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라카낭의 비극

지금으로부터 70여 년 전, 우리나라가 일제로부터 해방된 지 얼마 되지 않았던 1950년 부근에 우리나라의 '축구' 역사는 정말 가난함, 배고픔, 눈물 젖은 빵, 필살의 투혼, 처절함 그 자체였다.
1948년 런던 올림픽에 가까스로 출전했을 때는 16강전에서 멕시코를 5:3으로 꺾었다. 하지만 8강전에서 스웨덴에게 0:12로 대패했다.

1954년 FIFA 월드컵(스위스)에 첫 참가할 때는 지역 예선에서 다른 나라도 아니고 불구대천의 원수 일본과 맞닥뜨리게 됐는데..
다른 나라는 몰라도 일본한테는 죽어도 절대 질 수 없다는 불굴의 투지로 일본을 꺾고(1차전 5:1, 2차전 2:2) 본선 진출까지 이뤘다.

이전의 런던 올림픽이야 전쟁이 끝난 직후였고 일본이 전범국 명목으로 반성하고 찌그러져 있느라 참가를 아예 못 했던 상태였다. 허나, 저 때는 세월이 흘러 그런 버로우가 풀렸기 때문에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 한일전도 존재하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는 그렇게 일본을 꺾긴 했지만, 본선에 가서는 헝가리에게 0:9로 지고, 터키에게도 0:7로 져서 탈락했다.
스코어만 보자면 이거 무슨 축구가 아닌 야구의 처참한 콜드게임 스코어 같다. 그러나 이것도 최악의 여건 속에서 홍 덕영 골키퍼가 스코어 숫자보다 훨씬 더 많은 슈팅을 죽기 아니면 까무러치기로 막아낸 덕분에 얻은 결과였다. 그래서 유럽의 축구 팬들이 한국 골키퍼에게서 싸인을 받아 갈 정도였다.

우리나라는 이렇게 뭉클한 "졌지만 훌륭하다"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 반면.. 비슷한 시기에 지구 반대편의 중남미 브라질에서는 일명 '마라카낭의 비극'이라고 불리는 처절한 흑역사가 만들어졌다.

때는 1950년 7월 16일.. 우리나라는 저 때 전쟁 나서 대전까지 빼앗기네 마네 하던 상태였으며, 조지 리비 중사, 김 재현 기관사 이런 분들도 딱 이 시기에 전사했다.
허나, 그때 브라질에서는 FIFA 월드컵이 개최 중이었다. 브라질은 홈그라운드의 이점을 살려 매 경기마다 압도적인 대승과 함께 결승에 진출했으며(스웨덴 7:1, 스페인 6:1), 마지막 우루과이를 상대는 꼭 이길 필요 없이 비기기만 해도 최종 우승이 예정돼 있었다.

브라질은 이 정도면 이미 다 이긴 경기라고 전국적으로 믿어 의심치 않았었다. 자화자찬용 메달을 미리 만들어 놓고 우승 자축 연설문도 다 써 놓고.. 이 대회만을 위한 승전가까지 작곡하고..

그랬는데 그랬는데 이 경기에서 브라질은 우루과이에게 1:2로 통한의 역전패를 하고 말았다.
스코어가 1:0이었다가 1:1, 1:2로 바뀌니.. 무려 15만~20만 명이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됐던 관중석 분위기는 시간이 흐를수록 싸늘하게 식어 갔으며, TV 카메라는 후반전부터는 관중석은 아예 비추지도 않기 시작했다.

우루과이의 승리로 경기가 끝나 버리자 브라질 관중들은 몽땅 넋이 나가 버렸다. 메달이고 자축 연설이고 승전가고 몽땅 다 나가리가 났다.
무려 17만 명이 넘게 모였었다고 하는 관중석은 파리 날아다니는 소리가 들릴 정도인 태초의 고요 그 자체이다가.. 전국적으로 멘탈 붕괴 심장마비로 죽은 사람과 머리에 권총 쏴서 자살한 사람까지 발생했다고 한다.

우와, 을사조약이 맺어졌을 때의 조선도 이 정도는 아니었을 것 같은데.. =_=;;
우루과이 팀은 이기고도 이 분위기에 해코지· 봉변 당할까 봐 무서워서.. 시상식은 날림으로 대충 때운 뒤, 본국으로 줄행랑을 쳐야 했다.;;
그렇잖아도 브라질과 우루과이는 역사 배경 때문에 서로 사이가 꽤 안 좋았다고 한다. 그래서 이 경기는 반쯤 우리나라 한일전 같은 성격도 지니고 있었다고..

그 다음날 브라질에서는 전국에 조기가 게양됐다.
선수들은 자국 축구 국대에서 영원히 퇴출되었고 어지간한 흉악범 이상으로 평생 고개를 들고 다니지 못했다.

축구 경기에서 진 걸 갖고 사람에게 형사 책임을 물을 수는 없으니.. 브라질 축협에서는 그 선수들의 유니폼을 대신 다 수거해서 싹 불태워 버리고, 유니폼의 도색까지 바꿨다. 원래 흰색이다가 지금 같은 노랑 상의+파랑 하의로 그때 바뀐 것이다.
우리나라 대한 항공이 1983년의 비극적인 007편 격추 사고를 계기로 지금 같은 형태(하늘색)로 기체 도색을 바꿨듯이 말이다.

저 경기 당시에 브라질 측의 골키퍼였던 '모아시르 나시멘투'(1921-2000)는 잘나가던 유능한 선수였다. 이 경기에서도 딱히 실수 때문에 두 골을 실점한 게 아니었다. 하지만 패배로 인해 그야말로 역적으로 몰리고 커리어가 완전히 꼬여 버렸다.
길거리에서 "어, 엄마, 저 아저씨는 누구야?" / "응, 우리 국민들을 절망과 불행의 나락으로 몰아넣은 원흉이야" 이런 소리를 듣기도 했댄다.

그에게도 이게 평생의 한이 됐을 것이다. 오죽했으면 그는 "우리나라는 아무리 큰 죄를 지어도 징역 30년이 최대인데, 난 그 경기에서 한번 졌다는 이유로 50년을 죄인 취급을 당했다"란 말을 죽기 전 유언으로 남겼을 정도였다.

1950년, 마라카낭에 있었던 브라질 선수들 중, 그나마 이때 예비 선수 명단에만 올랐고 실제로 경기는 단 1초도 뛰지 않았던 선수 한 명(니우통 산투스의)만이.. 1952년부터 월드컵 국대로 복귀할 수 있었다.
이건 2012년 런던 올림픽의 축구 3· 4위전 때 홍 명보 감독이 병특 혜택을 주기 위해 경기 종료 직전에 김 기희 선수를 딱 4분 설렁설렁 뛰게 해 준 것과 비교되는 면모이다.

한편, 브라질을 상대로 역전골을 넣었던 우루과이의 '알시데스 기지아'(1926-2015) 선수는 역시 비슷한 시기인 2000년경, 늙은 노인이 된 상태로 한번 브라질을 방문했었는데..
입국장에서 새파랗게 젊은 20대 여성 세관원조차 저 사람을 바로 알아봤을 정도였다고 한다.

"선생님이 그 !@#!@#$@ 경기에서 역전골 넣었던 분이군요~!"
"아.. 아니, 그건 50년 전 일인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 사건을 바로 어제 있었던 일처럼 생생하게 기억합니다"


이 정도면.. 브라질에서 마라카낭은 이스라엘에서 마사다 내지 아우슈비츠 정도의 트라우마가 걸린 이름인 것 같다..;;
도대체 축구 하나에 얼마나 뼈를 묻었길래..!!

이런 홍역을 치른 브라질이었지만, 쟤들은 그로부터 64년이 지난 2014년에 다시 자국에서 월드컵을 개최했을 때는 마라카낭을 능가하는 흑역사 비극을 또 창조하고 말았다. 이름하여 미네이랑의 비극. 7월 8일에 실시된 준결승전 경기에서 브라질은 아시다시피 독일에게 무려 1:7의 스코어로 참패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1948년 런던 올림픽(2012년이 아님!)에서 0:12로 진 게 역대 최다 점수차였던 반면, 쟤들은 저 때 역대 최다 점수차 패배 기록을 갱신했다.

얼마나 민망한 광경이 벌어졌으면, 해설자와 캐스터조차 브라질을 은근슬쩍 동정하고 응원하면서 "아~ 이게 어찌 된 일입니까! 브라질이 이렇게 무너져서는 안 될 텐데요..! ㅠㅠㅠㅠ" 이럴 정도였고..
서양에서는 방송에서 스코어를 기재할 때 7이 1의 오타가 절대 아님을 인증하면서 밑에다 seven이라고 써 줄 정도였다.

이 경기가 끝나고 다음날, 브라질의 일부 신문은 1면을 그냥 백지로 내걸면서 멘붕하기도 했다.
스코어와 결과 자체는 미네이랑이 과거의 마라카낭보다 훨씬 더 처참하지만, 그래도 이때는 진작부터 패배가 예상됐던 상태이기 때문에 국가적인 패닉이나 심장마비· 자살 같은 일은 없었다고 한다.

이상이다.
2014년 월드컵 때는 우리나라 국대도 굉장한 졸전과 함께 탈락해 버려서 홍 명보 감독의 커리어에도 오점이 남았을 정도인데.. 브라질도 만만찮은 상태였던 셈이다. 세상 어느 분야건 영원한 강자란 건 없거나 극히 드물다고 하겠다.

※ 여담

  • 축구의 각종 경기장 규격과 룰이야 50여 년 이상 전의 옛날이나 지금이나 별로 바뀐 게 없겠지만, 그래도 옛날 경기들이 요즘 경기보다 스코어가 좀 더 큰 편이다. 국가별 실력과 기량이 지금만치 상향평준화되지 않았고 작전이랄지 전략이 다들 비슷하게 수렴진화도 하지 않아서 그런 것 같다.
  • 축구 경기 때 맨날 클리셰로 흘러나오던 BGM "올레 올레 올레~! name of the game.. football!!" 이건 1986년 멕시코 FIFA 월드컵 때 처음으로 소개된 곡이로군...!

Posted by 사무엘

2022/06/02 19:36 2022/06/02 19:36
, , , ,
Response
No Trackback , 3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2027

철도 음악 교실

1.

지난 남아공 월드컵 때 우리나라는 역사상 최초로 원정 16강 진출을 달성했다.
그런데 경기 중계 방송을 보고 있으면, 경기장 내부에서 웬 웅웅~~ 소리가 끊임없이 들려서 귀에 거슬렸던 기억이 있을 것이다.

(이런 소리를 영어로는 drone/droning이라고 한다. 딱 정확한 표현이다.
스타크에서 저그의 일꾼 유닛인 드론이 이 단어이다. 설정상 드론은 말벌인데, 웅웅 윙윙거리면서 일을 한다나?)

본인은 그게 무슨 잡음인지 알지 못했다. 더운 여름에 아프리카에서 축구 경기를 개최하다 보니 더워서 냉방기라도 가동하는 소리인가 했다. -_-;;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은데 말이다. 오히려 거기는 남반구이기 때문에 북반구와 계절이 반대이며, 저녁에는 사람들이 숫제 긴팔까지 입었다.

잘 알다시피 그 소리는 부부젤라라고 하는 나팔 비슷하게 생긴 아프리카 민속 악기 소리이다. 관중석에서 이런 이상한 소리가 나는 걸 이해해 달라고 해설가들이 몇 차례나 설명을 했다고 한다.

그런데 잘 생각해 보기 바란다. 그 소리는 지하철에서 나는 이 소리와 아주 비슷하지 않은가?
조용한 지하철 승강장에서나, 아니면 지상에 돌출돼 있는 지하철 터널 통풍구 근처에서 쉽게 들을 수 있는 친숙한 이 소리 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저런 기계음 같은 소리도 엄연히 악기로 내는 소리인데,
하물며 전동차 VVVF 구동음은 영락없이 음악적이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일본에서는 아예 그걸로 노래까지 만든 적이 있다. ㅋㅋㅋ
http://www.youtube.com/watch?v=EExvEF2zudA 지멘스 옥타브는 음악으로 불리기에 손색이 없다.

2.

본인은 국내 유일 & 최초의 Looking for you 채보자이다.
악보를 본 사람들은 '충격과 공포' 표정을 지으면서 어떻게 그걸 채보했냐고 내게 묻곤 했다.
하지만 이건 천재가 아니라 전적으로 노력의 산물이다. Looking for you를 끈질기게 한 3천 번만 들으면 누구라도 16분 음표 하나 안 놓치고 그대로 채보할 수 있다. Looking for you를 뼛속까지 내 음악으로 소화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새마을호를 제대로 탔다고 간주할 수 없다.

곡 중에는 아래와 같이 색소폰으로 좀 어려운 기교를 부린 부분이 있는데, 그런 곳은 소리 재생을 절반 이하로 늦춰서 끈질기게 들으면서 음표를 정확하게 그려 넣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악보를 교회에서 작곡을 전공한 어느 형제님께 보여드린 적이 있었다.
그런데 이런 말을 하더라. “이런 부분은 들리는 대로 받아적다 보니 16분 음표 여러 개로 복잡하게 표기했겠지만, 실제로는 꾸밈음이겠군요.”

그때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장식음을 표현하는 꾸밈표는 악보라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매크로와 같은 존재일 거라고 말이다. 간단한 꾸밈표 중 하나인 스타카토를 예로 들어 보자.

#define 스타카토(음높이, 길이) \
  { 음표(음높이, (길이)/2);   쉼표((길이)/2);   }
#define 메조_스타카토(음높이, 길이) \
  { 음표(음높이, (길이)*3/4); 쉼표((길이)/4);   }
#define 스타카티시모(음높이, 길이) \
  { 음표(음높이, (길이)/4);   쉼표((길이)*3/4); }

http://user.chollian.net/~kktae386/menu02/me0206.htm 참고. 꾸밈표도 여럿 존재한다.
어느 분야에서든, 일정한 패턴을 띠는 바리에이션을 한 기호로 간단하게 축약해서 표현하려는 욕망은 존재하는 모양이다.

Posted by 사무엘

2010/08/31 08:45 2010/08/31 08:45
, , , ,
Response
No Trackback , 11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361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3041233
Today:
860
Yesterday: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