로만 포워딩되는 형태인 것들이 많다. 사실은 학교 와이파이도 보안 ActiveX 등등을 안 깔면 설치 요구 페이지로만 연결된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도 페이스북이나 유튜브에 접속하는 건 바로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얘들만 교신을 하는 방법이나 프로토콜이 달라서 그런지(https라든가.. 서버가 외국에 있어서?) 무슨 이유 때문인지는 모르겠다.
사실, 웹서버가 뭔데 내 컴퓨터의 운영체제와 브라우저라면 몰라도(http 헤더에 에이전트 정보가 들어가므로), 보안 솔루션의 설치 여부는 뭘 보고 판단하는지 모르겠다. 프록시인지 뭔지를 써서 warning.or.kr를 우회해서 각종 금지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도 어떻게 하는지? 난 웹 쪽은 아는 게 거의 없음. 그 바닥은 너무 골치 아프다.
2.
디카나 폰을 PC에다 연결했을 때 보통은 여느 USB 메모리를 꽂은 것처럼 드라이브 문자가 하나 더 추가되고 해당 기기의 메모리 내부 파일 시스템에 접근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어떤 건 꽂으면 뭔가 파일 시스템이 생기기는 하는데 드라이브 문자가 추가되는 형태가 아니다. 여기는 탐색기로만 접근 가능하지, 어지간한 다른 프로그램에서 파일을 바로 열고 내용을 볼 수 없다. 하드디스크에 복사한 뒤에야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니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불편한데, 오히려 더 나중에 등장한 디카나 폰이 PC와 연결됐을 때 더 이러는 경향이 있다.
이건 기술적으로 무슨 규격이나 프로토콜을 써서 동작하는 건지 모르겠다. 그리고 드라이브 문자가 추가되는 것보다 무슨 장점이 있어서 저렇게 동작하는지도 모르겠다. 혹시 보안?
3.
컴퓨터의 USB 포트에 어떤 기기를 연결하면 인식이 곧장 될 때가 있지만 "인식 실패" 에러가 뜨면서 잘 안 될 때도 있다. 폰이나 USB 메모리 부류 말고 외장 하드 같은 묵직한 물건은 전력이 부족해서 안 될 때도 있다. 이런 건 (1) 컴퓨터, (2) 케이블, (3) 해당 기기 중 어느 게 문제인 걸까..?
컴퓨터라는 건 절대적으로 확실하고 예측 가능한 결과만 나오는 물건일 텐데, USB 포트만은 뭔가 상황에 따라 복불복인 결과가 나오는 면모가 있다.
4.
이제 슬슬 레거시 얘기를 꺼내겠다.
요즘 아직도 빅 엔디언을 쓰는 컴퓨터가 현역으로 돌아가는 게 있는지(코볼 프로그램도 돌아가는 마당에 빅 엔디언이 하루아침에 전멸할 리는 없겠지만.. 엔드 유저가 실감 가능한 영역에 있는가?),
그리고 IA64 아이테니엄 컴퓨터가 아직 살아서 운용 중인 게 있는지 궁금하다.
1990년대 말과 2000년대 초에 인텔이 IA64, 그리고 펜티엄 4의 넷버스트 아키텍처 때문에. 그야말로 세기말과 새천년기에 컴퓨터계의 판도를 바꿀 정도로 큰 삽질을 하긴 했다. 물론 덕분에 경쟁사인 AMD는 큰 이득을 볼 수 있었다.
공교롭게도 이 시기가 무어의 법칙이 슬슬 약발이 다해 가는 시기이기도 했다. (싱글 코어 기반 클럭 속도 향상) 그러니 CPU 제조사의 입장에서는 미래를 내다보고 모험을 감수하고라도 판도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큰 결정을 내려야 했을 것이다.
다음으로 엔디언 얘기를 하자면, 스마트폰용 최신 CPU는 아예 어느 엔디언으로도 네이티브 구동이 가능한 bi-endian 구조라고 하지만, 굳이 big 모드에서 실행될 일은 별로 없을 것 같다.
오늘날 빅 엔디언의 잔재는 예전에도 언급했듯이 트루타입 글꼴 파일, 그리고 네트워크 표준 스펙 정도에나 남아 있는 듯하다. 유니코드 텍스트도 UTF-16LE 아니면 차라리 UTF-8이지 UTF-16BE가 쓰일 일이 있나 싶다. 난 지금까지 한 번도 못 봤음.
5.
옛날 도스 시절에 상당수 프로그램들의 종료 단축키는 Alt+X였다. 아래아한글, 이야기, 그리고 Q-edit 계열이 이런 관행을 유지해 왔다.
지금 Windows에서는 Alt+F4가 단순히 대화상자 창을 닫는 ESC의 상위 호환이다. 대화상자만 닫는 게 아니라 응용 프로그램의 main window도 닫고 궁극적으로 시스템 종료까지도 가능하다. 하지만 도스 시절에 Alt+F4로 종료하는 프로그램은 본인은 정말로 MS DOS Shell밖에 못 봤다.
게임들은 대부분 ESC만 눌러도 원큐에 종료 가능했지만 페르시아의 왕자는 혼자 Ctrl+Q라는 독특한 단축글쇠로 종료했다(2편에서는 Alt+Q도 추가). 페르시아의 왕자 원판이 처음에 애플 기종용으로 개발되었고, 그쪽은 Cmd+Q가 종료이니 그거 영향을 받은 게 아닌가 싶다. 맥의 Cmd+Q는 창을 닫는 기능이 없이 그냥 원큐에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용도로만 쓰인다. 그리고 내 기억이 맞다면 포토샵처럼 맥에서 이식된 프로그램은 Windows에서도 Ctrl+Q 종료 단축글쇠를 갖고 있었다.
그 외에 마소에서 만든 옛날 도스용 프로그램 중에는 웬 F3이 종료인 물건도 드물게 있었다. 주로 Windows 3.1 내지 9x 계열의 설치/setup 프로그램이 그랬던 것 같다. 이 관행은 오래 이어지지 못했다.
6.
옛날 자동차만큼이나 개인용 컴퓨터계에서도.. IBM 호환 PC라는 게 세상을 평정하기 전에 있었던 특히 1980년대의 8비트 구닥다리 컴퓨터들에 대해서 요즘 갑자기 좀 관심이 생겼다. 기계들 계보를 분류해 보고 싶다. 어떤 건 기계 자체의 명칭이지만 어떤 건 규격의 명칭이기도 하다. 이 당시 CPU의 제조사도 여럿 있었을 텐데.. 시간 나는 대로 인터넷 찾아 가며 차근차근 공부할 생각이다.
먼저 애플 II~III부터가 8비트였고 국산 컴퓨터로는 삼성 SPC-1000, 금성 패미콤이 있다. MSX는 특정 기종 이름이 아니라 규격명일 테고. Commodore 64에서 64는 메모리가 64KB라는 뜻이다 CPU는 64비트가 전혀 아니며 8비트임.
요런 컴퓨터들은 그냥 켜면 롬에 내장돼 있던 베이직 인터프리터가 떴고, 카트리지를 꽂으면 게임을 할 수 있었다. 테이프는 개인적으로 구경 못 해 봤다.
삼성의 경우 살인적인 공밀레에 공밀레를 거듭한 끝에 1983년 말에 최초의 국산 메모리 반도체인 64K D램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팀원: "저 다음 주에 결혼할 예정이어서 휴가 좀.." / 팀장: "야 왜 하필 이렇게 바쁜 와중에 결혼을 (쳐)하는 거야! 버럭"
거의 이런 분위기에서 개발한 것이었다. -_-;; 과장이나 주작이 아님. 저렇게 팀원을 실제로 갈궜던 당시 팀장이 신화창조던가 다큐에서 출연해서 증언을 했으며, 지금 생각하니 그 팀원에게 너무 미안하다고 회고했다.
더 부가가치가 높은 비메모리 반도체를 선점하지 못한 건 아쉬운 점이지만 일단은 그 열악한 환경에서 메모리 반도체 하나라도 저렇게 잡은 걸 다행으로 여겨야 할 듯하다. 그런데 삼성 전자에서 같은 1983년에 컴퓨터까지 만들었다는 게 대단하게 느껴진다. 그 옛날부터 이미 미래에 나라를 먹여 살릴 산업을 예견하고 리스크를 감수한 투자를 아낌없이 한 것이다.
나도 "IBM 호환 PC"에 속하는 컴퓨터를 접하기 전에 아주 잠깐 소위 8비트 컴퓨터라는 걸 집에서 접한 적이 있었다. 그건 정확하게 무슨 기종에 속한 물건이었을지 궁금하다.
프롬프트가 Ok 대신 READY라고 나오고, 입력한 문장에 문법 에러가 있으면 비프음과 함께 SYNTAX ERROR이라고 나왔는데.. 롬 베이직 인터프리터가 뜬 모습은 지금 생각해 보면 커모도어 64의 그것과 제일 비슷해 보인다. 하지만 실제로 그게 맞는지는 알 길이 없다.
넥슨 컴퓨터 박물관에서 이런 물건을 발견했다. 모니터는 내가 옛날에 집에서 써 봤던 그 기계와 정확하게 일치한다. 확실하다. 검은 테두리에다 오른쪽에 저렇게 작은 다이얼이 3개 있었고.. 하긴, 옛날 아날로그 모니터들은 밝기 같은 걸 조절하는 게 저렇게 물리적인 다이얼 형태로 존재했었다. 검색을 해 보니 "금성 패미콤".. 아하, 메이커가 금성사였구나.
아무튼, 이런 원시적인 물건을 통해서 나는 프로그래밍이라는 행위의 짜릿함을 경험했고 무한한 신기함과 흥미를 느꼈다. 그래서 지금의 내가 있게 됐다. 어렸을 때 접한 컴퓨터가 처음부터 지금의 컴퓨터처럼 성능이 너무 좋고 시스템이 복잡하고 사용자가 개입할 여지가 없다시피한 형태였다면, 난 컴퓨터 말고 다른 진로를 갔을 가능성이 높다.
Posted by 사무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