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행 파일의 자가 업데이트

내가 개인적으로 만들어서 배포하는 날개셋 프로그램들에는 서버 트래픽, IME의 갱신과 관련된 Windows 특유의 기술적 난항, 개발자의 귀차니즘(..) 등의 이유로 인해 자동 업데이트 기능이 없다. 하지만 회사에서 상업용으로 개발하는 프로그램에다가는 프로그램의 자가갱신 기능을 구현할 일이 좀 있었다. 이를 위해서 Windows에서 자기 자신을 삭제하는 실행 파일을 만들 때와 비슷한 방식의 시나리오를 설정했다.

  1. 업데이트 대상인 app.exe는 새 버전인 app_new.exe를 다운로드하여 임시 디렉터리에다 보관한다.
  2. app.exe는 별도의 updater를 실행하고 자기 프로세스 ID와 임시 파일 이름을 명령 인자로 전한다. 그 뒤 자신은 신속히 종료한다.
  3. updater는 app.exe가 종료할 때까지 기다린 뒤, 실제로 종료되면 app.exe를 삭제한다. 그리고 임시 파일을 app.exe로 옮기고 개명한다.
  4. 그 뒤 updater는 새로 받은 app.exe를 실행한다.

그렇게 본 프로그램과 업데이터까지 잘 만들었다. 업데이터는 Program Files 아래의 디렉터리에서 파일을 지우고 생성할 것이기 때문에 관리자 권한으로만 실행되게 매니페스트 설정도 물론 해 놨다.

그런데 이렇게 만들어진 프로그램은 개발 환경을 포함해 여러 PC에서 업데이트 기능이 동작했지만, 일부 PC나 가상 머신에서는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다.
관리자 권한을 분명히 줬는데 도대체 어디서 문제가 발생하는지, 그리고 같은 Windows 10에서 컴퓨터마다 성공 여부에 왜 차이가 발생하는지 기괴하기 그지없었다. 디버깅 결과 다음과 같은 복병을 발견하게 되었다.

(1) GetModuleFileNameEx는 만능이 아니다. 경로 정보를 얻고자 하는 모듈이 존재하는 프로세스의 비트수(32 또는 64비트)와.. 정보를 요청하는 나 자신의 비트수가 일치해야만 경로를 얻을 수 있더라.
난 이 함수가 그런 이유로 인해 실패할 수 있다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않고 있었다. 문서에 딱히 언급이 없었으니까... 비트수가 안 맞으면 ERROR_PARTIAL_COPY라는 굉장히 낯설고 기괴한 에러 코드와 함께 함수의 실행이 실패했다. (Only part of a ReadProcessMemory or WriteProcessMemory request was completed.)

(2) 그리고 더 뒷목 잡는 상황은 따로 있었다.
업데이터는 app이 종료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파일을 대체하도록 만들어졌다. 그런데 컴퓨터에 따라서는 그 반대편으로 극단적인 상황도 발생했다. 바로, app이 너무 일찍 종료되거나 업데이터가 너무 늦게 실행되는 바람에 정작 OpenProcess 요청부터가 실패하여 app에 대한 정보를 전혀 얻지 못한 것이다.

그러니 이때는 app과 업데이터가 서로 공유하는 이벤트 같은 오브젝트라도 만들어서 app과 업데이터가 공존하는 타이밍이 반드시 존재하게 할 수도 있고, 아니면 app이 자신의 족적을 공유 메모리나 아예 임시 파일 같은 다른 방법으로 넘겨서 업데이터에다가 전달하게 문제를 회피해야 했다. 뭐, 이런 일이 있었다.

요즘은 어지간히 대단하고 전문적인 제품이 아닌 한, 소프트웨어를 받아서 사용하는 것 자체만으로 최종 사용자에게 금전적인 대가를 요구하는 관행은 사실상 없어졌다. 소프트웨어는 그냥 고객을 확보하고 개발사의 인지도를 올려서 더 교묘한 수단으로 수익을 추구하는 통로일 뿐이다.

소프트웨어를 무료로 뿌리는 대신에 개발사는 사용자로부터 그 소프트웨어의 사용 형태를 최대한 미주알고주알 수집하려 하는 게 요즘 추세이다. 단순히 (1) 최신 버전 체크/업데이트라든가 프로그램이 뻗어서 (2) 메모리 덤프 같은 디버깅 정보를 제출하는 용도로 서버와 교신하는 게 아니라, 자주 사용하는 기능 같은 전반적인 행동 데이터를 종종 개발사로 보낸다는 것이다.
물론 이건 사용자에 따라서 불쾌한 사생활 침해로 여겨질 수 있으니 사용자가 동의했을 때에만 보내게 돼 있다. MS Office, Visual Studio, Android Studio 등의 제품에 다 이런 옵션이 존재한다.

2. 경과 시간을 되돌리는 함수

자동 업데이트 기능은 마지막으로 업데이트 체크를 했던 시각을 레지스트리에다 저장해 둔다. 그리고 프로그램이 처음 실행되면 현재 시각이 레지스트리에 기록된 시각으로부터 1주 이상 경과했는지 검사한다. 조건이 만족되면 서버에 등록된 최신 버전을 지금 내 버전과 비교하고.. 이하 생략의 순서대로 구현되었다.

그런데 프로그램을 다 만들고 테스트를 해 보니, 아무리 서버에 더 높은 버전 정보가 등록됐고 그로부터 1주가 넘는 시간이 경과해도 이 프로그램은 자동 업데이트가 행해지지 않았다.
도대체 뭐가 문제인지 코드를 한참을 들여다 본 뒤에야 "아차...!" 하고 탄식을 내뱉었다.

GetTickCount()는 1970년 1월 1일 같은 고정된 epoch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되돌리는 게 아니라, 그냥 시스템이 부팅이 끝난 이래로 경과한 시간을 되돌리는 함수이지 않던가.
그러니 한번 컴퓨터를 켜 놓고 1주일 이상 버티지 않는 이상, 업데이트 체크가 행해질 리가 없었던 것이다.
내가 뭘 잘못 먹고 착각을 했는지, 코딩 하다가 졸았는지, 왜 그 상황에서 저 함수를 쓸 생각을 했는지는 알 길이 없다.

3. message loop

Windows에서 MFC를 안 쓰고 응용 프로그램 GUI를 구현하다 보면 결국 (a. PeekMessage) → GetMessage → (b. TranslateMDISysAccel, TranslateAccelerator) → (c. IsDialogMessage) → TranslateMessage → DispatchMessage 등의 순으로 함수를 호출하는 message loop도 손수 만들게 된다.
괄호를 친 a~c는 필수는 아닌 함수들이다. a는 idle time processing이 필요할 때만 쓰면 되고, b는 MDI 프로그램이라거나 자체 단축키가 있을 때, 그리고 c는 혹시 modeless 대화상자가 존재할 때에만 쓰면 된다.

본인이 개발하던 문제의 프로그램은 타 프로세스로부터 받은 메시지에 반응하여 대화상자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었다. 그런데 만들어 놓고 보니 당장은 동작하는 것 같지만 뭔가 미묘하게 정상이 아닌 상태 같았다.
대화상자가 떠 있는 동안에도 우리 쪽에서 정의한 custom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번거롭지만 대화상자를 modal 대신 modeless 형태로 바꿨다.

그런데 tab을 눌러서 컨트롤간 포커스를 이동시켜 보면 이상한 비프음이 나면서 이동하고, Alt+Space로 시스템 메뉴를 꺼내서 창을 닫으면 제대로 동작하지 않고 프로그램 동작이 수 초간 멎는다거나..
owner(parent) 윈도우를 타 프로세스의 윈도우로 지정해서 그런가, 처음에는 쓸데없는 부분을 의심하며 한참을 헤맬 수밖에 없었다.

이것도 코드를 한참을 들여다 본 뒤에야 내가 무슨 삽질을 했는지를 깨닫고 경악하게 됐다. message loop을 이런 식으로 짰기 때문이었다.

while(GetMessage(&msg, NULL, 0, 0)>0) {
    for(HWND hDlg: m_hModelessDlgs)
        if(hDlg && ::IsDialogMessage(m_hDlg, &msg)) continue;
    ::TranslateMessage(&msg); ::DispatchMessage(&msg);
}

꺼내 놓을 수 있는 modeless 대화상자가 여러 종류가 추가되면서 나름 저렇게 for문을 넣었는데..
난 저 continue가 여전히 while문 전체를 제낄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러니 대화상자로만 가야 할 메시지가 여전히 DispatchMessage로도 이중으로 전해지고 있었고, 이 때문에 뭔가 동작은 하는 것 같은데 잡다한 부작용까지 덩달아 발생하고 있었다.

내가 Windows 프로그래밍 경력은 10년을 훌쩍 넘기지만.. 그래도 정신이 없을 때는 아직까지 이런 초보적인 실수도 한다.

4. 대화상자를 종료하는 법

대화상자를 하나 구현했다.
사용자는 메뉴를 거쳐서 그 대화상자를 열고 닫는데, 그걸 한번 닫은 뒤부터는 메뉴를 선택해도 그 대화상자가 다시 열리지 않는 버그가 있었다. 그것도 언제나 그러는 것도 아니고 특정 기능을 사용해서 간접적인 방법으로 대화상자를 닫았을 때 문제가 발생했다.

디버깅 끝에 밝혀진 원인은 바로.. modeless 대화상자를 EndDialog 함수를 이용해서 닫았기 때문이었다.
modal 대화상자를 훗날 modeless 형태로 개조하면서 발생한 부작용의 연장선이다. 대화상자를 닫는 부분을 그에 맞게 제대로 고치지 않았었다.

EndDialog를 호출했더니 그 대화상자는 ShowWindow(hDlg, SW_HIDE)를 한 것처럼 화면에서 사라지기만 할 뿐, 실제로 파괴되고 없어지지는 않았다. modeless 대화상자는 여느 윈도우를 없앨 때처럼 DestroyWindow 함수를 직접 호출하든가 WM_CLOSE를 날려서 없애야 한다. 오오.. 이것도 의외로 자주 할 수 있는 실수로 보인다.

그럼 반대로 modal 대화상자의 프로시저에서 자기 자신을 DestroyWindow로 날려 버리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가 궁금해진다. EndDialog와 달리 DestroyWindow는 IDOK나 IDCANCEL 같은 리턴값을 지정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때 DialogBox 계열 함수의 리턴값은 그냥 '취소'를 눌러 종료된 것과 동급으로 취급되어야 하지 않나 싶다.

5. 맺는 말

이런 일련의 경험을 통해, "타 프로세스로부터 받은 메시지에 반응하여 대화상자를 표시하기" 이게 생각보다 더욱 기괴한 상황이란 걸 실감할 수 있었다.

프로세스 A가 프로세스 B로 메시지를 send로 보냈는데 B가 대화상자나 메시지 박스 같은 modal UI를 표시하고, 그게 종료된 뒤에야 return을 해 준다면.. 그 동안 프로세스 A는 자기 메시지를 처리하지 못하는 '응답 없음' block 상태가 돼 버린다. 특히 그 상태에서 B가 A로 역으로 메시지를 보내기라도 한다면 둘 다 꼼짝없이 dead lock에 빠진다.

메시지를 주고받는 주체와 객체가 다 동일 프로세스의 동일 스레드 소속이라면 걱정할 것 없다. 그 modal UI를 돌리는 B쪽의 메시지 loop에서 A에 소속된 윈도우에게 WM_PAINT 같은 메시지가 온 것도 같이 처리를 해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프로세스, 아니 스레드 소속만 달라도 이런 일이 저절로 같이 행해지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세스와 스레드 경계를 넘나들며 UI를 표시할 때는 대화상자는 최대한 modeless 형태로 만들고, 메시지도 post가 아니라 반드시 send로 보내야겠다면 ReplyMessage를 호출해서 "선응답 후UI" 형태로 프로그램 UI의 반응성을 보장해야 한다.

사실, 같은 프로세스이더라도 자기와 소속이 다른 스레드에 속한 윈도우로는 SetFocus를 할 수 없으며 심지어 DestroyWindow조차도 직통으로 먹히지 않는다. AttachThreadInput를 써서 입출력 연결을 한 뒤에나 포커스 지정이 가능하며, 윈도우의 파괴는 WM_CLOSE를 보내는 방식으로 간접적으로 해야 한다. WM_CLOSE는 WM_DESTROY와 달리, 자신이 파괴되는 것을 해당 윈도우 프로시저가 거부할 수 있다.

Posted by 사무엘

2018/05/26 08:34 2018/05/26 08:34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493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18/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2665193
Today:
431
Yesterday:
1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