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달라진 상식들
- 포경 수술: 한때 우리나라에서는 이게 남자에게 무조건 닥치고 필수라고 여기는 풍조가 아주 강했다. 초등학교· 중학교 시절에 하던 것을 아예 영· 유아 때 일찌감치 시술하기도 했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서 지금은 의학적으로 볼 때 이걸 모든 사람이 굳이 할 필요는 없다는 쪽으로 인식이 바뀌었다. 우리가 무슨 구약 유대인도 아니니 말이다.
- 때밀이: 비누칠을 해서 기름때와 땀을 씻고 냄새는 제거해야겠지만, 굳이 피부가 벌개질 정도로 박박 문질러서 때를 미는 것은 피부 건강에 아주 안 좋다는 것이 입증돼 있다. 피부과 의사들은 심지어 가려운 데를 긁는 것조차 하지 말라고 권할 정도이다.
- 피부 태움: 과거에는 이 과정에서 비타민 D가 합성되기도 하니.. 썬탠이 몸에 좋은 것처럼 포장되었던 것 같다. 하지만 자외선이 야기하는 피부 노화와 피부암 등 더 큰 해악들이 알려진 뒤부터는 그런 거 없다. 자외선은 살균 용도로나 써야 하는 것이고 물건이 아닌 피부에 쬐어서 좋을 것 하나도 없다. 물론 실외에서 운동과 신체 활동은 해야겠지만, 비타민은 그냥 식품이나 영양제를 통해 보충하는 게 더 낫다.
- 혀 지도: 혀의 끝부분은 단맛을 느끼고 양 옆은 짠 맛과 신 맛, 그리고 제일 안쪽은 쓴맛을 느낀다네 어쩌네 하는 것.. 거의 혈액형 성격설에 필적하는 낭설인데 이게 무슨 근거로 오랫동안 옛날 과학 서적에 소개되었는지 모르겠다. 혀의 모든 부위가 한 치의 예외 없이 동일 균일한 방향과 크기로 미각 센서가 장착된 건 아니겠지만, 그렇게까지 부위별로 용도가 딱딱 나뉠 정도인 건 전혀 아니다.
- L 글루타민산나트륨, 일명 MSG: 20세기에는 가공 식품 공포증의 주범으로 인식되었으나, 현재는 오랜 실험을 통해 그 의혹이 부정되고 매우 안전하다는 것이 밝혀진 지 오래다. 보통은 가성비 뛰어나던 화학 물질이 나중에 인체나 환경이 아주 안 좋다는 것이 뒤늦게 알려지는 경우가 많은 반면, 저 조미료들은 일단 그렇지 않다.
하긴, 본인은 샴푸 무용론도 오래 전에 접한 바 있다. 샴푸를 안 쓰고 맹물만으로 머리를 감으면, 처음 당장은 두피의 개기름이 제대로 씻겨 나가지 않아서 찝찝하지만 나중엔 상태가 더 좋아다고 말이다. 본인은 그건 반신반의하면서 지금까지도 차마 시행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때조차 밀 필요가 없다니 샴푸 무용론과 비슷한 맥락의 얘기로 들린다. 피부의 개기름과 각질은 적정 수준은 그냥 있는 게 건강하고 평형을 유지하는 정상인가 보다.
2. 빨간약
요즘도 쓰이는지 모르겠는데.. 상처 났을 때 바르는 소독용 '빨간약'이라는 게 있다. 본인의 기억에도 10살 이하 어린 시절엔 키가 작기도 하고, 가다가 넘어져서 다치는 일이 종종 있었던 것 같다. 그때 어머니나 양호 선생님(지금은 보건 교사라고 명칭이..)의 처방은 단순히 반창고만 바르는 게 아니라 그 전에 저런 '빨간약'을 바르는 것이었다.
본인은 그게 과산화수소수라고 막연하게 생각했었다. 하지만 그건 병이 대체로 빨갛지, 원액이 붉은 것 같지는 않다. 얘는 살균· 표백 효과가 있다.
그것 말고 진짜로 시뻘건 액체는 머큐로크롬이라는 약품이다. 효과가 좋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름에 대놓고 쓰여 있듯이 수은 함유가 논란이 되어 훗날 퇴출되었다. 과거에 유연휘발유가 '납'이라는 명칭을 교묘하게 숨긴 상품명으로 판매되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다만, 얘 때문에 진짜 사람이 수은 중독으로 해를 입었다는 사례가 정확히 보고되고 입증된 건 없다. 하지만 건전지고 온도계고 생필품에서 수은은 온통 퇴출되는 게 추세이니 상비약 분야도 이 관행을 따르고 있다.
이것 말고 다른 빨간약은 요오드 팅크인데, 얘는 진짜 red보다는 브라운 갈색에 더 가깝다. 정확한 효능이나 부작용은 잘 모르겠다.
그리고 지금은 이것도 다 포비돈 요오드니, 클로르헥시딘이니 하는 다른 약으로 대체되고 있다. 내가 전혀 알지 못하는 분야에서 일하는 약사가 문득 대단하게 느껴지는 순간이다.
- 구내염에 즉효약이라는 알보칠은 일반적인 피부 상처 소독· 살균제와는 성분이 어떤 차이가 있나 궁금하다. 안 아프다고 거짓말은 안 하네.. you only pain once라고 얼마나 병맛스러운 CF를 만들었는지.. 그래도 고퀄이다..ㅋㅋㅋㅋ
- 그나저나, 저 빨간약을 자주 접하던 본인의 어린 시절에는.. 체했을 때 엄지손가락을 실로 감고 압박해서는 손가락을 바늘로 찔러서 피를 내는... 일명 '따기' 시술도 받은 적이 있다. 이건 의학적으로는 별로 검증받거나 권장되지 않는 걍 "엄마손은 약손" 민간요법이지 싶다.
3. 요즘 와이퍼 워셔액에서 냄새가 나는 이유
본인은 얼마 전, 업무상 회사의 다른 동료의 차를 같이 탈 일이 있었다.
운전자분이 앞유리를 닦느라고 워셔액을 분사하자 차내에까지 자욱한 술 냄새가 몇 초간 풍겨 왔다. "아, 이게 말로만 듣던 에탄올 워셔액이구나" 하는 생각이 머릿속을 스쳤다.
자동차 와이퍼용 워셔액은 단순히 세제나 부동액만 탄 물이 아니며, 증발 잘 하라고 알코올 같은 가연성 물질도 첨가된다. 그런데 딱 올해, 2018년 1월부로 메탄올 워셔액은 제조· 유통이 전면 금지되었다.
마치 과거에 유연 휘발유가 완전히 퇴출되고 무연 휘발유로 대체된 것과 비슷하다. 메탄올은 인체에 매우 해로운 독극물이며, 그걸 워셔액으로 쓰면 메탄올 증기가 저렇게 차내에 유입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그렇다고 메탄올 워셔액이 전세계에서 지금까지 수십 년간 쓰인 동안, 무슨 유연 휘발유(납 중독)처럼 워셔액 때문에 사람이 직접적으로 해를 입었다는 임상 증거는 내가 알기로 없다. 그리고 에탄올 워셔액은 메탄올 워셔액보다 훨씬 더 비싸기도 하다.
본인 차는 이미 구입 내지 주입해 놓은 옛날 워셔액이 아직 남아 있어서 당분간은 이걸 계속 쓰게 될 것 같다. 주성분을 살펴보니 역시 메탄올이 적혀 있다. 그 대신 워셔액 살포 시에 송풍 모드를 반드시 유턴 모드(....;; )로 해 놓는 건 잊지 않을 것이다.
4. 감기
감기는 다 비슷비슷하게 코와 목에 탈을 일으키는 한편으로 딱히 생명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 흔한 병이다. 그런데 증상은 다 이렇게 비슷할지언정, 감기를 실제로 일으키는 바이러스(균도 아니네..!)는 100여 종이 넘을 정도로 다양하다.
그러니 인체에 아무리 면역계가 있다 해도 해마다 서로 다른 감기에 걸리는 것에는 장사가 없다. 이거 뭐 기능은 동일하지만 내부 구현 방식이 제각기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 내지 악성코드를 보는 듯하다.
이런 이유로 인해, 감기약도 특정 바이러스만 딱 공략하는 백신이나 치료제 형태로 존재하지 않는다. 약은 그냥 겉으로 드러나는 증상만을 줄여 줄 뿐이고 실질적인 치유는 결국 신종 바이러스에 적응해서 놈을 잡아먹고 퇴치하는 신체가 직접 하게 된다. 그러니 따뜻한 물 마시고 푹 자는 게 좋다. 감기와의 전투는 인체의 idle time processing 때 집중적으로 치러질 테니까..
백신 무용론, 약 무용론 음모론 주장하는 진영이 그나마 최소한의 명분이 서는 분야가 감기이다. 하지만 고혈압, 당뇨, 암 같은 다른 진지한 병을 그런 민간요법, 자연 치유 같은 식으로 접근했다간 진짜 큰일 나니까 문제이며, 그나마 덜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는 감기약도 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을 줄이고 신체가 감기 바이러스와 싸우는 일에만 집중할 수 있게 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응당 있다.
감기에 걸리면 코가 막히고 쌕쌕거리고 콧물 나오고 일상생활이 미치도록 불편할 것이다. 그래도 코를 그때 그때 풀어 주고 호흡은 입이 아니라 호흡 전문인 코로만 하도록 해야 한다.
입에는 콧물과 코털 같은 방어 장치가 없다. 입으로 장시간 호흡하면 입안이 마르고 세균에 노출되는 등 구강 건강에 절대 좋지 않은 일이 벌어진다.
참고로...
- 인간과는 달리, 다른 동물들은 오로지 코로만 숨을 쉴 수 있다. 음식을 먹으면서 동시에 숨을 쉬는 게 가능하며, '사레 들림'이라는 현상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듣기로는 구토라는 게 없는 동물도 있다고 들었다. 참 신기한 노릇이다.
- 감기와는 달리 인플루엔자, 일명 독감은 단순히 "증상이 더 심하게 발생하는 감기, 여러 감기들 중에서 위력이 센 대빵" 정도의 레벨이 아니다. 근본이 완전히 다르다. 의약계 종사자들은 '독감'이라는 이름이 굉장한 오해를 초래한다고 지적한다. 이거야말로 물이 아니라 위험한 화합물인 일산화이수소라고 불러 줄 필요가 있다고 여긴다.
5. 화상과 동상
인체는 화학적 성분의 2/3 가까이가 수분인 관계로, 발화점 이상의 고온에 노출됐다고 해서 무슨 땔감 장작마냥 불이 붙어 활활 타지는 않는다. 종이 냄비· 종이컵으로 제한적이나마 물 끓이는 게 가능한 것을 생각해 보시라.
이 때문에 죽은 시신을 화장하는 것 역시 생각보다 연료와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는 일이다. 사람 형체를 전혀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새까만 숯덩이를 넘어 하얀 뼛가루만 남을 정도로 홀랑 불태우려면 굉장히 오랫동안 태워야 한다. 인체는 수분이 없는 표면의 털 정도라면 모를까.. 내부는 기름 끼얹고 불을 한번 붙여 놓는다고 알아서 잘 타 없어지는 재질이 아니다.
이런 사실을 생각하면 도시전설로 전해져 오는 인체 자연 발화 괴담에 대해서도 회의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과학적으로 가능한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인체는 수백 도 이상의 고온에서 그렇게 쉽게 불타지 않는 대신, 겨우 수십 도의 '낮은 고온'에서도 잘 익을 뿐이다. 그 익은 상처를 우리는 화상이라고 부른다. 그것만으로도 사람은 극심한 고통을 느끼며, 그 부위가 넓어져서 신체의 손상이 심해지면 죽을 수 있다. 생명체를 구성하는 고분자 단백질의 특성상 어쩔 수 없다.
한편, 화상의 반대편 극단은 동상이라 할 수 있는데.. 인체는 불이 잘 붙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잘 얼지도 않는다.
대부분의 동상과 그에 따른 괴저· 괴사는 단순히 저온에서 피가 잘 안 통하는 바람에 발생한다(영양분 부족, 산소 부족..). 처음엔 가렵고 따갑다가 나중에는 해당 조직이 감각이 없어지고 죽고 썩어 버린다.
물론 바닷물이 얼 정도의 극도의 저온에 맨몸으로 오래 노출되면 체액이 진짜로 얼 수도 있다. 그랬다가는.. 물의 부피가 커지면서 세포막이고 혈관이고 다 터지고, 이론적으로는 방사능 피폭 급의 끔살을 당할 수 있다.
인체 냉동 보존에서 기술적으로 걸리는 가장 큰 문제도 이것이다. 자동차의 냉각수에다가는 부동액이라도 첨가할 수 있지, 체액은 그런 조치를 취할 수 없으니 말이다.
화재 현장에서 죽는 사람은 대부분 연기 질식과 내장의 화상 같은 간접적인 대미지 때문에 먼저 죽는다. 문자 그대로 산 채로 불길에 휩싸이거나 원자폭탄 급의 고온에 노출되어 형체가 사라지는 경우는 드물다. 몸에다 휘발유를 일부러 끼얹기라도 했다면 모를까..
그것처럼 얼어 죽는 사람도 대부분 피 안 통하고 체온 떨어져서 기력이 다해서 스르륵 죽을 뿐, 액체 질소 같은 데에 퐁당 빠지기라도 하지 않는 한 문자 그대로 체액이 꽁꽁 얼어서 죽는 경우는 거의 없다.
물론 문자 그대로, 화학적으로 연소하거나 얼지만 않는다는 거지, 저런 죽음도 매우 끔찍하고 고통스러운 것은 변함없다.
Posted by 사무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