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고궁 박물관 답사

본인은 서울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들 중에서 경복궁을 제외한 나머지 4개(덕수, 경희, 창경· 창덕)는 지난 1~2년 사이에 모두 가 봤다. 정작 제일 크고 유명한 경복궁만 유일하게 안 가 봤는데 요 얼마 전에 드디어 답사하게 됐다. 그것도 혼자가 아니라 교회 친구들과 함께 말이다.
오늘은 이에 대한 기록을 특징적인 것 위주로만 간략하게 남기고자 한다.

경희궁 옆에 서울 역사 박물관이 있듯이, 경복궁의 옆에는 박물관이 있다. 그것도 양 옆에 두 개나 있다.
왼쪽에는 고궁 박물관이 있고 지하철 3호선 경복궁 역의 5번 출구와 연결된다. 오른쪽에는 민속 박물관이 있고 주차장과 연결된다.
그러니 지하철을 타고 온 일반인들은 고궁 박물관과 연계하기가 쉬우며, 관광버스를 타고 경복궁을 단체로 찾은 관광객들은 민속 박물관과 연계하기가 쉽다.

본인은 먼저 고궁 박물관에 들어갔다. 경복궁 안으로 들어가는 것만 유료이지, 광화문 성벽 너머에만 있는 박물관은 무료 입장 가능하다.
고궁 박물관은 2층부터 지하 1층까지 세 층에 걸쳐 조선 황실 중심으로 흥미로운 유물들을 많이 전시하고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이 바로 면류관이다. 신라 금관 같은 통상적인 왕관이 아니라 사각형 판때기 아래로 여러 줄들이 치렁치렁 달렸고 어찌 보면 졸업식 학사모와 비슷하게 생긴 머리 장식품(?)이다. 국가 군주보다는 뭔가 옥황상제가 써야 할 것 같이 생겼다.

한글 개역성경에서는 crown 왕관이 면류관이라고 토착화 로컬라이즈 번역이 됐기 때문에 기독교인들에게도 면류관이라는 용어가 친숙하다. 마치 빵이 떡으로 바뀌고 각종 악기들도 다 유사 국악(!!) 버전으로 바뀐 것처럼 말이다. 그래서 "면류관 가지고"라는 찬송가부터 시작해서 '생명의 면류관', '가시 면류관(!!)'까지 있다. 허나, 면류관이 원래 어떻게 생긴 물건인지 모르는 분들이 많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왕을 포함해 왕가의 높으신 분들이 타던 전용 고급 가마를 연(輦)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가마는 인력거라든가 죄수 호송용 수레와 달리, 바퀴가 아닌 사람의 다리만 이용하여 더 힘든 방식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탑승자는 나름 작은 방 안에서 외부 환경과 완전히 분리돼 있다. 이런 가마를 타는 느낌은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나저나, "내 가는 길은 십자가의 길이요"라는 찬송이 있는데... 얘가 3절 가사의 끝부분이 "당신의 연이 되어 주만 태우리..."이다. 이 연이 바로 輦이며, 뒷부분의 '태우다'도 불태우는 burn이 아니라 give a ride, carry라는 뜻이다. 헐~ 내가 주님만 태우는 가마가 되고 싶다는 심상은 도대체 어떻게 해야 떠올릴 수 있는지 모르겠다.

이 가사는 원래 시로만 존재하다가 나중에 곡이 붙은 것이다. 처음부터 노래용 가사로 만들어졌다면 저렇게 알아듣기 난해한 1음절 한자어가 쓰이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아마 Margaret Barber이라고 워치만 니의 정신적 스승급인 아주 독실한 크리스천이 쓴 찬송시 If the path I travel lead me the cross를 번역한 게 아닐까 심증이 있지만, 저 한국어 번역은 그냥 모티브만 딴 수준에 가깝지 영어 원문을 충실하게 번역한 것도 아니다.

"당신의 연이 되어 주만 태우리" 같은 말도 영어 원문엔 당연히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영어권에서는 그 가사에 붙은 곡이 다른 형태로 따로 있다.
그러니 지금 한국어로 번역되어 있는 저 가사는 도대체 누가 언제 무엇을 의도하고 이렇게 번역한 것인지가 오리무중이다.
아이고, 난 조선 시대 유물을 보면서도 직업병이 별 희한한 형태로 발동하는가 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지금까지 말로만 듣던 순종 어차를 드디어 이렇게 곁에서 보게 됐다. 이건 한반도를 돌아다닌 적이 있는 제일 오래된 자동차이며, 후대에 처음부터 다시 만든 재현품 레플리카가 아니라 오리지널 실물이다.
1950년대에 나왔던 시발 자동차조차 실물은 다 소실되어 버려서 지금 박물관에 전시돼 있는 건 레플리카뿐인데, 순종 어차는 참 놀라운 사례가 아닐 수 없다. 단지 때 빼고 광 내고 도색을 새로 하는 복원 작업을 빡세게 했을 뿐이다.

1910년대 일제 시대 초기에 도입되었다 보니, 핸들이 모두 좌측통행 기준인 오른쪽에 있는 걸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려 8기통에 5153cc에 달하는 대용량 엔진이 겨우 32마력 남짓한 출력밖에 안 나왔다니 정말 허무하기 그지없다. 지금으로부터 100여 년 전의 자동차 기술이 거기까지가 한계였던 것이다. 그때는 선박도 증기선 타이타닉 호가 다녔던 시절이니..
참고로 지금 제네시스 EQ900의 최상위 8기통 5000cc 휘발유 엔진은 최대 출력이 425마력으로, 32마력의 10배를 훌쩍 뛰어넘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건 내 기억이 맞다면 종묘에서 선왕에 대한 제사를 지낼 때 세팅하는 제삿상이라고 한다.
굽지도 않은 시뻘건 고기가 참 맛있어 보여서(죄다 가짜 모델일 뿐이지만..) 사진을 찍게 됐다.
성경의 고린도전서에서 말하는 "우상에게 바쳐진 고기"가 문득 떠올랐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린'이라고 하면 목이 긴 갈색 계열의 그 동물을 의미하지만, 옛날에 아프리카 기린을 보지 못한 동양 사람들에게 '기린'은 뭔가 서양의 유니콘과 비슷한 상상 속의 동물을 가리켰다. 유니콘은 흰색인 반면, 저 기린은 시퍼렇다.
옛날에 지금 같은 캐릭터 산업이 발달했을 리는 없으니, 상상 속의 동물이라고 해서 사람들이 완전 아무 근거도 없는 엉뚱한 동물을 주작하지는 않았을 텐데.. 용이라든가 해태, 기린 같은 동물은 어디에서 유래되어 사람들의 기억에 새겨진 것인지 모르겠다.

이런 식으로 볼 것들이 많았다.
조선에서 대한제국으로 가니까 시기가 시기이다 보니 각종 집기와 건물 인테리어가 서양 스타일로 바뀌었다. 그리고 순한글로 쓰인 문서가 증가하고, 서체도 궁서 흘림 계열로 바뀌었다.

임금 하면 빨간 곤룡포가 떠오르는 법인데(세종대왕이 집현전의 신 숙주에게 덮어 줬다는..), 조선 황실의 마지막 황태자라 일컬어지는 영친왕이 입은 빨간 곤룡포가 전시돼 있었다.

조선과 관련된 각종 박물관을 가 보면 태조 이 성계의 어진은 꼭 전시돼 있지만 조선의 모든 왕들의 어진이 있지는 않다. 왜냐하면 많은 어진들이 소실되어 현재 전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6· 25 사변이 터졌을 때 어진들을 부산으로 옮긴 것까지는 잘했는데, 휴전 후에도 그걸 서울로 옮기지 않고 있다가 부산에서 대판 화재가 나는 바람에(용두산 대화재) 소실된 게 많다.

끝으로, 조선의 과학 기술이라고 전시해 놓은 것은 몇몇 화포와 측우기, 해시계, 물시계 자격루였는데.. 나무를 깎아서 정교한 기계를 만든 것까지는 보통일이 아니지만, 그래도 동양이 서양보다는 과학 기술이 확실히 뒤쳐졌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어서 아쉬웠다. 서양에서 18~19세기 동안 수학· 과학이 눈부시게 발달하던 동안 조선은 내세울 게 고작 저것밖에 없다니..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박물관 구경은 여기까지 하고, 이제 입장권을 구매하고 경복궁 안으로 들어갔다. 위의 사진은 경복궁 입구에서 남쪽으로 광화문과 세종대로 방면을 바라본 풍경이다.
지금은 여기가 아무것도 없는 넓은 운동장 공터이며, 한쪽 구석에 입장권 매표소 정도만 있다. 하지만 25년 남짓 전까지만 해도 바로 이 자리에 조선 총독부 청사가 있었다는 걸 생각하면 아찔함이 느껴진다.

경복궁은 일반적으로는 저녁 5시에 입장을 마감하고, 6시에 폐장한다. 그리고 특정 시기에만 한해서 제한된 인원을 밤 10시까지 추가적으로 받아들이는 식으로 야간 운영을 하는가 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경복궁에서 가장 중요한 곳인 근정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경복궁에서 그 다음으로 가장 중요한 곳이라 여겨지는 경희루 주변의 경치이다.
이제 이 두 곳을 빼면 나머지 건물과 골목길은 그냥 여타 고궁들을 돌아다니는 것과 큰 차이가 느껴지지 않았다. 그래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현재 남아 있는 부지 내에서도 모든 건물이 복원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아직 풀밭과 숲도 많이 있으며, 곳곳에서 공사가 진행 중이었다. 뭔가 대학교 캠퍼스를 돌아다니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답사 당시의 사정상(특히 너무 더워서..;;), 동쪽에 있는 민속 박물관은 못 보고 원래 들어왔던 곳으로 그대로 다시 나갔다. 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저기도 둘러볼 일이 있으면 좋겠다.

Posted by 사무엘

2018/07/27 08:29 2018/07/27 08:29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515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18/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2635615
Today:
27
Yesterday:
2386