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게 이야기

1. 바퀴를 굴릴 수 없는 곳에서 짐을 나를 때

인간은 손으로 다 들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짐을 간편하게 한데 넣어 다니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가방을 사용한다. 그런데 그 가방도 운반하기 위해서는 손을 사용해야 하니, (1) 손을 전혀 쓰지 않고 싶거나 (2) 팔과 손만으로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무거운 짐을 날라야 할 때는 백팩이나 배낭처럼 어깨에다 메는 물건을 사용하게 된다.
참고로 바퀴 달린 캐리어는 끌기 위해 여전히 손을 하나 써야 하기 때문에 (1)은 충족하지 못하지만, 바퀴 덕분에 (2)는 그럭저럭 충족한다는 차이가 있다.

그런데, 메는 부류에 속하는 물건 중에는 '지게'라는 것도 있다. 얘는 짐을 몽땅 감싸는 게 아니라 짐의 아래만을 받치는 형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게는 그 위에 쌓는 짐의 크기에 그다지 제약을 부과하지 않으며, 짐꾼의 체력이 허용하는 한 굉장히 많은 짐을 싣게 해 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흑백 원본에다가 뭔가 어설프게 색을 입힌 사진인 듯..)
지게는 왠지 옛날에 나무꾼들이 많이 사용했을 것 같다. 하지만 얘는 나무 말고 다른 짐을 나르는 데도 많이 사용되었으며, 오늘날도 나무는 아니고 알루미늄 재질의 지게가 만들어져 쓰이고 있다. 대문자 A 글자를 닮은 외형 덕분에 영어권에서는 A-frame carrier라고 불린다.

지게가 하필 나무꾼의 상징으로 등극한 것에는 다 이유가 있다. 사람이 다른 백팩이나 캐리어도 아니고 지게를 동원해서 저렇게 많은 짐을 꾸역꾸역 날라야 하는 상황이란, 바퀴를 활용할 수 없을 때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꼬불꼬불 좁은 산길은 이 조건에 완벽하게 해당된다. 거기서는 자동차는커녕 수레조차 끌 수 없으며, 캐리어의 그 작고 연약한 바퀴 역시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런 열악한 지형을 감당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운송 수단은 사람의 다리와 지게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지게 부대

과거 6· 25 전쟁 중에는 민간 지게꾼들이 미군에 의해 대거 징발되어 수송· 보급 임무를 수행했다. 일명 '지게 부대'인데.. 명칭이 뭔가 '부대찌개'를 연상케 한다. ㄲㄲㄲ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왜냐고? 한반도는 온통 산지이고 도로다운 도로 인프라가 없었기 때문이다.
일제 시대엔 차도가 그나마 전국에서 제일 잘 닦여 있던 경성 시내조차도 아스팔트 포장이나 차선이나 신호등 따위 없었다. 아무 시설이 없으니 해방 후 미군정이 1946년 봄에 자동차의 통행 방향조차 우측으로 곧장 변경할 수 있을 정도였다. 하물며 서울을 벗어나면 그냥 전부 흙길 뻘밭..

지게 부대는 1951년 이후의 첩첩산중 고지전에서나 운용한 게 아니라 1950년 7월, 이미 대전이 함락되고 낙동강 고지를 사수하네 마네 하던 시절부터 운용되었다. 경부 고속도로의 건설 비화만 봐도 알 수 있듯, 대전-대구 사이 구간 역시 지형이 만만찮게 험하기 때문이다.
이들의 활약상에 대해서는 다른 글동영상이 이미 많이 올라와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란다. 원래 3, 40대 장정들만 모집한다고 광고했는데 더 어린 소년들과 60대 노인들까지 왕창 몰렸다고 한다.

<야인시대>에서 김 두한이 기를 쓰고 "4딸라!"를 고집하면서 올리려고 했던 건.. 이렇게 미군에 고용되어 부역한 민간인들의 임금(일당)이었던 셈이다. 뭐, 지게꾼들 말고 배에 산더미처럼 쌓인 보급품들을 하역하는 알바(?)들도 있었다고 한다.

그들이 그 시절 물가 기준으로 실제로 받았던 일당은 낮과 밤이 서로 차이가 있긴 했지만, 평균을 내면 4딸라는 개뿔, 1$도 안 되는 50센트 남짓이었다고 한다.
그래도 그건 미군이 로동력을 저렴하게 착취한 게 결코 아니었다. 노동 여건을 비롯해 그 시절의 병사 월급이나 타 업종 소득과 환율을 총체적으로 감안하면.. 저것도 오히려 넉넉하고 후하게 준 것이었다. 그래서 지원자가 몰렸었다.
드라마 내지 원작 소설에서는 무슨 근거로 무슨 약을 빨고 하필 4딸라를 고집했던가 모르겠다..

또한, 한반도의 이런 안습한 도로 사정은 남한뿐만 아니라 북괴의 입장에서도 동일하게 불리한 요인이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니 인천 상륙 작전으로 허를 한번 찔리자 놈들도 보급로가 완전히 작살나서 곧 후퇴해야 하게 됐다.

3. 나무꾼

지게가 나왔으니 말인데.. 옛날에는 나무를 벨 때 <선녀와 나무꾼>, <금도끼 은도끼> 같은 전래동화에 묘사된 바와 같이 도끼를 주로 썼던 것 같다. 인간의 팔힘만으로 육중한 나무를 찍어서 쓰러뜨리는 건 굉장히 힘든 노동이다. "열 번 찍어서 안 넘어가는 나무"도 없을 리가 있겠나...

지금은 톱이 주류로 바뀌었다. 옛날에도 톱이 없는 건 아니었지만, <흥부전>에서 박을 썰어서 개방하는 장면에서나 봤던 것 같다.
요즘은 그냥 톱이 아니라 동력 엔진이 달린 전기톱, 사슬톱, 기관톱(??)이 있으니 힘을 덜 들이고 나무를 벨 수 있다. 하지만 대단히 위험한 건 감수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이야 전기, 가스 같은 편리한 에너지 덕분에 옛날처럼 '땔감'을 마련하기 위해 나무를 벨 필요는 없어졌다. 원시적인 지게보다는 지게차 같은 다른 육중한 동력 기계가 더 친숙한 세상이 됐다. 이제 도끼는 망치에 가까운 소형 버전이 유리창 깨고 자물쇠 딸 때, 비상 탈출용으로 쓰이는 것 같다.

더티한 화석연료가 역설적으로 산림을 보호해 주고, 원자력은 화석연료를 아껴 준다는 것이 반박불가의 진리이다. 인류가 문명의 이기들을 다 때려치우고 하루아침에 석기시대로 돌아가서 살 게 아니라면 말이다. 산업화 되기 전인 조선 시대 내지 북한이 온통 민둥산인 건 이유가 있다.

뭐, 조선 시대나 6· 25 전쟁 당시가 아닌 지금도 벌목 자체는 행해지고 있을 것이고.. 또 히말라야 산맥 같은 높은 산을 오르기 위해서는 등산가들의 수많은 보급 물자들을 같이 날라 주는 현지인 짐꾼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그들 역시 결국은 지게 같은 원시적인 도구를 써서 짐을 나른다. 에베레스트 정상에 무슨 군부대나 차도가 있는 것도 아니니..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담이지만 과거에는 나무꾼을 '나뭇군'이라고 표기했었다. 그리고 30년쯤 전에 맞춤법이 바뀌면서 '나무꾼'이라고 바뀌었다. 일꾼, 짐꾼, 몰이꾼처럼 말이다. 이 접미사는 사이시옷 대신 된소리 형태로 표기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4. 언어 관련

끝으로.. '지게'는 스펠링이 '개'가 아니라 왜 '게'인 걸까?
명사화 접사 '-개'와 '-게'는 공교롭게도 모두 용언 어간 뒤에 붙어서 그 동작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라는 의미를 만들어 준다. 전자는 베개, 지우개, 가리개, 덮개 따위가 있고 후자는 집게, 그리고 지게 정도가 있다.

의미와 용례가 비슷해 보이는데 왜 이런 구분이 생긴 것일까? 얼마 있지도 않은 후자를 '집개, 지개'라고 통합하면 많이 어색하려나? 둘의 어원이 궁금하다.
아, '-개'의 경우, 드물게나마 체언 뒤에 붙는 '-쟁이'와 비슷한 역할도 한다. 오줌싸개, 코흘리개 말이다. 이때는 '-개'가 물건이 아니라 사람이 된다. '-게'에는 이런 용법이 존재하지 않으니 참 흥미로운 면모라 하겠다.

다음으로, '지게'를 사람 등에다 장착하는 동작을 표현하는 용언으로는 '지다'뿐만 아니라 '메다'도 있다. 그리고 '-게' '-개'뿐만 아니라 '메다'와 '매다'도 만만찮게 헷갈린다.
'메다'는 어깨에 짊어지는 것, 무형의 임무를 떠맡는 것, load, charge와 관계가 있고.. '매다'는 매듭, 매달기, 묶는 것과 관계가 있다(tie, bind).

거기에다 추가적으로 김매기는 '매다'이고, 뭔가 채워져서 막히는 것도 '메다'이다.
그래서 목을 어떻게 해서 자살하는 건 '매다'(묶어서 대롱대롱..)이고, 목이 어떻게 돼서 말이 안 나오는 건 '메다'이다.
이상이다. '지게'에서 시작해서 별 희한한 주제의 얘기들이 다 튀어나왔다.

Posted by 사무엘

2019/05/30 08:34 2019/05/30 08:34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623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623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726 : 727 : 728 : 729 : 730 : 731 : 732 : 733 : 734 : ... 2205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3073777
Today:
1235
Yesterday:
1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