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코딩으로 먹고 사는 사람이라면 기억할 만한 가치가 있는 전설적인 인물을 좀 소개하고자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예쁘장하게 생긴 아가씨는 무려 아폴로 11호 우주선을 총괄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한... 열혈 공순이 되시겠다. 이름은 마가렛 해밀턴(1936~). (마가렛 대처..는 영국의 정치인 이름이고.)

지금은 이미 80을 바라보는 할머니가 되었지만 저 사진은 1968~1969년경에 촬영되었으니, 지금 내 나이 때 저런 일을 해낸 것이다.
IBM PC도, 인텔 마이크로프로세서도, C/파스칼도 없던 시절에 프로그래밍을 도대체 어떻게 했다는 건지 실감이 안 감. 기껏해야 어셈블리어, 포트란, 코볼 정도나 있었을 텐데.
우주선이나 전투기에는 Ada 언어가 많이 쓰인(쓰였)다고 하지만 이마저도 거의 1980년대는 돼서야 등장한 언어이다.

저기 옆에 있는 서류더미는..;; 프린트된 전체 소스 코드 리스트라고 한다.
그녀는 노가다 코딩만 한 게 아니라 수학자· 과학자· 공학자의 영역을 넘나들면서 아폴로 우주선의 달 착륙을 가능하게 했으며, 그 까마득한 옛날에 사실상 소프트웨어 공학이라는 학문 영역을 새로 개척했다고 한다. 이런 사람의 숨결을 받아서인지 NASA가 예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 최적화의 종결자 소리를 듣게 된 건지도 모르겠다.

한 마디로 여군 장성인 그레이스 호퍼의 뒤를 이은 미국의 천재 여성 프로그래머 정도로 생각하면 되겠다.
그녀는 나중엔 자기 이름을 따서 Hamilton Technologies라는 회사도 차렸다.
주요 솔루션이 Universal Systems Language이라고 하는데.. 말만 들어서는 PL과 SE 분야의 융합 같기도 하고 도대체 핵심 기술이 무엇인지가 봐도 모르겠다. 너무 추상적이어서 그런지...

저 때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가 개봉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시절이니, 그 당시에 딱 현업에서 종사하고 있었던 저분은 그 영화를 보는 눈이 남달랐을것이다. 아니 아예 영화 제작 과정에서 기술 자문도 해 주지 않았을까.

이 사람과 대등한 레벨의 괴수를 우리나라에서 찾자면 아무래도 성 기수 박사를 꼽을 수 있겠다.
일단 1934년생으로 연령도 비슷하고, 하버드 최단기 박사 졸업에다 우리나라 컴퓨터 역사의 산 증인인 분이기 때문이다.
우주선 시스템은 아니지만 88 서울 올림픽의 전산 운영 시스템을 총괄 개발했다. 게다가 이분 역시 원래 전공은 항공 우주로 NASA 입사를 지망하기까지 했으며, 1960년대의 컴퓨터와 프로그래밍 환경을 접했던 분이기 때문에 일치하는 면모가 많다.

저런 천재들을 보면 난 지금까지 도대체 뭘 하고 살았나 싶은 자괴감이 든다.

그리고 여담.

  • 저 사진에 있는 마가렛 해밀턴의 옷차림처럼, 무릎까지 올라오는 미니스커트(!)가 세상에 첫 등장한 것도 1960년대 후반의 일이다. 그러니 저 복장은 그 당시로서는 최신 패션이었다..!
  • '그레이스 호퍼(Grace Hopper)'는 grasshopper(메뚜기)와 단어 발음이 참 묘하게 비슷하다..;;

Posted by 사무엘

2015/12/26 08:39 2015/12/26 08:39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175

개발자의 수명이 짧은 이유

세상에는, 인생의 보편적인 패턴이긴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유독 강박관념에 가까울 정도로 심하다고들 하는 현상이 있다.
사람은 어느 분야에서든 젊을 때는 현역-_-에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여 몸 쓰면서 열심히 뛰고 일해서 결과물을 내고 돈과 명성을 끌어 모은 뒤,
나이가 들어서 노련하긴 하지만 몸이 예전만치 말을 안 듣고 밑으로 뛰어난 신참 후배들이 계속 들어올 무렵이 되면, 관리자, 해설자, 감독· 코치 등으로 물러나거나, 지금까지 모은 밑천으로 남을 부려 쓰면서 자기 사업을 한다는 것. 뭐, 이건 자연스러운 현상이긴 하다.

자율적이든 타율에 의해서든 뭔가를 열심히 만들던 위치이던 게 이제는 남에게 뭘 만들지 지시를 내리고, 그 과정을 관리하고, 남들이 만들어 놓은 걸 그냥 평가만 하면 되는 위치가 된다. 그거야말로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기도 하니까.
이제는 오히려, 체면과 위계질서 같은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자기는 현장에서 뛰고 일하고 뭔가를 ‘만드는’ 자리로는 가고 싶어도 갈 수가 없다. 후임에게 그 일을 완전히 맡기고, 간섭을 하지 말아야 한다.

전산학 개념으로 설명하자면,
‘X라는 input에 대해서 Y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solution Z를 다항 시간 만에 찾으시오(찾는 알고리즘을 고안하시오’
에서
‘X라는 input에 대해서 어떤 solution Z가 있을 때, 그게 Y라는 조건을 만족하는지 다항 시간 만에 검증하시오’
로 바뀌는 셈이다. 결정성 튜링 기계(DTM)가 비결정성 튜링 기계(NDTM)로 바뀌었으니, P와 NP가 동치이지 않은 한, 일이 편할 수밖에 없다.

난 대학이든 대학원이든 학교를 다니면서 교수들에 대해 무척 놀라는 면모가 있었다. 첫째는 특강 시간에 학생들이 무슨 주제로 발표를 하더라도, 심지어 발표 자료를 미리 올리지 않았더라도, 교수가 즉석에서 발표 내용에 대해 코멘트를 하고 그 바닥 사정이 어떤지 보충 설명을 주절주절 늘어놓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둘째는, 교수는 전산학과 교수라 해도 코딩에는 이제 진짜 전혀 신경 안 쓴다는 것. 이런 게 진정한 지도자 내지 사장· 상사 마인드인 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가령, 축구야 워낙 선수의 체력이 생명인 과격한 스포츠이다 보니 선수의 현역 수명이 굉장히 짧다. 그런데 프로그래밍이라는 업무, 또는 개발자라는 직위는 과격한 스포츠가 전혀 아닌데 적어도 한국에서는 여전히 수명이 짧다. 그 나이가 되도록 아직도 개발자라고 하면 이상하게 본다.
왜 그런 걸까? 한국에는 왜 노짱 개발자가 없는 걸까? 물론 이 바닥이 워낙 변화가 빠르고 날고 기는 친구들이 너무 많은 분야여서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그건 우리나라 사정만 그런 건 아닐 텐데 말이다.

문득 드는 간단한 시나리오로는... 1인 개발자가 프로그래밍만으로 먹고 사는 인프라가 마련돼 있지 못해서--극심한 불법복제, 개인 개발 작품의 품질 보증 문제 등의 여러 구조적인 문제-- 결국 프로그래머의 밥줄은 프로그래머 자신이 아니라 그 프로그래머를 이용하는 다른 경영자에게 달리게 되고, 그런데 그 경영자는 사업가· 장사꾼일 뿐이지 프로그래밍 바닥을 잘 모르는 사람이고.. 그 뒤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 이런 식으로 개발자에게 불리한 IT 시스템이 생긴 게 아닐까 한다. 어휴.

빵집의 개발자인 양 병규 씨는 개인 블로그에서 안 철수 씨가 백신 개발자로 남지 않은 걸 개인적으로 아쉬워한다고 썼었다. 물론 안 씨야 백신만 파기에는 너무 아깝고 대학 교수에, 장관에 뭘 해도 이상할 게 없는 넘사벽 천재 만렙 완전체이긴 하다만... 그래도 그 근성으로 백신 하나만 밀었다면 지금 여타 보안 솔루션들을 모조리 떡실신시키는 보안 귀재 장인이 되지도 않았을까? (그분이 안랩을 떠난 후 거기가 예전만 한 명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고)

본인은 프로그래밍을 좋아한다. 까놓고 말해 <날개셋> 한글 입력기 한 8.0~10.0까지 만들고 리눅스나 맥용도 응당 만들고 싶다. 여러 분야를 총괄하는 게 아니라 좁은 분야 하나만 스페셜리스트로 미치도록 파는 걸 좋아한다. 그렇다고 해서 노가다 코더 타입도 절대 절대 아니다. 군대로 치면 ‘장군’보다는 ‘준위’형 인물이다.

허나, 이거 개발을 언제까지 할 수 있을지 생각하면 한숨이다. ㄲㄲㄲㄲ 아직 갈 길이 먼데... 나 같은 사람이 종사할 만한 업종이 있으려나? -_-
결국은 역시나 돈 문제, 영적으로는 사회의 구조적인 죄 문제와 연결되는 걸 느낀다. 죄가 만연한 사회일수록 결국 일하고 생산하고 연구하는 업종보다는, 인간의 죄를 제어하고 다스리고 통솔하는 업종의 비중이 더 커지고 그 업종과 여타 업종간의 빈부 격차도 커지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Posted by 사무엘

2011/07/23 08:36 2011/07/23 08:36
, ,
Response
No Trackback , 7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544

※ Fabrice Bellard (프랑스) 1972년생
http://bellard.org/
홈페이지를 보면, 주인장은 수학과 전산학, 전자 공학의 완전 덕후임을 알 수 있다.
파이 계산, 컴파일러, 게다가 IOCCC(국제 난잡한 C 코드 경연대회) 입상 경력.
관심 분야가 이쪽과 상당히 비슷한, 본인의 모 지인이 떠오른다. (누굴까? ㅋㅋㅋ)
이 사람은 1990년대 도스용 실행 파일 압축 프로그램인 lzexe의 개발자이기도 하다.
겨우 고등학생 나이 때 8086 어셈블러로 직접 짰다고 한다. 흠좀무...;;;;;;
그 당시, V3로 바이러스 검사를 해 보면, 압축된 실행 파일은 검사가 되지 않고 압축부터 풀어야 한다는 경고문이 떴다. lzexe와 더불어 pklite도 실행 파일 압축 프로그램이었다.

※ David Fotland (미국) 1957년생
http://www.smart-games.com/
The Many Faces of Go라는 바둑 게임의 개발자이며, 회사까지 차려서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바둑 AI를 열심히 밀고 있는 게임 인공지능 전문가이다. (도스, 윈도우, 모바일 기기) 그 프로그램을 혼자서 다 만들었다니.. 대단하다.
생각보다 나이가 지긋한 분이다. 캘리포니아 주 산호세에 거주 중.

※ Jean-loup Gailly (프랑스)
http://gailly.net/
gzip의 개발자이며, 데이터 압축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유명하다. 아래아한글도 2.1 시절부터 이 사람이 개발한 알고리즘을 라이선스하여 hwp 파일 내부 압축을 구현하고 있다. 현재는 스위스 취리히에서 살고 있으며, 구글에 입사했다. 나이가 좀 있어 보이는 분인데 정확한 생년은 모르겠다.
이 사람도 바둑 매니아이다. 개인 홈페이지를 보면 바로 위의 the Many Faces of Go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응당 논평을 해 놓았다. AI가 세계 최강급은 아니지만 초보자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무척 잘 돼 있다나?

※ Ken Silverman (미국) 1975년생
http://advsys.net/ken/
듀크 뉴켐 3D의 기술 기반인 빌드(Build라는 단어 자체가 고유명사) 엔진을 개발한 게임 프로그래머.
뼛속까지 프로그래머 근성이 철철 흐르는 한편으로 과학, 스포츠, 음악 등등 온갖 분야에 해박한 엄친아라는 게 느껴진다. 빌드 엔진 역시 학창 시절의 작품이다.
지금까지도 딱히 정식으로 소속된 직장이 없이, 프리랜서 프로그래머로만 일하는 모양이다.

※ Shawn Hargreaves (영· 미 이중 국적) 1975년생
http://www.talula.demon.co.uk/
Ken과 동갑이고 비슷한 업종에 종사 중인 게임 개발자이다.
도스 시절, 32비트 C/C++ 컴파일러로 왓콤과 맞장을 떴던 GNU 계열의 DJGPP를 기억하시는가? DJGPP용으로 소스까지 공개이던 걸출한 게임 그래픽 라이브러리 알레그로를 만든 사람이 이 사람이다.
음악에 특별히 조예가 아주 깊은 매니아이다. 지금은 쟝 아저씨의 구글 입사와 비슷한 시기에 마이크로소프트에 입사해서 XNA 기반 게임 개발에 푹~ 잠겨 있는 듯.

말이 나왔으니 또 덧붙이자면.
본인은 중· 고등학교 시절에 스크래블 게임을 컴퓨터용으로 개발했다.
국내에 그런 프로그램이 개발된 사례가 없었기 때문에 응당 외국의 동급 프로그램들을 여럿 구해다가 벤치마킹을 했는데.. 알고 보니 그런 게임의 개발자 중에도 졸라 프로그래밍 고수가 많았다.

※ Jim Homan (1950년대생)
미국 출신. CrossWise라는 걸출한 게임을 혼자 만든 사람으로, 컴퓨터 AI가 굉장히 뛰어나고 프로그램 UI도 매우 프로페셔널하게 잘 만들어졌다. 윈도우 3.1용으로는 보기 드물게 비주얼 C++ 1.x + MFC로 개발되었다.
이 사람은 옛날에는 자기 회사를 차려 사업을 했기 때문에 회사 홈페이지 아래에 얹힌 개인 홈페이지에 개인 프로필도 나와 있었다. MIT에서 컴퓨터 과학을 전공하고 성적도 엄청 좋았고, 접해 본 플랫폼과 관심 분야 등등도 화려하기 그지없었는데, 지금은 이 사람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곳이 없다.

※ Graham Wheeler (1960년대생으로 추정)
http://www.linkedin.com/in/grahamwheeler
WordsWorth라는 게임을 만들었다. 개발자는 완전 수학 덕후로, 학부에서 수학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컴퓨터 과학으로 박사와 박사 후 연구원까지 마친 브레인이다. 국적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케이프타운 대학을 나왔다.
지금은 마이크로소프트에 입사. 프로필과 블로그를 보면 역시 뼛속까지 엔지니어를 넘어 골수 컴퓨터 과학자이다.

한 줄 요약: 세상은 넓고 덕후들, 고수들은 무진장 많다.

Posted by 사무엘

2010/08/20 09:03 2010/08/20 09:03
, , , , , ,
Response
No Trackback , 5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352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956154
Today:
524
Yesterday:
2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