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는, 인생의 보편적인 패턴이긴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유독 강박관념에 가까울 정도로 심하다고들 하는 현상이 있다.
사람은 어느 분야에서든 젊을 때는 현역-_-에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여 몸 쓰면서 열심히 뛰고 일해서 결과물을 내고 돈과 명성을 끌어 모은 뒤,
나이가 들어서 노련하긴 하지만 몸이 예전만치 말을 안 듣고 밑으로 뛰어난 신참 후배들이 계속 들어올 무렵이 되면, 관리자, 해설자, 감독· 코치 등으로 물러나거나, 지금까지 모은 밑천으로 남을 부려 쓰면서 자기 사업을 한다는 것. 뭐, 이건 자연스러운 현상이긴 하다.
자율적이든 타율에 의해서든 뭔가를 열심히 만들던 위치이던 게 이제는 남에게 뭘 만들지 지시를 내리고, 그 과정을 관리하고, 남들이 만들어 놓은 걸 그냥 평가만 하면 되는 위치가 된다. 그거야말로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기도 하니까.
이제는 오히려, 체면과 위계질서 같은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자기는 현장에서 뛰고 일하고 뭔가를 ‘만드는’ 자리로는 가고 싶어도 갈 수가 없다. 후임에게 그 일을 완전히 맡기고, 간섭을 하지 말아야 한다.
전산학 개념으로 설명하자면,
‘X라는 input에 대해서 Y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solution Z를 다항 시간 만에 찾으시오(찾는 알고리즘을 고안하시오’
에서
‘X라는 input에 대해서 어떤 solution Z가 있을 때, 그게 Y라는 조건을 만족하는지 다항 시간 만에 검증하시오’
로 바뀌는 셈이다. 결정성 튜링 기계(DTM)가 비결정성 튜링 기계(NDTM)로 바뀌었으니, P와 NP가 동치이지 않은 한, 일이 편할 수밖에 없다.
난 대학이든 대학원이든 학교를 다니면서 교수들에 대해 무척 놀라는 면모가 있었다. 첫째는 특강 시간에 학생들이 무슨 주제로 발표를 하더라도, 심지어 발표 자료를 미리 올리지 않았더라도, 교수가 즉석에서 발표 내용에 대해 코멘트를 하고 그 바닥 사정이 어떤지 보충 설명을 주절주절 늘어놓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둘째는, 교수는 전산학과 교수라 해도 코딩에는 이제 진짜 전혀 신경 안 쓴다는 것. 이런 게 진정한 지도자 내지 사장· 상사 마인드인 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가령, 축구야 워낙 선수의 체력이 생명인 과격한 스포츠이다 보니 선수의 현역 수명이 굉장히 짧다. 그런데 프로그래밍이라는 업무, 또는 개발자라는 직위는 과격한 스포츠가 전혀 아닌데 적어도 한국에서는 여전히 수명이 짧다. 그 나이가 되도록 아직도 개발자라고 하면 이상하게 본다.
왜 그런 걸까? 한국에는 왜 노짱 개발자가 없는 걸까? 물론 이 바닥이 워낙 변화가 빠르고 날고 기는 친구들이 너무 많은 분야여서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그건 우리나라 사정만 그런 건 아닐 텐데 말이다.
문득 드는 간단한 시나리오로는... 1인 개발자가 프로그래밍만으로 먹고 사는 인프라가 마련돼 있지 못해서--극심한 불법복제, 개인 개발 작품의 품질 보증 문제 등의 여러 구조적인 문제-- 결국 프로그래머의 밥줄은 프로그래머 자신이 아니라 그 프로그래머를 이용하는 다른 경영자에게 달리게 되고, 그런데 그 경영자는 사업가· 장사꾼일 뿐이지 프로그래밍 바닥을 잘 모르는 사람이고.. 그 뒤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 이런 식으로 개발자에게 불리한 IT 시스템이 생긴 게 아닐까 한다. 어휴.
빵집의 개발자인 양 병규 씨는 개인 블로그에서 안 철수 씨가 백신 개발자로 남지 않은 걸 개인적으로 아쉬워한다고 썼었다. 물론 안 씨야 백신만 파기에는 너무 아깝고 대학 교수에, 장관에 뭘 해도 이상할 게 없는 넘사벽 천재 만렙 완전체이긴 하다만... 그래도 그 근성으로 백신 하나만 밀었다면 지금 여타 보안 솔루션들을 모조리 떡실신시키는 보안 귀재 장인이 되지도 않았을까? (그분이 안랩을 떠난 후 거기가 예전만 한 명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고)
본인은 프로그래밍을 좋아한다. 까놓고 말해 <날개셋> 한글 입력기 한 8.0~10.0까지 만들고 리눅스나 맥용도 응당 만들고 싶다. 여러 분야를 총괄하는 게 아니라 좁은 분야 하나만 스페셜리스트로 미치도록 파는 걸 좋아한다. 그렇다고 해서 노가다 코더 타입도 절대 절대 아니다. 군대로 치면 ‘장군’보다는 ‘준위’형 인물이다.
허나, 이거 개발을 언제까지 할 수 있을지 생각하면 한숨이다. ㄲㄲㄲㄲ 아직 갈 길이 먼데... 나 같은 사람이 종사할 만한 업종이 있으려나? -_-
결국은 역시나 돈 문제, 영적으로는 사회의 구조적인 죄 문제와 연결되는 걸 느낀다. 죄가 만연한 사회일수록 결국 일하고 생산하고 연구하는 업종보다는, 인간의 죄를 제어하고 다스리고 통솔하는 업종의 비중이 더 커지고 그 업종과 여타 업종간의 빈부 격차도 커지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Posted by 사무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