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쓰이고 있는 컴퓨터라는 기계의 이론적 근간을 마련한 사람으로는 앨런 튜링(영국)이라든가 폰 노이만(헝가리->미국) 같은 불세출의 천재 수학자가 있다. 그런데 영국에서는 튜링보다 먼저, 범용적인 계산 기계라는 개념을 떠올렸던 천재가 있었으니 바로 찰스 배비지(1792-1871)이다. 전산학도라면 배비지의 해석 기관에 대해 들어 보지 못한 사람이 없을 것이다.

그는 시대를 너무 앞서 간 괴짜 덕후였으며, 재정 부족과 당대의 기계 제작 기술의 부족 때문에 그의 꿈이 당장 완전히 실현되지는 못했었다.
참고로 창조 과학회에서는 배비지가 독실한 크리스천 과학자였다고 띄우고 있다. ㅋㅋ 링크를 소개한다. (그 반면 튜링은 동성애자인 데다 자살로 생을 마감했으니, 기독교 진영에서는 별로 좋아할 구석이 없겠다)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243

그런데, 이 시대에 영국에서는 배비지의 계보를 이을 천재 수학자가 또 태어났는데, 이번엔 여자였다. 그녀의 이름은 에이다(Ada Lovelace; 1815-1852). 인류 역사상 최초의 프로그래머라고 일컬어지는 먼치킨 엄친딸 공순이이다. 이 두 사람은 사진기가 발명되기 거의 직전의 시기를 살았던 사람인지라 사진은 전해지지 않으며, 초상화나 스케치로 그려진 모습만 전해 내려온다. 하지만 에이다는 상당한 미녀였다고 한다. Lovelace라는 성은 백작 작위를 얻은 남편의 성에서 딴 것.

에이다는 ‘자고 일어나 보니 유명해졌더라’ 같은 어록으로 유명한 시인 바이런의 외동딸이었다. 아버지가 희대의 바람둥이었다고 하는데 딸 역시 머리가 비범했고 나중에는 도박에 빠졌다고 하니 평범한 인생을 살지는 못했으며, 그러다 자궁암 때문에 30 중반의 나이로 요절하여 세상을 짧고 굵게 살다 갔다.

그녀는 남들이 도무지 이해를 못 하던 찰스 배비지의 해석 기관의 원리를 간파하고 그 기계의 무한한 가능성을 알아차린 당대의 극소수 덕후 중 하나였다. 오늘날 절차형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 골격이라 할 수 있는 루프, 조건문, 서브루틴 같은 개념을 떠올렸다. 그것을 처리하는 기계를 만들고 그 틀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짜서 돌리면, 기계로 음악도 작곡하고 그림도 그리게 할 수 있다고 상상했다. 무려 19세기에 말이다!

배비지 역시 에이다의 재능과 글빨에 큰 감명을 받았다고 한다. 그녀는 기계가 숫자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10진법이 아닌 2진법이 유리하다는 발상을 했으며, 베르누이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해석 기계를 기반으로 실제로 작성하기도 했다. 그래서 최초의 프로그래머이다. ㅎㄷㄷ;;; (베르누이는 유체 역학에서 배우는 베르누이의 원리를 발견한 그 과학자 겸 수학자이다. H2O가 뭔지 정도야 '문과 출신'도 알겠지만, 베르누이의 수가 뭔지는 어지간한 이과 출신도 들어 보지 못했을 것이다.)
http://www.bernoulli.org/

그로부터 100년 남짓한 시간이 지나고 전자식 컴퓨터가 실제로 발명되었을 때, 한 절차형 프로그래밍 언어는 바로 이 여성 프로그래머를 기려, 그녀의 이름을 따서 Ada라고 명명되었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이름에다가 전설적인 프로그래머의 이름을 붙였으니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Ada 언어는 1983년에 첫 제정되었으며, 이는 시기적으로 C++의 탄생 시기와 일치한다. C++의 고안자가 스웨덴 사람인 반면, Ada의 초창기 핵심 고안자는 프랑스 사람이었다. Ada는 당시 난립하던 프로그래밍 언어들의 통합을 목적으로 미국 국방성으로부터 강력한 후원을 받으며 만들어졌다. 그래서 그쪽 바닥--무기를 가동하는 전산 시스템 같은--에서는 지금까지도 표준 언어로 쓰이고 있다고 한다.

본인은 에이다 언어에 대해서 잘은 모르지만, 이 언어의 문법은 일단 파스칼과 얼추 비슷하다. 암호스러운 기호들보다는, 타이핑을 더 하더라도 깔끔하게 영어 단어 표기를 선호한다. 패키지 단위로 빌드가 이루어지는 것도 C/C++보다는 파스칼 방식이다. (참고로 베이직 언어의 경우, MS의 퀵베이직은 include에 컴파일/링크까지 C언어의 빌드 모델을 그대로 이어받은 반면, 파워베이직은 파스칼과 비슷한 방식을 쓰고 있다는 것이 흥미로움.)

Ada에 대해서도 예제 코드를 보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미리 말하지만 C/C++의 사고방식보다는 파스칼의 관점에서 보면 굉장한 동질감을 느낄 수 있다. 심지어 대소문자 구분이 없는 언어라는 것까지도 똑같다. 비록 요즘 C++의 영향을 받은 자바나 C# 같은 언어들의 추세는 대소문자 구분이지만 말이다. 더 자세한 것은 http://www.adahome.com/ 참고.
아니, 그러고 보니 Ada는 수학자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것까지 파스칼과 일치하는구나.

Ada는 기존 언어들의 통합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만큼, 이것저것 여러 언어 요소들을 집어넣느라 표현의 자유가 굉장히 넓으며, 제공되는 언어 요소가 많다.
무슨 말이냐 하면, 가령 다차원 배열(a[2,5])과 배열의 배열(a[2][5])을 구분하여 모두 표현할 수 있고,
단축연산이 지원되는 논리 연산자와(and also나 or else), 그렇지 않은 연산자(그냥 and나 or)가 모두 제공된다.

파스칼처럼 0..100 같은 식의 subrange도 당연히 지원되고, 똑같은 정수형이라도 int 같은 기본 자료형과 완전히 호환되는 단순 alias/typedef인지, 아니면 int와 호환되지 않는 별개의 타입인지도 지정 가능하다. 타입 하나는 C/C++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이 정교하고 엄격하게 만들 수 있어서 좋다.
함수 안에다 함수도 당연히 만들 수 있고, while이나 for 같은 loop 자체에다가 label 이름을 붙여서 다중 loop을 goto문 없이 바로 탈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것들만 있는 것도 아니고, 어쨌든 Ada는 처음 발표되었을 때는 문법이 필요 이상으로 너무 복잡하고 컴파일러로 다 구현하는 데 난감하다는 불만도 있었다고 한다. Quicksort의 고안자께서도 그렇게 불만을 제기한 사람 중 하나였다고 함. 하지만 오늘날은 C++도 가히 복잡성 면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경지에 도달한 것 역시 사실이다.

그다지 여성향을 느낄 수 없는 것 같은 전산학 분야에도 이런 사연이 있는 여성의 이름을 딴 프로그래밍 언어가 존재한다는 것이 흥미롭다. 여성 프로그래머 모에~ 이다. 하하. =_=;;
참고로 성경에는 Ada와 가장 비슷한 이름으로 유대 왕국의 왕 Asa가 있으나, 물론 성별부터가 다르다.

에이다가 살아 있던 19세기에 우리나라는 뭘 하고 있었는가? 딱 흥선대원군 시절이다. 그런데 본인은 그 시절 조선의 역사에 대해서 좋은 기억이 도무지 없다. 19세기 하면 홍 경래의 난, 전 봉준 동학 운동, 게다가 명성황후 시해 등... 나라는 점점 탐관오리 부정부패와 외세의 침략에 휘말려 막장으로 치닫다가 이내 일제에게 주권을 빼앗기고 만다. 그런데 그 시절에 영국은 저런 상상을 초월하는 학문적 성과가 속속들이 발표되고 있었으니... 오옷 역시 킹 제임스 성경과 철도를 만들어 낸 나라! 괜히 전세계를 호령한 선진국이 아니다.

게다가 전자기학의 대부인 마이클 패러데이(1791-1867), 제임스 맥스웰(1831-1879), 그리고 나중엔 찰스 다윈(1809-1882)이 전부 동시대를 살았던 영국의 과학자들이다! 이 정도면 충격과 공포가 아닐까? 맥스웰도 마찬가지이지만 패러데이는 다윈의 진화론을 단호하게 반박하고 부정한 것으로 유명한 사람인데(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644&orderby_1=subject 참고), 에이다로부터 연애편지를 받고서 사랑의 힘으로 더욱 분발(?)하여 전자기력  관련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다 ‘카더라’. 그러고 보니 패러데이는 찰스 배비지와 거의 동갑이니 흠좀무.

끝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인데, 에이다 부인은 암 치료 과정에서, 당시 통용되던 bleeding (또는 bloodletting) 시술 중에 사망했다. 쉽게 말해 피를 빼내는 작업이다. 옛날 사람들은 병에 걸리면 환자의 혈액에 독소가 차기 때문에 그걸 제거하면 병이 나으리라고 믿었던 모양이다. 마치 체했을 때 손가락 끝을 따는 것처럼? 그런데 그렇게 바늘로 찔러서 몇 방울 따는 것과는 비교도 못 할 정도로 피를 많이 퍼내다가 오히려 환자를 탈수와 쇼크로 인해 죽게 한 경우도 많았다고.

미국의 초대 대통령이며 세계 최초로 자기 임기만 마치고 권좌에서 물러난 지도자인 조지 워싱턴도 bleeding 중에 죽었다. 문헌을 찾아보니 그는 은퇴 후 노후로 인한 폐렴· 천식· 독감 합병증에 걸렸는데, 의사가 치료랍시고 허약한 노인의 피를 5 pint... 거의 2리터가 넘게 빼냈던 것이다. 성인 인체의 전체 혈액이 5리터 남짓이라 하며 헌혈만 해도 아주 건장한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많이 채혈할 때가 3~400ml 정도 하는데, 그의 5배가 넘는 양을 뽑아냈으니 환자의 명을 재촉하는 행위밖에 더 되었겠는가? 그 당시는 혈액에 면역 시스템이 있다는 걸 모르던 시절이었고, 육체의 생명이 피에 있다는 걸(레 17:11) 실감을 못 했었다.

http://gwpapers.virginia.edu/articles/wallenborn.html
http://www.av1611.org/amazing.html

Posted by 사무엘

2010/07/29 08:36 2010/07/29 08:36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333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333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1920 : 1921 : 1922 : 1923 : 1924 : 1925 : 1926 : 1927 : 1928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985059
Today:
612
Yesterday:
2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