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은 2010년대에 북한산을 두 번 올랐다.
처음엔 정릉 유원지에서 등산을 시작해서 최고봉인 백운대 정상을 지난 뒤, 우이동으로 하산했다.
그 다음으로는 국민대에서 등산을 시작해서 대성문과 대남문을 지난 뒤, 구기동 방면으로 하산했다.
본인은 그로부터 거의 1년 뒤에 북한산의 더 서쪽을 탐험하러 떠났다. 북한산은 워낙 넓고 크고 봉우리가 많기 때문에 개척할 곳이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
또한 도심에서 가깝고 작고 공원 느낌이 나는 산보다는, 힘들더라도 좀 더 규모가 있는 산을 종종 오르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지금까지 말로만 듣던 이북5도청을 직접 가서 구경했다. 황해도, 평안남· 북도, 함경남· 북도..;; 저기는 비록 대한민국 정부의 통치가 닿지 못하는 미수복 영토이지만, 통일을 지향한다는 상징적인 의미에서 이들 지역에 대한 관청을 만들어 놓고 대북· 통일 관련 업무를 본다고 한다.
설립 취지는 이해가 가지만, 저기는 개막장 급의 낙하산 인사로 사람을 뽑아서는 하는 일 대비 과도한 급여와 특혜를 주는 비리의 온상으로 전락했다고 맹렬한 비판을 받기도 하나 보다.
여기까지 가는 데는 7212번 버스를 이용했다. 북악산· 북한산· 인왕산으로 가는 버스는 다들 광화문 역 2번 출구에서 탑승 가능했다.
7212는 이북5도청까지 가서는 유턴해서 도로 밖으로 나갔다. 그렇다고 해서 여기가 버스의 종점인 건 아니고, 교통 편의 제공 차원에서 한번 경유만 하는 것이다(종점은 은평 공영 차고지).
본인은 버스에서 내린 뒤, 산을 향해 계속 오르막길을 올라갔다. 드디어 비봉 탐방 지원 센터가 나타났다.
한때(대략 10수 년 남짓 전)는 여기에 다 매표소가 있었지만, 국립공원들이 모두 무료로 풀리면서 이 오두막은 관리를 하는지 안 하는지, 직원이 있는지 없는지 모를 장소가 됐다.
국립공원답게 처음에는 '등산로가 아닌 곳은 출입금지' 경고문이 붙은 울타리와 함께 넓은 흙길이 나왔다. 하지만 등산로는 얼마 지나지 않아 그런 거 없이 가파른 돌계단 형태로 바뀌었다.
절이나 약간의 등산로 시설 자체(울타리, 밧줄, 계단..?) 말고는 벤치, 정자, 옛날 유적, 군사 시설(!!) 등 그 어떤 인공물도 없었으며 아래 경치를 볼 만한 곳도 없었다. 비봉 능선에 도달할 때까지는 말이다.
드디어 산등성이에 올랐는데... 완전 딴판의 광경이 펼쳐졌다. 여기에는 눈이 녹지 않고 쌓여 있었다. 그리고 아주 차가운 바람이 불어 왔다.
저긴 아마 향로봉? 내가 가려는 길과는 다른 쪽에 있어서 저기로 가지는 못했다.
해발 560m, 비봉 정상을 알리는 표지판이 등산로에 놓여 있었다.
하지만 진짜 정상으로 가려면 근처의 거대한 암반을 올라야 하는데, 이건 별도의 등반 장비를 이용해서 오를 수 있으며 지금은 위험하다고 길이 폐쇄되어 있었다. 하긴, 눈까지 내려 있는데 위험할 만도 해 보였다.
계속 길을 갔다. 그늘진 곳은 눈이 장난 아니게 쌓여 있었다. 벌써부터 내려가는 길이 걱정되기 시작했다.
인왕산에 '기차 바위'가 있다면, 북한산 비봉 일대에는 '사모 바위'가 있는 모양이다. 역시 네임드급 산은 다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모 바위 부근에는 꽤 넓은 공터와 전망대가 놓여 있었다. 북한산성도 아니고, 북한산에서 이런 광경을 보게 될 줄은 몰랐다.
그리고.. 1968년 일명 1· 21 사태 때, 청와대 근처로 침투했던 북괴 무장공비 수십 명이 바로 이 사모 바위 아래의 틈새 동굴에서 집단 숙영을 했다고 한다. 저 먼 거리를 걸어서 이동했다니 그 근성 한번 대단하다. 게다가 쟤들은 공작 활동에 필요한 온갖 물건들을 갖고서 무거운 상태로 평지도 아닌 산길을 다녔다.
저 아래에 들어가 보니까 찬바람이 전혀 들어오지 않고 따뜻하고 지낼 만하긴 했다. 짱박혀서 캠핑을 하기에 좋은 곳이다.
역광이긴 하다만 사모 바위만 따로 사진을 찍었다. 북한산은 어떻게 형성됐길래 이런 바위가 떡 놓여 있는지 궁금하다. 여느 흔한 흙산들과는 격이 다르다.
이것도 찍고 보니 색감과 분위기가 왠지 좋다.
본인은 이 바위를 건너 저 앞쪽으로 진행하는 걸로 하산 경로를 잡았다. 그런데 바위 위에 눈이 얼어붙어 있어서 하산길에 애로사항이 사정없이 꽃폈다. 본인은 아이젠이나 스틱 같은 장비를 전혀 챙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도봉산과 수락산을 오르면서 도봉 차량 기지를 내려다본 적은 있었지만 지축 차량 기지를 내려다본 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산을 내려가는 건 계속 이런 식이었다. 잘 가다가 또 빙판 바위를 만나면 한 발 한 발 내딛는 게 엄청난 모험과 스트레스가 돼 버려서 진행 속도가 급격히 떨어졌다.
중간에 산이 구름에 뒤덮였는지, 싸락눈이 휘몰아치고 주변이 온통 하얘져서 아래가 하나도 안 보이게 되기도 했다.
그리고 한참을 내려간 뒤에야 드디어 바위가 다 끝나고, 나무가 가득한 숲길 흙길이 나타났다.
삼천 탐방 지원 센터로 가는 게 계획이었지만 중간에 길을 잘못 들었는지 그리로 못 가고, 진관사 방면으로 착륙했다.
여기도 나름 인서울이다. 진관동은 서울의 북서쪽 외곽의 마지노 선으로, 뭔가 서울 같지 않은 곳이다.
진관사를 지나자 여기에는 웬 은평 한옥 마을이 있었다. 이런 게 언제 무슨 취지로 생겼는지 모르겠다. 건물들을 보니 지어진 지 그리 오래되어 보이지는 않는다.
그리고 위의 사진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사진 배경의 뒤쪽으로는 말로만 듣던 '하나 고등학교'가 있었다. 하나 은행 계열의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이다.
큰길을 따라 여기보다 더 북쪽으로 가면 드디어 행정구역이 서울을 벗어나서 고양시로 바뀌고, 주변에 각종 예비군 훈련장들이 나오면서 분위기가 삭막해진다. 하지만 한편으로 북한산성을 더 가까이 낀 북한산 등산로도 나온다.
여기에서 서울 시내로 가는 노선 버스로는 파란 간선 버스 704가 있어서 북한산 등산객들이 즐겨 이용한다. 하지만 이거 말고도 7211도 있다(아까 탔던 건 7212). 704는 서울 역 환승 센터로 가는 반면, 7211은 구기 터널, 국민대, 길음 역, 고려대, 신설동 등 북쪽 선형을 쭉 유지한다는 차이가 있다.
본인은 갈 때와 올 때 모두 초록색 버스를 이용하며 등산을 마쳤다. 이번 산행에서는 예전의 두 차례 산행과는 달리 북한산성은 전혀 구경하지 못한 대신, 1· 21 무장공비의 동선과 관련된 새로운 정보를 뜻하지 않게 얻을 수 있었다. 나머지 북한산의 메리트는 암반과 크기와 경치로 정리될 듯하다.
Posted by 사무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