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코코아, Win32 API, MFC 같은 플랫폼 종속적인 API를 전혀 쓰지 않고 순수하게 표준 C/C++ 라이브러리 함수만으로 백 엔드 엔진만 만들었다 해도 Windows + Visual C++로 작성한 코드가 안드로이드 내지 맥 같은 다른 플랫폼에서는 곧장 컴파일 되지 않거나, 빌드된 프로그램이 의도한 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회사에서 wchar_t 때문에 굉장한 불편을 겪었다. 잘 알다시피 Windows에서는 이게 2바이트이지만 다른 플랫폼에서는 4바이트이다. 플랫폼을 불문하고 2바이트 문자 단위로 동작하는 strcpy, strcat, strlen, printf, atoi 등등은 직접 구현이라도 해야 하는지..? 특히 파일로 읽고 쓰려면 말이다.

C++ string 클래스야 typedef std::basic_string<unsigned short> string16; 부터 먼저 만들어 놓고 썼다지만 그렇게 처음부터 객체를 만드는 게 아니라 raw memory를 다루는 상황에서는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이런 게 원초적인 애로사항이고 또, 소스 코드 내부에서 유니코드 문자열 상수를 표현하는 방식도 또 다른 난관이다.
언어가 제공하는 L"" 문법은 wchar_t형 기반이다. 그러니 wchar_t 말고 명시적으로 unsigned short 배열에다가는 문자열 상수를 쓸 수 없고 "가"를 { 0xac00, }로 표현하는 식의 삽질을 해야 한다.

거기에다 비주얼 C++은 C++ 소스 코드나 명령 프롬프트가 UTF8과 전혀 친화적이지 않다는 다른 문제점도 있어 더욱 불편하다. 유니코드가 등장하면서 플랫폼별로 문자열을 다루는 방식이 너무 심하게 파편화됐다는 생각이 든다.
문자열을 저장하고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식이 난립하는 것 말고(string class!) 문자열을 구성하는 문자를 표현하는 방식 그 자체부터가 말이다.

2.
하루는 Visual C++에서 표준 C 함수만 사용해서 만들어 준 코드를 안드로이드 내지 맥 OS 플랫폼으로 넘겨 줬더니 컴파일 에러가 났다. wcslen 함수가 선언되지 않았다고 꼬장을 부리는데 도무지 원인을 알 수 없었다. strlen은 인식되는데 wcslen은 왜 인식이 안 되는 거지?

그런데 알고 보니 wcslen은 strlen과는 달리 string.h가 아니라 wchar.h에 선언되어 있었다.
Visual C++은 string과 wchar에 wcslen을 모두 선언해 줬지만 타 플랫폼은 그렇지 않았다. 흐음~ 나의 불찰이다.

malloc/free 함수는 stdlib.h에도 있고 malloc.h에도 있다.
memset/memcpy는 string.h에도 있고 memory.h에도 있다.
그런 예가 몇 가지 있는 건 알고 있었지만 wcs* 함수는 Visual C++에만 string/wchar 겸용으로 선언돼 있었던 듯하다.
C 인클루드 헤더는 한 함수가 오로지 한 헤더에만 유일하게 존재하지는 않기도 하다는 것이 흥미롭게 느껴진다.

3.
요즘 표준 라이브러리들의 헤더 파일을 보면 함수의 인자마다 타입과 이름만 있는 게 아니라 소스 코드 정적 분석을 위한 Annotation 정보가 같이 들어있다. 같은 포인터라 해도 이건 읽기 전용, 쓰기 전용.. 쓴다면 어떤 조건으로 얼마만지 써지는지(옆의 인자만큼~) 같은 거.

그래서 함수 하나만 봐도 선언도 정말 덕지덕지 길어졌다. 이 정보들이 처음부터 있지는 않았을 텐데, 그 수많은 API들의 선언에다 일일이 다 기입하는 건 완전 중노동이었을 것 같다.
한때는 정적 분석 기능은 개발툴의 유료 최상급(엔터프라이즈 같은) 에디션에서나 접근 가능한 고급 기능이었는데, 이것도 죄다 무료로 풀리는 듯하다. 유료 GUI 툴킷이 통째로 MFC에 들어갔듯이 말이다.

4.
요즘은 CPU 아키텍처야 x86 아니면 ARM만 살아 남아서 그런지, 이식성을 논할 때 비트 순서, 일명 endian-ness 얘기는 별로 안 나오는 것 같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x86은 요지부동 리틀 엔디언인 반면, 옛날에 매킨토시의 밑천이던 PowerPC는 빅 엔디언이었다. 트루타입 폰트 포맷이 빅 엔디언 기반인 건 이런 애플의 영향력이 닿아서 그랬던 걸까?

먼 옛날 대학 시절에 터미널에 원격 접속해서 거기서 C 컴파일러를 돌려 봤던 게 본인으로서는 빅 엔디언 컴퓨터를 직접 구경한 처음이자 마지막 경험이다. 큰 자릿수가 앞부분부터 저장되다니 굉장히 신기했다. 이건 앞으로 수동 변속기 차량이라든가 IA64 (Itanium) 컴퓨터만큼이나 앞으로 또 접할 일이 없는 초희귀템으로 남을 것 같다.

최신 CPU인 ARM은 하드웨어 차원에서 endian-ness를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아무 쪽으로든 취사 선택이 가능하다고 한다. 사람으로 치면 완벽한 양손잡이이고, 철도에다 비유하자면 좌측/우측통행 전용 복선 철도가 아니라 어느 쪽으로든 운용 가능한 단선병렬과 비슷한 격이다.
결국은 다 지원하는 것으로 가는구나. 한글 코드에서 조합형/완성형 논쟁, CPU 미시구조에서 CISC/RISC 논쟁, 리눅스에서 그놈/KDE 셸 논쟁도 다 비슷한 방식으로 종결됐듯이 말이다.

비트 순서 같은 하드웨어 특성을 타는 요소 말고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언어 차원에서.. 사소하지만 코드의 이식성을 은근히 저해하는 요소는 내 경험상 몇 가지 있었다. 그러니 GUI가 없고 특정 운영체제의 API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해서 무작정 이식이 잘 될 거라고 기대할 수는 없다.

5.
당장 떠오르는 건, 64비트 상수를 나타내는 % 문자가 파편화돼 있다(%I64d, %lld). 그리고 long이 Windows에서는 64비트 플랫폼에서도 여전히 32비트이지만 타 플랫폼은 그렇지 않다. 그러니 이식성을 생각한다면, long은 파일 오프셋 계산에 영향을 주는 곳에서는 절대로 구조체 멤버로 쓰이거나 sizeof의 대상이 돼서는 안 된다. (앞서 논했던 char_t도 마찬가지이고!) 그런 데서는 정말 닥치고 int32, uint64처럼 비트수를 명시한 typedef를 쓰는 게 안전하다.

C#이나 Java, D는 아무래도 1990년대 중후반에 PC에서 32비트 CPU 정도는 확실하게 정착한 뒤에 등장한 최신 언어이다 보니, 32/64비트 플랫폼을 불문하고 long이 처음부터 일관되게 64비트였다. 하지만 C/C++은 그보다 훨씬 전부터 컴퓨터 하드웨어의 발전의 격변기와 동고동락했던 언어이다 보니, 저런 깔끔함을 기대할 수는 없는 노릇이 돼 있다.

그리고, fopen에다 주는 옵션에서 r/w/a (+)만 있고 b/t 모드가 지정되지 않았을 때..
Windows는 binary 모드로 동작하는 반면 맥에서는(타 플랫폼은 확인 안 해 봄) 디폴트가 text였다. 멀쩡한 코드가 완전 엉뚱하게 동작하고 파일이 쓰라는 대로 써지지 않고 읽으라는 대로 읽히지 않아서 한창 문제를 추적했더니.. 결국은 이런 데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것도 표준 규격이 정의돼 있지 않나 보다.

말이 나왔으니 말인데, Visual C++은 fopen조차 쓰지 말고 fopen_s를 쓰라고 권한다. printf_s, qsort_s 같은 *_s 물건은 안전하고 편리하긴 하지만 언제까지나 이식 불가능한 Visual C++만의 전유물로 남을지 궁금하다..

strdup와 _wcsdup는 표준처럼 생겼지만 진짜 표준인지 아닌지 알쏭달쏭한 놈이다. 앞에 괜히 밑줄이 있는 게 아니다. _wtoi 이런 것도 Windows를 벗어나면 컴파일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지뢰이니 strtol, wcstol을 쓰는 게 안전하다.
strtok의 경우 Visual C++은 토큰 컨텍스트를 따로 받는 _s 버전을 추가한 반면, 타 플랫폼은 strtok, wcstok 함수 자체가 그렇게 고쳐진 것도 있다. 이런 것들도 너무 골치아프다.

6.
끝으로, 이건 이식성하고는 큰 관계가 없는 얘기다만..
형변환 연산자인 static_cast는 코드 생성 차원에서 하는 일이 전혀 없거나(base class* → derived_class*, enum → int), 뻔한 값 보정(float → int, char → int), 또는 다중 상속일 때는 컴파일 타임 때 결정된 고정된 상수만치 this 포인터 보정 정도만(derived_class_B* → base_class) 하는 걸로 으레 생각했다.

그런데 다중 상속을 다룰 때 꼭 그런 일만 하는 건 아니다. 포인터가 처음부터 NULL이었다면, 거기서 또 얼마를 뺄 게 아니라 cast된 포인터도 그냥 NULL을 주는 예외 처리를 해야 한다. 과연 생각해 보니 그렇다. 아래 코드를 생각해 보자.

struct A { int a,b; };

struct B { int c,d; };

struct C: public A, public B { int e,f; };

void foo(B *pm) { printf("Received %p\n", pm); }

int main()
{
    C m, *pm=&m;
    printf("Passing %p\n", pm); foo(pm);
    pm=NULL; printf("Passing %p\n", pm); foo(pm);
    return 0;
}

단일 상속과는 달리, 다중 상속에서 passing의 값과 received의 값이 서로 달라질 수 있다고 아는 것은 하나를 아는 것이다.
그러나 NULL일 때는 다중 상속이더라도 언제나 NULL이 유지된다는 것이 함정이다. 우와.. 지금까지 한 번도 그런 경우를 생각한 적이 없었는데.. 꽤 충격적이다. 간단하지만 다중 상속의 보이지 않는 오버헤드를 보여주는 요소 중 하나이다.

Posted by 사무엘

2016/05/13 08:29 2016/05/13 08:29
, ,
Response
No Trackback , 5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226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226

Comments List

  1. Lyn 2016/05/14 00:08 # M/D Reply Permalink

    %lld 는 양쪽 다 먹으니 그쪽으로 통일하세용~

    그리고 정수형은 int8_t ~ uint64_t 로 이미 타입 def가 전부 통일 된 상태입니다.
    문자열도 string 도 이제 와선 u16string u32string 가 추가 되었구요. 나름 C++도 언어가 발전 하면서 플랫폼 차이가 점점 줄어 들고 있습니다...

    오히려 C쪽이 문제죠. VC++은 C를 지원하지 않으니... ICC는 쓰는곳이 그리 많지 않고,

    1. 사무엘 2016/05/14 00:30 # M/D Permalink

      아하. 제 기억으로 비주얼 C++이 아주 옛날 버전(4~6?)은 long long을 지원하지 않고 __int64만 지원했었습니다.
      그게 개선된 것처럼 %lld도 그렇게 된 듯하네요!

      u16string, u32string이 정식으로 들어간 건 이 글을 쓰고 예약 찍어 놓은 뒤 나중에 추가로 알게 됐답니다. 본문엔 업데이트가 안 됐군요. ㅎㅎ

    2. 3123Lyn 2016/05/15 16:40 # M/D Permalink

      네 맞습니다. long long 이 C++ 표준에 있기 전 나름대로 확장 했던 시절엔 그랫구요, 지금은 양쪽을 다 지원하고 있습니다.

      근데 개인적으론 long long 이 너무 길어서 __int64를 ...

  2. 사포 2016/05/16 08:59 # M/D Reply Permalink

    하긴 그래서 앵간한 C++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는 자체적으로 문자열 타입을 만들고 API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ㅋㅋ 저도 최근에 XML 쪽으로 작업을 했었는데 초반에 인코딩과 관련해서 머리 좀 썩혔습니다..ㅠㅠ

    1. 사무엘 2016/05/16 10:08 # M/D Permalink

      그렇습니다. 이와 관련된 옛날 글은 http://moogi.new21.org/tc/743
      문자열은 연결 리스트나 배열과 더불어 중복 구현이 왕창 많은 기초 자료형일 거예요. 날개셋 한글 입력기도 자체 구현해서 씁니다. ^^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1117 : 1118 : 1119 : 1120 : 1121 : 1122 : 1123 : 1124 : 1125 : ... 2205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3056937
Today:
1460
Yesterday:
1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