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라의 김 유신은 부정한 아기를 갖게 됐다는 이유로 여동생 문희를 불태워 죽이는 시늉을 벌였다.
야곱의 아들 유다는 부정한 아기를 갖게 됐다는 이유로 며느리 다말을 불태워 죽이려 했다. (창 38:24)

2. 신라 경애왕은 포석정에서 술 마시고 흥청망청 놀다가 후백제군에게 완전히 털리고 박살 나고 치욕스럽게 죽었다.
다니엘서에 나오는 바빌론 벨사살 왕은 손가락 경고를 본 뒤에도 흥청망청 놀다가 페르시아에게 완전히 털리고 치욕스럽게 죽었다.

3. 백제의 의자왕, 고구려의 보장왕은 나라 멸망 후 당나라로 끌려갔고 편하게 못 죽었다.
남유다 왕국 시드기야 왕도 나라 멸망 후 바빌론으로 끌려가서 편하게 못 죽었다. 어설프게 이집트와 손잡고 바빌론에 깔짝깔짝 대항하다가 더 험한 꼴을 당했다.

4. 이건 드라마 각색이긴 하다만.. 후백제 견훤의 참모였던 최 승우는 "넷째 아들 금강에게 왕위를 물려줄 거면 매정하지만 형들을 모두 숙청이라도 해야 한다. 그렇게 하면 아들만 잃지만, 지금 결단을 내리지 못하면 아들도 잃고 나라도 잃게 된다"라고 왕에게 조언했다.
그러나 왕이 그 말을 차마 이행하지 않자 최 승우는 이제 국운이 다 끝났음을 직감하고 낙향해서 인생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후백제의 운명은 최 승우의 예측대로 정확하게 맞아떨어졌다.

성경에서도 다윗의 아들 압살롬이 마치 견훤의 아들 신검처럼 쿠데타를 일으켰다!
나중에 압살롬이 아히도벨의 계략을 듣지 않고 후새의 멍청한 계략을 듣자.. 아히도벨 역시 이제 다 끝났다는 걸 직감하고 낙향해서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여기서도 아히도벨의 예상은 정확하게 적중했다.
단, 태조 왕 건에서는 계략가가 왕의 편이었던 반면, 성경에서는 계략가가 반란군 아들의 편이었다는 차이가 있다.

* 견훤은 자기가 세웠던 나라를 자기가 도로 무너뜨리고.. 심지어 적국에 귀순해서 아들과 정면으로 맞서 싸워야 했던 비운의 군주였다. 세계사를 통틀어도 보기 드문 인물이다.

* 백제는 삼국 중에서 동물과 사람이 넘나드는 식의 거창한 건국 설화가 없고 시작이 좀 평범한 나라였다. 그러나 신라는 시작부터 끝까지 독특한 점이 꽤 많은 나라였다.

  • 실존했던 천년왕국..;; 특히, 그 긴 기간 동안 도읍이 옮겨진 적도 없었다.
  • 김씨와 박씨가 번갈아가며 통치했다.
  • 신분 제도가 그 악명 높았던 조선의 양반 쌍놈보다도 더 복잡했다고 그러는데..
  • 그래도 여성 인권이 괜찮았는지 전근대 시절에 유일하게 여왕도 존재했다. 심지어 화랑 제도도 전신은 남자가 아니라 미녀를 뽑는 제도에서 시작했었다.
  • 김 유신은 정치 권력이 없는 순수 군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후에 왕으로 추존되기까지 했다(흥무대왕). 지금 우리나라 군에다 비유하자면.. 명예 상징으로만 존재하는 오성장군 원수로 추존된 거나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런 예도 우리나라 역사상 전무후무했다.

신라가 괜히 삼국 통일을 이루고 1000년 가까이 간 게 아니었던 것 같다. 100% 신라 자력이 아니라 나당 연합군을 끌어들인 것 때문에 이걸 폄하하는 시각도 있지만.. 꼭 그렇게만 볼 일은 아니어 보인다. (그럼 나중에 임진왜란 때는 왜를 격파하는 데 조선과 명이 각각 얼마나 기여한 건지 궁금해진다.)
신라는 북쪽의 대륙으로 뻗어 가지 않은 대신, 그 시절에 남쪽의 먼 바다로 진출해서 먼 외국과 교류했다. '발해를 꿈꾸며'도 좋지만, 장 보고가 얼마나 큰일을 이뤘는지, 그 사람이 허망하게 죽지 않았으면 역사가 어떻게 바뀌었을지를 생각해 보는 것도 괜찮아 보인다.
그건 그렇고, 다음으로..

* 신라는 망하기도 정말 적절하게 최고로 잘 망했다.
마지막 경순왕은 궁예나 견훤, 왕 건 같은 무예의 달인이 아니었으며, 그저 견훤에 의해 대타로 세워진 허수아비일 뿐이었다.
그러나 그는 망국의 마지막 군주로서 그 여건에서 할 수 있는 최고의 선정을 베풀었다.

줄을 잘 서서 후백제에게는 대항하면서, 적절한 타이밍 때 고려로 딱 깔끔하게 귀순했다.
덕분에 백성들도 살고, 자기도 고려로부터 최고의 예우를 받았다.
귀순 후에도 반세기에 가까운 천수를 누리고 고려의 5대 왕이 즉위하는 것까지 보면서 죽었고.. '김부왕'이 아니라 경순왕이라는 시호까지 받았다.

이건 남극점을 포기하고 과감하게 귀환해서 모든 대원들을 생환시킨 어니스트 섀클턴과 비슷하다. 또 북한의 귀순 파일럿 1호인 노 금석이 그 뒤로 미국 가서 평생을 떵떵거리며 산 것과도 맞먹는다. 망국 군주가 이렇게 잘 살고, 백성들로부터도 칭송 받다가 간 건 우리나라 역사상 다른 유례가 없을 것이다. (고종 순종은 칭송 받는 사람은 아님..-_-)

이런 거 생각하면 인생 한번 참 타이밍이다.
그에 반해, 고려 말기의 문 익점은 고려냐 조선이냐, 원이냐 명이냐.. 그 격변의 시기에 매번 파괴왕 급으로 줄 잘못 서서 피 봤었다. -_-;; 그래도 정치색이 강한 사람은 아니었기 때문에 역적으로 몰려 목이 달아나지는 않고 관직에서 짤리고 잠시 귀양만 가는 수준으로 끝났었다.

Posted by 사무엘

2023/08/25 08:35 2023/08/25 08:35
,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2199

우리나라 고대사 토막 상식

* 난 우리나라 역사라 하면 알다시피 철도 또는 안보· 이념과 관계가 있는 근현대사 얘기만 많이 하는 편이었는데 오늘은 오랜만에 고대사 얘기를 좀 꺼내고자 한다. 아, 그렇다고 근현대사도 전혀 안 나오는 건 아니다.

1. 멸망 방식

한반도와 그 주변 나라들을 보면, 단순히 전쟁에서 지거나 내부 혁명과 쿠데타가 발생하는 평범한 시나리오와는 사뭇 다른 방식으로 망한 나라들이 역사적으로 좀 있다.

  • 신라: 왕이 백성들 이끌고 스스로 제 발로 고려로 항복· 귀순함
  • 후백제: 태조가 아들에게 밀려서 피난 간 뒤, 고려로 귀순하여 자기가 세운 나라를 스스로 침공... 꽤 독특하다.
  • 조선 또는 대한제국: 전쟁 하나 없이 야금야금 일제에게 조금씩 단계별로 각종 권리를 뺏기며 열불나는 방식으로 굴욕적으로 멸망
  • 그리고 저 훗날 일제의 괴뢰국이던 만주국: 마치 선장이 비상사태에서 배를 포기한다고 공식 선언하듯이, 황제가 피난길에 국가 셧다운 선언하고 자진 해산함

신라의 경우, 저런 이유로 인해 마지막 경순왕의 무덤은 다른 신라 왕릉들과는 달리 유일하게 경주가 아니라 연천군 저 북쪽 끝의 민통선 안에 있다. 38도 위도에 정말 근접했지만 그래도 다행히 남한이 수복한 지역이며, DMZ 신세도 면했다. 신라의 수도 근처가 아니라 고려의 수도 근처에 묻힌 것이다.

난 경주 출신이기도 한지라 신라 왕릉이 웬 생뚱맞은 저런 곳에 있다는 게 개인적으로 굉장히 독특하고 흥미롭게 느껴진다.
훗날 고려는 이 성계의 위화도 회군 쿠데타에 의해 비교적 평범한(?) 방법으로 멸망했다. 그리고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은 무덤이 아예 고양시와 삼척시에 2개로 나뉘어 있으니 신라의 마지막 왕의 경우보다 더 특이하다. (둘 중 하나는 허묘)

우리나라의 경우 6·25 전쟁 당시에 판문점과 송악산, 배수진 지형 등 여러 이유로 인해 개성시 일대를 더 점령하지 못하고 빼앗겼다. 이것 때문에 고려의 존재감이 남조선 땅에서 더욱 없어지고, 반대급부로 '조선'스러운(?) 정서가 더 강해지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당장 오늘날의 서울도 지리적으로 조선의 한양을 계승했으니 말이다.

그 대신 그 '고려'라는 이미지는 북한이 더 적극적으로 쓰고 있다. 고려항공, 고려연방제처럼.
물론, 그래도 남조선의 경우 수도를 조선의 도읍을 그대로 활용하고 있고, 북조선의 경우 나라 공식 명칭에 여전히 '조선'이 들어가 있긴 하다.

2. 도읍의 위치

말이 나왔으니 수도 얘기도 해 보자.
일단 신라는 경주(금성), 조선은 서울(한성)로 확고한 붙박이이다. 이들은 안 그래도 당대에 역사가 매우 길었던 왕조로 여겨지는데 천도의 내력 역시 전무하다. 신라의 경우 멸망 직전에는 세력이 경주 시내로 극도로 쪼그라들긴 했지만 그래도 왕궁이 딴 데로 옮겨진 적은 없었다.

덕분에 여기는 각종 문화재 유물도 꽤 많이 남아 있다. 서울이야 시기적으로 제일 가까운 왕조의 수도여서 그렇다 치지만 신라는 서기 1000년도 채 되지 않아 멸망한 엄청 옛날 왕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주는 과장 좀 보태면 온통 땅만 좀 파면 유물이 나올 지경이어서 도시형 국립공원까지 조성될 정도인 것은 보통일이 아니다.

한편, 고려는 전반적으로 개성(개경)이긴 했지만 중간에 몽골로부터 침략을 받았을 때 강화도로 딱 한 번 천도를 한 적이 있다. 강화도는 내륙에서 그렇게 멀리 떨어진 곳도 아닌데 몽골은 골수 내륙국이다 보니 해군이나 해병대가 없어서 저기로는 못 쳐들어갔던 모양이다.

후대의 조선은 임진왜란 때 왕이 피난을 갔고, 또 병자호란 때는 남한산성 행궁으로 도읍을 옮겼다. 스타로 치면 본진이 옮겨진 격이다.
대한민국 역시 잘 알다시피 6· 25 전쟁 중에는 부산으로 수도를 잠시 옮긴 적이 있었다.

고구려의 수도는 지금의 평양이었다. 그러나 처음부터 그랬던 건 아니고 건국 직후 한동안은 더 북쪽으로 지금의 중국 땅(졸본, 국내성)에 도읍이 있었다. 하긴, 광개토왕릉비도 괜히 중국에 있는 게 아니다.
리즈 시절 이후와 멸망 때까지 고구려의 마지막 수도가 평양이었다. 남북이 통일이 되고 나면, 정확히 말해서 북괴 정권이 사라지고 나면 도읍이 이북 땅에 있었던 옛날 한반도 왕조들의 흔적을 찾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백제는 한국사에 등장하는 메이저 왕조들 중에 수도에 대한 존재감이 제일 없는 것 같다. 일단 지금으로 치면 서울· 하남 일대였던 시즌 1과, 우리에게 상대적으로 더 친근한 충남 공주· 부여 일대의 시즌 2로 나뉜다. 이렇게 초점이 분산된 데다 시즌 1 도읍은 흔적이 전해지는 게 별로 없으니 존재감이 더욱 감소한다.

그래도 삼국 시대에 오늘날의 서울과 가장 가까운 곳에 도읍을 뒀던 적이 있는 왕조는 백제이다. 그렇다고 조선 같은 북악산 기슭의 사대문 안이 아니라 한강 이남의 몽촌토성· 풍납토성 뭐 이런 지대이다. 일단 하남, 위례신도시 이런 명칭들이 다 백제의 도읍에서 유래된 것들이라니 신기한 일이다.

가야나 발해 같은 마이너한(?) 나라들의 역사도 갑자기 궁금해지긴 하는데, 고대로 갈수록 사료 자체가 너무 빈약해지는 건 어쩔 수 없다. 태양계 행성도 천왕성과 해왕성은 표면 사진 자체가 보이저 2호가 찍은 것밖에 없어서 빈약한 것처럼 말이다.

Posted by 사무엘

2017/07/22 08:39 2017/07/22 08:39
, ,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384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3050818
Today:
1838
Yesterday:
2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