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 기기의 종류

옛날, 스마트폰이 없고 지금 같은 초고속 무선 인터넷이란 게 없고 컴퓨터가 고화질 고음질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거뜬히 처리할 정도로 성능이 좋지 못하던 시절에는(대략 20세기 말, 1990년대까지)..
우리에게 음성과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물건들은 대부분 아날로그 기술 기반이었다.

매체 재생(!!)이라는 건 (1) 방송국의 전파를 받아서 재생하는 기능, 그리고 (2) 테이프에 저장된 것을 재생하는 기능 이렇게 두 갈래로 나뉘었다.
라디오의 경우, 한 기기가 둘을 모두 수행해서 '오디오'라는 이름으로 불린 것 같다.

그러나 영상 쪽은 텔레비전은 전파 수신 기능만 있고, VCR 또는 VTR이 기존의 텔레비전과 단자를 연결해서 재생 영상을 보여주는 형태로 성격이 나뉘어 있었다.
텔레비전과 VCR의 기능이 일체형으로 통합된 물건도 나오긴 했으나, 모종의 이유로 인해 가성비가 안 맞고 큰 인기를 끌지 못했다.

비디오의 신호를 받기 위해서는 텔레비전의 채널을 꼭 4번으로 맞추곤 했다.
그리고 VCR도 텔레비전 방송 녹화 기능을 갖추기 위해서는 TV로 신호를 보내기만 하는 게 아니라 자신 역시 TV의 신호를 받을 필요가 있었다. VCR을 켜고 TV 채널을 4로 맞추면, 재생 중일 때는 비디오 테이프의 영상이 나오고, 그렇지 않을 때는 VCR이 받고 있는 TV 채널의 영상이 나오곤 했다.

과거에 있었던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차이를 이렇게 생각해 보니 흥미롭다.
텔레비전은 제작의 난이도와 브라운관의 부피 문제 때문에 휴대용 형태로 만드는 건 영 무리였으며, 일부 나온 제품도 그냥 흑백이었던 걸로 본인은 기억한다.

그 반면, 라디오는 기계 구조가 더 단순하고 사람도 눈을 안 쓰고 귀로 듣기만 하면 되니, portability(휴대성)이 근본적으로 더 뛰어났다. 그래서 주머니에 들어갈 정도의 초소형 라디오는 옛날부터 있었다. 트랜지스터가 괜히 발명된 게 아닐 테니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이것도 호락호락 쉽게 만들어진 건 아니었다. 우리나라 금성사가 1960년대에 최초로 만들어 낸 국산 라디오만 봐도, 기능은 참 단순 단출한 게 부피는 얼마나 컸는지를 알 수 있으니 말이다.

라디오 말고 음반을 재생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SONY의 그 이름도 유명한 '워크맨'이 발명되기 전에는 없었던 것 같다. 워크맨 또는 '마이마이'라는 상표명이 거의 보통명사처럼 돼 버렸다.
LP 레코드는 그 육중한 지름부터가 호주머니 휴대와는 담을 싼 형태이고.. 카세트 테이프가 최초로 '밖에서 걸어가면서 음반을 듣는' 시대를 연 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1) 휴대용 초소형 오디오는 스피커가 없기 때문에 반드시 이어폰을 꽂아야만 청취 가능하다. 똑같이 휴대용이어도 아까 그 소형 라디오는 허접하게나마 자체 스피커로 소리가 나오기는 하는 반면, 워크맨 부류는 무조건 이어폰으로만 소리가 나온다는 점이 다르다.

그리고 전원도 건전지만 사용 가능하다. 나중에는 전용 충전지를 쓰는 것도 나오긴 했지만 어쨌든 AC 전원 대신 전지만 지원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1980년대에 오디오 CD가 나오면서 그쪽은 동그란 휴대용/미니 CD 플레이어가 별도로 담당하기 시작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CD는 디지털 매체인 덕분에 음질이 매우 좋다. 곡의 탐색 방식도 무식한 되감기/감기가 아니라 아주 간지 나 보이고..
게다가 번쩍거리는 디스크의 외형은 뭔가 21세기 하이 테크놀러지의 포스가 느껴지니.. 모든 것이 신기한 물건이었다. 사실, 테이프는 디지털 음원 매체에 비해 다음과 같은 점이 몹시 불편했다.

  • 무음 구간에서도 테이프의 재생 주행만으로 듣기 싫은 '쓰으으읍' 소리, 일명 hissing noise가 남. 테이프를 듣다가 CD를 들으니 이 노이즈가 없는 것만으로도 완전 딴 세상에 온 것 같았다.
  • 기계마다 재생 속도가 불균일한 편이어서 pitch가 왜곡됨. 느린 것보다는 빠른 게 많아서 원래 속도보다 거의 2~3% 가까이 빠르게 재생하는 물건도 있어서 아주 불쾌했다. 참고로 재생 속도가 6% 정도 더 빠르거나 느려지면 조가 한 반음만치 완전히 내려가거나 올라가 버린다.
  • 앞뒤로 감고 테이프 방향 바꿔 끼우는 게 몹시 불편함. 컴퓨터 주기억장치의 명칭이 왜 random access를 그리도 강조하는 형태로 지어졌는지(RAM)가 이해된다.
  • 늘어나고 씹히는 현상은 정확하게 어떤 상황과 조건에서 발생하는지 잘 모르겠다. 본체 안에서 곱게 돌아가기만 해야 할 테이프가 밖으로 줄줄 새어나와 있는 건.. 정상적인 상태가 아니다.

다만, 같은 음반이라도 CD는 단가가 테이프보다 1.5~2배가량 더 비쌌으며, 재생기도 더 비쌌다. 녹음도 가능하지 않고.. 그러니 테이프를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하고 별도의 고유 영역을 갖게 되었다.

워크맨 내지 마이마이보다 더 큰 체급의 오디오는 영어로 일명 (2) boombox(붐박스)라고 불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스피커는 일체형으로 1개 또는 2개인데, 1보다는 스테레오 채널을 지원하는 2가 더 일반적이다. 그리고 원한다면 이어폰 연결도 물론 가능하다.
  • 테이프 데크도 역시 1개 또는 2개인데, 이건 2보다는 1이 더 일반적이다. 2는 테이프끼리 녹음, 즉 복제를 지원하는 버전이다. 물론 1개짜리도 라디오 방송 녹음 정도는 할 수 있게 빨간 녹음 버튼이 있다.
  • 좀 고급형은 꼭대기의 뚜껑을 열어서 CD를 집어넣을 수도 있다.
  • 전원은 건전지와 AC 전원을 모두 지원하는 게 보통이다.
  • 어떤 물건은 통상적인 AM/FM 라디오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채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도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런 붐박스는 걸어 다니면서 청취하는 것보다는.. 들고 다니다가 실내에서든 야외에서든 사용할 때는 내려놓고 사용하는 형태에 가깝다. 들고 다니기 편하라고 위에는 손잡이가 필수적으로 달려 있다.
옛날엔 각진 직사각형 모양이 주류였지만 세월이 흐를수록 동글동글해졌다. 아래의 금성 TSR-581은 옛날에 우리집에도  있었다. 완전 추억 돋는구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저 TSR-581처럼.. 좀 고급인 제품은 현재 출력되는 소리의 음량을 게이지 형태로 표시하는 기능이 있었다. 그것도 양 채널별로 말이다.
주파수 대역별로 음량을 다 표시하려면 저런 1차원 선이 아니라 2차원 평면에서 스펙트로그램을 그려야 할 것이고, 그걸 디지털 신호를 대상으로 구현하려면 푸리에 변환이 필요할 것이다..;;

음파를 단순 파형 이상의 온갖 현란한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하는 기능이 바로 컴퓨터용 mp3 재생기들이 지원하는 시각화 기능이다. 그럼 아날로그에서는 그런 기능을 어떻게 구현했을까?

오디오 중에서 덩치가 가장 큰 체급은 휴대성을 완전히 포기하고 그 대신 다양한 기능과 극한의 음질만을 추구한 (3) hi-fi / 미니 컴포넌트, 혹은 일명 전축(전기 축음기??) 등으로 불리는 물건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무조건 AC 전원 기반이며 손잡이 따위는 없다.
  • 좌우로 거대한 고출력 스피커가 별도의 파트로 구비되어 있다.
  • 음파의 주파수대별로 음량을 조절하는 이퀼라이저가 있다.
  • 공간 제약이 없으니 옛날 물건 중에는 꼭대기에 LP용 턴테이블을 갖춘 경우도 있다..;;

먼 옛날에 본인의 집에는 산요-한일 전자에서 제조한 전축이 있었다. 테이프끼리 녹음은 2배속으로 할 수 있으며, 무선 마이크가 있어서 FM 98MHz로 맞춘 뒤에 주변 소리를 테이프에다 녹음도 할 수 있었다. 어린 시절에 본인이 접했던 붐박스급 오디오 중에서는 저런 걸 지원하는 물건을 못 봤으니, 전축이 오디오로서의 기능이 가장 뛰어났던 셈이다.

옛날에는 '인켈'이 전축 제조사로서 CF도 많이 내보내고 무척 잘 나갔었는데 요즘은 어찌 됐나 모르겠다.
사실, 일본이 아날로그 기반의 전자 기기의 압도적인 명품 명가였고, 이 점에서는 굳이 라디오나 TV뿐만 아니라 코닥 같은 필름 카메라 제조사들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디지털 시대가 되면서 그 지위가 많이 흔들리게 되었다. 심지어 디지털 기술을 취급하는 MP3 플레이어 제조사들조차도(아이리버, 코원..)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해 정체성의 위기를 겪게 됐으니, 기술 발전이라는 건 정말 앞을 내다볼 수 없는 노릇이며 이 바닥에 종사하는 기업 경영자들은 어깨가 더욱 무거울 듯하다.

요즘 오디오는 구닥다리 테이프 데크는 빠지고(어쩌면 CD 데크도!) USB 꽂아서 MP3/WMA를 틀어 주고, 그냥 스마트폰보다 더 음질 좋은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에만 의미를 둬야 할 듯하다. 하긴, 요즘은 블루투스 덕분에 스피커 단독으로도 장사가 얼마든지 된다. 스피커가 출력할 음원은 주변의 스마트폰에서 무선으로 공급해 주고 말이다.

지금도 중· 고등학교 영어 듣기 평가는 EBS 라디오로 진행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현대 전자 기술의 총아인 스마트폰이 아날로그 라디오의 기능마저 흡수하는 건 기술적으로야 일도 아닐 텐데.. 인터넷 데이터 장사 밑천을 날리고 싶지 않아서 일부러 제공되지 않는 것이지 싶다. 카카오톡이 등장했을 때만 해도 기존 SNS 장사를 망친다고 통신사와 앱 개발사 간에 마찰이 있지 않았던가?

지금까지 오디오 얘기만 늘어놓았는데 이렇게 장문이 한 편 써 졌다.
하나만 얘기를 더 늘어놓자면, 자동차에 장착되는 카오디오는 붐박스라기보다는 전축의 영역에 가까운 물건으로 보인다. 쉽게 붙였다 뗐다 하지 않으며, 자동차 내부는 4채널 서라운드 입체 음향을 제공하기에 최적의 공간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자동차에 장착되는 음향 시스템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굉장히 고급이며, 카오디오는 더위와 추위와 온갖 혹독한 진동에도 견딜 수 있게 꽤 튼튼하게 만들어진다. 과거엔 고급 승용차에 장착되는 카오디오는 위 아래 두 단으로 구성돼 있어서 상단은 카세트 데크와 오디오 조작 버튼이 있고, 하단에는 이퀼라이저 게이지들만 놓여 있기도 했다. 아래의 대우 임페리얼처럼 말이다. (우측 하단을 주목한 것)

사용자 삽입 이미지

카오디오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테이프의 한쪽 면이 다 되었을 때 갈아 끼우지 앉아도 역방향으로 곧장 재생하는 기능이 있으며, 라디오도 일일이 주파수 다이얼을 돌릴 필요 없이 방송이 존재하는 주파수를 자동으로 탐색하는 기능이 있다. 이것은 본인이 자동차 밖의 다른 오디오 기기에서 본 적이 없는 기능이다.

Posted by 사무엘

2019/02/16 08:33 2019/02/16 08:33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587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587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762 : 763 : 764 : 765 : 766 : 767 : 768 : 769 : 770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993608
Today:
345
Yesterday:
2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