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운영체제에서 쓰이는 EXE나 DLL 같은 실행 파일들은 잘 알다시피 Portable executable이라는 포맷을 따라 만들어져 있다. 그래도 맨 앞에는 MZ로 시작하는 MS-DOS EXE 헤더가 호환성 차원에서 여전히 있으며, 거기서 가리키는 오프셋을 따라가 보면 그제서야 PE 헤더가 시작된다.
그런데 아무 EXE/DLL이나 찍어서 바이너리 에디터로 들여다 보시라. 도스 EXE stub과 실제 Windows용 실행 파일의 사이 공간에는 뭔가 4바이트 간격으로 규칙성이 느껴지는 정체불명의 데이터가 수십~수백 바이트가량 있으며, 끝에는 약속이나 한 듯 "Rich"라는 문자열이 있다. 이건 도스/Windows 어느 플랫폼에서도 쓰이지 않는 잉여 데이터이다.
이놈의 정체는 도대체 무엇일까...??
더욱 괴이한 것은.. 이건 Visual Basic, Visual C++ 같은 마소의 개발툴(링커)로 생성한 바이너리에만 존재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마소 개발툴조차도 처음부터 이랬던 게 아니다. Visual C++의 경우, 5.0의 마지막 서비스 팩(아마 3)부터 적용된 거라고 한다. 그러니 지금으로부터 20여 년 전, 대략 1997~98년 사이부터이고.. 그냥 편의상 6.0부터라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본인의 고딩 시절, Visual C++ 4.2로 빌드된 날개셋 한글 입력기 1.0 내지 PentaCombat 오목 게임의 실행 파일을 들여다보면.. 아니나다를까 일명 "Rich 헤더"가 존재하지 않는다. MZ와 PE 사이에 아무 공백이 없다.
그러나 VC++ 6으로 빌드된 날개셋 1.2부터는 응당 Rich 헤더가 추가되어 있다.
과거 Windows 9x의 경우, 내부의 프로그램들을 빌드할 때 Visual C++이 아닌 다른 자체 컴파일러를 사용했다. kernel32, gdi32, user32 같은 DLL이라든가 메모장 같은 간단한 프로그램 말이다.
여기서 유래된 바이너리들은 Rich 헤더가 존재하지 않으며, 이 관행은 Visual C++ 6이 출시된 뒤에도 Windows 98/ME까지 변함없이 이어졌다.
하지만 내장 프로그램 중에서 워드패드와 그림판, EUDC 편집기처럼 Program Files\Accessories에 들어있던 프로그램은 MFC도 사용하고 나름 Visual C++ 냄새가 났었다.
얘들은 Windows 95 시절엔 대외적으로 공개된 적이 없는 MFC 짝퉁을 사용하다가, Windows 98부터 깔끔하게 Visual C++ 5 sp3으로 빌드되기 시작했다. 그래서 얘들은 예외적으로 Rich 헤더가 포함되기 시작했다.
이런 9x와 달리 Windows NT는 운영체제 차원에서 처음부터 Visual C++ 팀과 잘 연계하는 편이었다.
9x 계열은 98에 와서야 msvcrt와 mfc42같은 Visual C++ 출신의 배포용 DLL들이 최초로 정식 포함돼 들어간 반면, NT 계열은 처음부터 메모장도 진작부터 msvcrt를 사용해 왔다. NT4는 직접 확인해 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2000은 모든 EXE/DLL의 내부에 Rich 헤더가 존재한다.
한편, Visual C++ 말고 델파이 같은 타 개발툴로 빌드된 실행 파일에는 Rich 헤더 같은 건 당연히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도록 하겠다.
마소에서는 이 헤더? 데이터? chunk?를 왜 집어넣기 시작했으며, 이 정보의 의미는 도대체 무엇일까? 엄밀히 말하면 헤더라고도 볼 수 없는 단순 데이터일 뿐인데 말이다.
놀랍게도 마소에서는 이에 대해서 지금까지 공식적인 답변을 한 번도 제공하지 않았으며 undocumented, 묵묵부답으로 일관한 듯하다. 빌드 시에 이 헤더를 제외시키는 옵션도 없다.
그래서 일각에서는 흉흉한 음모론까지 나돌기 시작했다. 제일 유명한 게 뭐냐 하면, 이건 이 바이너리를 빌드한 컴퓨터 환경을 식별하는 정보라는 것이다.
그래서 이 exe/dll이 악성 코드로 밝혀져서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게 되면.. 이 정보로부터 개발자의 컴퓨터를 추적할 수 있고, 따라서 악성 코드를 만든 사람도 아무 단서가 없는 것보다는 더 용이하게 색출할 수 있다고 한다..;;
이거 마치 컬러 복사기 얘기처럼 들린다. 컬러 복사기의 결과물에는 아주 정교한 워터마크가 사람 눈에 안 띄게 몰래 새겨진댄다. 그래서 어설픈 컬러 복사 위조지폐가 발견되면 그 워터마크를 토대로 복사기의 일련번호를 추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범인도 색출할 수 있다고 한다. 허나 본인은 그런 게 실제로 존재한다고 믿지는 않는다.
뭐, 복사기는 그렇다 치고.. 실행 파일의 경우, 상식적으로 생각해 봐도 저건 개발 컴퓨터의 색출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보안이 너무 허술하다.
진짜 나쁜 마음 품은 악성 코드 개발자라면.. 그 Rich 헤더 부분을 후처리로 몽땅 0으로 칠해서 일부러 지워 버리기만 해도 자기 정체를 숨길 수 있으며, 그래도 악성 코드의 동작에는 하등 문제될 것 없다.
이 경우 PE 헤더의 다른 필드에 존재하는 checksum 정보가 어긋나서 파일이 변조되었다는 것이 감지되겠지만, 이것도 일부러 기재하지 않았다고 0을 집어넣어 버리면 그만이다. 더구나 보안을 위해 소프트웨어에서 이미 있던 이스터 에그도 다 없앴고 요즘은 바이너리 차원에서 철저히 예측 가능한 reproducible build까지 추구하는 마당에, 이런 식의 비밀 식별 정보는 마소의 개발 방침 이념과도 어울리지 않는다.
그러니 프로그램을 빌드할 때마다 내 컴퓨터의 맥 어드레스가 유출된다는 식으로 불안해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Rich 헤더의 정체는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었다.
그래서 전세계의 많은 컴덕과 해커들이 의문을 품기 시작했으며, 어떤 용자는 MS에서 개발한 링커 프로그램을 아예 근성으로 리버스 엔지니어링까지 했다. 그래서 이 데이터에 대한 여러 사실들을 밝혀냈다.
가장 먼저.. Rich 헤더는 4바이트 덩어리 단위로
A B B B X1 Y1 X2 Y2 ... "Rich" B
대체로 요런 형태로 돼 있다.
끝의 Rich 다음에 나오는 마지막 double word인 B가 일종의 난수이며, 암호화 key이다. 그리고 Rich 앞에 있는 숫자들은 바로 그 B와 xor을 해 주면 실제값을 얻을 수 있다.
그러면 맨 첫째 값 A는 언제나 0x44 0x61 0x6E 0x53.. 문자 형태로 늘어놓으면 "DanS"라는 시그니처가 된다.
다음으로 시그니처 뒤에 이어지는 몇 개의 B는 16바이트 단위 padding을 맞추기 위한 0값인 것 같다. 자기 자신을 xor 하면 결과는 언제나 0이 되니 말이다.
그 뒤 이어지는 같은 값들은 숫자 2개가 X, Y 형태로 한 pair를 이룬다. X는 이 바이너리를 생성하는 데 쓰인 툴(C 컴파일러, C++ 컴파일러, 리소스 컴파일러, 어셈블러 등..)과 버전(빌드 번호)을 나타내며, Y는 그 도구를 이용하여 생성된 아이템.. 이를테면 obj 파일의 개수를 나타낸다고 한다.
그럼 이런 정보들은 링커가 어디에서 얻어서 집어넣는가 하면.. 당연히 자기가 input으로 받아들이는 obj 파일로부터이다. 그렇잖아도 1997~98년을 전후해서 obj 파일 포맷이 바뀌었다고 한다.
obj야 소스 코드를 번역한 기계어 코드의 뭉치일 뿐이니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컴퓨터 아키텍처가 변함없는 한 바뀔 일이 없으며, 내부 구조가 바뀌어 봤자 새 버전의 컴파일러/링커가 인식하는 새로운 chunk 정도나 추가되는 게 전부일 것 같은데.. 꼭 그렇지는 않은 모양이다.
하긴, 같은 양의 코드를 빌드해도 요즘 컴파일러는 예전에 비해 obj의 파일 크기가 점점 더 커지고 있어 보이긴 하다. 디버깅 또는 최적화와 관련된 온갖 힌트와 메타정보들이 첨가되어서 그런 것 같다.
그래도 obj는 소스 코드를 빌드할 때마다 새로 생성되는 일회용 임시 파일일 뿐이니, 포맷에 하위 호환성 걱정 따위는 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날려 봤자 빌드만 다시 하면 될 일이고..
아무튼 흥미로운 사실을 알게 됐다.
개인 정보 유출은 아니고, 그렇다고 디버깅과 관련된 힌트도 아니고 저런 정보가 마소의 개발툴에서 도대체 왜 들어갔는지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만.. 그래도 내역을 까맣게 모르던 시절보다는 상황이 나아졌다.
본인이 이 글을 쓰기 위해 검색하고 참고한 외국 사이트는 다음과 같으니, 더 자세한 관심이 있는 분은 참고하시기 바란다.
The devil’s in the Rich header
Microsoft's Rich Signature (undocumented)
The Undocumented Microsoft "Rich" Header
Article: Things They Didn't Tell You About MS LINK and the PE Header
저 외국 사이트들의 설명에 따르면, Rich와 DanS는 모두 1990년대에 마소의 Visual C++ 팀에서 근무하고 이 데이터의 구현에 직접 관여했던 프로그래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그 이름은 각각 Richard Shupak와 Dan Spalding이다. ㄷㄷㄷ;;
MZ, PK만큼이나 프로그래머의 이름이 파일 포맷에 각인된 사례라 하겠다.
참고로 전자 리처드의 경우, Windows SDK에서 psapi.h의 작성자로 이름이 나와 있기도 하다.
PSAPI는 Windows NT 계열용으로 실행 중인 프로세스 정보를 조회하는 EnumProcesses, GetModuleFileNameEx 등의 함수를 정의하는 라이브러리인데, 작성 날짜가 무려 1994년이라고 적혀 있다.
Posted by 사무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