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영화 "검사와 여선생"

<검사와 여선생>은 1948년 6월에 개봉· 상영됐다는 국산 무성영화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30년대를 지나 40년대의 끝물이었던 저 때는.. 세계는 물론 국내에서도 무성영화는 진작에 유행 지나고 한물 간 상태였다. 하지만 얘는 감독이 무성영화 변사 출신이기도 해서 무성에 애착이 있던지라, 일부러 옛날 스타일로 영화를 만들었다고 한다.

현재까지 필름이 남아 있어서 영상이 전해지는 제일 오래된 국산 영화로는 일제 시대 1930년대 작품인 <미몽>(1936), <청춘의 십자로>(1934) 같은 게 알려져 있다. 이런 골동품 필름은 낡은 극장이 폐업해서 내부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창고에 처박힌 게 발견되기도 하고, 심지어 외국에서 상영되다가 말았던 게 정말 우연히 극적으로 발견되기도 했다.

일제로부터 해방된 뒤엔 나라가 몹시 혼란스러웠지만, 그래도 독립 운동과 해방을 소재로 한 영화가 여럿 만들어졌다. <자유만세>(1946)가 대표적인 예인데.. 이때는 열차 이름조차 ‘해방자호(liberator)’라고 붙였던 시절이니 그때의 분위기가 어떠했을지 짐작이 된다. 그리고 윤 봉춘 감독은 1947년에 곧장 유 관순 열사와 윤 봉길 의사 전기 영화를 나란히 만들었다.

자.. 이 와중에 <검사와 여선생>은 우리나라 최후의 무성영화이면서 해방 직후에 정치· 시사와 무관한 소재(멜로 드라마 신파)를 채용하여 만들어진 영화이다.
이 영화에는 미군이나 외국인 선교사가 아니라 한국인이 1947년쯤, 대한민국도 아니고 미군정 시절에 노면 전차가 가득하던 서울 시내를 촬영한 장면이 남아 있다. 대한뉴스 기록조차 없는 시기의 기록이니 역사적 가치가 아주 높을 수밖에 없다.

영화 필름이라는 게 무슨 지질 시대 화석이라든가 몇백 년 전 조선 시대 도자기나 실록, 어진보다야 훨씬 더 최근에 만들어진 물건일 텐데? 소실된 게 많은 이유는 간단하다. 물가가 너무 비싸고 물자가 귀해서 기존 영상이 요즘처럼 영구 보존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극장에서 내려가고 자기 용도를 다한 영화 필름은 곧장 다른 용도로 재활용돼야 했다. 무슨 전쟁, 화재, 자연재해로 인해 소실된 게 아니라는 것이다.
일제 시대의 유명한 영화 제작자였던 나 운규의 <아리랑>(1926)도 무성 영화이다. 하지만 얘는 현재 필름이 전해지지 않아서 영상이 소실된 상태이다.

무성영화는 배우가 직접 대사를 말하지 않고 변사가 배경을 설명하는 형태이다 보니 무슨 다큐멘터리 같다. 그래도 변사는 무슨 국어책 읽듯이 무미건조하게 얘기하는 게 아니라 온갖 감정을 실어서 연기 하듯이 맛깔나게 나레이션과 배우 대사를 처리한다.
뭔가 판소리 같고 북과 장구가 곁들어져야 할 것 같다. 실제로 서양에서 무성영화가 상영되던 극장엔 BGM 연주를 위한 피아노인가 오르간까지 갖춰져 있었다고 한다.

자, 본인은 이런 점을 감안하고 검사와 여선생 영화를 유튜브로 신기하게 감상해 보았다.
얘는 역사적 가치 말고 문학 예술적 가치랄까 그런 건 지금의 관점에서는 캐 민망한 수준이다. 정말 유치하고 오글거리고 현실성이 떨어지는 전형적인 신파극이다.

집이 가난하고 끼니를 너무 많이 굶어서 학교에서 체육 시간에 픽 졸도까지 한 불쌍한 학생(주인공. 이름은 ‘장손’)을 묘사하면서 변사는 “아~ 하나님이시여, 나는 왜 어찌하야 아버지 어머니가 안 계시는 것입니까 어흐흐흐흥 ㅠㅠㅠㅠ” 이러는 식이다.. ㅠㅠㅠ
이런 아이를 담임 선생이 사적으로 잘 챙기고 보살펴 준다.

그런데 그로부터 10여 년 뒤, 형무소를 탈옥한 어느 범죄자가 참 우연히도 그 선생의 집으로 숨어 들어오고.. 선생은 그 사람의 사정을 듣고는 불쌍히 여겨서 그를 숨겨 준다. 누명을 쓰고 억울하게 붙잡힌 사람인지는 자세히 보지 않아서 모르겠다.
그런데 우연히도 선생의 남편은 자기 아내가 낯선 남자와 바람 피우는 걸로 오해하게 된다.

이 때문에 부부싸움이 벌어지고, 남편이 자기가 휘두른 칼에 자기가 급소를 실수로 찔려 픽 죽어 버린다. 선생은 과실치사도 아닌 살인죄로 기소되는데..
이게 웬걸.. 그 선생이 옛날에 보살폈던 그 가난한 학생이 그새 고등고시를 통과하여 검사가 돼 있다(사법시험은 1960년대에 등장).

그래서 그 검사가 이 피고인은 나의 옛 스승이었고 이랬던 인품의 소지자이고 정황상 어쩌구저쩌구.. 그래서 선생의 무죄를 이끌어 낸다.
법정을 나와서는 그 검사와 선생은 부둥켜안고 운다. 그 아이는 검사가 돼서 얼마나 성공하고 출세했는지 1940~50년대의 시점에서 무려 자가용을 굴리고 있다. 그는 석방된 선생님을 태우고 자기 집에 모셔서 극진히 대접하고 자기 부인도 소개해 준다.

아, 정말 내 예상보다도 심하게 더 유치찬란하다. 다른 건 그렇다 치고 저 제자는 검사가 아니라 변호사여야 하지 않나 싶다. 검사가 변호사보다 더 간지가 나니까 무리해서 저런 설정을 만든 걸까? ㄲㄲㄲㄲㄲㄲㄲ
그래도 이건 1948년작이고, 당시에 평이 좋았고 “흥행 성공”했던 작품이란 걸 감안하도록 하자. 필름이 괜히 보존될 수 있었던 게 아니다~!

그 어렵고 못살던 시절엔 사람들이 이런 걸 최신 문화 생활 겸 복고풍 무성영화라고 받아들이면서 관람했다. 그러면서 결초보은 같은 심리적인 공감과 대리 만족을 얻으며 눈물 콧물 짰었던 것이다. 지금 우리야 영화나 드라마를 너무 많이 접해서 뻔한 복선과 클리셰와 반전, 어설픈 CG 따위엔 식상해 버릴 정도로 눈이 높아졌지만.. 저 때는 시대 배경이 지금과 완전히 달랐다.

옛날에 소파 방 정환도 환등기 갖고 덕질과 변사 코스프레를 즐기던 천부적인 이야기꾼이었다. 동화 구연을 시작하면 애들이고 어른이고, 심지어 감시하던 일본 경찰 형사까지도 웃다가 울면서 난리가 났다는데.. 물론 그가 이야기를 실감나게 잘하기도 했지만 그 당시의 청중들은 우리 같은 여가 문화생활이란 게 없어서 신파극에 훨씬 더 잘 반응하기도 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저 변사 녹음은 언제 된 것인지 매우 궁금했는데.. 검색을 해 보니 신 출(본명 신 병균)이라는 분이 우리나라를 통틀어 혼자 남은 마지막 변사였고 2010년쯤에 ‘검사와 여선생’ 연기를 하셨던 것 같다. 이분은 85세의 나이로 지난 2015년 2월에 작고했다. 살아 생전에 그 1920년대 ‘아리랑’ 무성영화의 변사 연기도 한 적이 있다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역시 비교적 최근에 녹음한 것이었군.. 어쩐지 52분 31초 지점에.. 엥? ‘초등학교’라는 말이 나오더라. 신을 부를 때 사용하는 명칭은 ‘하느님’이 아니라 ‘하나님’이라고 꼬박꼬박 말한다.
변사라는 건 인간문화재 급의 극도로 좁은 고인물 업종일 수밖에 없는데.. 뭔가 서커스와 비슷하다는 느낌도 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저 시절엔 꼭 사관학교를 다니지 않아도 학생을 다 ‘생도’라고 부르는 걸 알 수 있다. 옛날 한글 개역성경에서 직역하면 ‘대언자들의 아들들(왕하 2 등)’.. 엘리사의 제자 문하생뻘 되는 사람들을 ‘생도’라고 부른 것에서도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개역개정판에서는 ‘제자’라고 바뀌었다.

<검사와 여선생>은 훗날 1966년에 흑백 유성영화로 리메이크작이 나오기도 했다. 이때는 제목이 <민 검사와 여선생>이라고 약간 바뀌어서 주인공의 성씨가 앞에 삽입되었다. 그리고 설정을 좀 더 현실화해서 검사였던 제자가 옛 스승을 구하기 위해 변호사로 전업하는 것까지 들어간 듯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고로 비슷한 시기에 동락 국민학교 김 재옥 선생의 일대기를 다룬 전기 영화가 나오기도 했는데, 얘는 제목이 <전쟁과 여교사>(1966)였다..!
무슨 영어로 치면 teacheress 같은 단어가 있기라도 한지.. 그때는 여선생, 여교사라고 꼭 ‘여’짜를 붙이는 경향이 있었다.

<검사와 여선생>의 앞부분을 보면 노면전차가 다니는 서울 종로 시내의 모습이 자주 보인다. 워낙 옛날이니 자동차는 아무래도 196, 70년대보다 훨씬 적게 다닌다.
그런데 <워커힐에서 만납시다>(1966)는 서울 시내에서 현역으로 다니는 노면전차의 모습을 ‘컬러’로 선명하게 볼 수 있는 극히 드문 영상물이다. 물론 1966년이니 이때는 노면전차가 폐지되기 거의 직전이긴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검사와 여선생에 나오는 전차와 비교해 보자. 차량이 바뀌기는 한 거 같다.. ㅡ,.ㅡ;;)

아무튼.. <검사와 여선생> 하나 갖고 옛날 영화와 관련된 온갖 썰들을 풀 수 있었다.
그나저나 1966년이 무슨 날이었나? <소령 강 재구>도 1966년작이고.. 언급된 영화들이 전부 이 해에 만들어졌으니 말이다.

옛날에는 뉴욕의 자유의 여신상이 지금 같은 청록색이 아니라 녹슬지 않은 갈색이던 시절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수십 년 전의 주변 풍경 모습이나 책의 상태도 지금처럼 누렇게 낡거나 바래지 않았을 것이다. 흑백도 아니고 당연히 컬러였을 것이고..
본인은 옛날 모습을 옛날 그 시절 모습 그대로 보는 것에 관심이 있는데, 옛날 영화가 그 의문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지하여 흥미를 느낀다.

Posted by 사무엘

2022/01/26 08:36 2022/01/26 08:36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979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979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374 : 375 : 376 : 377 : 378 : 379 : 380 : 381 : 382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3049365
Today:
385
Yesterday:
2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